KR102548497B1 -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 Google Patents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97B1
KR102548497B1 KR1020220166573A KR20220166573A KR102548497B1 KR 102548497 B1 KR102548497 B1 KR 102548497B1 KR 1020220166573 A KR1020220166573 A KR 1020220166573A KR 20220166573 A KR20220166573 A KR 20220166573A KR 102548497 B1 KR102548497 B1 KR 10254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oil
jumper wire
transformer
ir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봉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창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창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창감리
Priority to KR102022016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P)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 것으로서, 완철고정기구(10)와, 완철(20)과,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점퍼선지지대(100)와, 절연유감지센서(110)와, 경고등(120)과, 송신기(130)와, 절연유공급장치(90)을 포함하여, 누전 발생 시 관리센터로 이를 알릴 수 있고, 야간에 누전 발생 시 이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Fixing Equipment}
본 발명은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의 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 및 완철(2)을 매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3)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완철에는 현수애자(4)가 설치되어, 현수애자(4)를 통해 가공배전선(3)이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관리센터에 알리는 데 어렵고, 야간에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한편,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되는 데 종래에는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육안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50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누전 발생 시 관리센터로 이를 알릴 수 있고, 야간에 누전 발생 시 이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P)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 것으로서,
전주(P)에 설치되는 완철고정기구(10)와,
완철고정기구(10)에 설치되는 완철(20)과;
완철(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는 변압기(30)와;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하는 냉각유닛(40)과;
완철(20)에 설치되는 애자(50)와;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 도전재질의 클램프베이스(61);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점퍼선연결부(62);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가공배전선연결부(63);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되는 형광파우더(64);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65);로 구성되어, 애자(50)에 설치되는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점퍼선(70)과;
완철(20)에 설치되는 누전감지센서(80)와;
완철(20)의 하방에 위치하여 점퍼선(70)이 안착설치되는 점퍼선안착대(101)를 갖추고서, 완철(20)에 설치되는 점퍼선지지대(100)와;
점퍼선안착대(101)에 설치되고, 점퍼선(70)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를 감지하는 절연유감지센서(110)와;
점퍼선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절연유감지센서(110)로부터 절연유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120)과;
점퍼선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절연유감지센서(110)로부터의 절연유감지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130)와;
절연유가 저장되는 절연유탱크(91);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하는 순환펌프(92);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하는 공급방향선택유닛(93);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4);을 갖추고서, 완철(20)에 설치되는 절연유공급장치(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전주(P)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 것으로서, 완철고정기구(10)와, 완철(20)과,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점퍼선지지대(100)와, 절연유감지센서(110)와, 경고등(120)과, 송신기(130)와, 절연유공급장치(90)을 포함하여, 누전 발생 시 관리센터로 이를 알릴 수 있고, 야간에 누전 발생 시 이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에서 완철고정기구 및 완철 및 점퍼선지지대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절연유와 연관된 구성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에서 완철고정기구 및 완철 및 점퍼선지지대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절연유와 연관된 구성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방향으로 하고, 도 7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측에서 후측으로의 방향으로 하며, 도 7 상에서의 Z축 방향을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는, 완철고정기구(10)와, 완철(20)과,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점퍼선지지대(100)와, 절연유감지센서(110)와, 경고등(120)과, 송신기(130)와, 절연유공급장치(90)을 포함한다.
상기 완철고정기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완철고정기구(10)는 링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완철고정기구(10)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전주(P)에 설치된다.
상기 완철(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고정기구(10)에 설치된다.
상기 변압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변압기(30)는 내부에 절연유가 구비되고, 절연유공급부(31)를 통해 절연유가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변압기로(30)로 인입되는 인입전선(DL, 일예로 가공배전선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선) 상에는 컷아웃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유닛(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한다. 본 발명에서 냉각유닛(40)은 방열핀(41)을 갖추고, 절연유가 냉각유닛(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유닛(40)은, 변압기(30) 내부와 연통되어 변압기(30)로부터의 절연유가 통과하고, 냉각유닛(40)의 내부를 통과한 절연유가 절연유배출부(4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냉각유닛(40)은, 변압기(30)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냉각시킬 수 있으면, 냉각팬을 이용한 기술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애자(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애자(50)는 현수애자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쇄클 등을 매개로 완철본체(21)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클램프(60)는, 도 2,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베이스(61)와, 점퍼선연결부(62)와, 가공배전선연결부(63)와, 형광파우더(64)와, 덮개(65)를 갖추고서, 애자(60)에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6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61)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져, 애자(50)에 설치된다.
상기 점퍼선연결부(62)는,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선연결부(62)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점퍼선연결부(62)는 돌기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돌기 형상을 이루고,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다.
상기 형광파우더(64)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형광파우더(64)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통상의 형광파우더가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며, 절연유와 혼합되어 흐를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색상물질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덮개(65)는,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덮개(65)는, 기밀유지를 위해, 클램프베이스(61)와 덮개(64) 사이에 위치하는 개스킷(65a)을 더 갖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클램프(60)는, 유입구(61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배관(66)이 구비된다.
상기 점퍼선(7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완철(20)에 전기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완철(20)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설비로부터의 누전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점퍼선지지대(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20)의 하방에 위치하여 점퍼선(70)이 안착설치되는 점퍼선안착대(101)를 갖추고서, 완철(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지지대(100)는 지지기구(102)를 구비하여, 지지기구(102)를 매개로 완철(20)에 설치된다. 지지기구(102)는 완철(20)에 설치되는 수평대(102a)와, 수평대(102a)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점퍼선안착대(101)가 설치되는 지지대(102b)를 갖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평대(102a)는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완철(2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점퍼선안착대(101)에 안착된 점퍼선(70)은 점퍼선안착대(10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유감지센서(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안착대(101)에 설치되고, 점퍼선(70)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유감지센서(110)는 절연유와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절연유를 감지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절연유의 색상을 감지하여 절연유의 존재를 감지하는 등 절연유를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감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고등(12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절연유감지센서(110)로부터 절연유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본 발명에서 경고등(120)은 점퍼선지지대(100)의 수평대(102a)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경고등(120)은 완철(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13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절연유감지센서(110)로부터의 절연유감지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본 발명에서 송신기(130)는 상기 절연유감지신호를 별도의 관리센터로 무선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송신기(130)는 완철(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도 2, 도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유탱크(91)와, 순환펌프(92)와, 공급방향선택유닛(93)과, 제어유닛(94)를 갖추고서, 완철(20)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유탱크(91)는, 절연유가 저장된다.
상기 순환펌프(92)는,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유탱크(91)와 변압기(3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미인출)에 위치한다.
상기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순환펌프(92)를 통과한 절연유의 이동방향을 선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밸브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유닛(94)은,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완철(20)은 2개가 구비될 수 있고, 완철(20)에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의 개수에 따라 다수 개의 애자(50) 및 연결클램프(60) 및 절연유공급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에서 배출되어 점퍼선(70)을 따라 흘러, 점퍼선안착대(101)에 다다르면, 절연유감지센서(110)는 절연유를 감지하여 절연유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절연유감지신호를 수신한 경고등(120)은 도 10과 같이 점등되고, 상기 절연유감지신호를 수신한 송신기(130)는 도 10과 같이 상기 절연유감지신호를 별도의 관리센터로 무선송출한다.
그러면, 하기에서 설명할 누전 발생을 야간에 쉽게 알 수 있고, 관리센터에서 상기 누전 발생에 대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절연유를 이용한 변압기(30)의 냉각관리 및 절연유를 이용한 누전 발생 표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유공급장치(90)의 제어유닛(94)은,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여,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변압기(30)를 향해 흐르도록 설정한 후, 순환펌프(92)를 구동하여,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유닛(94)은 주기적으로 절연유(30)가 변압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는 냉각유닛(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는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누전감지센서(80)가 누전을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절연유공급장치(90)의 제어유닛(94)으로 출력하면, 제어유닛(94)은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여,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를 향해 흐르도록 설정한 후, 순환펌프(92)를 구동하여,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클램프베이스(61)의 유입구(61a)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클램프베이스(61)의 유입구(61a)로 유입된 절연유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를 통과하면서 형광파우더(64)와 접촉한다.
이때, 형광파우더(64)는 절연유와 혼합되고, 절연유 및 형광파우더는 클램프베이스(61)의 이동홈(61c) 및 클램프베이스(61)의 점퍼선연결홈(61d)를 통과하여, 클램프베이스(61) 외부로 배출된다(도 11의 화살표 방향 참조).
여기서, 절연유 및 형광파우더(64)는 점퍼선(7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면서, 점퍼선(70)의 표면에 색상 표식이 되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누전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야간에 누전 발생 시 경고등(120)을 통해 즉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고, 상기 누전 발생을 송신기(130)를 통해 별도의 관리센터에 알림으로써 상기 누전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30)에 절연유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변압기(30)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점퍼선(70) 및 가공배전선(L)을 연결하는 연결클램프(60)와, 변압기(30) 용 절연유를 활용하여,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는 구조에, 누전을 감지하는 구조 등 다양한 가공배전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로 정의한다.
10: 완철고정기구 20: 완철
30: 변압기 40: 냉각유닛
50: 애자 60: 연결클램프
61: 클램프베이스 62: 점퍼선연결부
63 가공배전선연결부 64: 형광파우더
65: 덮개 70: 점퍼선
80: 누전감지센서 90: 절연유공급장치
91: 절연유탱크 92: 순환펌프
93: 공급방향선택유닛 94: 제어유닛
100: 점퍼선지지대 101: 점퍼선안착대
110: 절연유감지센서 120: 경고등
130: 송신기

Claims (1)

  1. 전주(P)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 것으로서,
    전주(P)에 설치되는 완철고정기구(10)와,
    완철고정기구(10)에 설치되는 완철(20)과;
    완철(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는 변압기(30)와;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하는 냉각유닛(40)과;
    완철(20)에 설치되는 애자(50)와;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 도전재질의 클램프베이스(61);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점퍼선연결부(62);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가공배전선연결부(63);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되는 형광파우더(64);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65);로 구성되어, 애자(50)에 설치되는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점퍼선(70)과;
    완철(20)에 설치되는 누전감지센서(80)와;
    완철(20)의 하방에 위치하여 점퍼선(70)이 안착설치되는 점퍼선안착대(101)를 갖추고서, 완철(20)에 설치되는 점퍼선지지대(100)와;
    점퍼선안착대(101)에 설치되고, 점퍼선(70)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를 감지하는 절연유감지센서(110)와;
    점퍼선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절연유감지센서(110)로부터 절연유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경고등(120)과;
    점퍼선지지대(100)에 설치되고, 절연유감지센서(110)로부터의 절연유감지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130)와;
    절연유가 저장되는 절연유탱크(91);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하는 순환펌프(92);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하는 공급방향선택유닛(93);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4);을 갖추고서, 완철(20)에 설치되는 절연유공급장치(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KR1020220166573A 2022-12-02 2022-12-02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KR10254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573A KR102548497B1 (ko) 2022-12-02 2022-12-02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573A KR102548497B1 (ko) 2022-12-02 2022-12-02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97B1 true KR102548497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573A KR102548497B1 (ko) 2022-12-02 2022-12-02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625042B1 (ko)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2343417B1 (ko) * 2021-06-09 2021-12-27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625042B1 (ko)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2343417B1 (ko) * 2021-06-09 2021-12-27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6764A1 (en) Charging plug and charging station for a motor vehicle
KR10242135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선위치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CN109570679B (zh) 无线焊烙铁、焊烙铁套件以及焊烙铁系统
CN109421505A (zh) 用于为机动车辆储存电能的装置
KR102548497B1 (ko)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KR101185179B1 (ko)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CN104965109A (zh) 用于测量在低压配电器的导体中流动的电流的模块
KR20210003240A (ko) 엘리베이터 견인 스틸 벨트 로프 단선 검출 장치,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JP2004149317A (ja) ロープ異常検出装置
KR20130033204A (ko)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무선 감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548496B1 (ko)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53330B1 (ko) 가공배전선 충돌 차단형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20100104673A (ko) 안전 경보장치 및 측정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102548498B1 (ko)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KR101882189B1 (ko)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CN111983396B (zh) 一种电气高压试验区域安全保护系统
KR200206485Y1 (ko) 아연도금강판 에지부의 과도금 방지장치
KR102279778B1 (ko) 수배전반
CN212364470U (zh) 一种配电网故障定位系统
CN109799768B (zh) 一种船载监管救助终端
KR102553329B1 (ko)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CN112526182A (zh) 一种电表接线辅助工具
CN210150533U (zh) 控制板以及包括该控制板的电梯按钮和电梯
KR200492887Y1 (ko) 차량검지장치
KR20170100130A (ko) 옥외주차 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