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98B1 -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98B1
KR102548498B1 KR1020220167537A KR20220167537A KR102548498B1 KR 102548498 B1 KR102548498 B1 KR 102548498B1 KR 1020220167537 A KR1020220167537 A KR 1020220167537A KR 20220167537 A KR20220167537 A KR 20220167537A KR 102548498 B1 KR102548498 B1 KR 10254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oil
transformer
clamp
jumper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금연
Original Assignee
소정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정기술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정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발판기구(100)와, 발판구동장치(110)와,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을 포함한 것으로서, 가공배전설비 주변에서의 작업이 편리하고,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Fixing Equipment for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의 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 및 완금(2)을 매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3)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완금에는 현수애자(4)가 설치되어, 현수애자(4)를 통해 가공배전선(3)이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가공배전설비를 수리할 시 작업 환경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되는 데 종래에는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육안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7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가공배전설비 주변에서의 작업이 편리하고,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발판기구(100)와, 발판구동장치(110)와,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완금고정기구(10)는,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완금(20)은, 완금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기구(100)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기구연결부(101); 발판기구연결부(101)에 설치되는 발판설치부(102); 발판설치부(102)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103);을 갖추고,
상기 발판구동장치(110)는, 전주(P)에 설치되는 태양전지(111); 전주(P)에 설치되고 태양전지(111)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112); 발판설치부(102)에 설치되고, 축전기(112)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으며, 발판(103)을 회전시키는 발판회전장치(113); 전주(P)에 설치되어, 축전기(112) 및 발판회전장치(113)를 작동제어하는 컨트롤러(114); 전주(P)에 설치되어, 컨트롤러(114)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115);을 갖추고,
상기 변압기(30)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닛(40)는,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하고,
상기 애자(5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클램프(6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 도전재질의 클램프베이스(61);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점퍼선연결부(62);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가공배전선연결부(63);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되는 형광파우더(64);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65);로 구성되어, 애자(50)에 설치되고,
상기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절연유가 저장되는 절연유탱크(91);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하는 순환펌프(92);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하는 공급방향선택유닛(93);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4);을 갖추고서, 완금(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발판기구(100)와, 발판구동장치(110)와,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을 포함한 것으로서, 가공배전설비 주변에서의 작업이 편리하고,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 및 완금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더 발판구동장치의 전기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절연유와 연관된 구성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 및 완금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더 발판구동장치의 전기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절연유와 연관된 구성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방향으로 하고, 도 7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측에서 후측으로의 방향으로 하며, 도 7 상에서의 Z축 방향을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는,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발판기구(100)와, 발판구동장치(110)와,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을 포함한다.
상기 완금고정기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10)는 링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10)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전주(P)에 설치된다.
상기 완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고정기구(10)에 설치된다.
상기 발판기구(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기구연결부(101)와, 발판설치부(102)와, 발판(103)을 갖춘다.
상기 발판기구연결부(101)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발판기구연결부(101)은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을 이루어,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판설치부(102)는, 발판기구연결부(10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발판설치부(102)는 발판기구연결부(10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발판(103)은, 발판설치부(102)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발판(103)은 사각 판 형상 등 다양한 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판기구(100)는 전주(P)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가 설치가능하다.
상기 발판구동장치(11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111)와, 축전기(112)와, 발판회전장치(113)와, 컨트롤러(114)와, 입력유닛(115)를 갖춘다.
상기 태양전지(111)는,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태양전지(111)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한다.
상기 축전기(112)는, 전주(P)에 설치되고 태양전지(111)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축전기(112)는 전기를 축전할 수 있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발판회전장치(113)는, 발판설치부(102)에 설치되고, 축전기(112)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으며, 발판(103)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발판회전장치(113)는, 구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이 발판(103)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발판(103)이 회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판회전장치(113)는 모터와 같은 구동기기일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발판(103)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판회전장치(113)는 발판기구(100)에 대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4)는, 전주(P)에 설치되어, 축전기(112) 및 발판회전장치(113)를 작동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컨트롤러(114)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입력유닛(115)은, 전주(P)에 설치되어, 컨트롤러(114)에 작동신호를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유닛(115)은 컨트롤러(114)에 작동신호를 입력하여, 컨트롤러(114)에 의해, 축전기(112)의 전기가 발판회전장치(113)로 공급되도록 하고, 발판회전장치(113)가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입력유닛(114)은 전주(P)에 설치되지만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유닛(115)은 이동식 단말기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변압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변압기(30)는 내부에 절연유가 구비되고, 절연유공급부(31)를 통해 절연유가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변압기로(30)로 인입되는 인입전선(DL, 일예로 가공배전선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선) 상에는 컷아웃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유닛(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한다. 본 발명에서 냉각유닛(40)은 방열핀(41)을 갖추고, 절연유가 냉각유닛(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유닛(40)은, 변압기(30) 내부와 연통되어 변압기(30)로부터의 절연유가 통과하고, 냉각유닛(40)의 내부를 통과한 절연유가 절연유배출부(4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냉각유닛(40)은, 변압기(30)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냉각시킬 수 있으면, 냉각팬을 이용한 기술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애자(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애자(50)는 현수애자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쇄클 등을 매개로 완금본체(21)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클램프(60)는, 도 2,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베이스(61)와, 점퍼선연결부(62)와, 가공배전선연결부(63)와, 형광파우더(64)와, 덮개(65)를 갖추고서, 애자(60)에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6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61)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져, 애자(50)에 설치된다.
상기 점퍼선연결부(62)는,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선연결부(62)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점퍼선연결부(62)는 돌기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돌기 형상을 이루고,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다.
상기 형광파우더(64)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형광파우더(64)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통상의 형광파우더가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며, 절연유와 혼합되어 흐를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색상물질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덮개(65)는,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덮개(65)는, 기밀유지를 위해, 클램프베이스(61)와 덮개(64) 사이에 위치하는 개스킷(65a)을 더 갖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클램프(60)는, 유입구(61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배관(66)이 구비된다.
상기 점퍼선(7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전기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설비로부터의 누전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도 2, 도 5,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유탱크(91)와, 순환펌프(92)와, 공급방향선택유닛(93)과, 제어유닛(94)를 갖추고서, 완금(20)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유탱크(91)는, 절연유가 저장된다.
상기 순환펌프(92)는,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유탱크(91)와 변압기(3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미인출)에 위치한다.
상기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순환펌프(92)를 통과한 절연유의 이동방향을 선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밸브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유닛(94)은,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완금(20)은 2개가 구비될 수 있고, 완금(20)에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의 개수에 따라 다수 개의 애자(50) 및 연결클램프(60) 및 절연유공급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되면 태양전지(111)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는 축전기(112)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유닛(115)을 통해 발판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114)는 축전기(112)의 전기가 발판회전장치(113)로 흐르게 하면서 발판회전장치(113)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발판회전장치(113)는, 발판(10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1과 같이 발판(103)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발판(103)을 이용하여 현장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절연유를 이용한 변압기(30)의 냉각관리 및 절연유를 이용한 누전 발생 표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유공급장치(90)의 제어유닛(94)은,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여,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변압기(30)를 향해 흐르도록 설정한 후, 순환펌프(92)를 구동하여,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유닛(94)은 주기적으로 절연유(30)가 변압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는 냉각유닛(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는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누전감지센서(80)가 누전을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절연유공급장치(90)의 제어유닛(94)으로 출력하면, 제어유닛(94)은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여,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를 향해 흐르도록 설정한 후, 순환펌프(92)를 구동하여,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클램프베이스(61)의 유입구(61a)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클램프베이스(61)의 유입구(61a)로 유입된 절연유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를 통과하면서 형광파우더(64)와 접촉한다.
이때, 형광파우더(64)는 절연유와 혼합되고, 절연유 및 형광파우더는 클램프베이스(61)의 이동홈(61c) 및 클램프베이스(61)의 점퍼선연결홈(61d)를 통과하여, 클램프베이스(61) 외부로 배출된다(도 12의 화살표 방향 참조).
여기서, 절연유 및 형광파우더(64)는 점퍼선(7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면서, 점퍼선(70)의 표면에 색상 표식이 되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누전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판기구(100)를 통해 가공배전을 위한 현장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발판기구(100)의 사용 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30)에 절연유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변압기(30)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점퍼선(70) 및 가공배전선(L)을 연결하는 연결클램프(60)와, 변압기(30) 용 절연유를 활용하여,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는 구조에, 작업 편이성을 높이는 구조 등 다양한 가공배전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로 정의한다.
10: 완금고정기구 20: 완금
30: 변압기 40: 냉각유닛
50: 애자 60: 연결클램프
61: 클램프베이스 62: 점퍼선연결부
63 가공배전선연결부 64: 형광파우더
65: 덮개 70: 점퍼선
80: 누전감지센서 90: 절연유공급장치
91: 절연유탱크 92: 순환펌프
93: 공급방향선택유닛 94: 제어유닛
100: 발판기구 101: 발판기구연결부
102: 발판설치부 103: 발판
110: 발판구동장치 111: 태양전지
112: 축전기 113: 발판회전장치
114: 컨트롤러 115: 입력유닛

Claims (1)

  1.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발판기구(100)와, 발판구동장치(110)와, 변압기(30)와, 냉각유닛(40)과, 애자(50)와, 연결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완금고정기구(10)는,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완금(20)은, 완금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기구(100)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기구연결부(101); 발판기구연결부(101)에 설치되는 발판설치부(102); 발판설치부(102)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103);을 갖추고,
    상기 발판구동장치(110)는, 전주(P)에 설치되는 태양전지(111); 전주(P)에 설치되고 태양전지(111)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112); 발판설치부(102)에 설치되고, 축전기(112)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으며, 발판(103)을 회전시키는 발판회전장치(113); 전주(P)에 설치되어, 축전기(112) 및 발판회전장치(113)를 작동제어하는 컨트롤러(114); 전주(P)에 설치되어, 컨트롤러(114)에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115);을 갖추고,
    상기 변압기(30)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닛(40)는,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하고,
    상기 애자(5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클램프(6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 도전재질의 클램프베이스(61);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점퍼선연결부(62);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가공배전선연결부(63);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되는 형광파우더(64);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65);로 구성되어, 애자(50)에 설치되고,
    상기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연결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절연유가 저장되는 절연유탱크(91);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하는 순환펌프(92);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하는 공급방향선택유닛(93);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연결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4);을 갖추고서, 완금(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KR1020220167537A 2022-12-05 2022-12-05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KR10254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37A KR102548498B1 (ko) 2022-12-05 2022-12-05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37A KR102548498B1 (ko) 2022-12-05 2022-12-05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98B1 true KR102548498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537A KR102548498B1 (ko) 2022-12-05 2022-12-05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292Y1 (ko) * 2003-10-30 2004-02-05 한국전력공사 폴더형 작업 발판대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951766B1 (ko) 2018-08-06 2019-02-26 부성기술단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343417B1 (ko) * 2021-06-09 2021-12-27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292Y1 (ko) * 2003-10-30 2004-02-05 한국전력공사 폴더형 작업 발판대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951766B1 (ko) 2018-08-06 2019-02-26 부성기술단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2343417B1 (ko) * 2021-06-09 2021-12-27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2711B2 (ja) モジュール積重ね式プラズマ切断装置
KR100468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A2619135C (en) Mount module for an inverter
KR102548498B1 (ko)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CN106771758A (zh) 电气开关柜控制回路中故障的定位装置及方法
US5670936A (en) Power controller enclosure
CN112002616B (zh) 一种带有保护机构的断路器
US4772980A (en) Immersion cooling safety monitoring system
CN108570970A (zh) 闸门、闸门控制系统以及闸门系统
KR102548496B1 (ko)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US5537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ler operation using master and slave firing units
EP0506991B1 (en) Power supply testing system for non-utility power generators
KR102548497B1 (ko)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KR102553330B1 (ko) 가공배전선 충돌 차단형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N206533708U (zh) 利用太阳能供电的盐碱地改良系统
JP5362300B2 (ja) エンジン駆動型発電機
CN212162493U (zh) 一种便于整理线路的工业开关控制箱体结构
CN210575708U (zh) 一种数控隔爆兼本质安全型真空馈电开关
KR102553329B1 (ko)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626989B1 (ko) 내부 다단 구조가 형성되는 전기차 충전기
RU64275U1 (ru) Станция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погружного насоса
JP3757129B2 (ja) トンネル工事用アクティブフィルタ
CN211605871U (zh) 一种快速安装的智慧教室用电器开关控制柜
CN105529643A (zh) 一种智能化中压开关柜
JPH0890252A (ja) インバータ式溶接電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