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433B1 -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433B1
KR102552433B1 KR1020210033266A KR20210033266A KR102552433B1 KR 102552433 B1 KR102552433 B1 KR 102552433B1 KR 1020210033266 A KR1020210033266 A KR 1020210033266A KR 20210033266 A KR20210033266 A KR 20210033266A KR 102552433 B1 KR102552433 B1 KR 10255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tridge
reset
memory chi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755A (ko
Inventor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틴텍
Priority to KR102021003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4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에 설치된 메모리칩의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인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가 상기 메모리칩의 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설치단계; 상기 메모리칩으로부터 복수의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인 식별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수집단계; 상기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정보인 리셋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단계;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생성단계; 및 상기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장치가 식별되고, 상기 리셋정보가 상기 메모리칩에 덮어쓰기됨으로써 상기 메모리칩의 상기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연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으므로,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METHOD FOR CARTRIDGE INFORMATION RESET ON THE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함으로써 인쇄장치의 계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인쇄장치는 내부에 잉크가 수용된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카트리지에 수용된 잉크가 모두 소모되면 카트리지는 교환되어야 하는데, 이 때, 카트리지의 사용상태, 교체시기 등은 인쇄장치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정보란, 카트리지에 대한 기본정보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가 인쇄장치에 적절하게 장착되었는지 여부, 장착된 카트리지가 인쇄장치와 호환되는 카트리지인지 여부, 카트리지의 사용에 따라 그 값이 변경되는 정보, 예를 들면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의 사용 이력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근래에, 외부에서 카트리지로 계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한 무한 잉크 공급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한 방식의 경우 잉크 공급을 사용자가 직접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더라도 기설정된 잉크의 양(즉, 카트리지에 1회적으로 수용되는 잉크의 양)이 프린팅된 경우에는 인쇄장치에서 카트리지 교체 알람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인쇄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어서, 리셋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의 인증칩을 리셋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리셋터를 이용하여 리셋하는 방식은 카트리지 교체 알람이 발생할 때마다 카트리지를 인출하여 초기화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인쇄장치의 계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메모리칩에 저장된 카트리지의 사용정보도 리셋해줄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잉크 카트리지 초기화 장치, 즉, 리셋터는 단부가 카트리지의 인증칩에 노출된 단자(5)에 접촉하여 인증칩을 리셋하였으나, 인쇄장치의 메모리칩에는 별도의 단자(5)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의 리셋터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7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84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함으로써 인쇄장치의 계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잉크젯 프린터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에 설치된 메모리칩의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인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에 있어서,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가 상기 메모리칩의 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설치단계; 상기 메모리칩으로부터 복수의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인 식별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수집단계; 상기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정보인 리셋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단계;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생성단계; 및 상기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장치가 식별되고, 상기 리셋정보가 상기 메모리칩에 덮어쓰기됨으로써 상기 메모리칩의 상기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복수의 상기 인쇄장치의 소스코드를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단계는, 상기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장치가 식별되는 식별단계와, 식별된 상기 인쇄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리셋정보가 로드되는 로드단계와, 로드된 상기 리셋정보가 상기 메모리칩의 해당되는 파티션에 덮어쓰기됨으로써 상기 메모리칩의 상기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리셋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단계 이후에, 로드된 상기 리셋정보에 ECC(Error Correcting Code)가 추가되는 ECC추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단계 이후에, 저장된 상기 리셋정보의 무결성이 검증되는 검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메모리칩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으므로,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잉크 카트리지 초기화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의 연산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지그부가 기판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지그부가 기판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다양한 형상의 지그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메모리칩, 핀블록부 및 제어부의 전기적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제어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연산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에 계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의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여 인쇄장치의 계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인쇄장치는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 잉크젯 복사기, 잉크젯 복합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장치의 메모리칩(c)은 낸드형 플래쉬(NAND Flash) 메모리칩(c)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칩(c)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낸드형 플래쉬 메모리칩(c)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의 보존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집적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잉크 카트리지 초기화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의 연산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지그부가 기판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지그부가 기판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다양한 형상의 지그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핀블록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메모리칩, 핀블록부 및 제어부의 전기적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제어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의 연산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100)는 지그부(110)와, 핀블록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지그부(110)는 인쇄장치의 기판(b)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기판(b)의 메모리칩(c) 부분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핀블록부(120)가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상부지그(111)와, 하부지그(112)와, 설치부(113)와, 체결부(114)를 포함한다.
상부지그(111)는 후술하는 핀블록부(120)가 메모리칩(c)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하부지그(112)와 결합되어 기판(b)에 고정되고, 상면에 후술하는 설치부(113)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인쇄장치의 기판(b)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그(112)는 상부지그(111)와 결합되어 기판(b)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기판(b)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그(111)와 하부지그(112)는 인쇄장치의 기판(b)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설치부(113)는 후술하는 핀블록부(120)와 제어부(13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지그(1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설치부(113)에 형성된 공간에 핀블록부(120)가 설치된 후, 핀블록부(120)의 상면에 제어부(130)가 설치되면 핀블록부(120)와 제어부(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114)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부지그(111)와 하부지그(112)를 체결하는 것으로서, 나사결합으로 상부지그(111)와 하부지그(112)를 체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지그(111)와 하부지그(112)를 체결하여 상부지그(111)와 하부지그(112)가 기판(b)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보다 상세하게, 먼저 핀블록부(120)가 설치된 상부지그(111)가 기판(b)의 메모리칩(c)이 배치된 부분의 상부에 위치된 후, 하부지그(112)가 기판(b)의 하부에서 상부지그(111)와 체결부(114)를 통해 체결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핀블록부(120)가 메모리칩(c)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될 수 있다.
핀블록부(120)는 기판(b)에 설치된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되어 메모리칩(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지그부(110)의 설치부(113)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핀블록부(120)는 메모리칩(c)의 양 모서리에 노출된 핀에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접촉되어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커넥터로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블록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부(121)와, 플로팅부(122)와, 베이스부(123)와, 탄성부(124)와, 핀부(125)와, 보드부(126)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21)는 상부지그(111)의 설치부(113)에 설치되어 메모리칩(c)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플로팅부(122)와, 베이스부(123)와, 탄성부(124)와, 핀부(125)와, 보드부(126)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s)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플로팅부(122)는 복수개의 제1관통홀(h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에 형성된 설치공간(s)에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장치의 기판(b)의 메모리칩(c)은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타입 중, DIP(Dual Inline Package) 타입의 낸드형 플래쉬(NAND Flash) 메모리칩(c)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DIP 타입은 사각형 모양의 하우징의 양 옆, 즉, 2면의 모서리에 핀이 돌출된 집적회로 타입을 의미한다.
이 때, 플로팅부(122)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h1)은 상술한 DIP 타입의 메모리칩(c)의 핀에 후술하는 핀부(125)가 접촉할 수 있도록, 플로팅부(122)의 양쪽 모서리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관통홀(h1)은 후술하는 핀부(125)가 접촉되어야 하는 메모리칩(c)의 핀의 갯수에 따라 필요한 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일정 갯수만큼 조를 이룬 후(예를 들면 각각 3개, 2개, 4개), 각 조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칩(c)은 SOP(Small Outline Package) 타입 또는 QFP(Quad Flat Package) 타입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관통홀(h1)은 각각의 타입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P 타입은 메모리칩(c)의 핀이 하우징의 4면의 모서리에 돌출된 집적회로 타입을 의미하는데, 메모리칩(c)이 QFP 타입으로 마련된 경우, 상기 제1관통홀(h1)은 QFP 타입의 메모리칩(c)의 핀에 후술하는 핀부(125)가 접촉할 수 있도록, 플로팅부(122)의 4면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로팅부(122)는 메모리칩(c)의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모서리에 복수개의 돌출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2a)는 모서리 부분이 내측 및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메모리칩(c)에 플로팅부(122)가 접촉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플로팅부(122)가 메모리칩(c)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도 메모리칩(c)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발산될 수 있으며, 플로팅부(122)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23)는 복수개의 제2관통홀(h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에 형성된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상면에는 플로팅부(122)가 배치되고 하면에는 보드부(126)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23)에는 상면에 지지부(123a)가 돌출형성되는데, 지지부(123a)는 제2관통홀(h2)에 삽입된 핀부(125)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23a)에는 복수개의 제2관통홀(h2)이 형성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술한 DIP 타입의 메모리칩(c)의 핀에 후술하는 핀부(125)가 접촉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간격을 가지고 몸체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24)는 플로팅부(122)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플로팅부(122)와 베이스부(123)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124)는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로팅부(122)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핀부(125)는 일단은 후술하는 보드부(126)에 접촉되고 타단은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베이스부(123)의 제2관통홀(h2)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와 제어부(130)에 저장된 리셋정보는 핀부(125)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핀부(125)는 내부에 스프링이 수용된 실린더 형태의 포고 핀(POGO Pin)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포고 핀 형태의 핀부(125)는 플런저와, 스프링과, 배럴을 포함한다.
플런저는 메모리칩(c)의 핀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플런저의 헤드는 접촉되는 메모리칩(c)의 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은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압축되고 복귀되는 과정을 통해 플런저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플런저의 헤드 부분을 가압하면 배럴 내부의 스프링이 압축되며, 스프링이 압축되는 만큼 플런저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배럴은 내부에 상술한 플런저와 스프링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류를 통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메모리칩(c)의 핀에 플런저의 헤드가 접촉되면 전류는 플런저에서 배럴로 흐른 후, 후술하는 보드부(126)로 흐르게 된다.
한편, 이러한 핀부(125)는 금속 와이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에칭이나 기계가공을 이용하여 끝 부분이 점점 가늘어지도록 테이퍼링(Tapering)된 프로브핀(Probe Pin)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125)는 플로팅부(122)가 가압되면 플로팅부(122)의 제1관통홀(h1)을 통해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메모리칩(c)의 핀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블록부(120)가 메모리칩(c)에 접촉하기 전, 핀부(125)는 플로팅부(122)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이 후, 핀블록부(120)가 설치된 상부지그(111)가 기판(b)의 메모리칩(c)이 배치된 부분의 상부에 위치한 후, 하부지그(112)가 기판(b)의 하부에서 상부지그(111)와 결합하면, 지그부(110)에 의해 메모리칩(c)에 접촉된 플로팅부(122)가 가압되면서 핀부(125)의 타단이 제1관통홀(h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핀부(125)가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하여 후술하는 보드부(126)와 통전될 수 있다.
보드부(126)는 핀부(125)의 일단이 접촉되어 핀부(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술하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의 설치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핀블록부(120)에 따르면, 기존의 리셋터가 적용될 수 없는 메모리칩(c)의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트리지정보의 리셋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130)는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인쇄장치를 식별하여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는 것으로서, 상부지그(111)의 설치부(113)에 설치되어 핀블록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칩(c)에 저장되는 카트리지정보는 카트리지 사용정보와, 카트리지 초기화 정보항목과, 카트리지 초기화 정보항목의 초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사용정보는 인쇄장치가 작동될 때 사용될 카트리지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사용정보는 카트리지의 인증 여부, 카트리지의 장착 유무, 카트리지의 에러 유무,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 등일 수 있다.
카트리지 초기화정보는 무한 잉크 공급기로부터 잉크가 보충되는 경우에, 카트리지의 재생상태를 반영하기 위하여 변경되어야 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카트리지 사용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초기화정보는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 등일 수 있다.
카트리지 초기치정보는 카트리지 초기화정보의 초기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초기화정보가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인 경우, 카트리지 초기치정보는 각각 '100%', '10000page', '0회' 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기판부(131)와, 통신부(132)와, 생성부(133)와, 저장부(134)와, 연산부(135)를 포함한다.
기판부(131)는 후술하는 통신부(132), 생성부(133), 저장부(134) 및 연산부(135)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PCB보드(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되어 통신부(132), 생성부(133), 저장부(134) 및 연산부(135)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지그(111)의 설치부(113)에 설치되어 핀블록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2)는 메모리칩(c)으로부터 카트리지정보를 전달받거나 메모리칩(c)으로 리셋정보를 전달하도록 메모리칩(c)과 통신하는 것으로서, 기판부(131)에 설치되어 연산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생성부(133)는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기판부(131)에 설치되어 연산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생성부(133)는 버튼방식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판단부(135f)에 의해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134)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인 식별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고,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정보인 리셋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기판부(131)에 설치된다. 리셋정보는 각각의 인쇄장치의 모델별로 구분되어 저장부(134)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복수의 인쇄장치들의 소스코드를 상호 비교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 인쇄장치의 0x6c 번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하였는데 각각 '0x04, 0x62'와 '0x04, 0x61'로 확인되었다면, 양 인쇄장치는 각각 다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나아가 양 인쇄장치의 0xb4 번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하였는데 양 인쇄장치 모두 '0x04, 0x64'로 확인되었다면, 추가로 소스코드에서 fwbuild 문자열 이후의 tes 또는 oem 문자열이 존재하는지를 비교하여 양 인쇄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셋정보는 카트리지 초기치정보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 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를 각각 '100%', '10000page', '0회'로 리셋하기 위하여 메모리칩(c)의 해당 파티션에 덮어쓰기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연산부(135)는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인쇄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인쇄장치에 대응되는 리셋정보를 메모리칩(c)의 해당되는 파티션에 덮어쓰기함으로써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며, 통신부(132), 생성부(133) 및 저장부(134)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기판부(131)에 설치되어 통신부(132), 생성부(133) 및 저장부(1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부(135)는 보다 상세하게, 검증부(135b)와, 식별부(135a)와, 로드부(135c)와, ECC부(135d)와, 리셋부(135e)와, 판단부(135f)를 포함한다.
식별부(135a)는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화된 식별정보에 따라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것으로서, 식별된 인쇄장치 모델에 대한 정보를 후술하는 로드부(135c)와 ECC부(135d)로 전달할 수 있다.
검증부(135b)는 저장부(134)에 저장된 리셋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것으로서, 저장부(134)에 저장된 리셋정보가 손상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34)에는 각각의 인쇄장치에 대응되는 리셋정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값들이 저장되는데, 검증부(135b)는 이러한 미리 결정된 값과 실제 값을 비교하여 양 값이 일치하면 리셋정보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후술하는 로드부(135c)에서의 데이터의 로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로드부(135c)는 식별부(135a)에서 식별된 인쇄장치 모델에 대응되는 리셋정보를 로드하는 것으로서, 메모리칩(c)의 복수의 파티션에 각각 덮어쓰기되는 리셋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ECC부(135d)는 후술하는 리셋부(135e)에 의해 리셋정보가 메모리칩(c)의 해당 파티션에 덮어쓰기되는 경우, 메모리칩(c)의 데이터가 손상되어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수정하기 위하여 로드부(135c)에서 로드된 리셋정보에 ECC(Error Correcting Code)를 추가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ECC부(135d)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모델에 따라 각각의 ECC가 연산되므로, 메모리칩(c)의 리셋을 실시할 때 에러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ECC부(135d)에 적용될 수 있는 방식은 싱글 에러 정정-더블 에러 검출(Single Error Correction - Double Error Detection; SEC-DEC) 방식, 싱글-칩 칩킬(Single-Chip Chipkill) 방식, 더블-칩 칩킬(Double-Chip Chipkill)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셋부(135e)는 로드된 리셋정보를 메모리칩(c)의 해당되는 파티션에 덮어쓰기함으로써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메모리칩(c)의 파티션은 부트로더가 저장된 제1파티션, OS(Operationg System)가 저장된 제2파티션 및 파일시스템이 저장된 제3파티션을 포함하며, 리셋부(135e)는 로드부(135c)에서 로드된 제1파티션, 제2파티션 및 제3파티션에 각각 해당되는 리셋정보를, 해당 파티션에 각각 덮어쓰기함으로써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할 수 있다. 이 때, OS가 복수개로 존재하여 제2파티션이 복수개로 존재하면, 복수의 제2파티션에 각각 리셋정보를 덮어쓰기를 실시할 수 있다.
판단부(135f)는 리셋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생성부(133)가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판단부(135f)는 인쇄장치가 무한 잉크 공급기로부터 잉크로 계속적으로 공급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의 카트리지 사용정보 중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이 5% 미만이 되거나, 카트리지 사용정보 중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가 카트리지 초기치정보 값의 5% 미만이 되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생성부(133)가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135f)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리셋 주기에 따라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생성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주일 주기로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도록 설정하면, 판단부(135f)는 2주일마다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생성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판단부(135f)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인쇄장치나 카트리지의 리셋 작업을 할 필요 없이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가 자동으로 리셋되어 인쇄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리셋에 따른 번거로움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그부(110)와, 핀블록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100)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으므로,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S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의 연산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S100)은 설치단계(S110)와, 수집단계(S120)와, 저장단계(S130)와, 생성단계(S140)와, 연산단계(S150)를 포함한다.
설치단계(S110)는 상술한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100)가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되도록 인쇄장치의 기판(b)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설치단계(S110)에서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100)의 핀블록부(120)가 기판(b)의 메모리칩(c)의 핀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그부(110)가 인쇄장치의 기판(b)의 메모리칩(c) 부분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메모리칩(c)에 저장되는 카트리지정보는 카트리지 사용정보와, 카트리지 초기화 정보항목과, 카트리지 초기화 정보항목의 초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사용정보는 인쇄장치가 작동될 때 사용될 카트리지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사용정보는 카트리지의 인증 여부, 카트리지의 장착 유무, 카트리지의 에러 유무,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 등일 수 있다.
카트리지 초기화정보는 무한 잉크 공급기로부터 잉크가 보충되는 경우에, 카트리지의 재생상태를 반영하기 위하여 변경되어야 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카트리지 사용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초기화정보는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 등일 수 있다.
카트리지 초기치정보는 카트리지 초기화정보의 초기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초기화정보가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인 경우, 카트리지 초기치정보는 각각 '100%', '10000page', '0회' 일 수 있다.
수집단계(S120)는 메모리칩(c)으로부터 복수의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인 식별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부(134)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복수의 인쇄장치들의 소스코드를 상호 비교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집단계(S120)에서 양 인쇄장치의 0x6c 번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하였는데 각각 '0x04, 0x62'와 '0x04, 0x61'로 확인되었다면, 양 인쇄장치는 각각 다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나아가 양 인쇄장치의 0xb4 번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하였는데 양 인쇄장치 모두 '0x04, 0x64'로 확인되었다면, 추가로 소스코드에서 fwbuild 문자열 이후의 tes 또는 oem 문자열이 존재하는지를 비교하여 양 인쇄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저장단계(S130)는 메모리칩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정보인 리셋정보가 저장부(134)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리셋정보는 각각의 인쇄장치의 모델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리셋정보는 카트리지 초기치정보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 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 카트리지 리셋 횟수를 각각 '100%', '10000page', '0회'로 리셋하기 위하여 메모리칩(c)의 해당 파티션에 덮어쓰기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생성단계(S140)는 생성부(133)로부터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이 때, 생성부(133)는 버튼방식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판단단계(S156)에 의해서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연산단계(S150)는 생성단계(S140)에서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식별정보에 따라 인쇄장치가 식별되고, 리셋정보가 메모리칩(c)에 덮어쓰기됨으로써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단계(S150)는 보다 상세하게, 식별단계(S151)와, 로드단계(S153)와, ECC추가단계(S154)와, 리셋단계(S155)와, 판단단계(S156)를 포함한다.
식별단계(S151)는 생성단계(S140)에서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식별정보에 따라 인쇄장치가 식별되는 단계로, 식별된 인쇄장치 모델에 대한 정보를 로드부(135c)와 ECC부(135d)로 전달할 수 있다.
검증단계(S152)는 저장부(134)에 저장된 리셋정보의 무결성이 검증되는 단계로, 저장부(134)에 저장된 리셋정보가 손상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단계(S130)에서는 각각의 인쇄장치에 대응되는 리셋정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값들이 저장되는데, 검증단계(S152)는 이러한 미리 결정된 값과 실제 값을 비교하여 양 값이 일치하면 리셋정보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후술하는 로드단계(S153)에서의 데이터의 로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로드단계(S153)는 식별단계(S151)에서 식별된 인쇄장치에 대응되는 리셋정보가 로드되는 단계로, 메모리칩(c)의 복수의 파티션에 각각 덮어쓰기되는 리셋정보가 로드된다.
ECC추가단계(S154)는 리셋단계(S155)에서 리셋정보가 메모리칩(c)의 해당 파티션에 덮어쓰기되는 경우, 메모리칩(c)의 데이터가 손상되어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수정하기 위하여 로드단계(S153)에서 로드된 리셋정보에 ECC(Error Correcting Code)가 추가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ECC추가단계(S154)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모델에 따라 각각의 ECC가 연산되므로, 메모리칩(c)의 리셋을 실시할 때 에러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리셋단계(S155)는 로드단계(S153)에서 로드된 리셋정보가 메모리칩(c)의 해당되는 파티션에 덮어쓰기됨으로써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메모리칩(c)의 파티션은 부트로더가 저장된 제1파티션, OS(Operationg System)가 저장된 제2파티션 및 파일시스템이 저장된 제3파티션을 포함하며, 리셋단계(S155)에서는 로드단계(S153)에서 로드된 제1파티션, 제2파티션 및 제3파티션에 각각 해당되는 리셋정보가, 해당 파티션에 각각 덮어쓰기됨으로써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될 수 있다. 이 때, OS가 복수개로 존재하여 제2파티션이 복수개로 존재하면, 복수의 제2파티션에 각각 리셋정보가 덮어쓰기될 수 있다.
판단단계(S156)는 리셋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생성부(133)가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로, 보다 상세하게, 판단단계(S156)는 인쇄장치가 무한 잉크 공급기로부터 잉크로 계속적으로 공급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의 카트리지 사용정보 중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이 5% 미만이 되거나, 카트리지 사용정보 중 카트리지에 남아 있는 잉크 잔량에 따라 출력 가능한 잔여 페이지 수가 카트리지 초기치정보 값의 5% 미만이 되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생성부(133)가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한편, 판단단계(S156)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리셋 주기에 따라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생성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주일 주기로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도록 설정하면, 판단단계(S156)는 2주일마다 리셋명령신호를 생성하도록 생성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판단단계(S156)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인쇄장치나 카트리지의 리셋 작업을 할 필요 없이 메모리칩(c)의 카트리지정보가 자동으로 리셋되어 인쇄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리셋에 따른 번거로움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치단계(S110)와, 수집단계(S120)와, 저장단계(S130)와, 생성단계(S140)와, 연산단계(S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S100)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메모리칩(c)에 저장된 카트리지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으므로, 무한 잉크 공급기가 장착된 인쇄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
110 : 지그부
b : 기판
c : 메모리칩
111 : 상부지그
112 : 하부지그
113 : 설치부
114 : 체결부
120 : 핀블록부
121 : 하우징부
s : 설치공간
122 : 플로팅부
h1 : 제1관통홀
122a : 돌출부
123 : 베이스부
h2 : 제2관통홀
123a : 지지부
124 : 탄성부
125 : 핀부
126 : 보드부
130 : 제어부
131 : 기판부
132 : 통신부
133 : 생성부
134 : 저장부
135 : 연산부
135a : 검증부
135b : 식별부
135c : 로드부
135d : ECC부
135e : 리셋부
135f : 판단부
S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S110 : 설치단계
S120 : 수집단계
S130 : 저장단계
S140 : 생성단계
S150 : 연산단계
S151 : 식별단계
S152 : 검증단계
S153 : 로드단계
S154 : ECC추가단계
S155 : 리셋단계
S156 : 판단단계

Claims (5)

  1. 잉크젯 프린터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에 설치된 메모리칩의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인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에 있어서,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가 상기 메모리칩의 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설치단계;
    상기 메모리칩으로부터 복수의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인 식별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수집단계;
    상기 카트리지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정보인 리셋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단계;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생성단계; 및
    상기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장치가 식별되고, 상기 리셋정보가 상기 메모리칩에 덮어쓰기됨으로써 상기 메모리칩의 상기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복수의 상기 인쇄장치의 소스코드를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단계는,
    상기 리셋명령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장치가 식별되는 식별단계와, 식별된 상기 인쇄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리셋정보가 로드되는 로드단계와, 로드된 상기 리셋정보가 상기 메모리칩의 해당되는 파티션에 덮어쓰기됨으로써 상기 메모리칩의 상기 카트리지정보가 리셋되는 리셋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단계 이후에,
    로드된 상기 리셋정보에 ECC(Error Correcting Code)가 추가되는 ECC추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계 이후에,
    저장된 상기 리셋정보의 무결성이 검증되는 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KR1020210033266A 2021-03-15 2021-03-15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KR102552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66A KR102552433B1 (ko) 2021-03-15 2021-03-15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66A KR102552433B1 (ko) 2021-03-15 2021-03-15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55A KR20220128755A (ko) 2022-09-22
KR102552433B1 true KR102552433B1 (ko) 2023-07-06

Family

ID=8344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66A KR102552433B1 (ko) 2021-03-15 2021-03-15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4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410B1 (ko) 2003-02-05 2005-03-23 (주) 아이피에스이미지 잉크 카트리지 초기화 장치
KR100769738B1 (ko) 2007-05-07 2007-10-23 (주)싸이퍼일렉트로닉 인쇄장치의 카트리지 칩용 범용 리셋터
WO2010093075A1 (ko) 2009-02-13 2010-08-19 ㈜싸이퍼일렉트로닉 인쇄장치의 카트리지 칩용 범용 리셋터 및 그 작동 방법
WO2019119393A1 (zh) 2017-12-22 2019-06-27 广州众诺电子技术有限公司 芯片复位方法、芯片及耗材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410B1 (ko) 2003-02-05 2005-03-23 (주) 아이피에스이미지 잉크 카트리지 초기화 장치
KR100769738B1 (ko) 2007-05-07 2007-10-23 (주)싸이퍼일렉트로닉 인쇄장치의 카트리지 칩용 범용 리셋터
WO2010093075A1 (ko) 2009-02-13 2010-08-19 ㈜싸이퍼일렉트로닉 인쇄장치의 카트리지 칩용 범용 리셋터 및 그 작동 방법
WO2019119393A1 (zh) 2017-12-22 2019-06-27 广州众诺电子技术有限公司 芯片复位方法、芯片及耗材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55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3297B2 (ja) メモリカード
US70351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U2003137219A (ru) Надежная битовая схема для запомин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смен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принтера
JP5141606B2 (ja) 印刷装置
CN112192961B (zh) 识别数据切换方法、设备、耗材芯片、耗材盒及介质
JPH0648774Y2 (ja) カード型集積回路、並びにコネクタの端子構造
US7044770B2 (en) Technique for identifying multiple circuit components
US7360137B2 (en) Flash programmer for programming NAND flash and NOR/NAND combined flash
US20020112878A1 (en) Terminals for circuit board
US5933595A (en) Computer apparatus having electrically rewritable non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US7701238B2 (en) Active thermal control using a burn-in socket heating element
KR102552433B1 (ko)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방법
KR102552427B1 (ko) 인쇄장치의 카트리지정보 리셋 장치
US5461704A (en) Accessory control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it uses
EP1143371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953153B2 (ja) プログラマブル・ゲートアレイのコンフィグ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マブル・ゲートアレイ装置
US8392769B2 (en) Storage device, circuit board, liquid reservoir and system
US7768288B2 (en) Detection device
US11292261B2 (en) Logic circuitry package
US5790890A (en) Identification interface
KR102220612B1 (ko) 인증 기능이 인쇄장치에 내장된 프린터 무한 잉크 공급 시스템
CN111845080B (zh) 液体排出头及其制造方法
JP2000321332A (ja) 半導体装置の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JP2000208567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テスト方法
JP20201737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