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11B1 -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511B1
KR102551511B1 KR1020210126160A KR20210126160A KR102551511B1 KR 102551511 B1 KR102551511 B1 KR 102551511B1 KR 1020210126160 A KR1020210126160 A KR 1020210126160A KR 20210126160 A KR20210126160 A KR 20210126160A KR 102551511 B1 KR102551511 B1 KR 10255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ort
cable
cable reel
auxilia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372A (ko
Inventor
강성묵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3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shore connectors for electric power supply from shore-borne mains, or other electric energy sources external to the vessel, e.g. for docked, or moored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바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이 권회 및 풀림 작동되도록 일방으로 회전 작동되는 케이블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릴부의 권회 및 풀림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단을 지지한 채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릴부에 권회된 상기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프레임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서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계된 채 상기 전원 케이블이 늘림 또는 줄임으로 순차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빔홀을 갖는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왕복 운동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왕복 운동되는 제 2 실린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for ships}
본 발명은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구에 정박된 선박에 육상에서의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목적선 등으로 매우 다양화되어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선박은 정상운용에 필요한 각종 전기설비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설비가 설치되어 엔진 작동에 의해 발전(發電)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30864호(22006.11.06. 등록, 발명의 명칭: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는 항구에 정박된 선박에 육상에서의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는 이송바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이 권회 및 풀림 작동되도록 일방으로 회전 작동되는 케이블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릴부의 권회 및 풀림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단을 지지한 채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릴부에 권회된 상기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프레임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서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계된 채 상기 전원 케이블이 늘림 또는 줄임으로 순차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빔홀을 갖는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왕복 운동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왕복 운동되는 제 2 실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 케이블릴부 및 보조지지부에 각각 동력원을 전달하기 위한 1 전기모터, 제 2 전기모터 및 제 3 전기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실린더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실린더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는 상기 제 3 전기모터에서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빔홀은 중심부가 개구된 채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서 입설되는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빔홀의 각 중심부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이 관통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케이블릴부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의 안내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케이블릴부와 이격된 거리에서 일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추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전력공급기는 상기 몸체부의 동선을 따라 다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릴부 및 보조지지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릴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늘림 또는 줄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입설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는 보조지지부에 지지대가 구비됨으로써, 전원 케이블이 늘림 또는 줄임을 통해 순차적으로 선박까지 안내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의 처짐이 예방된 채 육상에서 선박으로 원활하게 전원 공급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부는 보조프레임,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가 구비됨으로써, 전원 케이블이 높이, 길이 및 방향 조절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선박의 접안시에 발생가능한 태풍, 조수 간만의 차 및 너울 등의 자연 상황에 대응하는 전원공급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실린더를 통한 보조지지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린더를 통한 보조지지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몸체부(110), 케이블릴부(130), 보조지지부(150) 및 제 1 내지 3 전기모터(111, 113, 115)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채, 제 1 전기모터(111)의 동력을 전달받는 다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통해 목적지로 이동된다.
몸체부(110)에는 수납장도어(미도시)를 갖는 보관함이 구비되어 육상에서 선체로의 전원공급 작업간에 필요한 장비들이 수납될 수 있다.
케이블릴부(130)는 몸체부(110)의 일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10)이 권회 및 풀림 작동되도록 일방으로 회전 작동된다.
케이블릴부(130)는 케이블릴부(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원 케이블(10)이 늘림 또는 줄임되도록 몸체부(110)의 상측에서 입설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케이블릴부(130)는 육상의 전원공급시설과 상호 전기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육상전원연결릴과 육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육상전원연결릴과 전기 접속되는 커넥터 및 선체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육상 전원이 선체에 공급되는 선박전원연결릴이 포함될 수 있다.
보조지지부(150)는 몸체부(110)의 타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10)의 일단을 지지한 채 이동시키도록 케이블릴부(130)의 권회 및 풀림 작동에 대응하여 작동된다.
보조지지부(150)는 보조프레임(151), 지지대(153), 제 1 실린더(155) 및 제 2 실린더(157)로 이루어진다.
보조프레임(151)은 몸체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케이블릴부(130)의 원주 방향 일단에 권회된 전원 케이블(10)이 외부로 안내되도록 몸체부(110)의 상측에서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조프레임(151)은 케이블릴부(13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원 케이블(10)의 안내를 유도하며, 케이블릴부(130)와 이격된 거리에서 일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된다.
보조프레임(151)은 일단이 사각 형상으로 몸체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원기둥 형상으로 지지대(15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대(153)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서 보조프레임(151)과 연계된 채 전원 케이블(10)이 늘림 또는 줄임으로 순차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빔홀(153a)을 갖는다.
빔홀(153a)은 그 중심부가 개구된 채 지지대(153)의 길이 방향에서 입설되는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원 케이블(10)이 빔홀(153a)의 중심부와 관통 연결되어 지지대(153)의 일단에 안착된다.
제 1 실린더(155)는 보조프레임(151)의 일측에 구비된 채 그 일단이 보조프레임(151)과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대(153)에 연결되어 지지대(153)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 3 전기모터(115)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직선 운동된다.
제 2 실린더(157)는 보조프레임(151)의 타측에 배치되며, 지지대(153)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 3 전기모터(115)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직선 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몸체부(110)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케이블릴부(130) 및 보조지지부(150)의 순으로 순차 배치되며, 몸체부(110), 케이블릴부(130) 및 보조지지부(150)에 각각 동력원을 전달하기 위한 1 전기모터, 제 2 전기모터(113) 및 제 3 전기모터(115)가 구비된다.
제 1 전기모터(111)는 몸체부(110)에 이송력을 전달하기 위해 몸체부(110)에 배치되어 이송바퀴(117)와 상호 벨트풀리 등의 방식으로 상호 연계될 수 있다.
제 2 전기모터(113)는 케이블릴부(1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몸체부(110)에 배치되어 프레임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 설치된 채 케이블릴부(130)의 중심부와 상호 연계될 수 있다.
제 3 전기모터(115)는 보조지지부에 회전력 및 왕복 직선 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몸체부(110)에 배치되어 보조프레임(151), 제 1 실린더(155) 및 제 2 실린더(157)와 각각 연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실린더를 통한 보조지지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린더를 통한 보조지지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며,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중복된 일부 구성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보조지지부(150)를 포함한다.
보조지지부(150)는 보조프레임(151), 지지대(153), 제 1 실린더(155) 및 제 2 실린더(157)로 이루어진다.
보조지지부(150)는 전원 케이블(10)의 일단을 지지한 채 이동시키도록 케이블릴부(130)의 권회 및 풀림 작동에 대응하여 작동된다.
제 1 실린더(155)는 보조프레임(151)의 일측에 구비된 채 그 일단이 보조프레임(151)과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대(153)에 연결되어 지지대(153)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 3 전기모터(115)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직선 운동된다.
보조지지부(150)는 조수 간만의 차와 같은 높낮이의 변화가 필요한 상황의 경우, 제 1 실린더(155)가 제 3 전기모터(115)의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직선 운동을 진행하게 되어 지지대(153)의 각도가 임으로 조절된다.
지지대(153)의 빔홀(153a)에는 전원 케이블(10)이 각각 관통 연결되어 전원 케이블(10)의 일단이 지지되며, 전원 케이블(10)이 지지대(153)의 상하 작동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변화된 채 케이블릴부(130)의 회동을 통해 권회 및 풀림 상태가 조절된다.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보조지지부(150)를 포함한다.
보조지지부(150)는 보조프레임(151), 지지대(153), 제 1 실린더(155) 및 제 2 실린더(157)로 이루어진다.
보조지지부(150)는 전원 케이블(10)의 일단을 지지한 채 이동시키도록 케이블릴부(130)의 권회 및 풀림 작동에 대응하여 작동된다.
제 2 실린더(157)는 보조프레임(151)의 타측에 배치되며, 지지대(153)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 3 전기모터(115)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직선 운동된다.
보조지지부(150)는 전원 케이블(10)의 길이 연장을 필요로 하는 작업 상황의 경우, 제 2 실린더(157)가 제 2 전기모터(113)의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직선 운동을 진행하게 되어 지지대(153)의 길이가 순차 조절된다.
지지대(153)의 빔홀(153a)에는 전원 케일블이 각각 관통 연결되어 전원 케이블(10)의 일단이 지지되며, 전원 케이블(10)이 지지대(153)의 길이 조절 작동에 대응하여 연장 길이가 변화된 채 케이블릴부(130)의 회동을 통해 권회 및 풀림이 조절된다.
구체적인 동작 관계를 도시하진 않았지만, 보조프레임(151)은 케이블릴부(13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원 케이블(10)의 안내를 유도하며, 케이블릴부(130)와 이격된 거리에서 일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의 보조지지부(150)는 제 1 실린더(155)를 통한 지지대(153)의 상하 작동과 제 2 실린더(157)를 통한 지지대(153)의 길이 조절 작동 및 보조프레임(151)의 회동력을 기반으로 하여 전원 케이블(10)이 다방면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전원공급 작업 현상의 다양한 상황에 맞게 구현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부두(30)에서 선박(5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부두(30)상에서 목적지를 향해 이송된다.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몸체부(110), 케이블릴부(130) 및 보조지지부(150)를 포함하고, 몸체부(110), 케이블릴부(130) 및 보조지지부(150)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내지 3 전기모터(111, 113, 115)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몸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추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기(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임의로 지정된 몸체부(110)의 동선을 따라 복수로 배치가능하다.
선박용 전원공급장치(100)에는 보조지지부(150)에 지지대(153)가 구비됨으로써, 전원 케이블(10)이 늘림 또는 줄임을 통해 순차적으로 선박(50)까지 안내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10)의 처짐이 예방된 채 육상에서 선박(50)으로 원활하게 전원 공급이 진행된다.
보조지지부(150)에는 보조프레임(151), 제 1 실린더(155) 및 제 2 실린더(157)가 구비됨으로써, 전원 케이블(10)을 높이, 길이 및 방향 조절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선박(50)의 접안시에 발생가능한 태풍, 조수 간만의 차 및 너울 등의 자연 상황에 대응하는 전원공급 작업이 진행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원 케이블 30: 부두
50: 선박 70: 전력공급기
100: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110: 몸체부
111: 제 1 전기모터 113: 제 2 전기모터
115: 제 3 전기모터 117: 이송바퀴
130: 케이블릴부 150: 보조지지부
151: 보조프레임 153: 지지대
153a: 빔홀 155: 제 1 실린더
157: 제 2 실린더

Claims (8)

  1. 이송바퀴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바퀴와 벨트풀리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가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전기모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이 권회 및 풀림 작동되도록 일방으로 회전 작동되는 케이블릴부;
    상기 케이블릴부의 중심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릴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블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전기모터;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릴부의 권회 및 풀림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단을 지지한 채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지지부에 회전력 및 왕복 직선 운동력을 전달하는 제 3 전기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릴부에 권회된 상기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프레임;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서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계된 채 상기 전원 케이블이 늘림 또는 줄임으로 순차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빔홀을 갖는 지지대;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왕복 운동되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왕복 운동되는 제 2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 3 전기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릴부와 이격된 거리에서 일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실린더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는 상기 제 3 전기모터에서 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홀은 중심부가 개구된 채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서 입설되는 일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빔홀의 각 중심부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이 관통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케이블릴부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의 안내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추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전력공급기는 상기 몸체부의 동선을 따라 다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릴부 및 보조지지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릴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늘림 또는 줄임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입설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KR1020210126160A 2021-09-24 2021-09-24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KR10255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160A KR102551511B1 (ko) 2021-09-24 2021-09-24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160A KR102551511B1 (ko) 2021-09-24 2021-09-24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372A KR20230043372A (ko) 2023-03-31
KR102551511B1 true KR102551511B1 (ko) 2023-07-04

Family

ID=8600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160A KR102551511B1 (ko) 2021-09-24 2021-09-24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5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0692A (ja) * 2016-08-25 2018-03-01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車
KR102298307B1 (ko) * 2021-04-27 2021-09-03 오현규 이동대차를 이용한 선박의 육상전원공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771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 케이블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0692A (ja) * 2016-08-25 2018-03-01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車
KR102298307B1 (ko) * 2021-04-27 2021-09-03 오현규 이동대차를 이용한 선박의 육상전원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372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8284A1 (en) Maritime power supply system
CN110043010B (zh) 喷枪组件和喷涂机器人
CN210045456U (zh) 喷枪组件和喷涂机器人
KR102551511B1 (ko)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US20160346710A1 (en) Wireless remote control orbiter based on 5g frequency band
CN210334159U (zh) 一种电缆切割设备
CN210176196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电缆收线装置
CN202502835U (zh) 一种护套线的收线机构
CN110993206A (zh) 一种电线电缆用绝缘层包覆装置
CN217627222U (zh) 一种防摇摆的门式起重机
CN103264961A (zh) 四卷筒龙门式起重机
CN212174068U (zh) 一种通讯电缆用便捷式放线架
KR20150066234A (ko) 무선전력 공급방식의 전방위 추진장치
CN109650191B (zh) 一种大数据通信工程排线的通信线缆收放装置
CN109305611B (zh) 一种船舶电缆铺设用排线系统
CN211281423U (zh) 一种水下巡检系统
CN109230811B (zh) 一种便携式可调节的电力线缆放线装置
KR20140098990A (ko) 수중펌프 지지장치
CN210195169U (zh) 喷枪组件和喷涂机器人
KR101418677B1 (ko) 선박용 파력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N113682901A (zh) 一种具有电缆引导机构的电缆卷筒
CN215208099U (zh) 一种藜麦生产加工用物料提升机
CN213326025U (zh) 一种绕线机器人的放线托辊
CN110401166A (zh) 一种可以移动的码头岸电连接装置
CN219567120U (zh) 一种焊丝缠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