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235B1 -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235B1
KR102551235B1 KR1020210171767A KR20210171767A KR102551235B1 KR 102551235 B1 KR102551235 B1 KR 102551235B1 KR 1020210171767 A KR1020210171767 A KR 1020210171767A KR 20210171767 A KR20210171767 A KR 20210171767A KR 102551235 B1 KR102551235 B1 KR 10255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martphone
case
connection p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025A (ko
Inventor
신준섭
Original Assignee
신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섭 filed Critical 신준섭
Priority to KR102021017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2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025A/ko
Priority to KR1020230084245A priority patent/KR2023010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실시예들에 따르면,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유선 충전 전력 및 무선 충전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충전부; 스마트폰 케이스를 상기 충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탈착부;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부의 유선 충전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유선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바이크에 체결되는 체결 몸체;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시키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부;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전력을 제공하는 유선 충전부; 및상기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유선 충전부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SMARTPHONE CRADLE FOR BIKE}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의 바이크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일부 스마트폰 거치대가 충전 기능을 가지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유선 충전 기능 또는 무선 충전 기능 중 한가지 기능만 가진다.
그러나 유선 충전 기능만 제공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탈착할 때마다 잭을 꽂았다 뺐다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요구되고, 무선 충전 기능만 제공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외부로 노출되는 바이크의 특성 상 여름철에는 스마트폰 거치대 및 스마트폰이 과열되어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809061(2017. 12. 08.)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유선 충전 전력 및 무선 충전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충전부; 스마트폰 케이스를 상기 충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탈착부;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부의 유선 충전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유선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바이크에 체결되는 체결 몸체;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시키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부;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전력을 제공하는 유선 충전부; 및 상기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유선 충전부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체결 몸체의 전면의 상기 무선 충전부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유선 충전부의 양전극이 연결되는 제1 충전 연결부; 상기 체결 몸체의 상기 전면의 상기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상기 제1 충전 연결부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선 충전부의 음전극이 연결되는 제2 충전 연결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벽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고 상기 제1 충전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충전 연결부에 자력(Magnetism)에 의해 탈착되는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의 상기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고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에 자력(Magnetism)에 의해 탈착되는 제2 케이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전달부는, 스마트폰의 충전 커넥터에 삽입 연결되는 충전잭; 및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와 상기 충전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유선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선 연결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의 내측면의 상기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자석 및 상기 영구 자석의 외측면을 감싸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커버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자석 및 상기 영구 자석의 외측면을 감싸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커버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는 상기 체결 몸체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공되며,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의 만입 깊이는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의 돌출 길이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선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충전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라인부는 FPC(Flexible Printed Cirquit)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후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폰 케이스 및 충전부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충전 연결부 및 제1 케이스 연결부가 제공된 일부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적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선 전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유선 전달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전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체결될 수 있는 열선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후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바이크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이 거치되고, 거치된 스마트폰을 선택적으로 유선 및 무선 방식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충전부(1100), 탈착부(1200) 및 유선 전달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100)는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유선 충전 전력 및 무선 충전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부(1100)는 체결 몸체(1110), 무선 충전부(1120), 유선 충전부(1130), 스위치(1140), 표시 발광부(1150), 전원부(1160) 및 제어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몸체(1110)에는 무선 충전부(1120), 유선 충전부(1130), 스위치(1140), 표시 발광부(1150), 전원부(1160) 및 제어부(1170)가 설치된다. 체결 몸체(1110)는 바이크에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몸체(1110)의 스마트폰 케이스(10)를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후면에는 바이크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부재(1112)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이크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은 다양한 종류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1112)는 바이크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과 볼 조인트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몸체(1110)는 볼 조인트를 기준으로 방향 조절이 쉽도록 제공될 수 있다.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제1 충전부(1100), 제2 충전부(1100) 및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 패드(1113)가 부착될 수 있다.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은 체결 몸체(1110)의 스마트폰 케이스(10)를 바라보는 면이다. 예를 들면, 탄성 패드(1113)는 고무 또는 에폭시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패드(1113)가 제공됨으로써, 충전부(1100) 및 스마트폰 케이스(10)가 서로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20)는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시키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부(1120)는 체결 몸체(1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20)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충전부(1130)는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수용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전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충전부(1130)는 체결 몸체(1110) 내에 설치된다.
스위치(1140)는 무선 충전부(1120) 및 유선 충전부(1130)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1140)는 체결 몸체(1110)의 후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1140)는, 스위치(1140)의 일측을 누르면, 무선 충전부(1120)가 온(On)되어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유선 충전부(1130)는 오프(Off)시키고, 스위치(1140)의 타측을 누르면, 유선 충전부(1130)가 온(On)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 간에 전력을 인가하고, 무선 충전부(1120)는 오프(Off)시킨다. 또한, 스위치(1140)가 일측 및 타측의 체결 몸체(1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면, 유선 충전부(1130) 및 무선 충전부(1120)가 모두 오프(Off)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위치(1140)는 무선 충전부(1120) 및 유선 충전부(1130)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발광부(1150)는 유선 충전부(1130) 및 무선 충전부(1120)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점등 여부 및 점등 시 색상을 이용해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 발광부(1150)는 유선 충전부(1130)가 켜진 상태이고 무선 충전부(1120)가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제1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발광부(1150)는 무선 충전부(1120)가 켜진 상태이고 유선 충전부(1130)가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제1 색상과 다른 색상인 제2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표시 발광부(1150)는 RGB LED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발광부(1150)는 체결 몸체(1110)의 외측면 중 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발광부(1150)는 스마트폰 케이스(10)가 충전부(1100)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쉽게 보일 수 있는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전원부(1160)는 무선 충전부(1120), 유선 충전부(1130) 및 표시 발광부(1150) 등 전력이 요구되는 모든 구성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116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16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 공급 라인(1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60)의 전원 공급 라인(1161) 외의 구성은 체결 몸체(1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1161)은 체결 몸체(1110)의 후면벽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원부(1160)는 바이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 라인(1161)은 바이크의 시가잭 또는 배전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원부(1160)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건전지 등의 교체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70)는 충전부(1100)의 구성들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1140)가 사용자에 의해 유선 충전부(1130)가 켜지도록 조작되면, 스위치(1140)는 제어부(1170)로 무선 충전부(1120)가 켜지는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170)는 유선 충전부(1130)는 켜지고 무선 충전부(1120)는 꺼지며, 표시 발광부(1150)는 제1 색상의 빛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스위치(1140)가 사용자에 의해 무선 충전부(1120)가 켜지도록 조작되면, 스위치(1140)는 제어부(1170)로 무선 충전부(1120)가 켜지는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170)는 무선 충전부(1120)는 켜지고 유선 충전부(1130)는 꺼지며, 표시 발광부(1150)는 제2 색상의 빛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스위치(1140)가 사용자에 의해 유선 충전부(1130) 및 무선 충전부(1120)가 모드 꺼지도록 조작되면, 스위치(1140)는 제어부(1170)로 유선 충전부(1130) 및 무선 충전부(1120)가 꺼지는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170)는 유선 충전부(1130) 및 무선 충전부(1120)는 꺼지고, 표시 발광부(1150)는 소등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11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어부(1170)에 의해 충전부(1100)의 각 구성으로 분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폰 케이스 및 충전부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충전 연결부 및 제1 케이스 연결부가 제공된 일부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탈착부(1200)는 스마트폰 케이스(10)를 충전부(1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케이스(10)는 다이어리 형, 플립형, 범퍼형, 젤리형 및 방수팩 등 현재 출시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케이스 및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보관용 팩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부(1200)는 제1 충전 연결부(1210), 제2 충전 연결부(1220),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충전부(11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로 전달된다.
제1 충전 연결부(1210)는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을 벗어난 영역에 설치된다. 제1 충전 연결부(1210)는 유선 충전부(1130)의 양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충전 연결부(1220)는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을 벗어난 영역에 제1 충전 연결부(12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2 충전 연결부(1220)에는 유선 충전부(1130)의 음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기의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은 스마트폰의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은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충전 연결부(1210)는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보다 위에 설치되고, 제2 충전 연결부(1220)는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보다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충전 연결부(1210)가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제2 충전 연결부(1220)가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무선 충전부(1120)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111)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로 전달되는 전력은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로 전달된다.
제1 케이스 연결부(1230)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을 벗어나고 제1 충전 연결부(1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은 수용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가리는 벽이다. 제1 케이스 연결부(1230)는 제1 충전 연결부(1210)에 자력(Magnetism)에 의해 탈착된다.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을 벗어나고 제2 충전 연결부(1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는 제2 충전 연결부에 자력(Magnetism)에 의해 탈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케이스 연결부(1230)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보다 위에 설치되고,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보다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 연결부(1240)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제2 케이스 연결부(1240)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자석과 영구 자석의 외측면을 감싸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커버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부재(1231, 12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전 연결부(1210)는 영구 자석과 영구 자석의 외측면을 감싸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커버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 연결부(1230)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부재(1231)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커버 및 금속 부재(1231)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충전 연결부(1210)의 영구 자석은 금속 부재(123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제공됨으로써, 제1 케이스 연결부(1230)와의 다수의 접촉에도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충전 연결부(1210)는 볼트(1211) 및 너트(1212) 체결 구조에 의해 체결 몸체(1110)의 전면의 내측으로 만입된 영역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체결 몸체(1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볼트(1211)는 체결 몸체(1110)의 내측에 제공된 너트(1212)와 체결된다. 너트(1212) 및 체결 몸체(1110)의 사이에는 볼트(1211)에 관통된 와셔(1213)가 제공될 수 있다. 와셔(1213) 및 너트(1212)의 사이에는 유선 충전부(1130)의 양전극과 연결된 단자(1132)가 볼트(1211)에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충전부(1130)의 양전극이 제1 충전 연결부(1210)의 금속 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케이스 연결부(1230)는 볼트(1232) 및 너트(1233) 체결 구조에 의해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스마트폰 케이스(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볼트(1232)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반대측에 제공된 너트(1233)와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케이스 연결부(1230)의 체결에 사용되는 너트(1233)는 나사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금속 부재(1231)에 인접한 끝단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보다 그 외 나머지 영역의 직경이 더 크게 제공할 수 있고, 직경이 작은 영역은 스마트폰 케이스(10)에 볼트(1232)와 함께 관통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너트(1233)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으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되, 볼트(1232)의 나사면이 삽입될 수 있는 나사홀의 길이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너트(1233)의 직경이 큰 영역 및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사이에는 볼트(1232)에 관통된 와셔(1234)가 제공될 수 있다. 와셔(1234) 및 너트(1233)의 직경이 큰 영역의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단자(1321)가 볼트(1232)에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부재(1231)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선 연결 부재(1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충전 연결부(122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자석 및 영구 자석의 외측면을 감싸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커버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금속 부재(1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 연결부(1220) 및 유선 충전부(1130)의 음전극과 연결된 단자의 구성 및 구조, 그리고 체결 구조는 상술한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유선 충전부(1130)의 양전극과 연결된 단자(113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 연결부(124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2 단자(1322)의 구성 및 구조, 그리고 체결 구조는 상술한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1 단자(132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는 체결 몸체(1110)의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는 각각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에 맞물리도록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의 만입 깊이는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의 돌출 길이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의 만입 깊이는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패드(1113)가 제공되는 경우, 탄성 패드(1113)의 전면으로부터의 만입 깊이를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의 만입 깊이로 상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와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가 각각 맞물리도록 만입되고 돌출되도록 제공됨으로써, 스마트폰 케이스(10) 및 충전부(1100)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스마트폰 케이스(10)가 체결 몸체(1110)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게 되어, 바이크 주행 시 스마트폰의 떨림 및 충전부(1100)로부터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무선 충전부()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무선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유선 전달부(1300)는 스마트폰 케이스(10) 내에 설치된다. 유선 전달부(1300)는 충전부(1100)의 유선 충전 전력을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수용된 스마트폰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전달부(1300)는 충전잭(1310) 및 유선 연결 부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잭(1310)은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수용되는 스마트폰의 충전 커넥터에 삽입 연결된다. 아래에서 설명될 유선 연결 부재(13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충전잭(1310)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공급된다. 충전잭(1310)은 스마트폰의 충전 커넥터에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그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수용되면 일부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충전 커넥터 홀(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선 연결 부재(1320)는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를 충전잭(13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유선 연결 부재(1320)는 무선 충전시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부(1120)로부터의 전자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내측면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을 벗어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연결 부재(1320)는 제1 단자(1321), 제2 단자(1322) 및 연결 라인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321)는 제1 케이스 연결부(1230)에 연결되고, 제2 단자(1322)는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자(1321) 및 제2 단자(1322)는 고리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라인부(1323)는 제1 단자(1321) 및 제2 단자(1322)를 각각 충전잭(13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라인부(1323)는 제1 단자(1321) 및 충전잭(1310)을 연결하는 전선과 제2 단자(1322) 및 충전잭(1310)을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선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내측면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을 벗어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잭(1310)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충전 커넥터 홀(13)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충전잭(1310)과 제1 단자(1321) 간의 사이에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이 위치되게 되어 제1 단자(1321) 및 충전잭(1310)을 연결하는 전선이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12)을 벗어나도록 휘어진 상태로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제2 케이스 연결부(1240) 및 유선 전달부(1300)는 DIY(Do It Yourself)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의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제2 케이스 연결부(1240) 및 유선 전달부(1300)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사용자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제1 케이스 연결부(1230)의 금속 부재(1231)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의 금속 부재(1241)가 체결될 각각의 위치에 볼트(1232)가 관통할 홀을 뚫는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은 스마트폰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나,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가 달라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의 설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를 구매한 사용자를 위해 각 스마트폰 기종별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의 위치를 피해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를 설치할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설명서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폰 기종별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의 위치를 피해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를 설치할 위치에 관한 정보는 스마트폰의 일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를 제공하거나,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의 내측면에 맞물리고 각 볼트(1232)가 관통할 홀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는 인쇄물을 직접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내측면에 맞물리도록 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홀을 뚫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볼트(1232)가 관통할 홀을 뚫은 이후, 금속 부재(1231, 1241)을 체결하기 위해, 너트(1233)의 직경이 작은 영역에 제1 단자(1321) 또는 제2 단자(1322)를 관통 시킨 상태에서 너트(1233)의 직경이 작은 영역을 뚫린 홀에 삽입시키고, 금속 부재(1231, 1241) 및 와셔(1234)를 관통시킨 볼트(1232)를 너트(1233)와 체결시킨다.
이 후, 제1 단자(1321) 및 충전잭(1310)을 연결하는 전선을 접착 테이프(1324)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도록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내측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접착 테이프(1324) 등은 생산자 또는 판매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는 전선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접착 테이프(1324)가 전선의 일부 영역에만 제공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접착 테이프(1324)는 필요에 따라 전선의 보다 많은 영역을 부착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충전잭(1310)을 스마트폰의 충전 커넥터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케이스(10) 내에 수용시켜, 탈착부(1200)를 이용해 충전부(1100)에 탈착시키고, 충전부(1100)를 통해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DIY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케이스나 방수팩에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적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선 전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라인부(1323)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날 수 있는 휘어진 형상을 유지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quit)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유선 전달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선 전달부(1300)는 연결 라인부(1323)의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에 접촉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1325)이 형성되고, 접착층(1325)은 접착층(1325)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커버(1326)에 의해 덮힌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전달부(1300)는 커버(1326)만 제거한 후 제1 단자(1321) 및 제2 단자(1322)의 위치에 맞춰 쉽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도록 전선을 변형시켜 접착 테이프(1324) 등을 이용해 부착시키는 경우에 비해, 쉽게 스마트폰 케이스(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FPC는 일반적인 전선에 비해 얇게 제공되므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사이에 보다 쉽게 위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의 유선 전달부(1300)가 적용되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그 외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1의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전달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 라인부(1323)의 제1 단자(1321)에 인접한 일부 영역은 일반적인 전선인 연장 라인(1323a)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장 라인(1323a)의 일부를 절단해 제거하고, 납땜 등을 이용해 남은 부분을 접합시켜 연결 라인부(132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차에 의해 제1 충전 연결부(1210) 및 제2 충전 연결부(1220) 간의 간격이 다소 짧아지는 경우에도 연결 라인부(1323)의 길이를 조절하여 체결시킬 수 있다.
도 9의 유선 전달부(1300)가 적용되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그 외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6의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체결될 수 있는 열선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열선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선부(1400)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내측면에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 간에 연결되어, 유선 충전부(1130)의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열선부(1400)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열선부(1400)는 각각의 제1 케이스 연결부(1230)에 연결되는 단자(1420),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에 연결되는 단자(1430) 및 각 단자(1420, 1430) 간에 연결되는 열선(1410)을 포함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quit)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 단자(1420, 1430)를 각각 제1 케이스 연결부(1230) 및 제2 케이스 연결부(1240)에 각각 제1 단자(1321) 및 제2 단자(1322)와 겹치도록 체결시켜, 열선부(1400)를 유선 전달부(1300)를 덮도록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벽(11)의 내측면에 체결시킬 수 있다. 열선부(1400)는 유선 충전부(1130)의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겨울철과 같이 스마트폰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열선부(1400)를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체결시키고 유선 충전부(1130)를 이용해 충전을 실행하면, 열선부(1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폰 케이스 1000: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1100: 충전부 1110: 체결 몸체
1120: 무선 충전부 1130: 유선 충전부
1140: 스위치 1150: 표시 발광부
1160: 전원부 1170: 제어부
1200: 탈착부 1210: 제1 충전 연결부
1220: 제2 충전 연결부 1230: 제1 케이스 연결부
1240: 제2 케이스 연결부 1300: 유선 전달부
1310: 충전잭 1320: 유선 연결 부재
1323: 연결 라인부 1400: 열선부

Claims (4)

  1. 삭제
  2. 스마트폰 충전을 위한 유선 충전 전력 및 무선 충전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충전부;
    스마트폰 케이스를 상기 충전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탈착부;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부의 유선 충전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유선 전달부
    빛을 점등하도록 구성된 표시 발광부; 및
    바이크와 볼 조인트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바이크에 체결되는 체결 몸체;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시키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부;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전력을 제공하는 유선 충전부; 및
    상기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유선 충전부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체결 몸체의 전면의 상기 무선 충전부의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유선 충전부의 양전극이 연결되는 제1 충전 연결부;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체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충전 연결부를 제1 체결 몸체에 결합시키는 제1 볼트;
    상기 체결 몸체의 상기 전면의 상기 송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상기 제1 충전 연결부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선 충전부의 음전극이 연결되는 제2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체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충전 연결부를 상기 체결 몸체에 결합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발광부는 상기 체결 몸체의 외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 몸체의 상기 전면 및 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체결 몸체의 상기 전면은 상기 체결 몸체의 후면과 대향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 몸체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는 상기 체결 몸체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게 제공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선 충전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충전잭을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 커넥터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면과 마주보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벽의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고 상기 제1 충전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충전 연결부에 자력(Magnetism)에 의해 탈착되는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의 상기 수신 코일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나고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에 자력(Magnetism)에 의해 탈착되는 제2 케이스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선 전달부는,
    스마트폰의 충전 커넥터에 삽입 연결되는 충전잭; 및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와 상기 충전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유선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전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 연결부들이 제공된 상기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후면과 대향되고,
    상기 충전잭은 상기 유선 연결 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공되며,
    상기 제1 충전 연결부 및 상기 제2 충전 연결부의 만입 깊이는 상기 제1 케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연결부의 돌출 길이에 대응되게 제공되는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10171767A 2021-09-06 2021-12-03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551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67A KR102551235B1 (ko) 2021-09-06 2021-12-03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30084245A KR20230106549A (ko) 2021-09-06 2023-06-29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75A KR102337093B1 (ko) 2021-09-06 2021-09-06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10171767A KR102551235B1 (ko) 2021-09-06 2021-12-03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75A Division KR102337093B1 (ko) 2021-09-06 2021-09-06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245A Division KR20230106549A (ko) 2021-09-06 2023-06-29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025A KR20230036025A (ko) 2023-03-14
KR102551235B1 true KR102551235B1 (ko) 2023-07-03

Family

ID=788681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75A KR102337093B1 (ko) 2021-09-06 2021-09-06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10171767A KR102551235B1 (ko) 2021-09-06 2021-12-03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30084245A KR20230106549A (ko) 2021-09-06 2023-06-29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75A KR102337093B1 (ko) 2021-09-06 2021-09-06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245A KR20230106549A (ko) 2021-09-06 2023-06-29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337093B1 (ko)
CN (1) CN116671094A (ko)
WO (1) WO2023033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093B1 (ko) * 2021-09-06 2021-12-07 신준섭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166185A (ko) 2022-05-30 2023-12-07 백운학 바이크용 휴대폰 유무선충전 거치대
KR102551355B1 (ko) * 2022-08-12 2023-07-03 신준섭 스마트폰 케이스
KR102520024B1 (ko) * 2023-03-21 2023-04-10 김경철 주행 중 이탈방지수단이 적용된 모터사이클용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7510A (ja) * 2019-03-29 2020-10-08 トン イン キム モバイル端末機用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413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KR20130006987U (ko) * 2013-11-14 2013-12-04 이형수 이륜차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101809061B1 (ko) 2017-08-31 2017-12-14 최상억 스마트폰 거치대
KR20190055449A (ko) * 2017-11-15 2019-05-23 김혜린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102289815B1 (ko) * 2020-01-16 2021-08-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충전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보호장치
KR200494536Y1 (ko) * 2020-01-31 2021-11-03 김현주 이륜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 거치대
KR102152673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차량의 무선 충전용 휴대폰 거치대
KR102262092B1 (ko) * 2020-09-11 2021-06-07 오정희 무선충전 폰케이스를 갖는 바이크용 휴대폰 거치장치
KR102239517B1 (ko) * 2021-01-26 2021-04-12 김경철 모터사이클용 무선 충전장치
KR102337093B1 (ko) * 2021-09-06 2021-12-07 신준섭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7510A (ja) * 2019-03-29 2020-10-08 トン イン キム モバイル端末機用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093B1 (ko) 2021-12-07
KR20230036025A (ko) 2023-03-14
KR20230106549A (ko) 2023-07-13
WO2023033267A1 (ko) 2023-03-09
CN116671094A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235B1 (ko)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US10164468B2 (en)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US20090179501A1 (en) Device cover with embedded power receiver
KR20110040622A (ko)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TW201407921A (zh) 無線充電傳輸裝置
TW201500251A (zh) 汽車方向盤及採用汽車方向盤之汽車
JP2000231910A (ja)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CN110829552A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US20060097692A1 (en) Charger
KR200488465Y1 (ko) 전자 담배용 모듈형 부품
TW201524072A (zh) 穿戴式電子裝置
KR20140011755A (ko) 무선충전 시스템
KR101626044B1 (ko)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JP4584759B2 (ja) 非接触給電装置
JP3656032B2 (ja) バッテリーコネクタ
KR102201260B1 (ko) 무선 납땜기구
CN220629522U (zh) 一种多功能骨传导耳机充电装置
KR102498380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CN109396594A (zh) 一种能记录数据的充电式电烙铁
CN211908402U (zh) 一种无线充电式麦克风以及麦克风充电组件
CN215689716U (zh) 筋膜枪
CN216215988U (zh) 储能电源
CN219918468U (zh) 移动充电装置
CN113852166B (zh) 电子设备、充电连接线以及无线充电设备组件
JP3079665U (ja)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