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373B1 -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373B1
KR102550373B1 KR1020180065070A KR20180065070A KR102550373B1 KR 102550373 B1 KR102550373 B1 KR 102550373B1 KR 1020180065070 A KR1020180065070 A KR 1020180065070A KR 20180065070 A KR20180065070 A KR 20180065070A KR 102550373 B1 KR102550373 B1 KR 10255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board
outboard motor
engine
controlle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516A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102018006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3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B2747/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은, 보트에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선외기와; 상기 보트 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외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와; 상기 선외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승강 장치 및 선외기의 엔진을 구동하는 선외기 제어부와; 상기 선외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하도록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운전자가 승선하기 전에 엔진 예열 시간을 확보하여 보다 신속하게 보트의 출항이 가능하고, 선외기 제어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Outboard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소형 선박 또는 보트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외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외기는 소형 선박 또는 보트(이하 '보트'로 통칭함)의 선미(船尾)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외기는 엔진, 프로펠러 등이 구비된 파워트림(power trim)으로 구성되어 보트 후미에서 올려다 내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선외기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 승강 방식에는 수동식과 자동식이 있다. 수동식의 경우에는 보트 운전자가 직접 선외기를 움직여 승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자동식의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 등 동력을 이용하여 선외기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외기의 구동 방식은 운전자가 보트에 승선한 후에 직접 구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보트에 승선한 후에 선외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해난 구조와 같이 긴급 상황 발생시에 보트를 보다 신속하게 출항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긴급 상황 발생시에 운전자가 보트가 정박되어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 하고, 보트에 승선한 후에 선외기를 구동시켜야 하며, 선외기를 구동시킨 후에는 엔진을 충분히 예열시킨 후에 출발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보트의 출항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94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외기의 원격 시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승선하기 전에 엔진 예열 시간을 확보하여 보다 신속하게 보트의 출항이 가능하도록 하고, 선외기 제어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는, 보트에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선외기와; 상기 보트 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외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와; 상기 선외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승강 장치 및 선외기의 엔진을 구동하는 선외기 제어부와; 상기 선외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하도록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방법은, 무선 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 시동 ON 작동시키면, 무선 수신기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선외기 제어부에서 선외기 승강 장치가 구동하여 선외기를 하강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냉각수 유입구가 물속에 잠기면, 엔진을 구동하여 예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은, 선외기의 원격 시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승선하기 전에 엔진 예열 시간을 확보하여 보다 신속하게 보트의 출항이 가능하고, 선외기 제어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로서,
도 1은 선외기가 상승한 상태의 도면,
도 2는 선외기가 하강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로서, 도 1은 선외기가 상승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선외기가 하강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0은 보트를 나타내고, 30은 보트에 장착할 수 있는 선외기를 나타낸다.
보트(10)는 긴급 구조에 이용되는 보트를 비롯하여 선외기(30)를 이용하는 소형 선박을 포함한다.
선외기(30)는 바디(32)의 상측에 엔진(34)이 탑재되고, 하측에 엔진(34)이 구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36)가 구성된다.
또한, 선외기(30)의 하측에는 엔진(34) 냉각을 위한 냉각수 유입구(33)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외기(30)는 지지 구조물(40)을 통해 보트(10)에 지지될 수 있다. 선외기(30) 지지 방식은 공지의 여러 지지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선외기(30)가 지지 구조물(4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선외기(30)의 승강 구조는 승강 장치(50)를 이용하여 도 1과 도 2에서처럼 선외기(30)를 올리거나 내려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선외기(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모터 등 다른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선외기(3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 부호 20은 선외기 제어부이고, 22는 무선 수신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면 부호 100은 무선 제어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무선 제어기(100)를 이용하여 무선 수신부(22)를 통해 선외기 제어부(20)에 신호를 입력하여 선외기(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선외기 제어부(20)는 파워트림 승강을 위한 제어부, 엔진) 시동을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엔진 시동 타이머, 엔진 스톱신호 제어 릴레이 스위치, 시동 신호 릴레이, 트림 하강 신호 제어기, 트림 하강 신호 릴레이 스위치, 시동 스타트 시간 제어기, 스타트 릴레이 스위치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제어기(100)는 상기 선외기 제어부(2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반 조작버튼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하나의 선외기(30)가 구비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2개, 3개, 그 이상의 선외기가 구비된 경우에도 동일 유사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선외기(30)가 복수개가 구성된 경우에 각각의 선외기(30)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무선 제어기(100)를 통해서 각각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선외기 제어부(20)에서 각 선외기(30)의 위치, 작동 상태에 따라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선외기(30)의 개별 제어를 위해서는 각 선외기(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접촉 센서 등의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선외기 제어부(20)는 무선 제어기(100)에서 선외기(30)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로부터 선외기(30) 제어기 쪽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무선 제어기(100)를 이용하여 원격 시동 ON 작동시키면, 무선 수신기를 통해 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배터리로부터 선외기 제어부(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선외기 제어부(20)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선외기 제어부(20)에서 선외기(30)의 승강 장치(50)인 유압 실린더를 작동하면, 선외기(30)가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선외기 제어부(20)에 의한 선외기(30)의 하강 위치는 최소한 냉각수 유입구(33)가 물속에 잠기는 위치까지이다. 이는 엔진(34) 구동을 위해 냉각수가 엔진(34) 쪽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선외기(30)가 하강하기 시작한 후에 일정 시간(냉각수 유입구가 물에 잠기는 시간)이 지나거나, 센서 등을 통해 냉각수 유입구(33)가 물속에 잠겨 있다는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선외기 제어부(20)에서 엔진(34)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엔진(34)을 구동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2초) 또는 센서 감지를 통해 엔진(34)이 자동 시동됨에 따라 운전자가 승선하기 전에 엔진(34) 예열이 이루어지고, 승선과 함께 보트(10)의 출발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보트 20 : 선외기 제어부
22 : 무선 수신기 30 : 선외기
32 : 바디 33 : 냉각수 유입구
34 : 엔진 36 : 프로펠러
40 : 지지 구조물 50 : 승강 장치(유압 실린더)
100 : 무선 제어기

Claims (2)

  1. 보트에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선외기와;
    상기 보트 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외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와;
    상기 선외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승강 장치 및 선외기의 엔진을 구동하는 선외기 제어부와;
    상기 선외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하도록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선외기는,
    하측에 엔진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유입되며, 냉각수 유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냉각수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선외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냉각수 유입구가 물속에 잠긴 후에 상기 엔진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엔진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한 선외기 원격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 시동 ON 작동시키면, 무선 수신기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외기 제어부에서 상기 선외기 승강 장치가 구동하여 선외기를 하강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에, 상기 센서를 통해 냉각수 유입구가 물속에 잠긴 것으로 확인되면, 엔진을 구동하여 예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외기 원격 제어 방법.
KR1020180065070A 2018-06-05 2018-06-05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255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70A KR102550373B1 (ko) 2018-06-05 2018-06-05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70A KR102550373B1 (ko) 2018-06-05 2018-06-05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516A KR20190138516A (ko) 2019-12-13
KR102550373B1 true KR102550373B1 (ko) 2023-06-30

Family

ID=6884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70A KR102550373B1 (ko) 2018-06-05 2018-06-05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3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3891B1 (ja) * 2017-09-27 2018-04-18 株式会社ショーワ 端末装置、船外機昇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813A (ja) * 1983-08-24 1985-03-16 Sekisui Chem Co Ltd 移送物の定量送り装置
KR20160056637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엠 스마트 선외기
KR20160059497A (ko) 2014-11-18 2016-05-27 주식회사 엘지엠 보트의 원격조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3891B1 (ja) * 2017-09-27 2018-04-18 株式会社ショーワ 端末装置、船外機昇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516A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9418T3 (es) Controlador remoto inalambrico para yates.
JP2020019424A (ja) 救難信号発信システム
KR102550373B1 (ko) 선외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9205895B2 (en) Securing the platform on a watercraft
US20220402583A1 (en) Control device of marine vessel, control system of marine vessel, and marine vessel
KR20170015391A (ko) 수중관측을 위한 탐사동력장치의 운항방법
KR20220068776A (ko) 구조선
US20210047017A1 (en) Watercraft, such as a surfboard or a paddleboard, with controlled electrical assistance
US7247063B2 (en) Warning device for marine engines for small craft
KR100339056B1 (ko) 무인 원격 구명선
US7147240B2 (en) Self-propelled platform for watercraft
EP3583023B1 (en) Design and integration of the lifting stern platform for boats with outboard enignes
JP2020101125A (ja) 船舶推進機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用推進システム、並びに船舶推進機のエンジン始動装置
CN202279213U (zh) 可自动释放的船舶救生装置
US9896173B2 (en) Adjustable jack plate and trim and tilt system for a marine vessel
JP2015067263A (ja) ジェット推進艇
ITMI20090176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remoto, particolarmente per yacht ed imbarcazioni in genere
CN209142355U (zh) 带电动旋转救生翻板的无人救生艇
CN207467390U (zh) 一种房间单元吊装托架
CN216943497U (zh) 水上消防救援巡逻无人船
CN113232563B (zh) 一种车载涉水救援系统
JP3133448U (ja) 船舶推進装置
KR20140055357A (ko) 선박용 구명부표 투척장치
KR200370342Y1 (ko) 선외기 및 램프 게이트가 구비된 카타마란형 선박
NO20161990A1 (en) Boat transf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