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20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202B1
KR102550202B1 KR1020220158362A KR20220158362A KR102550202B1 KR 102550202 B1 KR102550202 B1 KR 102550202B1 KR 1020220158362 A KR1020220158362 A KR 1020220158362A KR 20220158362 A KR20220158362 A KR 20220158362A KR 102550202 B1 KR102550202 B1 KR 10255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cket
iccb
fasten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903A (ko
Inventor
강세기
임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15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2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CB와 아웃렛의 커넥터 조립 시, 사용자가 브라켓이 완벽하게 체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여 커넥터 미조립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웃렛에 형성된 제1커넥터와, ICCB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체결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제2커넥터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두께가 되는 면에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ICCB의 일측면에는 상기 브라켓이 완전 체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ICCB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와 착탈되도록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체결면이 상기 ICCB의 일측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에 사용하는 차량의 휴대용 충전기(ICCB, In Cable Control Box)와 아웃렛/플러그 부 간 커넥터 연결을 고정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ICCB와 커넥터 결합을 고정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의 휴대용 충전기(ICCB)는 ICCB 본체와 아울렛(Outlet)이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간의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커넥터 외측에 브라켓을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ICCB와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이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ICCB(1)는 일측에 메일 커넥터(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메일 커넥터가 되는 사출물 내측에는 단자(3)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아웃렛에 연결되는 케이블(4) 단부에 피메일 커넥터(5)가 형성되며, 피메일 커넥터(5)는 내측에 상기 단자(3)와 맞물려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고, 외주는 메일 커넥터(2)의 내주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4)을 따라 이동 가능한 브라켓(6)을 구비하며, 메일 커넥터의 외주에 맞물리도록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할 경우, 사용자는 ICCB와 아웃렛의 커넥터 조립 시에 브라켓이 완벽하게 체결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커넥터 미조립의 문제를 초래하여 제품 오동작 및 외부 충격에 의한 브라켓 탈착으로 인한 단자 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ICCB와 아웃렛의 커넥터 조립 시, 사용자가 브라켓이 완벽하게 체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여 커넥터 미조립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브라켓의 완벽 체결을 인식할 수 있는 구조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브라켓을 탈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웃렛에 형성된 제1커넥터와, ICCB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체결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제2커넥터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두께가 되는 면에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ICCB의 일측면에는 상기 브라켓이 완전 체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ICCB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와 착탈되도록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체결면이 상기 ICCB의 일측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두께가 되는 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클립홈이 길이방향으로 요입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는 상기 클립홈에 연통하는 누름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클립홈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의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립과, 상기 누름홀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클립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커넥터는 스토퍼 및 클립 구조를 적용하여 소비자가 조립 시 완전 체결됨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 간에 체결이 불완전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단자 이탈 문제를 방지하여 제품 오동작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브라켓 탈착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탈착 툴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수시로 브라켓을 탈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ICCB와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ICCB 및 커넥터의 체결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1실시예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ICCB측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탈착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탈착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ICCB 및 커넥터의 체결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1실시예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ICCB측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탈착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웃렛 케이블(17) 단부에 제1커넥터가 형성되고, ICCB(2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제1커넥터와 제커넥터가 암수관계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아웃렛 케이블의 외주에 삽입되어 제2커넥터 외주에 결합함으로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을 고정시키는 브라켓(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2커넥터와 브라켓의 연결관계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커넥터를 커넥터(22)라 한다. 브라켓의 실시예로 제1브라켓(10) 및 제2브라켓(100) 두 가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브라켓(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케이블(17)이 통과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ICCB(20)의 커넥터(22) 외주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1브라켓(10)의 두께가 되는 면이 ICCB(20)를 향하도록 결합되며, 이 두께가 되는 면의 일측에 체결돌기(12)가 돌출형성된다. 체결돌기(12)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면은 브라켓을 체결 시에 회전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2)의 측부에는 클립(13)이 삽입될 수 있는 클립홈(16)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클립(13)은 제1브라켓(10)이 커넥터(22)에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수단이다. 클립(13)은 제1브라켓(10)에 고정되는 고정면(13b)과, 고정면(13b)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고정면(13b)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해제면(13c)을 포함한다. 클립(13)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해제면(13c)에 제1브라켓(10)의 두께 방향으로 힘을 가할 시, 해제면(13c)이 탄성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해제면(13c)은 고정면(13b) 방향으로 눌릴 때, 고정면(13b)의 단부보다 더욱 돌출 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제면(13c)에는 장착홀(13a)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3a)은 누름 수단이 클립(13)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며,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형성되되, 일측에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형돌기(1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10)은 클립홈(16)에 연통하는 누름홀이 관통형성되고, 누름홀에는 클립(13)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누름 수단이 설치된다. 제1실시예에서 누름홀은 버튼홀(15)이고 누름 수단은 버튼(14)일 수 있다.
버튼(14)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버튼(14)은, 버튼홀(15)에 삽입되며 일부가 제1브라켓(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몸체(14a)와, 버튼몸체(14a)로부터 제1브라켓(10)의 중앙, 즉 클립(13) 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연결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b)는 장착홀(13a)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장착홀(13a)에 형성된 원형돌기(13a’)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원형홈(1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14) 삽입 시 원형돌기(13a’) 및 원형홈(14c) 구조에 의해 버튼(14)과 클립(1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ICCB(20)에 형성되는 커넥터(22)를 설명한다. ICCB본체(21)의 일측에 커넥터(22)가 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에 단자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22)의 외측면에는 브라켓과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ICCB본체(21)의 일측에는 상술한 체결돌기(12)가 체결될 수 있는 스토퍼(26)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26)는 커넥터(22) 인근에 설치되며, ICCB본체(21)의 측면에 스토퍼(26)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홈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은 도면과 같이 제1삽입홈(23) 및 제2삽입홈(24)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홈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삽입홈(23)은 스토퍼(26) 설치를 위한 공간이고, 제2삽입홈(24)은 스토퍼(26)의 유동을 위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삽입홈(23)에는 직경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후크(25)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25)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구조와 관련하여, 후크(25)는 방사상으로 쪼개진 형상이며, 각 조각이 이격되어 있어 직경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되기 유리한 형상이다.
스토퍼(26)는 제1삽입홈(23)에 설치되는 설치면(27)과, 체결돌기(12)가 체결되는 체결면(28)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면(27)에는 후크홀(27a)이 형성되어 있어 설치면(27)을 후크(25)에 끼워 넣으면 스토퍼(26)가 ICCB(20)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면(28)은 설치면(27)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설치면(27)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6) 설치 시, 체결면(28)은 ICCB본체(21)와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방향은 제1브라켓(10)의 체결방향을 따라 더욱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면(28)의 단부는 자유단이 되며, ICCB(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변형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한편 체결면(28)의 단부가 다시 ICCB(20) 측으로 굽어져 제2삽입홈(24)에 삽입되는 삽입면(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제1브라켓(10)과 커넥터(22)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며(도 6 (a)참고), 제1브라켓(10)을 체결이 완료되는 부분(도 6 (b) 참고)에서 체결돌기(12)가 체결면(28)을 누르며 이동하다가 체결홀(28a)에 삽입되고(도 6 (c) 참고), 체결면(28)의 위치가 복원되어 체결돌기(12)가 걸려 사용자는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10)을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버튼(14)을 누르면(도 7 (a) 참고), 클립(13)의 해제면(13c)에 의해 스토퍼(26)의 체결면(28)이 가압되고 체결돌기(12)가 체결홀(28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도 7 (b). 이 상태로 제1브라켓(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탈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브라켓의 클립을 누르는 구조에 차이가 있으며, 제2실시예의 브라켓을 제2브라켓이라 칭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탈착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브라켓(100)은 클립홈(16)에 연통하는 누름홀이 관통형성되고, 누름홀에는 클립(13)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누름 수단이 설치된다. 제2실시예에서 누름홀은 핀홀(115)이고 누름 수단은 누름핀(114)과 탈착 툴(30)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핀(114)은 제2브라켓(100)의 측면에 삽입되어 클립(13)을 누르는 수단이되, 버튼(14)과 달리 제2브라켓(1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없도록 제2브라켓(1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삽입되어 클립(13)의 장착홀(13a)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토퍼(26)를 해제하고 제2브라켓(100)을 탈거하고자 할 때, 탈착 툴(30)을 이용할 수 있다. 탈착 툴(30)의 단부는 핀홀(115)에 삽입 가능한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탈착 툴(30)의 단부를 핀홀(115)에 삽입하여 누름핀(114)을 ICCB(20) 중앙 방향으로 누르면(도 9 (c) 참고), 클립(13)의 해제면(13c)이 제2브라켓(100)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스토퍼(26)의 체결면(28)을 밀어 체결돌기(12)가 체결홀(28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도 9 (b) 참고). 이후 제2브라켓(1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ICCB(2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도 9 (c) 참고).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브라켓 11 브라켓몸체
12 체결돌기 13 클립
13a 장착홀 13a’ 원형돌기
13b 고정면 13c 해제면
14 버튼 14a 버튼몸체
14b 연결부 14c 원형홈
15 버튼홀 16 클립홈
17 케이블 100 제2브라켓
114 누름핀 115 핀홀
20 ICCB 21 ICCB본체
22 커넥터 23 제1삽입홈
24 제2삽입홈 25 후크
26 스토퍼 27 설치면
27a 후크홀 28 체결면
28a 체결홀 29 삽입면
30 탈착 툴

Claims (2)

  1. 아웃렛에 형성된 제1커넥터;
    ICCB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체결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2커넥터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제2커넥터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두께가 되는 면에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ICCB의 일측면에는 상기 브라켓이 완전 체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ICCB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와 착탈되도록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체결면이 상기 ICCB의 일측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두께가 되는 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클립홈이 길이방향으로 요입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는 상기 클립홈에 연통하는 누름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클립홈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의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립; 및
    상기 누름홀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에 결합되며, 상기 클립을 탄성변형시키는 누름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KR1020220158362A 2020-12-24 2022-11-23 커넥터 KR10255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362A KR102550202B1 (ko) 2020-12-24 2022-11-23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21A KR102474721B1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
KR1020220158362A KR102550202B1 (ko) 2020-12-24 2022-11-23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21A Division KR102474721B1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903A KR20220163903A (ko) 2022-12-12
KR102550202B1 true KR102550202B1 (ko) 2023-06-30

Family

ID=823968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21A KR102474721B1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
KR1020220157283A KR102550201B1 (ko) 2020-12-24 2022-11-22 커넥터
KR1020220158362A KR102550202B1 (ko) 2020-12-24 2022-11-23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21A KR102474721B1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
KR1020220157283A KR102550201B1 (ko) 2020-12-24 2022-11-22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747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046B1 (ko) 2010-08-06 2010-12-31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JP2011238530A (ja) 2010-05-12 2011-11-24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US20120282798A1 (en) 2011-05-06 2012-11-08 Panasonic Corporation Power feeding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495U (ko) * 2013-01-22 2014-07-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장치
KR20160032849A (ko) * 2014-09-17 2016-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전원 차단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9381B1 (ko) * 2017-12-29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완속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8530A (ja) 2010-05-12 2011-11-24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KR101004046B1 (ko) 2010-08-06 2010-12-31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US20120282798A1 (en) 2011-05-06 2012-11-08 Panasonic Corporation Power feeding control device
JP2012234743A (ja) * 2011-05-06 2012-11-29 Panasonic Corp 給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897A (ko) 2022-12-12
KR20220092144A (ko) 2022-07-01
KR102474721B1 (ko) 2022-12-06
KR20220163903A (ko) 2022-12-12
KR102550201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4199A (en) Connector plug
US9293858B2 (en) Screw down connector
US862835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TW201618395A (zh) 具有雙向插接功能的插頭連接器
US745885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30323953A1 (en) Lever connector
KR102550202B1 (ko) 커넥터
CN210224453U (zh) 一种电连接器插头
JPH0741108Y2 (ja) ピンプラグ
CN203466361U (zh) 一种电连接器
WO2022121313A1 (zh) 插接组件及插座
JP6915024B2 (ja) 電池製品
CN109288212B (zh) 智能手环
KR100981624B1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CN109449638B (zh) 一种直插头
CN219477083U (zh) 线缆插接连接器
JPH10199627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構造
CN219833099U (zh) 储能连接器电连接结构
JP3152666U (ja) ケーブル
CN210378710U (zh) 线圈组件
CN216981009U (zh) 通讯连接器
CN216121045U (zh) 一种直角式插头
KR102333473B1 (ko)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WO2024009814A1 (ja) コネクタ
CN219917822U (zh) 铜件与电连接器壳体的固定结构以及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