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685B1 - 침출 방법 - Google Patents

침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685B1
KR102549685B1 KR1020207000484A KR20207000484A KR102549685B1 KR 102549685 B1 KR102549685 B1 KR 102549685B1 KR 1020207000484 A KR1020207000484 A KR 1020207000484A KR 20207000484 A KR20207000484 A KR 20207000484A KR 102549685 B1 KR102549685 B1 KR 10254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particles
mineral particulate
leaching
elemental sul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356A (ko
Inventor
폴 벤자민 포익트
아흐마드 가레만
Original Assignee
글렌코어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219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2196A0/en
Application filed by 글렌코어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렌코어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08Sulfuric acid, other 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1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organic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8Obtaining noble metals by cyan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63Hydrometallurgy
    • C22B15/0065Leaching or slurrying
    • C22B15/0067Leaching or slurrying with acids or salts thereof
    • C22B15/0071Leaching or slurrying with 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9/0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 C22B19/20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 C22B19/22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with leaching with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07Leaching processes
    • C22B23/0415Leaching processes with acids or salt solutions except ammonium salts solutions
    • C22B23/043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12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lkaline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ion-exchange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광물 미립자 물질을 침출 단계 (10)에 공급하여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가 금속(Valuable metal)이 침출 용액으로 침출되어 침출 귀액(pregnant leach liquor) 및 용해되지 않은 광물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 잔류물이 형성되고, 상기 침출 단계는 원소상 황이 상기 침출 단계에서 형성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되며,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에서 추가되거나 상기 침출 단계에서 나온 슬러리에 추가되어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침출 단계; 및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침출 귀액 및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황을 제거하도록 처리될 수 있고,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침출 단계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광물은 가용성 성분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시안화 등의 종래의 후속 공정 전에 산화를 필요로 하는 귀금속을 함유하는 저항성 철 및/또는 비소 황화물일 수 있다.

Description

침출 방법
본 발명은 침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원소상 황이 발생하나 원소상 황이 고체 잔류물에는 남아있지 않도록 작동되는 침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물 광석 또는 정광(Concentrate)을 처리하는 많은 방법은 원하는 금속을 용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광석 또는 정광을 침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용액은 이후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고, 원하는 금속을 용액으로부터 회수하도록 처리된다. 일 예로서, 몇몇 유가 금속(Valuable metal) 또는 기타 성분은 고체 잔류물로 남고, 침출 단계로부터 상기 고체 잔류물을 더 처리하여 이로부터 유가 금속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한 예로서, 알비온 공정(the Albion Process)(본 출원인의 상표임)은 일반적으로 황화물 광석 또는 정광으로서, 구리, 코발트, 납, 아연, 철 및/또는 니켈 및 귀금속을 함유하는 광석 및 정광을 산화 조건에서 산성 물질에 침출시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광석 또는 정광에 존재하는 상기 구리, 코발트, 아연 및/또는 니켈은 용액에 용해되어 이후의 고체/액체 분리 단계에서 용액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상기 광석 또는 정광이 또한 은이나 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은이나 금은 용액에 용해되지 않고 고체 잔류물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은이나 금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안화 공정이 상기 은이나 금을 고체 잔류물로부터 회수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다른 예시로는 황철석에 함유된 금 등의 황화 정광에 함유된 귀금속으로서 종래의 흐름도에서의 처리 및 산화 이후의 시안화 공정에서의 처리 전에 먼저 산화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알비온 공정에서 상기 침출 단계가 수행될 때의 산화 조건에 의해 광석 또는 정광의 황화물은 산화되어 원소상 황을 형성한다. 상기 원소상 황은 고체/액체 분리 단계 이후 고체 잔류물에 남아있다. 상기 고체 잔류물이 시안화물로 처리될 때, 상기 원소상 황은 방대한 양의 시안화물을 흡수한다. 이는 상기 공정 및 상기 은 금 회수 공정의 경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소상 황을 함유한 일부 고체 잔류물은 부유 선광(부선, Flotation)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원소상 황은 부유하고, 나머지 고체는 테일(Tail)에 남게 되어, 원소상 황이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은 또는 금 일부는 원소상 황과 함께 부유할 수 있다. 당연히 이는 은 또는 금의 상당한 수확량의 손실을 야기하거나 회수를 위한 기타 유닛 공정에서의 처리를 필요로 한다.
선행 기술 문헌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참조가, 상기 문헌이 호주 또는 기타 국가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님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광물 미립자 물질을 원소상 황이 형성되는 조건 하에서 침출시키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언급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유용하거나 상업적인 선택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광물 미립자 물질을 침출 단계에 공급하여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가 금속(Valuable metal)이 침출 용액으로 침출되어 침출 귀액(Pregnant leach liquor) 및 용해되지 않은 광물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 잔류물이 형성되고, 상기 침출 단계는 원소상 황이 상기 침출 단계에서 형성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되며,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에서 추가되거나 상기 침출 단계에서 나온 슬러리에 추가되어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침출 단계; 및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침출 귀액 및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종래의 흐름도에서의 처리 및 산화 이후의 시안화 공정에서의 처리 전에 먼저 산화되어야 하는 황철석에 함유된 금 등의 황화 정광에 함유된 귀금속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3양태를 참고하여 아래에 더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가 상기 비드 또는 입자의 최소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크기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체 잔류물에서 분리된다. 상기 크기 분리 방법은, 체분리법(Sieving process)를 포함하거나 사이클론 사이징(Sizing cyclones) 또는 원심분리법에 기반한 분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수지로 된 비드 또는 입자 로부터 비중 선별법 또는 중액 선별법(Heavy media separ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분리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황 로딩된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고체 잔류물의 상기 미립자 물질보다 낮은 비중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비드 또는 입자 및 고체 잔류물의 혼합물은 상기 황 로딩된 비드 또는 입자의 비중과 상기 고체 잔류물의 비중 사이의 비중을 가지는 중액을 함유하는 중액 선별기에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황 로딩된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중액에 뜨고 상기 고체 잔류물은 상기 중액에 가라앉음으로써, 상기 황 로딩된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선별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가 성분(Valuable component)을 회수하도록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더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금 및/또는 은을 함유하고, 상기 고체 잔류물에 시안화물을 접촉시켜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금 또는 은을 용해하도록 더 처리된다. 상기 잔류물은 백금족 금속(PGM's)과 같은 미량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금족 금속은 백금(Platinum), 루테늄(Rhuthenium), 로듐(Rhodium), 팔라듐(Palladium), 오스뮴(Osmium) 및 이리듐(Iridiu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입자 또는 비드는 이로부터 원소상 황이 제거되도록 처리된 후,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상기 침출 단계로 회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입자 또는 비드는, 상기 입자 또는 비드를 퍼니스(Furnace) 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원소상 황이 용융, 승화 또는 기화되어 이로써 상기 원소상 황을 상기 입자 또는 비드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하거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내에서 가열하여 황산을 생성하도록 하거나, 황을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원소상 황을 제거하도록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자 또는 비드로부터 회수된 상기 원소상 황은, 회수 및 판매되거나 다른 방법 또는 다른 절차 단계에서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이온 교환 수지의 입자 또는 비드, 또는 탄소함유 물질의 입자 또는 비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Lewatit AF5™(이하 “AF5”라고 함)로 판매되는 미세 다공성 탄소계 촉매를 포함한다. AF5는 작은 구형 비드 형태이다. 제조사에 따르면, AF5는 좁은 입자 크기 분포, 넓은 표면적 및 잘 구현된 기공 분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 및 고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AF5는 수처리에 있어서 광택기 및 염소계 탄화수소, MTBE, 유기 인산염, 아민, 농약, 제초제 및 대사물과 같은 유기 물질의 흡착을 위해 사용된다. 제조사에 따르면, 상기 입자 직경 분포는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조정되거나 맞춤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또는 미립자의 최소 입자 크기는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두 배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또는 미립자의 최소 입자 크기는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5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10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15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20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50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100 배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최대 입자 크기가 500 μm, 400 μm, 300 μm, 200 μm, 100 μm, 80 μm, 70 μm, 60 μm, 50 μm, 40 μm, 30 μm 또는 20 μm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최소 입자 크기가 10 mm, 5 mm, 4 mm, 3 mm, 2 mm, 1 mm, 900 μm, 800 μm, 700 μm, 600 μm, 500 μm, 400 μm, 350 μm, 300 μm, 250 μm 또는 200 μm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출 단계는,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황화물이 산화되어 상기 침출 용액에서 원소상 황을 형성하는 산화 조건에서 수행되는 산성 침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침출 단계는 대기압보다 높고 주위 온도(Ambient temperature)보다 높은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황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황화구리(Copper sulphide), 황화납(Lead sulphide), 황화아연(Zinc sulphide), 황화철(Iron sulphide), 황화비소(Arsenic sulphide), 황화니켈(Nickel sulphide) 또는 다양한 일반적 광물군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금 또는 은과 같은 귀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저항성 황화물(Refractory sulphide) 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위 온도에서 저항성 황화물 광물을 약산에 용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러한 저항성 광물의 용해는 산화제 존재 하 극한 조건이 필요하다.
상기 침출 단계의 공정 조건은 본 발명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은 상기 침출 단계가 하나 이상의 유가 금속이 상기 침출 용액에 용해되어 침출 귀액을 형성하는 동시에 원소상 황을 상기 침출 단계에서 형성하는 어떤 조건이라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침출 단계는, 하나 이상의 용해된 유가 금속을 함유하는 침출 귀액,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중 용해되지 않은 잔여물을 포함하는 고체 잔류물 및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낮은 고체 함량을 가지거나 또는 사실상 고체 함량이 없는 침출 귀액,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중 용해되지 않은 잔여물을 포함하는 고체 잔류물 및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 분리된다. 요구되는 분리를 위해서 기존에 알려진 어떠한 분리 방법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을 상기 고체 잔류물 및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이 상기 고체 잔류물 및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되는 단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이 먼저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되는 다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이 먼저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는 다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 데칸테이션(Decantation), 침전, 농축, 원심분리, 사이클론 분리, 용리(Elution)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포함하여 어떠한 고체/액체 분리 기법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된 특정 고체/액체 분리 기법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침출 귀액을 상기 고체 잔류물 및 표면 또는 내부에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혼합물 또한 일반적으로 잔여 침출 귀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출 방법은, 상기 고체 혼합물을 스트림(Stream)을 포함하는 고체 잔류물 및 표면 또는 내부에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양태로서, 본 발명은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공정에 관한 것으로, 광물 미립자 물질을 침출 단계에 공급하여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가 금속이 침출 용액으로 침출되어 침출 귀액 및 용해되지 않은 광물 성분 및 용해되지 않은 귀금속을 함유하는 고체 잔류물이 형성되고, 상기 침출 단계는 원소상 황이 상기 침출 단계에서 형성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되며,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에 존재하거나 상기 침출 단계에서 나온 슬러리에 추가되어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침출 단계,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침출 귀액 및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 잔류물을 처리하여 이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래의 흐름도에서의 처리 및 산화 이후의 시안화 공정에서의 처리 전에 먼저 산화되어야 하는 황철석에 함유된 금 등의 황화 정광에 함유된 귀금속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가 금속이 고체로 남아 있는 황화 광물 또는 정광을 처리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처리 공정은,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을 산화 단계로 공급하여 상기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가 형성되고, 원소상 황이 상기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산화로써 형성되는 산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리는,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혹은 입자와 접촉되어 상기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양태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슬러리의 다른 고체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슬러리의 액체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슬러리로부터 분리된 상기 액체는 버려지거나 적치댐(Tailings dam)에 쌓이기 전 중화되는 등의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슬러리는, 상기 액체로부터 고체를 분리하는 단계 이전에 중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해된 금속은 중화 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고체에 다시 석출될 수 있다.
상기 슬러리의 다른 고체는, 원소상 황이 로딩된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적절히 분리된다. 상기 다른 고체는, 예를 들어, 용해되지 않은 귀금속을 함유할 수 있고, 상기 귀금속은, 시안화 흐름도 등 종래의 흐름도를 따라 회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황화광물은 황철석을 포함한다. 산화 단계에서, 철은 용액으로 들어간다. 이를 따라, 상기 슬러리 또는 상기 용액은, 상기 용액을 중화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철 화합물이 석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가 중화 용액으로 처리되는 경우, 철은 상기 슬러리의 고체 상에 다시 석출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 중화 전 상기 슬러리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철은 별도의 중화 단계에서 석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귀금속은 금 및/또는 은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는 황화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저항성 황화물 광석 또는 정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상기 귀금속을 시안화 용액에 추출한 후 상기 귀금속을 상기 시안화 용액으로부터 회수하기 위해 시안화 공정으로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원소상 황이 로딩된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이로부터 원소상 황을 제거하도록 처리된 후,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침출 단계로 회수된다. 상기 원소상 황은 이후 저장되거나 판매되어 수익을 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어떠한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과 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설명 상의 기재된 어떠한 종래 기술에 대한 언급이라도, 이것이 통상의 지식을 구성한다는 것에 대한 인정 및 어떠한 형태의 제안도 아니며 그렇게 받아들여져서도 안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하기의 도면에 따라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난 흐름도는 저항성 황화물 광석 또는 정광의 구리, 코발트, 철, 비소, 아연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을 회수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공정은 침출 단계(10)을 포함하는데, 미립자 매트릭스 전체에 분산된 은 및 금뿐만 아니라 납, 구리, 코발트, 철, 비소, 아연 및/또는 니켈의 황화물을 함유하는 미세 분쇄 황화물 정광(12)을 포함한다. 상기 황화물 정광은 초 미세 분쇄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일반적으로 입자 크기를 50 μm 이하이고 P80이 20 μm 이하, 또는 P80이 10 내지 12 μm가 되게 줄인다. 상기 미세 분쇄된 미립자 농축액 스트림(12)은, 상기 침출 단계(10)으로 공급된다.
상기 침출 단계(10)은 알비온 공정 운전 파라미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알비온 공정은 본 출원인의 독점 기술이며 해당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알비온 공정은 상기 황화물 정광의 초 미세 분쇄 처리 및 이후의 대기압에서 산화 침출 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정광의 초 미세 분쇄를 통해 대기압에서 산화 침출이 가능하고, 상기 정광 내의 유가 금속을 용해할 수 있다. 상기 침출 단계의 온도는 상기 침출 용액의 끓는점 이하의 어떤 온도여도 무방하다. 일반적인 알비온 공정 침출 단계는 공정 온도 90 ℃내지 95 ℃에서 수행된다.
침출 용액(14)도 상기 침출 단계(10)에 첨가된다. 상기 침출 용액(14)는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원소상 황을 흡수하거나 포집할 수 있는 비드 또는 입자(16) 역시 상기 침출 단계(10)에 첨가된다.
상기 침출 단계(1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침출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공기나 산소가 침출 반응기에 들어 있는 침출 슬러리에 주입되고, 상기 침출 반응기는 상기 슬러리가 침전되지 않도록 교반된다. 상기 침출 단계(10) 하에서 구리, 코발트, 아연, 비소, 철 및/또는 니켈은 침출 귀액(납은 용해되지 않고 고체 잔류물에 남아있게 된다)에 용해된다. 상기 황화물은 산화에 의해 황산염과 원소상 황으로 전환된다. 상기 원소상 황은 고체 물질로서 형성된다. 황산염은 상기 액체와 고체 상에 분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소상 황을 흡수하거나 포집할 수 있는 비드 또는 입자(16)는 수지 또는 활성 탄소계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를 참고하면, 미세 탄소계 촉매 물질인 AF5 비드 또는 입자가 사용된다. 상기 AF5 비드 또는 입자는 350 μm 내지 800 μm 사이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입자 크기가 미립자 농축액(12)의 입자 크기보다 상당히 크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원소상 황이 상기 침출 단계(10)에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AF5 비드 또는 입자 상 또는 내부에 흡수될 수 있다. AF5는 상기 미립자 농축액(12)보다 원소상 황에 더 큰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AF5 비드 또는 입자 부재 하, 상기 원소상 황은 미립자 농축액 입자 상에 쌓인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수지는 교반 접촉 탱크와 같은 별도 장치에서의 침출 단계 이후 공정 슬러리와 만날 수 있다.
슬러리(18)는 상기 침출 단계(10)에서 제거된다. 상기 슬러리(18)는 용해된 구리, 아연 및/또는 니켈, 상기 침출 단계(10) 상에 투입된 상기 미립자 농축액(12) 중 용해되지 않은 잔류물 및 황 로딩된 AF5 비드 또는 입자를 함유하는 침출 귀액을 포함한다. 반면, 귀금속이 주로 황화물 정광에서 나온 경우에는 용해된 금속이 최소로 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는 고체/액체 분리 단계(20)으로 이동한다. 이는 여과 처리, 침전 처리, 데칸테이션(Decantation) 처리 또는 농축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출 귀액은 라인(22)을 따라 금속 회수 공정(24)으로 이동한다. 상기 금속 처리 공정(24)는, 전해 채취(Electrowinning), 용매 추출/전해 채취, 혼합물 석출(Mixed product precipitation) 또는 용액으로부터 용해된 금속을 회수하는 임의의 종래 금속 회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는, 고체/액체 분리 단계(20)에서 상기 침출 귀액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황 로딩된 AF5 비드 또는 입자 및 상기 광물 정광(12)의 용해되지 않은 고체 잔류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은 스트림(26)을 통해 제거되고 고체/고체 분리 단계(28)로 이동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혼합 스트림(26)은, 잔여 침출 귀액을 씻어내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세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고체 분리 공정은, 상기 황 로딩된 AF5 비드 또는 입자를 침출된 광물 정광에서 얻어진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AF5 비드 또는 입자는 350 μm 내지 800 μm의 크기를 가지는 반면, 상기 침출 단계에 공급되는 상기 미립자 물질(12)은 초 미세 분쇄되어 일반적으로 50 μm 이하의 최대 입자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눈 크기(Opening size)가 50 μm 내지 350 μm인 체(Sieve) 또는 막(Screen)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상기 황 로딩된 AF5 비드를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잔류물은 상기 체 또는 막을 통과하는 반면, 상기 AF5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체 또는 막의 상면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체 또는 막(28)을 통과한 상기 고체 잔류물 언더플로우(Underflow)(30)는, 상기 고체 잔류물 상의 금 또는 은을 회수할 수 있는 귀금속 회수 공정 플랜트(32)로 이동한다. 시안화 추출 및 상기 시안화 용액에서 금 및 은의 회수에 기반한 귀금속 회수 공정과 같은 종래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28)는 수지가 먼저 제거되는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단계(20) 이전에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황 로딩된 AF5 비드 또는 입자(34)는 상기 체 또는 막에서 제거되어 머플 퍼니스(Muffle furnace)(36)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기로 내에서, 상기 입자는 원소상 황이 용융, 승화 또는 기화되어, 상기 AF5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제거되도록 가열된다. 상기 황(38)은 포집되고 회수되어 판매되거나 다른 이용에 이용될 수 있다. 황이 제거된 상기 AF5 비드 또는 입자는 라인(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침출 단계(10)로 다시 돌아 간다. 상기 수지로부터 황을 분리하는 공정에서, 상기 수지는 가열되거나, 다른 공정에서의 고압 침출을 통해 산성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산성 조건에서 분해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로딩된 수지의 고압 침출을 통해 산을 생성하거나 상기 수지를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에 녹임으로써 상기 황을 회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흐름도가, 예를 들어, 금을 함유하는 황철석을 처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의 단계(10)에서, 슬러리가 생성되고, 상기 슬러리는 산화된다. 상기 단계는 산성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황철석 내 황을 원소상 황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철은 주로 용액에 용해된다. 상기 슬러리의 중화 단계는 고체/액체 분리 단계(20) 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스트림(22)은 상기 슬러리로부터 분리되어, 각각, 중화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의 잔여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며, 유사한 공정 조건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침출 단계에서 원소상 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의 비드 또는 입자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원소상 황을 상기 침출 단계의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해내는 간단한 액체/액체 분리 공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체 잔류물 상 대부분의 귀금속은 상기 고체 잔류물에 남아 있다. 오직 미량의 귀금속이 상기 침출 단계에서 원소상 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의 비드 또는 입자에 흡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체 잔류물의 후처리 공정에 상기 원소상 황이 크게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고체 잔류물의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후속 공정에서 첨가제 사용(Reagent consumption) (시안화물 등)이 줄어든다. 이는 공정 운영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기 귀금속의 좋은 수득률을 얻게 된다.
원소상 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의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원소상 황을 제거하고 비틀(Beetle)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로 재순환할 수 있도록, 간단한 가열 단계 등에 의해 더 처리될 수 있다. 이는 공정의 경제성을 더욱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예가 수행되었다.
실험예 1
본 실험예로는, 알비온 공정 상 벌크 아연/납 정광의 침출 단계를 거쳐 나온 잔류 납과 황화물에 대해 간단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잔여 필터 케이크 샘플을 물에 넣어 슬러리화하고 황산을 첨가하여 pH를 1.0으로 변하게 하여 상기 공정의 운전 조건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AF5 입자도 재슬러리화 단계에 첨가하였다. 침출한 슬러리를 80 ℃에서 유지하고 24 시간 동안 300 rpm으로 혼합하였다. 실험 후 상기 AF5 입자를 스크리닝하였다. 상기 고체 잔류물은 여과를 통해 수득하였다. 상기 AF5 입자 및 상기 고체 잔류물을 묽은 황산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는 (1) 고체 잔류물, (2) 원소상 황이 코팅된 AF5 수지, (3) 여과액(침출 귀액에 해당함) 및 (4) 단일 세척 단계에서의 세척액(상기 수지 및 상기 고체 잔류물의 세척에서 얻어짐)의 네 가지 결과물을 얻어 분석할 수 있었다. 적절한 분석을 통해 상기 정광에서의 총 원소상 황 중 60 %가 상기 수지 표면 상에 포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의 40 %는 상기 고체 잔류물에 남아있었다. 상기 납 중 100 %가 상기 고체 잔류물에 남아있었다. 상기 수지에서는 납이 검출되지 않았다(수행된 침출 조건 하에서는 납이 침출 귀액에 용해되지 않는다).
상기 실험의 실제 분석 결과는 표 1, 2 및 3에 나타나 있다.
고체
샘플 [Pb]% [S]% [Zn]% [Ag]%
납/황 정광 1번 16.8 ~45 1.6 0.008
납/황 정광 2번 15.6 ~47 1.7 NA
고체
샘플 [Pb]% [S]% [Zn]% [Ag]%
침출 후의 고체 잔류물 27.3 27.6 0.2 0.013
침출 후의 AF5 수지 <DL 17.9 <DL 0.0005
액체
샘플 [Pb]mg/L [S]mg/L [Zn]mg/L [Ag]mg/L
여과액 1.5 4518 713.3 <DL
세척액 0.4 1315 37.3 <DL
상기 결과는 납 정광 상 아연의 거의 대부분이 여과액(침출 귀액이었음) 및 세척액에 용해되었음을 보여준다. AF5에는 아연이 검출되지 않았고, 총 아연의 8 %가 상기 고체 잔류물에 남아 있었다. 모든 은은 고체 잔류물에서 검출되었고, 극미량이 AF5에 있었다. AF5 상의 은은 검출 한계에 다다를 정도의 아주 적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AF5는 실질적으로 은을 함유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2
본 실험예에서, 하기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a) 황 회수 테스트.
본 테스트에서는, 초 미세 분쇄된 납257.7 g을 수지(AF5) 210 g과 24 시간동안 80 ℃및 pH 1.5(황산)에서 접촉시켰다. 상기 수지로부터 원소상 황 68 g을 수득하였다. 은의 95 %가 상기 고체 잔류물에 남아 있었고, 은의 4.86 %가 원소상 황이 붙어 있는 상기 수지로부터 수득되었다.
(b) 시안화물 침출 1번
상기 황 로딩된 수지(AF5비드) 및 상기 황화물 정광의 고체 잔류물을 포함하는 상기 불완전 고체 잔류물을 시안화물 용액과 pH 10.5에서 24 시간 동안 접촉시켰다. 탄소(및 여과액)로부터 회수된 은은 38.5 %였다.
(c) 시안화물 침출 2번
본 시안화법 테스트는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상기 황 로딩된 수지 비드를 분리한 후 상기 고체 잔류물을 시안화법 테스트를 진행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황 로딩된 비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체 잔류물은 pH 10.5에서 24 시간 동안 시안화 용액과 접촉하였다. 탄소(및 여과액)로부터 회수된 은은 50 %였다.
실험예 2의 분석 결과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실험예 2는, 은 회수율이, 상기 원소상 황이 시안화법 테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37%까지, 상기 원소상 황이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체 잔류물만이 시안화법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50%까지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시안화 공정 이전에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상기 원소상 황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시안화 공정에 필요한 시안화물의 양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최적의 조건에서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에서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AF5 비드를 기술하였으나, 상기 침출 단계에서 원소상 황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비드 또는 입자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침출 단계 상의 조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또한, 원소상 황을 방출하는 처리를 할 수 있어, 상기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로 재순환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존재하는 경우)에서, 용어 '포함하는' 및 '포함하다'를 포함하는 이의 파생어는, 기재된 각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특징, 구성 요소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의 여러 곳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라는 문구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성 요소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써 임의의 적합한 방식에 의해 조합될 수 있다.
실험예 3
원소상 황이 로딩된 수지를 저산소 조건 하 400 ℃에서 2시간 동안 원소상 황을 발연하여 수집하기 위해 열 공정 처리하였다.
원소상 황은 퍼니스 내에서 생성되고 냉각된 표면에서 응축되어 순수하고, 밝은 노란색의 원소상 황을 수집하였다.
법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조 또는 방법 특징과 관련하여 다소 특이적인 언어로 기재되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나타나거나 기재된 특정한 특징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당하게 해석되어 수반되는 청구범위(필요에 따라)의 적합한 범위 내에서 그 임의의 형태 또는 변형으로서 청구된다.
[표 4]
Figure 112020001687907-pct00001
Figure 112020001687907-pct00002

Claims (30)

  1. 광물 미립자 물질을 산화 침출 단계에 공급하여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가 금속(Valuable metal)이 침출 용액으로 침출되어 침출 귀액(pregnant leach liquor) 및 용해되지 않은 광물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 잔류물이 형성되고, 상기 침출 단계는 원소상 황이 상기 침출 단계에서 산화를 통해 형성되는 산화 조건 하에서 수행되며,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에서 상기 침출 용액에 추가되거나 상기 침출 단계에서 나온 슬러리에 추가되어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침출 단계; 및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침출 귀액 및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으로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가 상기 비드 또는 입자의 최소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크기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분리 방법은, 체 분리법(Sieving process)을 포함하거나 사이클론 사이징(sizing cyclones) 또는 원심분리법에 기반한 분리를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수지로 된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비중 선별법 또는 중액 선별법(Heavy media separ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분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가 성분(Valuable component)을 회수하도록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더 처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금 및/또는 은을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고체 잔류물은, 시안화물을 접촉시켜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금 또는 은을 용해시키도록 더 처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이로부터 원소상 황이 제거되도록 처리된 후, 상기 침출 단계로 회수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상기 입자 또는 비드를 퍼니스(Furnace) 내에서 가열하여 상기 원소상 황이 용융, 승화 또는 기화되어 이로써 상기 원소상 황을 상기 입자 또는 비드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하거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내에서 가열하여 황산을 생성하도록 하거나,
    황을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원소상 황을 제거하도록 처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또는 비드로부터 회수된 상기 원소상 황은, 회수되거나, 저장되거나 또는 수익원으로서 판매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이온 교환 수지의 입자 또는 비드, 또는 탄소함유 물질의 입자 또는 비드를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또는 비드는, 구형 비드 형태의 미세 다공성 탄소계 촉매를 포함하고, 최소 입자 크기가 10 mm, 5 mm, 4 mm, 3 mm, 2 mm, 1 mm, 900 μm, 800 μm, 700 μm, 600 μm, 500 μm, 400 μm, 350 μm, 300 μm, 250 μm 또는 200 μm인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또는 미립자의 최소 입자 크기는,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두 배 크거나, 상기 비드 또는 미립자의 최소 입자 크기는,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5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10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15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20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50 배 크거나,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보다 적어도 100 배 큰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최대 입자 크기가 500 μm, 400 μm, 300 μm, 200 μm, 100 μm, 80 μm, 70 μm, 60 μm, 50 μm, 40 μm, 30 μm 또는 20 μm인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 단계는,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황화물이 산화되어 상기 침출 단계에서 원소상 황을 형성하는 산화 조건 하에 수행되는 산성 침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황화구리(Copper sulphide), 황화납(Lead sulphide), 황화아연(Zinc sulphide), 황화니켈(Nickel sulphide), 황화코발트(Cobalt sulphide), 황화비소(Arsenic sulphide) 및 황화철(Iron sulph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황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 단계는, 하나 이상의 용해된 유가 금속을 함유하는 침출 귀액,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중 용해되지 않은 잔여물을 포함하는 고체 잔류물 및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비드 또는 입자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침출 귀액, 상기 고체 잔류물, 및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고체 함량이 없는 침출 귀액,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중 용해되지 않은 잔여물을 포함하는 고체 잔류물 및 상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비드 또는 입자로 분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을 상기 고체 잔류물 및 상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이 상기 고체 잔류물 및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되는 단일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이 먼저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되는 다수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상기 침출 귀액이 먼저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는 다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액체 분리 단계는, 침출 귀액을 상기 고체 잔류물 및 상기 표면 또는 내부에 황을 가지는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침출 방법은, 상기 고체 혼합물을 스트림(Stream)을 포함하는 고체 잔류물 및 상기 표면 또는 내부에 황을 가지는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의 침출 방법.
  18. 광물 미립자 물질을 산화 침출 단계에 공급하여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가 금속이 침출 용액으로 침출되어 침출 귀액 및 용해되지 않은 광물 성분 및 용해되지 않은 귀금속을 함유하는 고체 잔류물이 형성되고, 상기 침출 단계는 원소상 황이 상기 침출 단계에서 산화를 통해 형성되는 산화 조건 하에서 수행되며,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또는 입자가 상기 침출 단계에 존재하거나 상기 침출 단계에서 나온 슬러리에 추가되어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침출 단계;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침출 귀액 및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 잔류물을 처리하여 이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방법으로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가 상기 비드 또는 입자의 최소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크기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은, 금 및/또는 은인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미립자 물질은, 미립자 물질, 저항성 황화물 광석(Refractory sulphide ore) 또는 정광(Concentrate)을 함유하는 황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방법.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잔류물은, 상기 귀금속을 시안화 용액에 추출한 후 상기 귀금속을 상기 시안화 용액으로부터 회수하기 위해 시안화 공정으로 처리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방법.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소상 황으로 로딩된 비드 또는 입자는, 이로부터 원소상 황을 제거하도록 처리된 후,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상기 침출 단계로 회수되는 것인,
    광물 미립자 물질 내 귀금속의 회수 방법.
  23.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을 산화 침출 단계로 공급하여 상기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가 형성되고, 원소상 황이 상기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산화로써 형성되고, 상기 슬러리는 원소상 황을 흡수하는 비드 또는 입자와 접촉되어 상기 원소상 황이 상기 비드 또는 입자에 의해 흡수되거나 이들 비드 또는 입자 상에 모이는, 산화 침출 단계; 및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를 상기 슬러리의 다른 고체 및 상기 슬러리의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은, 상기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최대 입자 크기가 상기 비드 또는 입자의 최소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표면 또는 내부에 원소상 황을 가지는 상기 비드 또는 입자는, 크기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고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처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중화되거나, 상기 슬러리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액체는 중화되는 것인,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처리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의 다른 고체는, 원소상 황이 로딩된 상기 비드 또는 입자로부터 분리되는 것이고,
    상기 다른 고체는, 용해되지 않은 귀금속을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귀금속은, 이후 회수되는 것인,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처리 방법.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광물은, 황철석(Pyrite)을 포함하는 것인,
    황화광물 미립자 물질의 처리 방법.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207000484A 2017-06-08 2018-06-07 침출 방법 KR102549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2196A AU2017902196A0 (en) 2017-06-08 Leaching Process
AU2017902196 2017-06-08
PCT/AU2018/050565 WO2018223190A1 (en) 2017-06-08 2018-06-07 Leach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356A KR20200016356A (ko) 2020-02-14
KR102549685B1 true KR102549685B1 (ko) 2023-06-30

Family

ID=6456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484A KR102549685B1 (ko) 2017-06-08 2018-06-07 침출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1572605B2 (ko)
EP (1) EP3635143A4 (ko)
KR (1) KR102549685B1 (ko)
CN (1) CN110997954B (ko)
AR (1) AR112082A1 (ko)
AU (1) AU2018280348B2 (ko)
BR (1) BR112019025903B1 (ko)
CA (1) CA3066631A1 (ko)
CL (1) CL2019003563A1 (ko)
CO (1) CO2019014129A2 (ko)
DO (1) DOP2019000304A (ko)
EA (1) EA201992845A1 (ko)
EC (1) ECSP19086741A (ko)
MX (1) MX2019014681A (ko)
MY (1) MY201328A (ko)
NZ (1) NZ759925A (ko)
PE (1) PE20200435A1 (ko)
PH (1) PH12019502775A1 (ko)
SA (1) SA519410761B1 (ko)
WO (1) WO2018223190A1 (ko)
ZA (1) ZA2019080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2779B (zh) * 2022-05-06 2023-04-07 河南理工大学 一种从载金高硫煤中回收金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8510A (zh) * 2012-10-24 2013-01-23 广西天鸿鑫锰业科技有限公司 常温常压还原浸出低品位氧化锰制备硫酸锰溶液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72101A (en) * 1920-08-28 1921-11-28 Walter George Perkin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complex sulphide ores
US3413114A (en) * 1965-01-07 1968-11-26 Int Nickel Co Process for recovering osmium
US4206023A (en) * 1978-05-12 1980-06-03 Occidental Research Corporation Zinc recovery by chlorination leach
DE3031007A1 (de) * 1980-08-16 1982-04-08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0 Köln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sulfidischen zinkerzen
US4405569A (en) * 1981-11-04 1983-09-20 Sulpetro Minerals Limited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extracting metal values from complex ores containing arsenic and sulfur
WO2007053947A1 (en) * 2005-11-10 2007-05-18 Barrick Gold Corporation Thiosulfate generation in situ in precious metal recovery
CN101698904B (zh) * 2009-08-14 2011-10-26 深圳市东江环保股份有限公司 有色金属硫化矿物的浸出方法及其浸出滤渣中的硫磺回收方法
CN102618724B (zh) 2012-04-26 2013-12-18 大恩(天津)环境技术研发有限公司 垃圾焚烧飞灰熔融飞尘中重金属分离回收的方法
CN104785357B (zh) * 2015-04-01 2017-07-07 长沙矿冶研究院有限责任公司 从海底多金属硫化矿耦合复合矿中提取有价金属的方法
CN105752940A (zh) * 2016-04-01 2016-07-13 刘罗平 一种从湿法冶金高硫渣中回收硫及有价金属的工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8510A (zh) * 2012-10-24 2013-01-23 广西天鸿鑫锰业科技有限公司 常温常压还原浸出低品位氧化锰制备硫酸锰溶液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908098B (en) 2023-06-28
CO2019014129A2 (es) 2020-05-29
BR112019025903A2 (pt) 2020-06-30
CN110997954A (zh) 2020-04-10
AU2018280348B2 (en) 2024-02-15
US20200190624A1 (en) 2020-06-18
BR112019025903B1 (pt) 2023-03-07
PH12019502775A1 (en) 2020-10-26
DOP2019000304A (es) 2020-03-15
EP3635143A1 (en) 2020-04-15
MY201328A (en) 2024-02-16
CA3066631A1 (en) 2018-12-13
ECSP19086741A (es) 2020-05-29
AR112082A1 (es) 2019-09-18
WO2018223190A1 (en) 2018-12-13
US11572605B2 (en) 2023-02-07
NZ759925A (en) 2022-10-28
MX2019014681A (es) 2020-02-07
SA519410761B1 (ar) 2022-12-08
EP3635143A4 (en) 2021-01-06
CN110997954B (zh) 2022-04-26
PE20200435A1 (es) 2020-02-28
KR20200016356A (ko) 2020-02-14
EA201992845A1 (ru) 2020-04-10
AU2018280348A1 (en) 2020-01-02
CL2019003563A1 (es)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8705B2 (en)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copper-bearing ore
AU2018204491A1 (en) Hydrometallurgical treatment process for extraction of precious, base and rare elements
CA1234291A (en) Recovery of gold from auriferous refractory iron- containing sulphidic material
WO1994006944A1 (en) A method for recovering gold and other precious metals from carbonaceous ores
AU2014272804B2 (en) Method for arsenic oxidation and removal from process and waste solutions
JPH10507232A (ja) 硫化物精鉱からの亜鉛の回収
US6251163B1 (en) Method for recovering gold from refractory carbonaceous ores
WO2009072908A2 (en) Gold recovery system and process therefor
AU2007219621B2 (en) Recovery process for precious metals
EA007160B1 (ru) Способ экстракции металлов платиновой группы
EP2500442B1 (de) Prozess zur Rückgewinnung von Edelmetall aus funktionalisierten edelmetallhaltigen Adsorptionsmaterialien
JP2010180450A (ja) 硫化銅鉱物からの金の濃縮方法
KR102549685B1 (ko) 침출 방법
CA1221842A (en) Treatment of ores
EA043109B1 (ru) Способ выщелачивания
US4992097A (en) Metal recovery process
Ben Optimizing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Gold in AuCN Solution A Refinery Overview of the Gold Processing Plant of Porgera Gold
CA3002913C (en) Method for recovering gold
US1335001A (en) Metallurgical process
JP5987769B2 (ja) 銅製錬ダストの処理方法、並びに銅製錬の操業方法
CN113337721A (zh) 从冶炼炉渣中回收金银的工艺
JPH11124636A (ja) 亜鉛浸出残渣の処理方法
Rowe et al. Characterization and recovery of gold associated with fine, activated carbon
GB2189235A (en) Extraction of sulphur from iron minerals treated by oxidising lixiviation
AU2371699A (en) A method for recovering gold and other precious metals from carbonaceous 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