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74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974B1
KR102548974B1 KR1020220079485A KR20220079485A KR102548974B1 KR 102548974 B1 KR102548974 B1 KR 102548974B1 KR 1020220079485 A KR1020220079485 A KR 1020220079485A KR 20220079485 A KR20220079485 A KR 20220079485A KR 102548974 B1 KR102548974 B1 KR 10254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ebrae
cervical
thoracic
occipital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박상희
정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박상희, 정지선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102022007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체는,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체를 평면에 배치하였을 때, 제1 수용체와 평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흉추 지지부, 후두골 지지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추 지지부, 축추 지지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와 후두골 지지부가 지면에 접하는 것을 가정할 때, 상기 흉추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대 경추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비는 2:1인, 베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흉추와 경추, 축추부, 그리고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를 갖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추나 어깨 등의 결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베개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경추 보호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들은 대부분 베개의 중앙부위를 천공하거나, 중앙에 오목한 부위(요입부)를 형성하여 머리 받침 시 후두부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에 의해 경추부위가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도록 하여 쾌적한 수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게들은 후두부를 유효적절하게 지지해 주는 요입부의 구성 자체가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머리 받침 시 후두부가 베개를 통과하여 지면과 맞닿게 되거나 후두부를 잡아주는 부위(지지부)를 가진 베개도 이 지지부가 특별한 지지역할을 못하여, 사실상 후두부가 지지부와 함께 지면에 닿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뿐이었다.
또한, 이러한 베개를 베고 누었을 때 경추의 휨 각도가 과다하여, 오히려 경추 보호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한편, 시중에 나와있는 베개들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체적인 치수, 일체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바, 아무리 기능성이 좋은 형태로 제작된 베개라 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신체 특성과 맞지 않는 경우 그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였다.
따라서, 흉추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후두부의 각도를 최적화된 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최적화된 형태를 갖는 베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가 사용자의 흉추, 경추, 축추,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축추 지지부가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골 사이에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 건강 유지 및 후두골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그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수치를 갖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체는,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체를 평면에 배치하였을 때, 제1 수용체와 평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흉추 지지부, 후두골 지지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추 지지부, 축추 지지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와 후두골 지지부가 지면에 접하는 것을 가정할 때, 상기 흉추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대 경추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비는 2:1인, 베개가 제공된다.
상기 흉추 지지부와 경추 지지부의 양단 간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Y)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설정되고,
Figure 112022067834411-pat00001
상기 H는 상기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장이다.
축추 지지부의 양단을 잇는 직선과 상기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신체에 있어서 상부 경추 부분과 지면 간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개가 사용자의 흉추, 경추, 축추,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축추 지지부가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골 사이에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추 건강 유지 및 후두골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개가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그 기능이 최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수치를 갖게 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람의 상부 경추 부분과 지면 간의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덮개(100), 상기 덮개(100) 내에 수용되는 제1 수용체(200) 및 제2 수용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100)는 공지의 천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용체(200) 및 제2 수용체(300)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다.
덮개(100)의 내부는 2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1층과 2층을 나누는 칸막이(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을 수 있다. 1층에는 제1 수용체(200)가 수용되고, 2층에는 제2 수용체(300)가 수용된다.
제1 수용체(200)와 제2 수용체(300)는 상기 칸막기(1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적층되는 형태로 덮개(100) 내에 배치되며, 제1 수용체(200)와 제2 수용체(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다.
덮개(100)의 일측에는 제1 수용체(200) 및 제2 수용체(300)의 삽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부(120, 130)가 형성된다. 제1 개방부(120) 및 제2 개발부(130)는 각각 덮개(100) 내에서 칸막이(110)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덮개(100) 내에서 칸막이(110)의 하부, 즉, 1층 공간의 일측에 제1 개방부(120)가 형성되고, 칸막이(110)의 상부, 즉, 2층 공간의 일측에 제2 개방부(130)가 형성된다. 제1 개방부(120)를 통해서는 제1 수용체(200)가 삽입 또는 인출이 되고, 제2 개방부(130)를 통해서는 제2 수용체(300)가 삽입 또는 인출이 된다.
제1 개방부(120) 및 제2 개방부(130)는 지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수용체(200)는 플라스틱 등의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수용체(300)는 라텍스, 메모리폼 등의 푹신하며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용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에서, A-A' 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용체(200) 및 제2 수용체(300)는 재질만 다를 뿐 그 형상은 동일하다.
도 3은 제1 수용체(200)의 단면도를 표시하지만, 제2 수용체(300) 또한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수용체(200)는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A),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B), 경추와 후두골 사이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C),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D, 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흉추 지지부(A)의 일단은 베개의 말단으로서 기능하며, 흉추 지지부(A)의 타단은 경추 지지부(B)와 연결된다.
흉추 지지부(A)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도 3에서, 점 a와 d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면, 흉추 지지부(A)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하부로 오목한 형태, 즉, 그루브(groove)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경추 지지부(B)의 일단은 흉추 지지부(A)와 연결되며, 타단은 축추 지지부(C)와 연결된다.
경추 지지부(B)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도 3에서, 점 d와 f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면, 경추 지지부(B)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 전체를 놓고 볼 때,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를 연결하는 부분, 즉, 도 3에서 점 d는 변곡점을 형성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도 3에서 점 a, b, c, d, e, f 간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단면도에 있어서 흉추 지지부(A)의 전체 길이가 경추 지지부(B)의 전체 길이의 약 2~3배가 될 수 있다.
축추 지지부(C)는 경추 지지부(B)와 후두골 지지부(D, E)를 연결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추 지지부(C)의 일단, 즉, 경추 지지부(B)와 연결되는 부분(점 f)과 접하는 가상의 제1 직선을 가정하고, 축추 지지부(C)의 타단, 즉, 후두골 지지부(D, E)와 연결되는 부분(점 g)과 접하는 가상의 제2 직선을 가정하면, 제1 직선과 제2 직선은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수용체(200)를 평면에 배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직선은,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2 직선은,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축추 지지부(C)는 상기 점 f 와 점 g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볼록한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1 직선과 제2 직선이 전술한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축추 지지부(C)는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골 사이의 영역, 즉, 환추 또는 축추에 일정 정도의 압력을 가하게 되며, 사용자의 후두부가 자연스럽게 후두골 지지부(D, E)에 안착되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추 지지부(C)에 있어서,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 즉, 점 f와 점 g를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는 약 2cm로 형성될 수 있다.
후두골 지지부(D, E)는 제1 후두골 지지부(D) 및 제2 후두골 지지부(E)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후두골 지지부(D)의 일단은 축추 지지부(C)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후두골 지지부(E)와 연결된다. 제1 후두골 지지부(D)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도 3에서, 점 g와 h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면, 제1 후두골 지지부(D)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후두골 지지부(E)의 일단은 제1 후두골 지지부(D)와 연결되고, 타단은 베개의 말단을 형성된다. 제2 후두골 지지부(E)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도 3에서, 점 h와 i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면, 상기 직선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후두골 지지부(E)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직선이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 즉, 제2 후두골 지지부(E)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수용체(20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흉추 지지부(A)의 일단으로부터 후두골 지지부(D, E)의 말단까지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흉추 지지부(A), 경추 지지부(B), 축추 지지부(C), 후두골 지지부(D, E)가 상기 설명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수용체(200)를 바닥, 즉, 평면에 배치하였을 때, 평면과 제1 수용체(2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소정의 직선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는 것은, 그 형상이 상기 공간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고, 볼록하게 형성된다는 것은, 그 형상이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수용체(300) 또한 제1 수용체(2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8번 흉추(T8)부터 시작되어, 흉추, 경추, 후두부를 지지해준다. 8번 흉추(T8)부터 시작되는 이유는 바닥면에 천골(sacrum)이 접하여 닿았을 때, 5~6번 흉추와 견갑골 부위도 자연스럽게 베개와 접하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를 잡아주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에 있어서, 지면을 기준으로 흉추부를 지지하는 흉추 지지부(A)와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B)의 길이의 비는 2:1이다. 환언하면, 베개를 지면에 배치하였을 때, 흉추 지지부(A)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대 경추 지지부(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의 비는 2:1이다. 이는 8번 흉추(T2)로부터 7번 경추(C7) 간의 거리와, 7번 경추(C7)로부터 2번 경추인 축추(C2)까지의 거리 간의 비율이 대략 2:1이기 때문이다.
한편, 축추 지지부(C)는 후두하근 중 소후두직근, 상두사근 등을 지지해주는 부위이다. 축추 지지부(C)는 후두하근에 압력을 가해 상부 경추(C1 C2)의 긴장을 줄여주고, 하부 경추(C3~C7)에는 신전력을 가해 평소 기립생활 시 중력에 의해 누적된 하부압력을 감압해주기 위한 돌출부이다.
또한, 제1 후두골 지지부(D)는 후두부가 위치할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축추 지지부(C) 부위에서 후두하근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실사용 시에는 후두부와 제1 후두골 지지부(D)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생기며, 사용자의 후두부는 제1 후두골 지지부(D)로부터 살짝 떠있는 상태가 된다.
제2 후두골 지지부(E)는 후두골이 살짝 접하는 부위이다. 흉추 지지부(A), 경추 지지부(B), 축추 지지부(C)에서 사용자의 무게가 대부분 지지되기 때문에, 제2 후두골 지지부(E) 부위에서는 가벼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를 지지해주기 위한 최적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그 각 부분의 상세 수치 및 형태는 달라져야 할 것이다.
신장이 180cm인 사용자의 경우, 축추(C2)로부터 8번 흉추(T2)까지의 길이는 약 30cm이다.
즉, 베개를 지면에 배치하였을 때, 도 3에서, 점 a를 지나며, 지면에 수직한 직선과 지면이 만나는 지점을 a', 점 f를 지나며, 지면에 수직한 직선과 지면이 만나는 지점을 f'로 가정하면, 사용자의 신장이 180cm일 때, a'로부터 f'까지의 거리는, 30cm가 되어야 한다.
이 경우를 표준 사이즈로 가정하면, 비례식에 의해, 각 신장별로 a'와 f' 간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신장(cm) 선분a'f'(cm) 배율(%)
190 31.67 105.56
189 31.50 105.00
188 31.33 104.44
187 31.17 103.89
186 31.00 103.33
185 30.83 102.78
184 30.67 102.22
183 30.50 101.67
182 30.33 101.11
181 30.17 100.56
180 30.00 100.00
179 29.83 99.44
178 29.67 98.89
177 29.50 98.33
176 29.33 97.78
175 29.17 97.22
174 29.00 96.67
173 28.83 96.11
172 28.67 95.56
171 28.50 95.00
170 28.33 94.44
169 28.17 93.89
168 28.00 93.33
167 27.83 92.78
166 27.67 92.22
165 27.50 91.67
164 27.33 91.11
163 27.17 90.56
162 27.00 90.00
161 26.83 89.44
160 26.67 88.89
159 26.50 88.33
158 26.33 87.78
157 26.17 87.22
156 26.00 86.67
155 25.83 86.11
154 25.67 85.56
153 25.50 85.00
152 25.33 84.44
151 25.17 83.89
150 25.00 83.33
즉, 사용자의 신장이 H일 때, 베개에 있어서,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까지의 양단 평행 길이(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Y)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67834411-pat00002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가지의 양단 평행 길이는 위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베개의 다른 부분, 즉, 축추 지지부(C), 제1 후두골 지지부(D), 제2 후두골 지지부(E)도 닮은꼴을 유지하며, 그 형태 및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의 형태도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가지의 양단 평행 길이가 달라짐에 따라, 닮은꼴로 변형된다.
축추 지지부(C)의 양단을 잇는 직선의 길이, 즉, 점 f와 점 g를 잇는 직선의 길이는 사용자의 신장이 180cm인 경우, 2cm로 설정될 수 있고, 이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신장에 따라, 비례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 f와 점 g를 잇는 직선의 길이(Z)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2067834411-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H는 사용자의 신창이다.
예를 들어, 신장이 150cm인 경우, 점 f와 점 g를 잇는 직선의 길이는, 1.67cm(=150cm×(2cm/180cm))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부 경추(C1)는 사람마다 신전 및 굴곡되어 있는 정도가 다르다.
도 5는 사람의 상부 경추 부분과 지면 간의 각도(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각도(α)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에서, 점 f와 점 g를 지나는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다.
사용자의 앙와위(사람이 취할 수 있는 자세의 일종으로, 등을 아래쪽으로 하고 가슴을 위쪽으로 하여 엎드리는 자세)에서 상부 경추를 가볍게 신전시켰을 때, 축추(C2)와 외후두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를 이은 직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각도(α)가 된다.
즉, 위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상부 경추 부분과 지면 간의 각도(α)를 측정하여, 베개에 있어서의 점 f와 점 g를 지나는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α)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개 제작 시, 점 f를 고정한 상태에서 점 g를 이동시키며 성형함으로써, 해당 각도(α)를 맞출 수 있다.
상기 각도(α)는 상부 경추 긴장도에 따라 30도에서 50도의 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 견인 효과는 50도에서 뛰어나고, 상부 경추의 긴장이 심해서 신전이 어려운 경우에는 각도를 30도에 가깝게 줄여서 스트레칭 강도로 약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 각도(α)에 따라 점 g가 특정되면, 점 f와 점 g를 지나는 직선에 점 h가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제1 후두골 지지부(D)를 성형하고, 이어서 제2 후두골 지지부(E)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점 h 까지의 높이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점 h까지의 높이(k)는 1cm 이상 4cm 이하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의 경추부 체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북목이 심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k값이 커지게 되고, 상부 경추가 잘 젖혀지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k값이 작아져 최소값인 1cm까지 작게 성형될 수도 있다.
k 값이 달라짐에 따라, 제2 후두골 지지부(E)의 최상면과 지면 간의 높이 또한 달라지게 된다. 이는 제2 후두골 지지부(E)의 두께를 다르게 하거나, 제2 후두골 지지부(E)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는 경우, 제2 후두골 지지부(E)의 말단으로부터 지면까지 연장되는 추가 지지부(미도시됨)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신장이 작아질수록, 흉추 지지부(A), 경추 지지부(B), 축추 지지부(C), 제1 후두골 지지부(D)의 길이가 닮은꼴로 작아지게 되는데, 이 때, 제2 후두골 지지부(E)의 수평 길이는 상기 다른 부분의 길이가 작아진 만큼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개가 사용자의 흉추, 경추, 축추,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축추 지지부가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골 사이에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추 건강 유지 및 후두골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개가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그 기능이 최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수치를 갖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덮개
110: 칸막이
120: 제1 개방부
130: 제2 개방부
200: 제1 수용체
300: 제2 수용체

Claims (3)

  1. 내부에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에 각각 수용되는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체는,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체를 평면에 배치하였을 때, 제1 수용체와 평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흉추 지지부, 후두골 지지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추 지지부, 축추 지지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와 후두골 지지부가 지면에 접하는 것을 가정할 때, 상기 흉추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대 경추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 비는 2:1이고,
    상기 흉추 지지부와 경추 지지부의 양단 간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Y)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설정되며,
    Figure 112023047952163-pat00004

    상기 H는 상기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장인, 베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축추 지지부의 양단을 잇는 직선과 상기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신체에 있어서 상부 경추 부분과 지면 간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베개.
KR1020220079485A 2022-06-29 2022-06-29 베개 KR10254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85A KR102548974B1 (ko) 2022-06-29 2022-06-29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85A KR102548974B1 (ko) 2022-06-29 2022-06-29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974B1 true KR102548974B1 (ko) 2023-06-27

Family

ID=8694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485A KR102548974B1 (ko) 2022-06-29 2022-06-29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9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85Y1 (ko) * 2005-05-06 2005-08-24 이용수 등베개
JP2011072761A (ja) * 2009-10-01 2011-04-14 Tetsuya Matsushima 多層式枕
KR101811282B1 (ko) * 2017-04-07 2017-12-21 공재철 기능성을 구비한 목침형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85Y1 (ko) * 2005-05-06 2005-08-24 이용수 등베개
JP2011072761A (ja) * 2009-10-01 2011-04-14 Tetsuya Matsushima 多層式枕
KR101811282B1 (ko) * 2017-04-07 2017-12-21 공재철 기능성을 구비한 목침형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3983B1 (en) Pillow
US9113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ervical contour pillow
US20160296031A1 (en) Support pillows and mattresses for body alignment
US20050102756A1 (en) Cushioning device
US20040074008A1 (en) Memory foam mattress system
KR20060112248A (ko) 베개
US20130232691A1 (en) Anatomically shaped pillow
US7926134B2 (en) Spinal supporting sleep pillow
JP2011067260A (ja)
US3234569A (en) Pillow
US6954953B2 (en) Novelty cushion
CN109068858A (zh) 具有低压力和对齐的高效床垫
US20160100701A1 (en) Pillow
US20080216242A1 (en) Orthopedic pillow having improved incremental compressive resistance for improved cervical support
KR102548974B1 (ko) 베개
KR101293259B1 (ko) 사용자 체형 맞춤 베개
US5845353A (en) Water bed with internal air filled tubes
JP2010246718A (ja) 寝返りしやすい枕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380629B1 (ko)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JP3219589U (ja) 形状・高さ調節可能安眠枕
KR200497420Y1 (ko) 베개
US4924540A (en) Pillow
KR200245990Y1 (ko) 베개
KR200243798Y1 (ko) 베개
JP4551100B2 (ja) 改良敷ふと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