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29B1 -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29B1
KR101380629B1 KR1020120075946A KR20120075946A KR101380629B1 KR 101380629 B1 KR101380629 B1 KR 101380629B1 KR 1020120075946 A KR1020120075946 A KR 1020120075946A KR 20120075946 A KR20120075946 A KR 20120075946A KR 101380629 B1 KR101380629 B1 KR 10138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pula
support
pillow
laryngeal
cervical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664A (ko
Inventor
이행우
Original Assignee
(주)대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도산업 filed Critical (주)대도산업
Priority to KR102012007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6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의 상하폭을 증가시켜 인체의 어깨와 등 부분에도 베개 쿠션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두부, 경추, 견갑골로 이어지는 인체굴곡에 맞도록 베개를 상중하 3개 부분으로 구획하고, 각 구획된 구역은 쿠션높이와 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어깨 결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경추를 지지하는 쿠션의 높이를 더 증가시켜 사용자 머리가 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하게 하여 인후부를 넓힘으로써 코골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후두받침부와; 상기 후두받침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후두받침부와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받쳐주는 견갑골받침부와; 상기 후두받침부와 견갑골받침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목을 받쳐주는 경추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A Pillow for Preventing the Snoring and Protecting the Cervical Vertebrae and Scapula}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의 상하폭을 증가시켜 인체의 어깨와 등 부분에도 베개 쿠션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두부, 경추, 견갑골로 이어지는 인체굴곡에 맞도록 베개를 상중하 3개 부분으로 구획하고, 각 구획된 구역은 쿠션높이와 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어깨 결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경추를 지지하는 쿠션의 높이를 더 증가시켜 사용자 머리가 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하게 하여 인후부를 넓힘으로써 코골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 또는 휴식을 위해 누웠을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침구로써 숙면을 유도하고 경추 보호를 통한 신체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호흡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우면 후두부가 경추보다 더 돌출되므로 각 신체부위에 대한 압박이 부위별로 크게 차이가 나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즉, 베개는 상부면이 평면을 갖는 전형적인 형태를 갖고 있어 사용자가 위를 보고 누웠을 때 후두부와 경추부분의 다른 돌출높이에 의해 턱을 몸체로 당기는 자세로 눕게 된다. 물론 베개의 몸체를 완충기능이 있는 쿠션으로 형성하여 어느 정도 높이차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역시 머리와 목에 대한 압력차를 좁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근래에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이 후두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경추가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달리하는 베개가 출시되어 후두부와 경추에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숙면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베개는 머리와 목부분이 위치하는 베개의 높이를 달리하여 상하방향 높이차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사람이 눕게 되면 베개의 쿠션에 의해 높이차이가 현저하게 낮아져 경추를 지지하는 효과를 보기 어려웠다. 또한 대부분의 기능성 베개가 경추와 후두부의 높이차에 따른 문제만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인체의 척추를 보면 경추 하부의 어깨부분인 견갑골도 굴곡 되어있어 베개에 누우면 목과 근접되는 상부등 부분이 바닥면과 이격되어진다. 이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부등에는 하향 하중이 전달되나 기존 베개는 경추만 지지하고 있으므로, 경추와 근접된 어깨근육을 하부로 당기게 되어 어깨 결림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종래에 선 출원되어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10-2007-0043320의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에서는 베개의 쿠션부재를 다수 구획하고, 구획된 베개 길이방향의 양측면과, 중간부분에서의 베개 폭방향 상하 및 중심 부분 높이를 서로 달리 형성하여 사용자가 바로 눕거나 측면으로 누웠을 때 가변되는 머리높이를 지지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베개의 중간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후두부가 안치되도록 하고, 목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충진물의 충진정도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추받침을 형성하여 후두부와 경추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으나, 기존 베개와 마찬가지로 후두부와 경추만을 지지하고 있어 어깨부분 즉 견갑골의 들뜸에 의해 발생되는 어깨 결림을 예방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개의 상하폭을 증가시켜 인체 어깨부분도 쿠션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두부와 경추 및 견갑골로 이어지는 인체굴곡에 맞도록 베개의 상하폭을 3개 구역으로 구획하여 후두받침부와 견갑골받침부 및 경추받침부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각 받침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각 부위에 대해 고른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추받침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여 후두부가 뒤로 젖혀져 인후부가 넓혀지도록 해 코골이를 완화시키도록 하고, 견갑골받침부는 높아진 경추받침부와 근접된 상단은 높게 형성하고 하단은 낮게 형성하여 완만한 곡면을 갖는 어깨의 각 지점에 대해 고른 지지력을 제공해 하나의 쿠션 내에서도 하중 쏠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후두받침부와; 상기 후두받침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후두받침부와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받쳐주는 견갑골받침부와; 상기 후두받침부와 견갑골받침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목을 받쳐주는 경추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베개의 상하폭을 증가시켜 인체 어깨부분도 쿠션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두부와 경추와 견갑골로 이어지는 인체굴곡에 맞도록 베개의 상하폭을 3개 구역으로 구획하여 후두받침부와 견갑골받침부 및 경추받침부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각 받침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각 부위에 대해 고른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신체의 긴장을 완화시켜 어깨 결림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추받침부의 높이를 높여 후두부가 뒤로 젖혀 인후부가 넓혀지도록 해 코골이를 완화시키도록 하고, 견갑골받침부는 높아진 경추받침부와 근접된 상단은 높게 형성하고 하단은 낮게 형성하여 완만한 곡면을 갖는 어깨의 각 지점에 대해 고른 지지력을 제공해 하나의 쿠션 내에서도 하중 쏠림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척추 골격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후두받침부와; 상기 후두받침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후두받침부와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받쳐주는 견갑골받침부와; 상기 후두받침부와 견갑골받침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목을 받쳐주는 경추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두받침부의 전방 상단과 상기 견갑골받침부의 후방 상단 사이에는 삽입된 경추받침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복수개의 고정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후두받침부 및 견갑골받침부와 일체감을 형성하고 탈락을 방지하도록 역삼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갑골받침부의 상부면은 후방 상단에서 전방 하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척추 골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후두받침부(1), 견갑골받침부(2), 경추받침부(3), 연결부(4)를 포함한다.
상기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쿠션재(61)가 내장되는 내피(6)와 상기 내피(6)를 감싸는 외피(7)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재(61)로는 우레탄, 라텍스, 메모리폼, 스폰지, 스티로폼, 기타 합성수지재 중에 어느 하나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7)는 부직포, 천연 또는 합성섬유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쿠션재(61)는 솜과 같이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추받침부(3)의 충진재(62)는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목을 받쳐주기 위해 상기 솜보다 쿠션이 덜한 합성수지재 입자 혹은, 나무 알갱이, 꽃잎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두받침부(1)는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게 되며, 외형상 직사각형 형태이지만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을 가지며, 후두받침부(1)의 외피(7)의 하부에는 쿠션재(61)가 내장된 내피(6)를 외피(7) 안으로 넣었다 꺼냈다 할 수 있도록 지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견갑골받침부(2)는 상기 후두받침부(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부(4)에 의해 상기 후두받침부(1)와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등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견갑골받침부(2)는 외형상 삼각형 형태이지만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경추받침부(3)의 하중에 의해 눌리면서 만곡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견갑골받침부(2)의 외피(7)의 하부에는 쿠션재(61)가 내장된 내피(6)를 외피(7) 안으로 넣었다 꺼냈다 할 수 있도록 지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견갑골받침부(2)의 상부면은 후방 상단에서 전방 하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작은 공간에서도 어깨에 견갑골받침부(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견갑골받침부(2)는 사용자의 어깨와 등을 지지하도록 약 10~20도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추받침부(3)는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사이 공간에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목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경추받침부(3)의 일측에는 충진재(62)가 내장된 내피(6)를 외피(7) 안으로 넣었다 꺼냈다 할 수 있도록 지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경추받침부(3)는 상기 후두받침부(1) 및 견갑골받침부(2)와 일체감을 형성하고 탈락을 방지하도록 역삼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쿠션재보다 하중이 많이 나가는 충진재(62)를 사용하는 역삼각형의 경추받침부(3)를 상기 후두받침부(1)의 전면과 견갑골받침부(2)의 후면에 각각 면접되게 삽입함으로써, 경추받침부(3)의 위치를 고정시켜 돌지 않고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후두받침부(1)의 전방 상단과 상기 견갑골받침부(2)의 후방 상단 사이에는 삽입된 경추받침부(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복수개의 고정끈(5)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끈(5)에 의해 경추받침부(3)를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 사이에 좀 더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도 경추받침부(3)가 쉽게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경추받침부(3)는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추받침부(3)에 의해 사용자의 후두부가 뒤로 젖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인후부가 넓어지면서 코골이를 완화시킨다.
상기 경추받침부(3)는 삽입과 이탈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 시 경추받침부(3)의 외부에 수건 등을 감아 높이를 조정하거나 충진재 양의 가감을 통하여 각자의 목 높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후두받침부(1)의 외피(7)의 전방 하단에서 외피(7)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견갑골받침부(2)의 외피(7)의 후방 하단까지 연장 형성되되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로 구획되도록 2개의 재봉선(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는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사이에 삽입되는 경추받침부(3)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는 후두부와 경추와 어깨와 등으로 이어지는 인체굴곡에 맞도록 베개의 상하폭을 3개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각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 및 경추받침부(3)를 배치하고,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 및 경추받침부(3)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각 부위에 대해 고른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신체의 긴장을 완화시켜 어깨 결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경추받침부(3)의 높이를 높여 후두부가 뒤로 젖혀 인후부가 넓혀지도록 해 코골이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후두받침부
2 : 견갑골받침부
3 : 경추받침부
4 : 연결부
5 : 고정끈
6 : 내피
61 : 쿠션재
62 : 충진재
7 : 외피

Claims (4)

  1. 사용자의 머리 후두부를 받쳐주는 후두받침부(1)와;
    상기 후두받침부(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부(4)에 의해 상기 후두받침부(1)와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받쳐주는 견갑골받침부(2)와;
    상기 후두받침부(1)와 견갑골받침부(2)의 사이 공간에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목을 받쳐주는 경추받침부(3)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받침부(1)의 전방 상단과 상기 견갑골받침부(2)의 후방 상단 사이에는 삽입된 경추받침부(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복수개의 고정끈(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3)는 상기 후두받침부(1) 및 견갑골받침부(2)와 일체감을 형성하고 탈락을 방지하도록 역삼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갑골받침부(2)의 상부면은 후방 상단에서 전방 하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KR1020120075946A 2012-07-12 2012-07-12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KR10138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46A KR101380629B1 (ko) 2012-07-12 2012-07-12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46A KR101380629B1 (ko) 2012-07-12 2012-07-12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664A KR20140009664A (ko) 2014-01-23
KR101380629B1 true KR101380629B1 (ko) 2014-04-04

Family

ID=5014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946A KR101380629B1 (ko) 2012-07-12 2012-07-12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11A (ko) * 2014-08-05 2016-02-15 김춘임 바로잠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69B1 (ko)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개인 맞춤형 코골이 방지 시스템
IT201900022497A1 (it) * 2019-11-29 2021-05-29 Demaflex S N C Di Fassi Emilio & Giorgetti Adele Guanciale, in particolare guanciale imbottit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095A (ja) * 1996-09-12 1998-05-26 Takeo Serizawa 首まくら
JP2000350649A (ja) * 1999-06-14 2000-12-19 Nishikawa Sangyo Kk
JP2008272053A (ja) * 2007-04-26 2008-11-13 Masaki Kk
KR20120003800A (ko) * 2010-07-05 2012-01-11 홍영순 경추보호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095A (ja) * 1996-09-12 1998-05-26 Takeo Serizawa 首まくら
JP2000350649A (ja) * 1999-06-14 2000-12-19 Nishikawa Sangyo Kk
JP2008272053A (ja) * 2007-04-26 2008-11-13 Masaki Kk
KR20120003800A (ko) * 2010-07-05 2012-01-11 홍영순 경추보호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11A (ko) * 2014-08-05 2016-02-15 김춘임 바로잠베개
KR101656567B1 (ko) 2014-08-05 2016-09-09 김춘임 바로잠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664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5064B2 (en) CPAP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10863836B2 (en) CPAP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9386859B2 (en) Sleep system
AU645505B2 (en) A supporting pillow for use to support the nape of the neck/head or, if desired, the small of the back
JP6855670B2 (ja)
KR101029420B1 (ko) 다중의 구조를 갖는 베개
KR101381423B1 (ko) 기능성 베개
KR100718338B1 (ko)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US20180146719A1 (en) Support apparatus
KR101056654B1 (ko) 기능성 베개
US6230347B1 (en) Orthopedic comfort pillow
US20200323369A1 (en) Cpap pillow apparatus and method
KR101380629B1 (ko) 코골이 방지 및 경추와 견갑골 보호용 베개
KR20150000054U (ko) 경추 지지 베개
KR101304363B1 (ko) 가변형 허리베개
KR101353497B1 (ko) 베개
KR102426779B1 (ko) 숙면 및 목과 허리 디스크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베개
CN100484441C (zh) 一种护颈睡枕
WO2009038278A1 (en) A pillow with multi-layered structure
CN200987555Y (zh) 一种护颈睡枕
KR200409725Y1 (ko) 허리베개
KR102567225B1 (ko) 인체공학적 구조의 베개
KR200497420Y1 (ko) 베개
KR102594561B1 (ko) 사용자 체형 맞춤 기능성 베개
JP4551100B2 (ja) 改良敷ふと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