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06B1 - Supporting part of permanent waling and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Google Patents
Supporting part of permanent waling and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8906B1 KR102548906B1 KR1020200186483A KR20200186483A KR102548906B1 KR 102548906 B1 KR102548906 B1 KR 102548906B1 KR 1020200186483 A KR1020200186483 A KR 1020200186483A KR 20200186483 A KR20200186483 A KR 20200186483A KR 102548906 B1 KR102548906 B1 KR 102548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e
- support member
- girder
- wall
- perman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띠장과 상기 띠장과 연결되는 거더를 지지하도록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 하측의 상기 외벽체에 설치되는 영구용 띠장 받침으로서,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가 설치되는 위치 하측의 상기 외벽체 외면에 고정 접합되어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를 지지하도록 하며 평탄한 상면을 구비함으로써, 흙막이 구조벽의 주기둥에 띠장 받침부재를 현장에서 시공시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시공 전에 공장에서 부착시킨 후에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용접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부식과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manent wale suppor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below the wale and the girder to support the wale install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and the girder connected to the wale, wherein the wale and the girder are installed. It is fixedly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to support the wale and the girder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the wale support member is not attached to the main column of the retaining wal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t the site, but after attaching it at the factory before field construction By making the construction 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and to prevent welding work from being performed at the site, so that corrosion and fire can be prevented, and safe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에 사용되는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used in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without overhead facilitie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띠장 및 거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wale and girder.
종래의 지중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벽체의 내측에 띠장(40)을 설치한 후, 스트럿(30)을 설치하는 순서로 시공이 이루어진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installing the
여기서, 띠장(40) 및 스트럿(30)은 공사 중 토류의 횡토압에 저항하는 기능을 하며, 공용 중에는 골조 구조의 기능을 하는 거더를 설치하여야 한다.Here, the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법은 벽체와 띠장(40) 사이에 발생하는 홈에 홈메우기를 할 필요가 있다.In this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fill in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wall and the
즉, 종래에는 벽체를 시공한 후, 소정의 심도로 굴착하여 벽체의 말뚝이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말뚝에 브라켓을 접합한 후 띠장(40)을 거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스트럿(30)을 설치한다.That is, conventionally, after constructing a wall, excavation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pile of the wall is exposed, and after bonding the bracket to the exposed pile, the
띠장(40)이 벽체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토압을 지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질적으로는 벽체의 말뚝이 일정하게 배치되지 않거나 벽체의 단면이 고르지 않으므로, 벽체와 띠장(40) 사이에 자연스럽게 홈이 형성되는 것이다.Ideally, the
따라서, 띠장(40)의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고, 토압이 균등하게 띠장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종래에는 이 홈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이루어진 홈메우기 재료를 충전하거나 홈메우기용 블록을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각각의 말뚝과 띠장(40)의 접지면이 일정하도록 한다.Conventionally, the ground plane of each pile and
그리고, 띠장(40)과 스트럿(30)이나 혹은 거더의 하측에는 이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브라켓(50)이 설치되는데, 브라켓(50)은 벽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띠장(40)과 스트럿(30)이나 혹은 거더와 접촉되는 수평 지지부(51)와 수평 지지부(51)의 하면 일측을 지지하도록 벽체와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사 지지부(52)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
이러한 브라켓(50)을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51)와 경사 지지부(52)는 각각 현장에서 용접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하여 벽체의 외면에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The
따라서, 종래의 지중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50)을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51)와 경사 지지부(52)와 같은 구성을 공사 현장에서 용접 등과 같은 접합 방식에 의하여 벽체의 외면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에 현장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저하되어 건설 산재 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흙막이 구조벽의 주기둥에 띠장 받침부재를 현장에서 시공시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시공 전에 공장에서 부착시킨 후에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부식과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ot to attach the wale support member to the main pillar of the retaining wal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t the site, but to attach it at the factory before field construction and then to make the field construction work. The purpose is to present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that can prevent the fall of the vehicle, prevent welding work from being performed at the site, prevent corrosion and fire, and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do.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외벽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띠장과 상기 띠장과 연결되는 거더를 지지하도록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 하측의 상기 외벽체에 설치되는 영구용 띠장 받침으로서,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가 설치되는 위치 하측의 상기 외벽체 외면에 고정 접합되어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를 지지하도록 하며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manent wale suppor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body below the wale and the girder to support the wale install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and the girder connected to the wale, the wale and the girder Suggests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below the installation position to support the wale and the girder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여기서,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상기 외벽체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받침부재와, 상기 외벽체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로받침부재와 가로받침부재 사이에 상기 가로받침부재와 일체로 구비되는 세로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wall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wall to form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the horizontal support It may include a vertical support member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between the members.
그리고, 상기 가로받침부재의 폭은 상기 외벽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width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outer wall body.
또한,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상기 외벽체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constituting the outer wall in the factory, not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 a state fixed to the pillar.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가 상기 외벽체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외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지반을 상기 기둥과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 전체의 폭만큼 천공하여 상기 외벽체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외벽체의 전방의 지반을 터파기한 후에 상기 거더의 일측 하면이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거더와 상기 외벽체 사이의 공간에 띠장을 설치하여 상기 띠장과 상기 거더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bonding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constituting the outer wall;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the outer wall by perforating the ground to which the outer wall is to be constructed by the entire width of the pillar and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 third step of installing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girder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fter excavating the ground in front of the outer wall body; A fourth step of installing a wale in the space between the girder and the outer wall so that the wale and the girder are fixed to each other; Suggests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상기 외벽체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constituting the outer wall at the factory, not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 a state fixed to the pillar.
본 발명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흙막이 구조벽의 주기둥에 띠장 받침부재를 현장에서 시공시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시공 전에 공장에서 부착시킨 후에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ttach the wale support member to the main pillar of the retaining structure wal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t the site, but is attached at the factory before field construction and then field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prevent the fall of the worker There are possible effects.
그리고, 흙막이 구조벽의 주기둥에 띠장 받침부재를 현장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부식과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corrosion and fire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preventing the welding operation of the wale support member on the main colum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field.
도 1은 종래의 띠장 및 거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가 외벽체에 접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띠장 및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가 외벽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시공흐름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wale and a gird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s joined to an out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les and girders are installed, including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an out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struction flow chart sequentially describ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가 외벽체에 접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띠장 및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가 외벽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시공흐름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an outer wall, and FIG. 3 is a wale and girder including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an out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manent w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struction flow chart sequentially describ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ing member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외벽체(1)의 전방에 설치되는 띠장(2)과 상기 띠장(2)과 연결되는 거더(3)를 지지하도록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 하측의 상기 외벽체(1)에 설치되는 영구용 띠장 받침으로서,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가 설치되는 위치 하측의 상기 외벽체 외면에 고정 접합되어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를 지지하도록 하며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본 발명에 의한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벽체(1)의 전방에 설치되는 띠장(2)과 띠장(2)과 연결되는 거더(3)와 같은 구조물을 지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structures such as the
종래의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시공 현장에서 용접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하여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공장에서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제작 및 접합시키므로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감소시켜 시공 현장 인력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 현장에서 발생가능한 건설산재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onventional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s were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by a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s are manufactured and joined at the factory, not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is reduced. By minimizing the work of manpower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struction accidents that may occur at the construction site.
다만, 도 3에서 거더(3)와 거더를 수직 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고자 지지하고 있는 받침의 경우에 가설용도(설치공사 후 철거)일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로 조립하지만, 영구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공장에서 용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girder (3) and a support supporting the girder to prevent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3, in the case of temporary use (removal after installation work), it is assembled with bolts as shown in FIG. 3, but permanently In case of use, it is welded in the factory and transported to the site.
이러한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는 외벽체(1)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받침부재(110)와, 외벽체(1)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로받침부재(110)와 가로받침부재(110) 사이에 가로받침부재(110)와 일체로 구비되는 세로받침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se permanent
가로받침부재(110)는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폭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평탄한 상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기둥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다. The
가로받침부재(110)는 용접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하여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며, 가로받침부재(110)가 거더(3)와 같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가로받침부재(110)를 추가로 설치하고 한 쌍의 가로받침부재(110)가 세로받침부재(12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horizontal supporting
그리고, 가로받침부재(110)의 폭은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nd, the width of the
세로받침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받침부재(110)가 거더(3)와 같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로받침부재(110)와 가로받침부재(110)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구비되는 부재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ing
세로받침부재(120)는 구조적인 안정성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로받침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가로받침부재(110)와 함께 용접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다. The
세로받침부재(120)의 길이는 가로받침부재(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거더(3)와 같은 구조물의 중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가로받침부재(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거더(3)와 같은 구조물의 중량이 큰 경우에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외벽체(1)의 외면에 접합되도록 하고, 거더(3)와 같은 구조물의 중량이 작은 경우에는 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When the weight of a structure such as the
가로받침부재(110)와 세로받침부재(120)로 구성되는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는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상기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rmanent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가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어 외벽체(1)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감소시켜 시공 현장 인력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 현장에서 발생가능한 건설산재사고를 최소화하고, 시공 현장에서 용접 등의 접합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로받침부재(110)의 길이(L)에 비해, 세로받침부재(120)의 길이(H)가 길게 형성된다.(도 3)
하측 가로받침부재(110)의 외측 가장자리 및 세로받침부재(12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하측 모따기부(101)가 형성된다.(도 3)
가로받침부재(110)의 양단 외측 가장자리에 외측 모따기부(102)가 형성된다.(도 4)The permanent
Compared to the length (L) of the
A lower chamfer 101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horizontal supporting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띠장 및 거더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wale and a girder using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를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하여 접합시켜 고정된 상태에서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다. First, the permanent
그리고, 외벽체(1)를 시공하고자 하는 지반을 상기 기둥과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 전체의 폭(W)만큼 천공하여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가 고정된 기둥을 천공홀에 관입하여 외벽체(1)를 시공한다. In addition, the ground to which the outer wall (1) is to be constructed is perforated by the width (W) of the entire pillar and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nd the permanent
그 후, 외벽체(1) 전방의 지반을 터파기하여 공간을 마련한 후에 거더(3)의 일측 하면을 본 발명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를 구성하는 가로받침부재(110) 또는 중간부재(200)의 평탄한 상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띠장(2) 및 거더(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면의 길이(D1)가 상기 띠장(2)의 폭(D2)보다 길게 형성된 중간부재(200)를 준비한다.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의 상부에 먼저 중간부재(200)를 거치하고, 중간부재(200)의 상부에 띠장(2) 및 거더(3)의 단부를 거치함과 아울러, 띠장(2)과 거더(3)의 단부를 볼트결합하고, 거더(3)의 단부와 중간부재(200)의 상부를 볼트결합한다.(도 3)Then, after the ground in front of the
Specifically, to support the ends of the
First, the
여기서, 거더(3)의 일측 하면이 가로받침부재(110) 또는 중간부재(2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로받침부재(110) 또는 중간부재(200)의 평탄한 상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거더(3)를 외벽체(1)와 최대한 밀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Her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lat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띠장(2)의 일측면을 거더(3)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면 띠장(2)과 외벽체(1)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In addition, when one side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거더(3)가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에 의하여 외벽체(1)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중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 In this state,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mpleted by installing a separate fixing member in the spaced space so tha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흙막이 구조벽의 주기둥에 띠장 받침부재를 현장에서 시공시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시공 전에 공장에서 부착시킨 후에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부식과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ttach the wale support member to the main column of the retaining wal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t the site, but after attaching it at the factory before on-site construction, so that on-sit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and to prevent welding work from being performed in the field,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and fire, and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외벽체 2 : 띠장
3 : 거더
100 :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
110 : 가로받침부재 120 : 세로받침부재1: outer wall body 2: wale
3: Girder
100: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110: horizontal support member 120: vertical support member
Claims (6)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는,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가 설치되는 위치 하측의 상기 외벽체 외면에 고정 접합되어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를 지지하도록 하며 평탄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는 상기 외벽체(1)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받침부재(110)와, 상기 외벽체(1)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로받침부재(110)와 가로받침부재(110) 사이에 상기 가로받침부재(110)와 일체로 구비되는 세로받침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받침부재(110)의 폭은 상기 외벽체(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로받침부재(110)의 길이(L)에 비해, 상기 세로받침부재(120)의 길이(H)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로받침부재(110) 중 하측 가로받침부재(110)의 외측 가장자리 및 상기 세로받침부재(12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하측 모따기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받침부재(110)의 양단 외측 가장자리에 외측 모따기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거더(3)의 중량이 큰 경우에는 상기 세로받침부재(1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거더(3)의 중량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세로받침부재(1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상기 지중구조물 시공방법은,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가 상기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외벽체(1)를 시공하고자 하는 지반을 상기 기둥과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 전체의 폭만큼 천공하여 상기 외벽체(1)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외벽체(1)의 전방의 지반을 터파기한 후에 상기 거더(3)의 일측 하면이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거더(3)와 상기 외벽체(1) 사이의 공간에 띠장을 설치하여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는 시공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상기 외벽체(1)를 구성하는 기둥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기둥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고,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는,
상기 띠장(2) 및 상기 거더(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면의 길이(D1)가 상기 띠장(2)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중간부재(20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100)의 상부에 상기 중간부재(200)를 거치하고, 상기 중간부재(200)의 상부에 상기 띠장(2) 및 상기 거더(3)의 단부를 거치함과 아울러, 상기 띠장(2)과 상기 거더(3)의 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거더(3)의 단부와 상기 중간부재(200)의 상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용 띠장 받침부재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Installed on the outer wall 1 below the wale 2 and the girder 3 to support the wale 2 install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1 and the girder 3 connected to the wale 2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It is fixedly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wale strip 2 and the girder 3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wale strip 2 and the girder 3,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10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110 install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 It is disposed and includes a vertical support member 12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and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The width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outer wall body 1,
Compared to the length (L)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the length (H)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0 is formed longer,
A lower chamfer 101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of the pair of horizontal support members 110 and the lower outer edge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0,
Outside chamfers 102 are formed on the outer edges of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10,
When the weight of the girder 3 is large,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0 is relatively long, and when the weight of the girder 3 is small,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120 is relatively long. formed short,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 first step of bonding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constituting the outer wall (1);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the outer wall (1) by perforating the ground to which the outer wall (1) is to be constructed by the entire width of the pillar and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100);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girder 3 to b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100 after excavating the ground in front of the outer wall 1;
A fourth step of installing a wale in the space between the girder 3 and the outer wall 1 so that the wale 2 and the girder 3 are fixed to each other; include,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100 is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constituting the outer wall 1 at the factory, not the construction site, and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in a state fixed to the pillar,
The third and fourth steps,
Preparing an intermediate member 200 having an upper surface length D1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wale strip 2 to support the ends of the wale strip 2 and the girder 3;
The intermediate member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100, and the ends of the wale 2 and the girder 3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200, combining the wale 2 and the end of the girder 3, and combining the end of the girder 3 and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member 200;
A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ermanent wal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6483A KR102548906B1 (en) | 2020-12-29 | 2020-12-29 | Supporting part of permanent waling and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6483A KR102548906B1 (en) | 2020-12-29 | 2020-12-29 | Supporting part of permanent waling and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4843A KR20220094843A (en) | 2022-07-06 |
KR102548906B1 true KR102548906B1 (en) | 2023-06-27 |
Family
ID=8239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6483A KR102548906B1 (en) | 2020-12-29 | 2020-12-29 | Supporting part of permanent waling and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890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8289A (en) * | 2013-08-19 | 2015-02-26 | ヒロセ株式会社 | Earth retaining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5991A (en) * | 2015-07-07 | 2017-01-17 | 김형민 |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2020
- 2020-12-29 KR KR1020200186483A patent/KR1025489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8289A (en) * | 2013-08-19 | 2015-02-26 | ヒロセ株式会社 | Earth retain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4843A (en) | 2022-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7495B1 (en) | Parti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s | |
KR102162467B1 (en) | Thrust pile with prestress and self-supporting type pile construction using it | |
KR20170005991A (en) |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595702B1 (en) | Soil retaining structure using plate pile with reinforcing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2197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Basement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 |
KR20190022132A (en) |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 |
KR102081574B1 (en) | A Waling Assembly of Sheeting Timbering | |
KR100584701B1 (en) | A method of construction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 |
KR102548906B1 (en) | Supporting part of permanent waling and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
KR102604871B1 (en) | Method for forming retaining wall using impermeable wall and earth anchor | |
KR100912574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ing strut assembly and excav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20028637A (en) | Non-wale strut system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
KR20160081710A (en) | Tunnel elephant foot reinforcement beam 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 stabilizing | |
JP2002242302A (en) |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of building steel frame and its connecting method | |
KR10206594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h-pile | |
KR101431009B1 (en) | A temporary skeleton structure use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251096B1 (en) | A temporary skeleton system used a building with a shallow basement an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emporary skeleton system | |
CN112813791A (en) | Support for cast-in-situ box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9264088A (en) | Underground system temporary frame | |
JP2016061126A (en) | Removal method for construction girder, and earth-retaining plate for removal of construction girder | |
KR102523155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middl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989597B2 (en) | Temporary seismic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uring construction of seismic isolation for existing frame | |
KR101516746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6329824B2 (en) | Yamato member and road surface lining method | |
KR20120126927A (en) | A double Raker system of an underground temporary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