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813B1 -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813B1
KR102548813B1 KR1020200148864A KR20200148864A KR102548813B1 KR 102548813 B1 KR102548813 B1 KR 102548813B1 KR 1020200148864 A KR1020200148864 A KR 1020200148864A KR 20200148864 A KR20200148864 A KR 20200148864A KR 102548813 B1 KR102548813 B1 KR 10254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m
warning
vehicle
ev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021A (ko
Inventor
윤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4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8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5Signal analysis techniques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lse alarms or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6Direction of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DSM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ANGER NOTIC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위험 상황 등에 대한 경고를 처리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 및 해당 차량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 차량 자체의 결함에 기인한 경우보다는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예를 들어 운전자들이 졸음이나 특히 전방 주시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운행 중에 운전자들의 부주의를 방지하기 위해 DSM(Driver State Monitoring) 시스템 즉,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DSM 시스템은 차랑 내에서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한 뒤,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제대로 하지 않고 고개를 돌린다거나 다른 쪽을 바라보고 있는 시간 등을 판단하여 운전자 또는 제3자에게 경고를 하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종래의 DSM 시스템의 경우 운전자를 촬영한 영상에 의존하는 것이어서, 주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지 못하고 무분별한 경고를 발생시킴으로써 오히려 사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6-006769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DSM 시스템의 이벤트 신호에 대한 검증 과정을 거쳐 부문별한 경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DSM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처리 서버는,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이벤트 오류 판정부와;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감지하는 DSM 차량 단말기는,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운행 정보 생성부와;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량 운행 정보 생성부서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이벤트 오류 판정부와;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DSM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감지하는 DSM 차량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해 오류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무분별한 경고 알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로 정보 중 특정 차로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등의 회전 가능 방향에 대한 정보를 활함으로써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부주의에 따른 경고를 전달함에 있어서 주변 차량들에 무분별하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선별적으로 그 전송 대상을 선정함으로써, 빈번한 경고 알림으로 인한 타 운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고 처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한 오류 판정을 위한 테이블의 일 예이고,
도 4는 이벤트 분석을 통해 이벤트 레벨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테이블의 일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처리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처리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DSM 차량 단말기(210), 경고 처리 서버(100), 경고 타겟 차량(300)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DSM 차량 단말기(2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 구비된 카메라(미 도시함) 등을 통해 운전자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부주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판단 결과 운전자의 부주의 상태를 판단한 경우 DSM 차량 단말기(210)는 DSM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 처리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운전자의 부주의 상태를 판단하여 DSM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DSM 차량 단말기(210)는 이러한 DSM 이벤트 신호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차량 운행 정보도 경고 처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방향 전환 등 점멸 여부, 차량 진행 방향 등과 같은 차량의 운행 상태가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차량의 위치 좌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의 속도 등과 같은 운행 상태는 차량 내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차량의 위치 좌표는 차량 내에 구비된 GPS 모듈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가 획득되는 과정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경고 타겟 차량(300)은 이처럼 DSM 차량 단말기(210)가 전송하는 정보에 기초한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즉, 차량 단말기)을 의미한다.
경고 타겟 차량(30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경고 처리 서버(10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경고 처리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판단 또는 검증을 수행한 후 경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필요한 경우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처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처리 서버(100)는 수신부(110),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 경고 신호 송출부(130), 경고 대상 선정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150)는 경고 처리 서버(100)의 동작 중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는 물론이고, 경고 처리 서버(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지도 정보 및 지도상의 도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수신부(110)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각종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SM 이벤트 신호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운행 정보의 종류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110)는 DSM 차량 단말기(210)와 통신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DSM 이벤트 신호는 특정 시점에만 수신할 수도 있다.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는 이러한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그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에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즉시 처리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한 일종의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 해당 DSM 이벤트 신호를 오류로 판정(즉, 경고를 알리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차량 운행 정보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3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3에서 첫째 줄에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 해당 DSM 차량 단말기(210)가 구비된 차량이 속도 20km/h 이상이고, 10초 이내에 좌측으로 회전(50ㅀ~ 130ㅀ)하였다고 판단하여 좌회전 상태라고 인정된 경우에는 비록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운전자가 좌측으로 고개를 돌렸다는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었다 하더라도 이를 이벤트 오류라고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와 소정의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위치 좌표를 기 구비되거나 실시간 외부 서버(미 도시함)로부터 수신한 지도상에 매핑시키고, 그 매핑된 곳의 도로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도상의 도로 정보에는 해당 차량 위치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U턴, P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전환 가능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좌회전이 불가한 차로에 DSM 차량 단말기(210)를 구비한 차량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운전자가 좌측으로 고개를 돌렸다는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 신호가 정상적인 것이라 판정하고, 만일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확인한 결과 직진은 불가하고 좌회전만 가능한 차로에 해당 DSM 차량 단말기(210)를 구비한 차량이 위치한 경우라면 운전자가 좌측으로 고개를 돌렸다는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해서 오류로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레벨을 확인한 후, 그 이벤트 레벨이 기 설정된 경고 레벨 이상인 경우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경고 상황 판단에 대해 상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오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벤트 분석을 통해 이벤트 레벨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테이블의 일 예가 도시되었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운전자가 3초 기준으로 눈을 감고 있는 시간 비율이 50%~70% 사이인 경우에는 졸음 운전과 관련하여 이벤트 레벨 3에 해당하고, 시간 비율이 70%~80% 사이인 경우에는 이벤트 레벨 4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즉,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DSM 이벤트 신호에는 이처럼 운전자가 3초 기준으로 눈을 감고 있는 시간 비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따라서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는 그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도 4의 테이블과 비교하여 이벤트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경고 기준이 레벨 4로 설정된 경우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는 해당 확인된 이벤트 레벨이 4인 경우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한 이후,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그 경고 상황 판단이 오류인지 여부를 최종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이벤트 레벨 확인 및 경고 상황 판단은 DSM 차량 단말기(21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경우 DSM 차량 단말기(210)는 이벤트 레벨이 4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DSM 이벤트 신호를 경고 처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신호 송출부(130)는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의 판정 결과에 따라 경고 신호 송출 여부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에서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이벤트 오류 판정부(120)의 판정 결과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경고 신호의 송출은 통신 선로를 통한 송출은 물론이고, 디스플레이부(미 도시함)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디스플레이부로의 시각적 송출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시각적 송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운드 형태의 송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경고 신호 송출부(130)는 경고 신호를 소정의 경고 타겟 차량(300)(보다 정확히는 경고 타겟 차량에 구비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는데, 경고 타겟 차량(300)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경고 대상 선정부(140)에 의해 선정될 수 있다.
즉,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경고 신호를 수신할 대상 즉, 경고 타겟 차량(300)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주변의 차량들을 경고 타겟 차량(300)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그 DSM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 차량의 기준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해당 기준 위치를 기초로 주변에 위치하는 차량들을 경고 타겟 차량(300)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주변 차량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자량들 역시 자신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지속적으로 전송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더 나아가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와 소정의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경고 타겟 차량(300)을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DSM 차량 단말기(210)를 전송한 차량(기준 차량(200))과 동일한 차로에 있는 차량, 기준 차량(200)의 뒤에 있는 후방 차량, 기준 차량(200)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고 타겟 차량(300)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기준 차량(200)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 역시 경고 타겟 차량(300)으로 선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중앙 분리대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상의 도로 정보에 중앙 분리대 설치 유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경고 대상 선정부(140)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비록 기준 차량(200) 주변에 있다 하더라도 사고 위험성이 낮으므로 경고 타겟 차량(300)으로 선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처리 서버(100)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경고 처리 서버(100)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데(단계 S1), 어느 시점에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DSM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단계 S3), 차량 운행 정보를 기초로 해당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판단 결과 해당 DSM 이벤트 신호가 오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7) 경고 처리 서버(100)는 경고 신호 송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판단 결과 DSM 이벤트 신호가 오류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7) 경고 처리 서버(100)는 주변 차량 중 경고 타겟 차량(300)을 선정한다(단계 S9).
경고 타겟 차량(300)의 선정에는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와 기 구비된 지도상의 도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경고 타겟 차량(300)이 선정된 경우, 경고 처리 서버(100)는 그 선정된 경고 타겟 차량(300)으로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1).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DSM 이벤트 신호와 차량 운행 정보가 모두 DSM 차량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DSM 차량 단말기(210)가 두 개의 장치로 분리되어 그 중 하나는 DSM 이벤트 신호만을 전송하고, 다른 하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준 차량(200)에 포함된 DSM 차량 단말기(210)가 송출하는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해서 경고 처리 서버(100)가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러한 판정이 기준 차량(200)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SM 차량 단말기(210)는 종래의 방식과 같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 영상을 분석하여 DSM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DSM 이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수집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스스로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소정의 지도 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구비되어 있는 경우, DSM 차량 단말기(210)는 GPS 모듈 등에 의해 획득된 위치 좌표와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종래의 DSM 이벤트 신호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검증한 이후에, DSM 차량 단말기(210)는 경고 전송 요청 신호를 경고 처리 서버(100)에 전송하여 주변의 차량에 알리도록 할 수도 있고, 차량들 간 직접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라면 DSM 차량 단말기(210)가 직접 주변의 차량들에게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DSM 차량 단말기(210)가 경고 타겟 차량(300)을 선정한 후, 해당 경고 타겟 차량(300)들에게만 경고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경고 타겟 차량(300)을 선정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고 처리 서버(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경고 처리 서버 200 : 기준 차량
210 : DSM 차량 단말기 300 : 경고 타겟 차량
110 : 수신부 120 : 이벤트 오류 판정부
130 : 경고 신호 송출부 140 : 경고 대상 선정부
150 : 저장부

Claims (26)

  1.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DSM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 중 해당 차량 위치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U턴, P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전환 가능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경고 신호를 경고 타겟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d)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경고 타겟 차량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방향 전환 등 점멸 여부, 차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레벨을 확인한 후, 그 이벤트 레벨이 기 설정된 경고 레벨 이상인 경우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경고 상황 판단에 대해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8.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감지하는 DSM 차량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의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 중 해당 차량 위치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U턴, P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전환 가능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d) 상기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경고 타겟 차량을 선정한 후, 해당 경고 타겟 차량에 경고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방향 전환 등 점멸 여부, 차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레벨을 확인한 후, 그 이벤트 레벨이 기 설정된 경고 레벨 이상인 경우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경고 상황 판단에 대해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b) 단계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5.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DSM 차량 단말기와 통신하여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처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이벤트 오류 판정부와;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는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 중 해당 차량 위치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U턴, P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전환 가능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 송출부는 경고 신호를 소정의 경고 타겟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경고 타겟 차량을 선정하는 경고 대상 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 송출부는 상기 경고 대상 선정부에서 선정된 경고 타겟 차량에 상기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방향 전환 등 점멸 여부, 차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
  19. 삭제
  20. 삭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는, 상기 DSM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레벨을 확인한 후, 그 이벤트 레벨이 기 설정된 경고 레벨 이상인 경우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경고 상황 판단에 대해 상기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오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경고 신호 송출부는,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 처리 서버.
  22. DSM(Driver State Monitoring) 이벤트 신호를 감지하는 DSM 차량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운행 정보 생성부와;
    상기 DSM 이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량 운행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이벤트 오류 판정부와;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는 상기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 중 해당 차량 위치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U턴, P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전환 가능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DSM 이벤트 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는 위치 좌표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 좌표와 기 획득한 지도상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경고 타겟 차량을 선정한 후, 해당 경고 타겟 차량에 경고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경고 대상 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방향 전환 등 점멸 여부, 차량 진행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
  25. 삭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는, 상기 DSM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레벨을 확인한 후, 그 이벤트 레벨이 기 설정된 경고 레벨 이상인 경우 경고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경고 상황 판단에 대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참고하여 오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가 송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벤트 오류 판정부의 판정 결과 상기 경고 상황 판단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M 차량 단말기.
KR1020200148864A 2020-11-09 2020-11-09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4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64A KR102548813B1 (ko) 2020-11-09 2020-11-09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64A KR102548813B1 (ko) 2020-11-09 2020-11-09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21A KR20220063021A (ko) 2022-05-17
KR102548813B1 true KR102548813B1 (ko) 2023-06-29

Family

ID=8179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864A KR102548813B1 (ko) 2020-11-09 2020-11-09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8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293A (ja) * 2009-04-27 2010-11-11 Toyota Motor Corp ドライバ状態監視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694A (ko) 2014-12-04 2016-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42658B1 (ko) * 2016-08-11 2018-03-27 이에스이 주식회사 위험운전 경고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
KR20180090644A (ko) * 2017-02-03 201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 및 차량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73904B1 (ko) * 2018-08-13 2023-09-01 한국자동차연구원 위험 운전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7293A (ja) * 2009-04-27 2010-11-11 Toyota Motor Corp ドライバ状態監視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21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9765A1 (en) Driving behaviour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JP5888164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JP2019087143A (ja) ドライバ状態検出装置
US20190300017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JP2019091268A (ja) 脇見判定装置、脇見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61934B2 (ja) 運転支援装置
CN107415861A (zh) 用于车辆用来探测驾驶员对电子的设备的使用的方法和装置
US11482020B2 (en) Looking away determination device, looking away determination system, looking away determin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151694A (ja) 安全確認診断システム及び安全確認診断方法
KR101416368B1 (ko) 차량 사고 데이터 처리장치, 차량 사고 중계서버 및 차량 사고 알림 방법
CN113492849A (zh) 驾驶辅助装置以及数据收集系统
US20240001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iving warning about vehicle in violation of traffic signal at intersection
CN108473144B (zh) 操控机动车辆的自动化驾驶辅助系统的操控方法
US20100145618A1 (en) Vehicle collis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40099615A (ko)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고기능 겸용 차량운행기록장치
KR20050095807A (ko)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속력위반차량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7473B1 (ko) 후방 차량을 고려한 안전 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548813B1 (ko) 위험 경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277956A (zh) 车辆盲区信息的采集方法及装置
KR101717938B1 (ko) 교차로 진입 안내 장치 및 방법
CN115515109A (zh) 车辆数据交互方法、车辆数据交互装置及其系统和车辆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N110816443B (zh) 车辆监测方法、装置以及无人驾驶车辆
US20210027078A1 (en) Looking away determination device, looking away determination system, looking away determin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92429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