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698B1 -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698B1
KR102548698B1 KR1020230045055A KR20230045055A KR102548698B1 KR 102548698 B1 KR102548698 B1 KR 102548698B1 KR 1020230045055 A KR1020230045055 A KR 1020230045055A KR 20230045055 A KR20230045055 A KR 20230045055A KR 102548698 B1 KR102548698 B1 KR 10254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opening
elevator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용
Original Assignee
한진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한진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23004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여 승강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도록;
승강기가 이동운동하는 승강통로와 실내공간을 연결하는 승강개구의 바닥에 시설되는 도어문틀과; 상기 승강개구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 및 이격되어 개폐하는 승강도어들과; 상기 승강도어들의 근접에 따라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는 중에 상기 승강도어들을 잠금하고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하여 지지압을 형성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도어문틀에 내설되며 일측단에 상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잠금편이 연장구비된 안전바와; 상기 승강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이 끼움되면서 잠금결합되는 잠금공간이 형성된 잠금브라켓과; 상기 승강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안전바에서 상기 잠금편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가압편을 가압하여 축회전시키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바가 구비된 가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사람 또는 화물을 승강시키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적용되어, 전면에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대하여 저지력을 향상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여 승강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지에 설치되는 케이지 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진입구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층에서의 승객 및 회물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케이지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모두 개폐되어야 한다.
즉,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 및 각 층의 통로에서 대기중인 승객들에 대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케이지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각각 개폐구동된다.
아울러, 각 층의 통로에 대하여 승강로를 개폐하는 승강기 도어에는,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로로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다양한 구성의 장치들에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66974호(명칭: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2019.06.05.)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기 통로와 실내를 구분하며 자동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와, 상기 승강기 통로를 통해 승강하면서 탑승자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 몸체와 승강기 도어를 갖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승강기 도어에 대한 잠금 및 이의 해제를 위한 록킹유닛; 상기 승강기 통로에서 각 층마다 설치되는 감지대상부; 상기 승강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통로에서 해당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도착 시 상기 감지대상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승강기 도어의 개폐를 담당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센싱값에 따라 상기 록킹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도어 안전잠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44729호(명칭: 승강기도어 이탈방지장치/2016.04.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문틀의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한 쌍의 도어를 지지하도록 된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각 도어의 하단측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 상에 내장되도록 위치되는 바아형태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선단으로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 상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다른 도어의 하부로 연장되는 테이퍼바아와, 상기 테이퍼바아에 대향되는 상기 바디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문틀 상으로 노출되는 걸림바아로 구성된 도어장착구와; 상기 도어장착구에 대응되어 상기 걸림바아가 걸리도록 상기 문틀의 일측에 결합되는 문틀장착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바아에는 상기 문틀의 일측에 걸림 가능하도록 선단측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문틀의 상부로 노출되게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된 도어이탈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66974호(2019.06.0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44729호(2016.04.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들은,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승강장 도어의 전면에서 통로에 대기중인 사용자들에 임의 또는 무의식적으로 충격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 승강장도어들이 서로 접촉되는 중앙부위에서의 무단 개방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승강로로 낙하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승강장도어에 대하여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 또는 화물을 승강시키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적용되어, 전면에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대하여 저지력이 향상되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여 승강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는, 승강기가 이동운동하는 승강통로와 실내공간을 연결하는 승강개구의 바닥에 시설되는 도어문틀과; 상기 승강개구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 및 이격되어 개폐하는 승강도어들과; 상기 승강도어들의 근접에 따라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는 중에 상기 승강도어들을 잠금하고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하여 지지압을 형성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도어문틀에 내설되며 일측단에 상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잠금편이 연장구비된 안전바와; 상기 승강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이 끼움되면서 잠금결합되는 잠금공간이 형성된 잠금브라켓과; 상기 승강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안전바에서 상기 잠금편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가압편을 가압하여 축회전시키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바가 구비된 가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브라켓에는, 상기 잠금편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전면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의 전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무단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들은, 상기 승강개구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2개 1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는, 사람 또는 화물을 승강시키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적용되어, 승강도어의 전면에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대하여 이탈방지수단들을 통해 잠금저지력을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승강도어가 승강통로로 무단 이탈하는 방지하여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승강도어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에 의해 승강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이탈방지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에 적용되는 복귀스프링의 일 예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걸림돌부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는, 건물(시설물)에서 승강기(110)가 수직상으로 승강하도록 된 엘리베이터(100)에 적용되어, 승강개구(120)를 개폐하는 승강도어(121)에 대하여 잠금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에 대하여 저지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도어(121)가 승강통로(A)측으로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에 의해 상기 승강도어(121)들이 무단으로 폐쇄된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승강개구(120)가 무단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강통로(A)로 추락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는, 승강기(110)가 이동운동하는 승강통로(A)와 실내공간(B)을 연결하는 승강개구(120)의 바닥에 시설되는 도어문틀(2)과; 상기 승강개구(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 및 이격되어 개폐하는 승강도어(121)들과; 상기 승강도어(121)들의 근접에 따라 상기 승강개구(120)가 폐쇄되는 중에 상기 승강도어(121)들을 잠금하고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하여 지지압을 형성하는 이탈방지수단(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승강기(110)가 상기 승강통로(A)를 승강운동하는 중에서는, 상기 승강개구(12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되어, 실내외에서 대기중인 사용자가 무단으로 승강통로(A)로 진입하여 추락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승강기(110)가 도착되어 사용자들이 승강기(110)에 대하여 진입 및 퇴출되는 중에는, 승강기(110)에 구비된 케이지도어(111)와 상기 승강도어(121)가 개방되면서 상기 승강기(110)의 내부가 개방되고 상기 승강개구(120)가 개방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기(110)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승강도어(121)는 상기 승강개구(120)의 양내측에서 각각 구비되는 2개1조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승강도어(121)들이 상기 승강개구(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여 폐쇄하거나 서로 이격되어 개방하는 개폐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개구(120)가 폐쇄되는 중에, 상기 이탈방지수단(3)을 통해 상기 승강도어(121)가 잠금되면서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승강도어(121)의 무단이탈을 예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어문틀(2)은, '금속'을 재질로 하여 형성된 '새시(sash)구조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개구(120)의 단부를 마감처리하도록 된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승강도어(121)들은, 미도시된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해 전동을 통해 개페구동되도록 된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에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은, 회전축(4)을 중심으로 축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도어문틀(2)에 내설되며 일측단에 상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잠금편(311)이 연장구비된 안전바(31)와; 상기 승강도어(12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120)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121)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311)이 끼움되면서 잠금결합되는 잠금공간(C)이 형성된 잠금브라켓(32)과; 상기 승강도어(12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120)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121)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안전바(31)에서 상기 잠금편(311)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가압편(312)을 가압하여 축회전시키어 상기 잠금편(311)을 상승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바(331)가 구비된 가압브라켓(3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승강도어(121)들이 서로 근접되면서 상기 승강개구(120)를 폐쇄운동하는 중에 상기 가압브라켓(33)에 구비된 상기 가압바(331)가 상기 안전바(31)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전바(31)의 일측단에 형성된 상기 가압바(331)를 가압하여 상기 안전바(31)를 축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바(31)는, 상기 잠금편(311)이 상부로 상승하는 방향으로 축회전운동하게 되어 상기 잠금편(311)이 상기 잠금브라켓(32)의 상기 잠금공간(C)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승강도어(121)를 잠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121)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기에서 도어문틀(2)에는, 상기 안전바(31)가 축회전되면서 결합되는 안전브라켓(34)이 내설고정되며, 상기 가압바(331)가 안내되면서 이동운동하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문틀(2)의 상기 가이드홈(21)에 상기 가압편(312)이 수용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가압브라켓(33)에 상기 가압바(331)가 일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잠금브라켓(32)과 상기 가압브라켓(33)은, 상기 승강도어(121)의 하단에 '볼트'(5)를 통해 결합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결합구성 및 결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결합구성 및 결합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안전브라켓(34)은, 상기 도어문틀(2)의 상기 가이드홈(21)의 내측바닥에 '볼트'(5)를 통해 결합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결합구성 및 결합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결합구성 및 결합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압편(312)은, 상기 가압바(331)의 단부가 접촉되는 중에 하부로 가압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바(331)의 단부가 상기 가압편(312)의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안내되는 중에 상기 가압편(312)은, 하강축회전하게 되어, 상기 잠금편(311)을 상부로 상승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잠금브라켓(32)의 하단에는, 하부로 개구된 상기 잠금공간(C)이 형성되는 '노치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브라켓(32)에 상기 노치홈(321)을 가공하는 단순공정을 통해 제조하도록 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에서, 상기 안전바(31)는, 상기 승강도어(121)가 상기 승강개구(1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운동하는 중에 상기 가압바(331)가 상기 가압편(312)에 대한 가압하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잠금편(311)이 자체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상기 잠금공간(C)에서 이탈되어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바(31)에서 상기 잠금편(311)은, 상기 회전축(4)을 중심으로 상기 가압편(312)에 대칭되게 위치하며; 상기 잠금편(311)의 하중은, 상기 가압편(312) 보다 큰 중량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화를 구현하면서 상기 안전바(31)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복귀동작으로 확보하게 되어, 사용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에서, 상기 잠금브라켓(32)에는, 상기 잠금편(3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311)의 전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도어(121)의 무단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저지바(3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잠금편(311)이 상기 잠금브라켓(32)의 잠금공간(C)에 끼움되어 잠금하는 중에 상기 잠금편(311)의 전면에 상기 저지바(322)가 배치되면서 상기 승강도어(121)가 전면에서 후측방향으로 충격하중이 인가되어 가압되는 중에, 상기 저지바(322)가 상기 잠금편(311)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승강통로(A)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에 의해 상기 승강개구(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저지바(322)는, 상기 잠금브라켓(32)의 전면하단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잠금공간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노치홈'(321)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편(311)의 상하축회전운동공간범위에서 이격되도록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잠금브라켓(32)에 상기 가압바(331)를 절곡가공 및 노치홈가공에 따른 단순공정을 통해 제조하도록 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에서, 상기 이탈방지수단(3)들은, 상기 승강개구(120)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2개 1조로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상기 이탈방지수단(3)들이 한 쌍의 상기 승강도어(121)들에 대하여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승강도어(121)들을 각각 결속 및 잠금을 하도록 되어, 사용상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한 쌍의 상기 이탈방지수단(3)들은, 상기 승강개구(120)의 중앙에 근접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승강개구(120)의 중앙축에서 상기 승강도어(121)에 대한 잠금 및 저지압력을 각각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형성되는 충격하중에 대하여 상기 승강개구(120)의 중앙에서 저지하게 되어, 각각의 상기 승강도어(121)들은, 각각의 일단들이 상기 승강개구(120)의 양내측부에 지지되고 각각의 타단들은 상기 저지바(322)에 의해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전면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한 저지압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한 저지압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상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잠금편(311)의 상단에는, 전면측 방향으로 연장돌출형성되어 상기 저지바(322)가 걸림되어 상부로 이탈되는 것는 방지하는 걸림돌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충격하중이 인가되어 상기 잠금브라켓(32)이 가압되는 중에 상기 저지바(322)가 상기 잠금편(311)의 전면에서 상승되어 이탈되는 방향으로 유동될 때, 상기 걸림돌부(313)가 상기 저지바(322)를 걸림하면서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지바(322)가 상기 잠금편(311)에서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승강도어(121)가 무단으로 승강통로(A)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걸림돌부(313)는, 상기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충격하중이 인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저지바(322)의 노치홈(321)의 내측에 배치되어 걸림되지 않도록 되어, 상기 승강도어(121)의 개방동작시 상기 잠금편(311)의 하강축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는,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31)에 대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축회전압력을 탄성적으로 인가하도록 된 복귀스프링(6)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바(331)가 상기 가압편(312)에 대하여 이격되는 해제운동을 하는 중에 상기 복귀스프링(6)에 의해 상기 안전바(31)가 복귀운동하여 상기 잠금편(311)을 탄성적으로 하강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121)에 대한 개방동작의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동절기에 상기 안전바(31) 및 상기 회전축(4)에 대한 결빙이 발생하여 상기 안전바(31)의 자유낙하회전운동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복귀스프링(6)을 통해 안정적으로 상기 안전바(31)를 축회전운동시키게 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복귀스프링(6)은, 일단은 상기 안전바(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4) 또는 상기 안전브라켓(34)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1)는, 승강도어(121)의 전면에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대하여 이탈방지수단(3)들을 통해 잠금저지력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100 : 엘리베이터 110 : 승강기
111 : 케이지도어 120 : 승강개구
121 : 승강도어
2 : 도어문틀 21 : 가이드홈
3 : 이탈방지수단 31 : 안전바
311 : 잠금편 312 : 가압편
313 : 걸림돌부 32 : 잠금브라켓
321 : 노치홈 322 : 저지바
33 : 가압브라켓 331 : 가압바
34 : 안전브라켓 4 : 회전축
5 : 볼트 6 : 복귀스프링
A : 승강통로 B : 실내공간
C : 잠금공간

Claims (3)

  1. 승강기가 이동운동하는 승강통로와 실내공간을 연결하는 승강개구의 바닥에 시설되는 도어문틀과; 상기 승강개구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 및 이격되어 개폐하는 승강도어들과; 상기 승강도어들의 근접에 따라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는 중에 상기 승강도어들을 잠금하고 전면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하여 지지압을 형성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도어문틀에 내설되며 일측단에 상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잠금편이 연장구비된 안전바와; 상기 승강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이 끼움되면서 잠금결합되는 잠금공간이 형성된 잠금브라켓과; 상기 승강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승강도어가 배치되는 중에 상기 안전바에서 상기 잠금편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가압편을 가압하여 축회전시키어 상기 잠금편을 상승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바가 구비된 가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브라켓에는,
    상기 잠금편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전면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중에 상기 잠금편의 전면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무단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승강개구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2개 1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KR1020230045055A 2023-04-05 2023-04-05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KR10254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55A KR102548698B1 (ko) 2023-04-05 2023-04-05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55A KR102548698B1 (ko) 2023-04-05 2023-04-05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698B1 true KR102548698B1 (ko) 2023-06-29

Family

ID=8694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055A KR102548698B1 (ko) 2023-04-05 2023-04-05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6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95A (ko) * 2008-08-14 2010-02-24 민병익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JP2010208727A (ja) * 2009-03-09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インタロック装置
KR20160044729A (ko) 2014-10-16 2016-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01932234B1 (ko) * 2018-08-24 2018-12-24 김종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90066974A (ko) 2017-12-06 2019-06-14 유명규 우산 받침대가 있는 기능성 우산
KR20200145765A (ko) * 2019-06-21 2020-12-30 (주)금영제너럴 안전성이 향상된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95A (ko) * 2008-08-14 2010-02-24 민병익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JP2010208727A (ja) * 2009-03-09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インタロック装置
KR20160044729A (ko) 2014-10-16 2016-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KR20190066974A (ko) 2017-12-06 2019-06-14 유명규 우산 받침대가 있는 기능성 우산
KR101932234B1 (ko) * 2018-08-24 2018-12-24 김종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200145765A (ko) * 2019-06-21 2020-12-30 (주)금영제너럴 안전성이 향상된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3927B1 (en) Elevator having a shallow pit and/or a low overhead
RU2380311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US7523809B2 (en) Elevator top of car safety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CN109890737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2328826B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CA2176911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rift of an elevator car stopped at a floor
KR20170043763A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KR10254869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JP2008024409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KR102178504B1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JP43792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6345367A (ja) 二階用簡易エレベータ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JPS6232220Y2 (ko)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102446501B1 (ko)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JP6798969B2 (ja) エレベーター
JP2796458B2 (ja) エレベーター乗かごの出入口装置
JPS5820767Y2 (ja) エレベ−タドアの自動戸閉装置
JP200624863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KR940002173Y1 (ko) 승강기의 브레이크 장치
JPH07267551A (ja) ダムウェータ
KR20240034501A (ko) 승장 도어 이탈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