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394B1 -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 Google Patents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394B1
KR102548394B1 KR1020210115744A KR20210115744A KR102548394B1 KR 102548394 B1 KR102548394 B1 KR 102548394B1 KR 1020210115744 A KR1020210115744 A KR 1020210115744A KR 20210115744 A KR20210115744 A KR 20210115744A KR 102548394 B1 KR102548394 B1 KR 10254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leak detection
groove
flexi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672A (ko
Inventor
원지연
Original Assignee
(주)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온 filed Critical (주)위온
Priority to KR102021011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3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27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electrically condu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플렉시블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튜브를 감싸는 제2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 양단에 각각 배치되며, 통전(通電) 가능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각각의 양단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튜브로부터 누출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Leak Detection and Static Removable Flexible Tube}
본 발명은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플렉시블 튜브 및 상기 플렉시블 튜브를 이용한 액체 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에는 크고 작은 전류가 흘러 전기제품의 동작이 일어나게 되는데 전하에 의해 대전체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정전기는 일반적인 전하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전류의 이동과는 달리, 전하의 흐름이 없이 대전체의 표면에 머물러 일정전압을 유지하며 제전순간에 방전되어 방전전류를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면 전하로 유지되고 있던 정전에너지가 방전공간에 방출되며, 방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에 의해 예기치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연성 가스의 착화폭발, 인체의 전기적 충격, 피부파괴 등의 생체장해, 반도체 소자 등의 파괴와 도장 및 인쇄불량, 사진필름의 감광, 전자 노이즈에 의한 전자기기의 오작동 등이 포함된다. 석유화학이나 정유공장과 같이 석유를 정제하는 구역, 화약물류를 취급하는 구역, 가연성가스를 취급하는 구역등 인화성물질을 취급하는 구역에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되거나 가연성가스누출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의 고전압 방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로 인해 화재폭발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 구역에는 화재폭발을 방지하는 방폭지역으로 지정하여 점화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일체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있으며, 각 시설에는 다수의 정전기 제거장치로 접지가 이루어져 발생되는 정전기를 지면으로 제거하여 정전기 축적에 의한 화재폭발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전 방지 튜브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 등에 적용되어, 그 내부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며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튜브이다.
다만, 종래 대전 방지용 튜브는 튜브의 홈 안쪽에 생성된 정전기는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튜브의 홈 안쪽에 와이어를 배치하여 홈 안쪽에 생성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튜브의 손상이 발생되어 액체 물질의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 신속히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튜브를 감싸는 제2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 양단에 각각 배치되며, 통전(通電) 가능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각각의 양단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튜브로부터 누출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튜브에는 상기 제1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에는 상기 제1 와이어가 배치되어 상기 제1 홈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브 튜브에는 제2 와이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튜브에는 상기 제1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에는 상기 제2 와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와이어 양 단부는 플랜지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된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튜브는 양 말단이 상기 제2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절곡된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튜브에는 제3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튜브는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제2 튜브 사이에 배치되며, 금속이 직조 또는 편조된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튜브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 플렉시블 튜브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본 발명은 상기 제 1 항 내지 제 7 항의 플렉시블 튜브; 및 상기 플렉시블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튜브를 흐르는 액체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출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출 감지 센서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에는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누출 감지 센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누출 감지 센서를 조작할 수 있는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는 튜브 외면에 형성된 홈 안쪽의 정전기까지 제거할 수 있어 정전기의 방전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튜브에 손상으로 튜브의 내부를 흐르던 액체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의 절반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를 확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가 저장조와 탱크로리 사이를 연결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를 활용한 액체 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액체 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제1 튜브에 리크(leak)가 발생되어 액체 물질이 누출된 경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누출된 액체 물질을 전기 분해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제1 튜브에 리크(leak)가 발생되어 액체 물질이 누출된 경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누출된 액체 물질로 인해 단락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렉시블 튜브(10)는 제1 튜브(100), 제1 와이어(200), 제2 튜브(300), 제2 와이어(400), 플랜지(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렉시블 튜브(10)는 액체 물질을 수용하는 탱크로리(tank lorry)와 연결되며 제1 튜브(100)는 플렉시블 튜브(1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 튜브로써, 내부에 인화성 액체 물질, 약액, 반도체 세정액 등이 흐를 수 있으며, 플렉시블(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튜브(100)는 전기 전도도가 낮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소재의 특성상 내부를 흐르는 액체 물질과 절연성 소재인 제1 튜브(100) 내벽과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정전기가 방전되는 경우 액체 물질을 폭발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발생된 정전기는 제거가 필요하다. 특히, 제1 튜브(100)에서 리크(leak)가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액체 물질 및 정전기가 누출될 수 있고, 누출된 정전기가 축적되어 방전되면 인화성의 액체 물질이 폭발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제1 튜브(100)의 외면에는 제1 튜브(100)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홈인 제1 홈(110)과 제1 튜브(100)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홈인 제2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0)과 제2 홈(120)은 제1 홈(110)과 제2 홈(120) 사이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제1 튜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골과 마루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제1 튜브(100)가 주름 구조를 형성하며, 주름 구조는 제1 튜브(100)가 유연하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튜브(10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테플론), 불소수지(Perfluoroalkoxy alkanes, PFA),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PA), 폴리아미드(polyamide)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는 제1 홈(110)에 배치되어 제1 튜브(100)의 제1 홈(110) 안쪽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의 양단은 플랜지(500)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는 누출 감지 센서(700)의 (+)극과 연결되어 (+)극을 형성되며, 누출 감지 센서(700)에서 제1 와이어(200)로 보내는 미세한 전류는 제1 와이어(200)를 통해 제1 튜브(100)의 제1 홈(110) 안쪽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튜브(100)가 손상되어 내부 액체 물질의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와이어(20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액체 물질에 의해 저항이 변화되어 전류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류의 변화를 통해 액체 물질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2 와이어(400)는 제2 홈(120)에 배치되어 제1 튜브(100)의 제2 홈(120) 안쪽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와이어(400)의 양단은 플랜지(500)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400)는 누출 감지 센서(700)의 (-)극과 연결되며, 누출 감지 센서(700)에서 제2 와이어(400)로 보내는 미세한 전류는 제2 와이어(400)를 통해 제1 튜브(100)의 제2 홈(120) 안쪽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튜브(100)가 손상되어 내부 액체 물질의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 제2 와이어(40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누출된 액체 물질에 의해 저항이 변화되어 전류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류의 변화를 통해 액체 물질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과 제2 와이어(400)의 양단부는 각각 플랜지(500)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500)에는 고리(미도시)가 형성되어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의 단부가 고리에 걸려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500)는 단면 넓이가 제1 튜브(100)의 단면 넓이보다 더 넓으며, 통전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므로 제1 튜브로부터 누출되어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를 통해 흐르는 정전기에 의한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튜브(100) 내부를 흐르며 액체 물질과 제1 튜브(100)와의 마찰로 형성된 정전기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제2 튜브(300)는 제1 튜브(100)를 감싸며 제1 튜브(100)를 보호하며 패킹하며, 제1 튜브(100)의 유연한 변형에 상응할 수 있도록 제2 튜브도 유연한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30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 rubber, SBR), 폴리클로로프렌 고무(polychloroprene rubber, C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하이파론고무(CSM), 실리콘고무, 불소고무 등의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300)의 길이는 제1 튜브(100)의 길이 보다 짧아 제1 튜브(100)의 양 말단은 제2 튜브(300) 양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튜브(100)의 돌출된 양 단부는 제1 튜브(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절곡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절곡부(130)는 제1 튜브(100)와 연결되는 탱크 로리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안정적인 결합을 할 수 있다.
플랜지(500)는 제2 튜브(30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튜브(300) 양 말단부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는(500)는 제1 튜브(100)의 절곡부(130)와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500)는 절곡부(130)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절곡부(13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의 금속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300) 일단부에 배치된 플랜지(500)는 제1 와이어(200)의 일단부 및 제2 와이어(40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튜브(300) 타단부에 배치된 플랜지(500)는 제1 와이어(200)의 타단부 및 제2 와이어(40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어, 제1 튜브(100)로부터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를 통해 누출된 정전기를 분산할 수 있어 정전기의 방전에 의한 화재나 폭발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플랜지(500)는 통전 가능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알루미늄(aluminum), 철(steel), 구리, 황동(brass), 청동, 주석, 티타늄, 텅스텐, 니켈 및 몰디브덴 중 어느 하나 이상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튜브(10)는 제3 튜브(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튜브(600)는 제1 튜브(100)와 제2 튜브(3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튜브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튜브(600)는 금속이 직조 또는 편조되어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300)의 변형에 상응하여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3 튜브(600)는 제1 튜브(100)를 감싸면서 제1 튜브(100)의 외면에 누출된 정전기를 분산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3 튜브(600)의 양 단부는 클램프(610)로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610)는 절곡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ㄷ’자의 홈에는 제3 튜브(6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610)의 일단은 제1 튜브(100)의 절곡부(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곡부(620)는 제1 절곡부(130)에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튜브(300)는 제1 튜브(100)와 제2 튜브(300) 사이에 배치된 클램프(610)를 압박하여 절곡부(130) 상에 위치하는 클램프(61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크 감지 시스템(20)은 플렉시블 튜브(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누출 감지 센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출 감지 센서(700)는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200)는 누출 감지 센서(700)의 (+)극과 연결되고 제2 와이어(400)는 누출 감지 센서(700)의 (-)극과 연결될 수 있다.
누출 감지 센서(700)는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에 미리 정해진 양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고, 제1 튜브(100)가 손상되며 내부 액체 물질의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 액체 물질로 인해 저항이 변화됨으로써 전류의 양이 변화됨을 감지하여 액체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 도 6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와이어(200)의 (+)극과 제2 와이어(400)의 (-)극은 누출된 액체 물질을 전기 분해하고, 누출 감지 센서(700)는 액체 물질을 전기 분해함에 따라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통해 액체 물질의 누출 여부 판단할 수 있고,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에 전류의 세기를 통해 누출된 액체 물질의 종류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와이어(200)의 (+)극과 제2 와이어(400)의 (-)극은 누출된 액체 물질로 인해 전기적인 단락(short) 현상이 발생 되고, 누출 감지 센서(700)는 전기적인 단락 현상에 따른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통해 액체 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컨트롤러(710)는 누출 감지 센서와 유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출 감지 센서를 조작할 수 있고, 누출 감지 센서(700)의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710)는 누출 감지 센서(700)가 제1 와이어(200) 및 제2 와이어(400)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제1 튜브(100)의 내부 액체 물질의 누출을 감지한 경우 경보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720)는 제1 컨트롤러(710) 또는 누출 감지 센서(7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컨트롤러(710) 또는 누출 감지 센서(700)를 조작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720)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마트폰, 시설관리 시스템 또는 각종 모니터링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플렉시블 튜브 20 : 누출 감지 시스템
100 : 제1 튜브 110 : 제1 홈
120 : 제2 홈 130 : 제1 절곡부
200 : 제1 와이어 300 : 제2 튜브
400 : 제2 와이어 500 : 플랜지
600 : 제3 튜브 610 : 클램프
620 : 제2 절곡부 700 : 누출 감지 센서
710 : 제1 컨트롤러 720 : 제2 컨트롤러

Claims (10)

  1.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튜브를 감싸는 제2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 양단에 각각 배치되며, 통전(通電) 가능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각각의 양단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튜브에는 상기 제1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에는 상기 제1 와이어가 배치되어 상기 제1 홈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 가능한,
    플렉시블 튜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에는 제2 와이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튜브에는 상기 제1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에는 상기 제2 와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와이어 양 단부는 플랜지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튜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된 플렉시블 튜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는 양 말단이 상기 제2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절곡된 플렉시블 튜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에는 제3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튜브는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제2 튜브 사이에 배치되며, 금속이 직조 또는 편조된 플렉시블 튜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 플렉시블 튜브.
  8. 상기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플렉시블 튜브; 및
    상기 플렉시블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튜브를 흐르는 액체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
  9. 상기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출 감지 센서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
  10. 상기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에는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누출 감지 센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 또는 상기 누출 감지 센서를 조작할 수 있는 플렉시블 튜브의 누출 감지 시스템.
KR1020210115744A 2021-08-31 2021-08-31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KR10254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44A KR102548394B1 (ko) 2021-08-31 2021-08-31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44A KR102548394B1 (ko) 2021-08-31 2021-08-31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72A KR20230032672A (ko) 2023-03-07
KR102548394B1 true KR102548394B1 (ko) 2023-06-27

Family

ID=8551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744A KR102548394B1 (ko) 2021-08-31 2021-08-31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606B1 (ko) * 2023-12-27 2024-03-21 (주) 케이투앤 대전 방지 기능이 구현되는 라인드 파이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529A (ja) * 2008-03-28 2009-10-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流体輸送用管および流体漏洩検知システム
KR101477625B1 (ko) * 2013-07-15 2014-12-30 후성정공 주식회사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JP2020172998A (ja) * 2019-04-12 2020-10-22 株式会社トヨックス 帯電防止可撓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681A (ja) * 1983-08-17 1985-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落雷地点距離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3529A (ja) * 2008-03-28 2009-10-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流体輸送用管および流体漏洩検知システム
KR101477625B1 (ko) * 2013-07-15 2014-12-30 후성정공 주식회사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JP2020172998A (ja) * 2019-04-12 2020-10-22 株式会社トヨックス 帯電防止可撓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72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5936B2 (en) Hydraulic hose with integral life-sensing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KR102548394B1 (ko)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KR0156595B1 (ko) 부식성 대기 환경을 위한 전기용량성의 근접감시 장치
US8087430B1 (en) Leak detecting hose
KR100312108B1 (ko) 내부식성케이블
EP3315936B1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US10648568B2 (en) Sealing arrangement and sealing ring
JPH01142284A (ja) ポンプのダイヤフラムの故障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KR102135683B1 (ko) 누액 감지 센서 및 누액 감지 장치
KR101479520B1 (ko) 누설 탐지 및 보호를 위한 밀폐 커버
CN106233534A (zh) 用于与铠装电缆一起使用的配件
US11680972B2 (en) Method of monitoring static charge
CN105339718A (zh) 衬套、密封装置、管以及安装管的方法
US20120260721A1 (en) Aqueous chemical leak detection cable
US10677680B1 (en) Interior tubing monitoring devices
KR101477625B1 (ko)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JP7281368B2 (ja) 密封装置および密封構造
CN210293575U (zh) 漏水漏油二合一检测线缆及检测系统
US6920031B2 (en) Static charge neutralizer
JP7177482B2 (ja) 液面レベル測定装置
US2750482A (en) High temperature alarm
KR102649606B1 (ko) 대전 방지 기능이 구현되는 라인드 파이프
KR100485108B1 (ko) 오존발생장치
JP6199367B2 (ja) 非接触警報器
US1387901A (en) Method of packing conden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