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625B1 -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 Google Patents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625B1
KR101477625B1 KR1020130082902A KR20130082902A KR101477625B1 KR 101477625 B1 KR101477625 B1 KR 101477625B1 KR 1020130082902 A KR1020130082902 A KR 1020130082902A KR 20130082902 A KR20130082902 A KR 20130082902A KR 101477625 B1 KR101477625 B1 KR 10147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ube
inner tube
power suppl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완
최희영
원지연
임훈우
Original Assignee
후성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성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성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16L9/147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comprising only layers of metal and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 형상의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제1도선; 상기 제1도선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제2도선; 및 상기 제1도선, 상기 제2도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튜브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튜브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일단부와 상기 제2도선의 일단부에는 각각 전원장치의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이 통전될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Tube Comprising Anti Leaking}
본 발명은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Tube)는 속이 비어있는 관으로서, 직경이 파이프(Pipe)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배관을 의미한다. 그리고 튜브는 파이프에 비해서 잘 휘어지는 유연한(flexible) 성질을 갖는다.
튜브는 반도체, 자동차, 화학, 의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체유송용, 열교환용, 전기배선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튜브는 수송유체에 의한 손상이나 노화, 또는 보수과정의 미비, 자연재해 등으로 누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튜브에 누수가 발생하는 상황까지 이르면 튜브는 수명에 한계가 왔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튜브에 누수가 발생하는 상황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누수에 의한 설비 파손 등이 확연하게 감지되는 경우가 아니면 튜브의 수명한계가 왔다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처럼 튜브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누수가 발생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 본체 튜브 누수검출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의 누수검출장치는 튜브에 누수 감지부를 직접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튜브 외부에 별도의 압력완충 포트, 누수검출 포트, 부게 볼 등의 복잡한 장치를 결합하여 누수상태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개시된 기술도 튜브의 누수를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튜브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없으므로 전술한 문제점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23792호(2004. 06. 2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의 수명한계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튜브의 누수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공 형상의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제1도선; 상기 제1도선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제2도선; 및 상기 제1도선, 상기 제2도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튜브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일단부와 상기 제2도선의 일단부에는 각각 전원장치의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이 통전될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통전이 이루어질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수명한계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명한계 판별부는 상기 전원장치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의 통전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는 서로 같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는 PFA, PTFE, PVDF, FEP 중 어느 하나의 서로 같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도선 및 상기 제2도선은 구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은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은 색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도선 및 상기 제2도선은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압출성형된 내측튜브에 제1도선 제2도선이 설치되는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에 외측튜브가 압출되도록 하는 2중 압출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중공 형상의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지는 제1도선; 상기 제1도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튜브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튜브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일단부와 상기 제1도선의 타단부에는 각각 전원장치의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도선이 단선되어 통전되지 않을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는, 크랙 등 파손에 의한 튜브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 상황을 미연에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튜브에 수명한계 판별부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수명한계 판별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와 수명한계 판별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튜브의 파손이 예상되는 실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튜브는 다양한 종류의 튜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는 반도체, 액정 등의 일렉트로닉스 분야, 바이오 테크놀로지, 의약품, 정밀화학 등 첨단분야 및 석유화학 일반 공업분야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테프론 튜브(Teflon Tube, 열에 강한 합성수지)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튜브에 수명한계 판별부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수명한계 판별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1)는 내측튜브(100), 제1도선(200), 제2도선(300) 및 외측튜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측튜브(100)는 유체를 수송할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도록 중공형상을 가지며, 외측튜브(400)의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내측튜브(100)의 관로에는 약품이 흐를 수 있다.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내측튜브(100)의 외주면에 각각 감겨진다. 여기서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감겨져야 한다. 예를 들어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서로 이웃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나선형상으로 감겨질 수 있다. 물론,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서로 중첩되거나 통전되지만 않으면 다양한 형태로 내측튜브(10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구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각각 전원장치(500)의 (+) 전극(510)과 (-) 전극(5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선(200)의 일단부(210)는 전원장치(500)의 (+) 전극(510)에 연결되고, 제2도선(300)의 일단부(310)는 전원장치(500)의 (-) 전극(5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이와 같이 전원장치(500)의 다른 전극에 연결되지만, 평상시에는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통전되지는 않는다.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을 서로 다른 전극에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의 굵기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색상이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의 굵기와 색상은 서로 같을 수도 있다.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이 감겨진 내측튜브(100)의 외측에는 외측튜브(400)가 결합된다.
외측튜브(400)는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을 감싸도록 내측튜브(100) 외측에 결합되면서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튜브(400)는 내측튜브(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처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튜브(100)와 외측튜브(400)는 PFA(PerFluoroAlkoxy, 퍼플로로알콕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비닐리덴플로리드),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튜브(100)는 PFA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튜브(400)는 PTF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측튜브(100)는 내부에 약액이나 화학용 가스 등에 강한 재질을 가지며, 외측튜브(400)는 내측튜브(100)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외부환경으로부터 내측튜브(100)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을 경계로 내측튜브(100)와 외측튜브(400)의 2개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실시예의 튜브는 2중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압출성형된 내측튜브(100)에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을 감아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를 2차적으로 내측튜브(100)와 다른 재질로 다시 압출성형을 함으로써, 내측튜브(100)에 외측튜브(400)를 덧입히는 방식으로 튜브(1)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1)는 전원장치(500)와 연결되며, 통전이 이루어질 경우 누수경보를 발생시키는 수명한계 판별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명한계 판별부(600)는 내측튜브(10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누수 발생의 우려가 생기는 상황을 감지하여 튜브의 수명한계를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누수에 의한 더 큰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장치(500)와 연결되면서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의 통전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10)와, 감지센서(610)가 작동하는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610)는 튜브(1)의 외측 어느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도선(200)이나 제2도선(300)에 연결되면서 전원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선(2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장치(500)는 제1도선(200), 제2도선(300) 및 감지센서(610)에 전류를 공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이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장치(500)는 감지센서(61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이처럼 평상시에는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제1도선(200), 제2도선(300) 및 감지센서(610)는 서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개방된 회로상태에 놓인다.
경보기(620)는 감지센서(610)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
만약 내측튜브(100)가 찢어지거나 파손이 이루어질 경우,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의 사이 공간부가 탈락되어 개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튜브(100)의 관로 내부로부터 유체가 누수되어 내측튜브(100)의 파손된 부위("A")로 이동하여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누수된 유체는 불소액 등의 전해질로 이루어지므로 누수된 유체에 의해 제1도선(200)과 제2도선(300)은 통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장치(500)에 연결된 제1도선(200) 및 제2도선(300)은 누수된 유체에 의해 폐쇄된 회로를 구성하므로 전원장치(500)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감지센서(610)에 흐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경보기(620)는 감지센서(61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경보기(620)는 소리, 신호, 화면표시 등 다양한 방법의 경보를 통해 튜브(1)에 누수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보기(620)에서 경보가 발생되면 내측튜브(100)가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1)는 내측튜브(100)의 파손을 감지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함으로써 누수발생을 미연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누수 발생시에는 외측튜브(400)가 파손된 내측튜브(100)를 감싸면서 누수를 2차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와 수명한계 판별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튜브의 파손이 예상되는 실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명한계 판별장치를 구비한 튜브(1a)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내측튜브(1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도선(200) 하나만이 감겨진다. 그리고 제1도선(200)의 일단부(210)와 제1도선(200)의 타단부(220)에는 각각 전원장치(500)의 (+) 전극(510)과 (-) 전극(520)이 연결되며, 제1도선(200)이 단선되어 통전되지 않을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원장치(500)의 (-) 전극(520)과 연결된 제1도선(200)의 타단부에 수명한계 판별부(600)가 연결된 점이 차이가 있다. 물론, 수명한계 판별부(600)는 (+) 극과 연결된 제1도선(200)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충격이 발생하면서 외측튜브(400) 또는 내측튜브(100)에 파손"C" 이 생겨 제1도선(200)이 단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명한계 판별부(600)는 통전이 되지 않게 되는 점을 이유로 누수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는 튜브의 수명한계 상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명한계 한 튜브를 교체하거나 수리함으로써 누수에 의한 더 큰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의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1a)는 튜브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발생을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a : 튜브 100 : 내측튜브
110 : 관로 200 : 제1도선
300 : 제2도선 400 : 외측튜브
500 : 전원장치 600 : 수명한계 판별부
610 : 감지센서 620 : 경보기

Claims (11)

  1. 중공 형상의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제1도선;
    상기 제1도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제2도선; 및 상기 제1도선, 상기 제2도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튜브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일단부와 상기 제2도선의 일단부에는 각각 전원장치의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이 통전될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도선 및 상기 제2도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지는 제3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도선의 일단부와 상기 제3도선의 타단부에는 각각 전원장치의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3도선이 단선되어 통전되지 않을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통전이 이루어질 경우 누수경보를 발생시키는 수명한계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한계 판별부는
    상기 전원장치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의 통전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는 서로 같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는 PFA, PTFE, PVDF, FEP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 상기 제2도선 또는 상기 제3도선은 구리선을 포함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은 서로 같거나 다른 굵기를 갖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과 상기 제2도선은 색상이 서로 같거나 다른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선, 상기 제2도선, 또는 상기 제3도선은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압출성형된 내측튜브에 제1도선, 제2도선, 및 제3도선이 설치되는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에 외측튜브가 압출되도록 하는 2중 압출성형으로 제작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11. 중공 형상의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지는 제1도선;
    상기 제1도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튜브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튜브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선의 일단부와 상기 제1도선의 타단부에는 각각 전원장치의 (+) 전극과 (-) 전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도선이 단선되어 통전되지 않을 경우 누수로 판별되는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KR1020130082902A 2013-07-15 2013-07-15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KR10147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02A KR101477625B1 (ko) 2013-07-15 2013-07-15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02A KR101477625B1 (ko) 2013-07-15 2013-07-15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625B1 true KR101477625B1 (ko) 2014-12-30

Family

ID=5268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902A KR101477625B1 (ko) 2013-07-15 2013-07-15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5662A (zh) * 2017-08-30 2018-01-12 绵阳飞远科技有限公司 具有故障定位功能的玻璃钢地下埋管
KR20230032672A (ko) * 2021-08-31 2023-03-07 (주)위온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016A (ja) * 2000-08-08 2002-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鞘管、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漏水検知方法、漏水検出システム、および給水・給湯配管システム
KR100919789B1 (ko) * 2007-06-13 2009-10-01 윤상조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한 감지관
KR20090129541A (ko) * 2008-06-13 2009-12-17 이종호 유리섬유 강화 지중 매설용 고강도 다중 하수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016A (ja) * 2000-08-08 2002-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鞘管、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漏水検知方法、漏水検出システム、および給水・給湯配管システム
KR100919789B1 (ko) * 2007-06-13 2009-10-01 윤상조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한 감지관
KR20090129541A (ko) * 2008-06-13 2009-12-17 이종호 유리섬유 강화 지중 매설용 고강도 다중 하수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5662A (zh) * 2017-08-30 2018-01-12 绵阳飞远科技有限公司 具有故障定位功能的玻璃钢地下埋管
KR20230032672A (ko) * 2021-08-31 2023-03-07 (주)위온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KR102548394B1 (ko) * 2021-08-31 2023-06-27 (주)위온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00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diaphragm failures in reciprocating pumps
JP5244795B2 (ja) 回転するフィードスルーのための漏れ検出システム
ES2421362T3 (es) Manguera con capacidad de detección de averías
JP6550389B2 (ja) 空間を包囲する物体およびそれらの結合部のための漏れ監視システム
TWI403710B (zh) 液體洩漏感測器
KR101477625B1 (ko) 수명한계 판별 기능을 구비한 튜브
KR20110059000A (ko)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BRPI0707986A2 (pt) sistema para reutilizar água, sistema de adução para água, e método para monitorar um sistema de adução de água conectado a um dispositivo de água imprópria para consumo
US20200018662A1 (en) Pipeline leak detection
KR101479520B1 (ko) 누설 탐지 및 보호를 위한 밀폐 커버
KR101452639B1 (ko) 차압·압력 발신기
US6498496B1 (en) Device for detecting membrane leaks in a diaphragm pump
KR20200005851A (ko) 누액 감지 센서 및 누액 감지 장치
US20210123963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static charge
KR102548394B1 (ko) leak 감지 및 정전기 제거 플렉시블 튜브
CN108613019A (zh) 双层管道测漏装置
KR20170101407A (ko) 누수 감지 기능을 가지는 호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7189B1 (ko)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102087562B1 (ko)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JP6199367B2 (ja) 非接触警報器
KR101695863B1 (ko) 유체 레벨 센서
JP2018091795A (ja) 配管構造からの流体漏洩を検知する方法、配管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2010203778A (ja) 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CN110017429A (zh) 一种液体管路以及检测液体管路泄露的方法
JPH11173939A (ja) 半導体装置製造設備の漏水感知装置及び漏水感知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