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073B1 -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073B1
KR102548073B1 KR1020210155875A KR20210155875A KR102548073B1 KR 102548073 B1 KR102548073 B1 KR 102548073B1 KR 1020210155875 A KR1020210155875 A KR 1020210155875A KR 20210155875 A KR20210155875 A KR 20210155875A KR 102548073 B1 KR102548073 B1 KR 10254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ollecting well
hydraulic ram
well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104A (ko
Inventor
유상희
김지선
김충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1015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0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편하고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200) 및 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핸들(110)로 구성되고, 본체(200)는, 집수정 덮개(10) 사이로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걸리는 T형후크(226)가 하단에 형성된 개방로드(220); 개방로드(220)를 상승시켜 집수정 덮개(10)와 T형후크(226)를 밀착시키는 제 1 유압램(230); 및 제 1 유압램(230)과 반대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본체(200)를 상승시키는 제 2 유압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Grating opening device of the sump}
본 발명은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편하고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정 덮개(10)를 작업자가 개방하는 장면의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또는 고속도로에는 우수 등의 배수를 위한 집수정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집수정에는 추락방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격자 형태의 덮개(10)가 설치되어 있다.
장마와 같은 우천시 집수정의 배수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년간 3,000개의 집수정 덮개를 개방한 뒤 집수정 준설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집수정 덮개(10)는 1,330×830×75 mm 규격인 경우 162 Kg의 중량이다. 또한, 집수정 덮개(10)가 부식이나 이물질 등으로 둘레가 협착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집수정 덮개(10)는 소형 중장비(예 : 소형 크레인, 소형 포크레인 등)를 동원하거나 여러 작업자가 협동하여 개방하곤 하였다.
중장비를 동원하는 경우 1개 차선을 막고 작업해야 했으며, 준설작업과 함께 천천히 이동하면서 집수정 덮개(10)를 들어 올려야 했다. 그리고, 여러 작업자가 협동하는 경우 중량물의 반복적인 개방 동작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고, 일일 작업량이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24021 호(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집수정 덮개를 개방할 수 있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고 유압 파워팩과 같은 부대장치가 필요없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200) 및 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핸들(110)로 구성되고, 본체(200)는, 집수정 덮개(10) 사이로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걸리는 T형후크(226)가 하단에 형성된 개방로드(220); 개방로드(220)를 상승시켜 집수정 덮개(10)와 T형후크(226)를 밀착시키는 제 1 유압램(230); 및 제 1 유압램(230)과 반대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본체(200)를 상승시키는 제 2 유압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120)와 유압레버(130); 및 발생된 유압을 제 1 유압램(230)과 제 2 유압램(24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환밸브(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압실린더(120)와 유압레버(130)는 핸들(110) 상에 설치되고, 전환밸브(150)는 본체(200)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20)와 전환밸브(150)를 연결하는 유압호스(140); 전환밸브(150)의 일측과 제 1 유압램(230)을 연결하는 제 1 내부호스(250); 및 전환밸브(150)의 타측과 제 2 유압램(240)을 연결하는 제 2 내부호스(2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개방로드(220)의 상단에는 로드핸들(222)이 더 형성된다.
또한, 개방로드(220)는 제 1 유압램(230)이 접하는 영역에 스크류(224)가 더 형성된다.
또한, 핸들(110)은 수평방향으로부터 30° ~ 40°의 경사를 유지한 채 연장된다.
또한, 핸들(110)과 본체(200)가 접하는 영역에는 한쌍의 바퀴(21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 2 유압램(240)은 바퀴(210)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본체(200)를 경사지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T형후크(226)는 집수정 덮개(10) 사이로 삽입되어 90° 회전함으로써 걸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실시예로써, 본체(200) 및 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핸들(110)로 구성되고, 본체(200)는, 원형 덮개(20)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228)가 하단에 형성된 개방로드(220a); 바닥을 향해 신장됨으로써 본체(200)를 상승시키는 제 2 유압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힘만으로도 쉽게 이동 가능하고 집수정 덮개를 빠르고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면서도 많은 집수정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장치나 파워팩(엔진, 배터리, 발전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아 운용이 간편하고 보관이 편리하며 잔고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정 덮개(10)를 작업자가 개방하는 장면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가 집수정 덮개(10)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의 측면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의 평면도,
도 5b는 개방로드(220)의 T형후크(226)가 집수정덮개(10)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중 개방로드(220a)의 또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개방로드(220a)가 장착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원형덮개(20)를 개방하는 작업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가 집수정 덮개(10)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장치(100)는 크게 핸들(110)과 본체(200)로 구성된다.
핸들(110)은 수평방향으로부터 약 30°의 경사를 유지하고, 자유단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T형상의 직각 핸들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110)의 하단은 본체(200) 중 바퀴(210)가 있는 영역에 단단히 고정된다.
유압레버(130)와 유압실린더(120)는 핸들(110)의 중간에 위치한다. 작업자가 유압레버(130)를 왕복 동작시키는 경우 유압실린더(120)는 유압을 발생하여 유압호스(140)로 전달한다. 유압실린더(120)는 100톤 용량일 수 있다.
본체(200)는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으로 제작된다. 본체(200)의 일측에는 핸들(110)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한쌍의 바퀴(210)가 설치된다. 한쌍의 바퀴(210)는 지렛대 원리의 중심점으로 작용하며, 개방장치(100)의 승강, 이동 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전환밸브(150)는 본체(200)의 상면에 노출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유압호스(140)는 유압실린더(120)와 전환밸브(150) 사이에 연결된다. 전환밸브(150)는 유압실린더(120)에서 발생한 유압을 제 1 유압램(230) 또는 제 2 유압램(240) 중 하나로 전달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압램(230)은 본체(200)의 내부에서 상부로 신장되도록 배치된다. 제 1 내부호스(250)는 전환밸브(150)의 일측과 제 1 유압램(230) 사이를 연결한다. 제 1 유압램(230)은 개방로드(220)의 스크류(224)와 리드스크류와 같은 형태로 맞물려 있다. 제 1 유압램(230)은 개방로드(220)의 회전은 허용하면서 개방로드(2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제 1 유압램(230)은 20톤 용량일 수 있다.
제 2 유압램(240)은 본체(200)의 내부에서 하부로 신장되도록 배치된다. 제 2 내부호스(260)는 전환밸브(150)의 타측과 제 2 유압램(240) 사이를 연결한다. 제 2 유압램(240)은 바닥(예 : 노면, 길)을 향해 신장됨으로써 본체(200)를 경사지게 상승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유압램(240)은 제 1 유압램(230)과 바퀴(210) 사이에서 바퀴(210)에 더 가깝게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제 2 유압램(240)은 제 1 유압램(230)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개방로드(220)는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단에는 로드핸들(222)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90°씩 돌리기 쉽도록 되어 있다. 개방로드(220)의 중간에는 스크류(224)(예 : 리드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로드(220)의 직경은 약 25mm이다.
도 5b는 개방로드(220)의 T형후크(226)가 집수정덮개(10)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로드(220)의 하단에는 T형후크(226)가 형성되어 있다. T형후크(226)의 폭은 집수정 덮개(10)의 격자 폭 보다 좁으며, T형후크(226)의 길이는 집수정 덮개(10)의 격자 폭 보다 길다. 따라서, T형후크(226)를 90°씩 회전하는 경우 집수정 덮개(10)의 격자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개방장치(100)를 끌고 와서 집수정 덮개(10) 위에 놓는다. 이 때, 개방로드(220)의 T형후크(226)가 집수정 덮개(10)의 격자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돌려 놓는다.
그 다음, 작업자는 로드핸들(222)을 90° 돌려서 T형후크(226)가 도 5b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전환밸브(150)를 돌려서 유압실린더(120)와 제 1 유압램(230)이 유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 다음, 작업자가 유압레버(130)를 반복적으로 왕복 동작시키면 유압실린더(120)에서 발생한 유압이 유압호스(140), 전환밸브(150) 및 제 1 내부호스(250)를 통해 제 1 유압램(23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압램(230)이 개방로드(220)를 상승시켜서 T형후크(226)가 집수정 덮개(10)의 하면 격자에 걸려서 밀착된다.
그 다음, 전환밸브(150)를 돌려서 유압실린더(120)와 제 2 유압램(240)이 유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 다음, 작업자가 유압레버(130)를 반복적으로 왕복 동작시키면 유압실린더(120)에서 발생한 유압이 유압호스(140), 전환밸브(150) 및 제 2 내부호스(260)를 통해 제 2 유압램(24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압램(240)이 본체(200)를 경사지도록 상승(도 6c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의 회전)시킨다. 이때, 집수정 덮개(10)도 본체(200)와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상승(도 6c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의 회전)된다. 즉, 집수정 덮개(10)의 일부만이 탈리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110)을 누르면, 바퀴(210)를 중심으로 본체(200)와 집수정 덮개(10)가 같이 들어 올려진다. 작업자는 개방장치(100)와 집수정 덮개(10)를 인근으로 이동시킨 후 집수정 준설작업을 수행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0)의 길이가 본체(200) 길이의 2배 ~ 3배이므로 작업자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손쉽게 중량의 집수정 덮개(10)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분리된 집수정 덮개(10)의 재조립은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제 2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중 개방로드(220a)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개방로드(220a)가 장착된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원형덮개(20)를 개방하는 작업사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중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대로 인용하면서 중복 설명을 피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덮개(20)는 주물과 같은 중량물이며, 맨홀뚜껑이나 집수정 덮개가 될 수 있다. 원형덮개(20)에는 암나사 형성되어 있으며, 없다면 탭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로드(220a)는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단에는 로드핸들(222)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돌리기 쉽도록 되어 있다. 개방로드(220a)의 중간에는 스크류(224)(예 : 리드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로드(220a)의 하단에는 숫나사인 볼트(22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200) 내부에는 개방로드(220a)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 1 유압램(230), 제 1 내부호스(250) 및 전환밸브(150)가 생략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동작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유사하다.
개방로드(220a)는 제 1 실시예의 부속품으로써 같이 휴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집수정덮개,
20 : 원형덮개,
100 : 개방장치,
110 : 핸들,
120 : 유압실린더,
130 : 유압레버,
140 : 유압호스,
150 : 전환밸브,
200 : 본체,
210 : 바퀴,
220, 220a : 개방로드,
222 : 로드핸드,
224 : 스크류,
226 : T형후크,
228 : 볼트,
230 : 제 1 유압램,
240 : 제 2 유압램,
250 : 제 1 내부호스,
260 : 제 2 내부호스.

Claims (15)

  1.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핸들(11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00)는,
    집수정 덮개(10) 사이로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걸리는 T형후크(226)가 하단에 형성된 개방로드(220);
    상기 개방로드(220)를 상승시켜 상기 집수정 덮개(10)와 상기 T형후크(226)를 밀착시키는 제 1 유압램(230);
    상기 제 1 유압램(230)과 반대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상기 본체(200)를 상승시키는 제 2 유압램(240);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120)와 유압레버(130);
    발생된 상기 유압을 상기 제 1 유압램(230)과 상기 제 2 유압램(24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환밸브(150);
    상기 유압실린더(120)와 상기 전환밸브(150)를 연결하는 유압호스(140);
    상기 전환밸브(150)의 일측과 상기 제 1 유압램(230)을 연결하는 제 1 내부호스(250); 및
    상기 전환밸브(150)의 타측과 상기 제 2 유압램(240)을 연결하는 제 2 내부호스(260);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20)와 유압레버(130)는 상기 핸들(1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환밸브(150)는 상기 본체(200)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방로드(220)는 상기 제 1 유압램(230)이 접하는 영역에 스크류(224)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핸들(110)은 수평방향으로부터 30° ~ 40°의 경사를 유지한 채 연장되며,
    상기 핸들(110)과 상기 본체(200)가 접하는 영역에는 한쌍의 바퀴(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유압램(240)은 상기 바퀴(210)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200)를 경사지게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로드(220)의 상단에는 로드핸들(222)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후크(226)는 상기 집수정 덮개(10) 사이로 삽입되어 90° 회전함으로써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155875A 2021-11-12 2021-11-12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KR10254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75A KR102548073B1 (ko) 2021-11-12 2021-11-12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75A KR102548073B1 (ko) 2021-11-12 2021-11-12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104A KR20230070104A (ko) 2023-05-22
KR102548073B1 true KR102548073B1 (ko) 2023-06-28

Family

ID=8654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75A KR102548073B1 (ko) 2021-11-12 2021-11-12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0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439B2 (ja) * 1990-09-28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装置
JP3061392B2 (ja) * 1990-02-20 2000-07-10 株式会社東芝 ガンマカメラ装置
KR100588479B1 (ko) * 2006-01-17 2006-06-12 중부도시가스(주) 맨홀 뚜껑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12U (ja) * 1992-08-15 1994-04-2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マンホール蓋の押上装置
JP3015439U (ja) * 1994-10-26 1995-09-05 有限会社佐世保設計事務所 道路側溝用溝蓋取り外し機
JP3061392U (ja) * 1999-02-12 1999-09-17 株式会社ジャムコ 油圧シャ―シジャッキ装置
KR100312736B1 (ko) * 1999-04-27 2001-11-03 김영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KR20100034171A (ko) * 2008-09-23 2010-04-01 (주)동영이엔씨 우수덮개 발출 장치
KR101824021B1 (ko) 2014-10-10 2018-02-02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392B2 (ja) * 1990-02-20 2000-07-10 株式会社東芝 ガンマカメラ装置
JP3015439B2 (ja) * 1990-09-28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装置
KR100588479B1 (ko) * 2006-01-17 2006-06-12 중부도시가스(주) 맨홀 뚜껑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104A (ko) 202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77575A (en) Boom-suspension buckets and the like
DE3027489A1 (de) Greiferanordnung fuer eine erdbewegungsmaschine
KR102548073B1 (ko) 집수정 덮개의 개방장치
EP3110741A1 (en) A multipurpose device
US6601891B1 (en) Grapple attachment
CN207498016U (zh) 一种燃气阀门井井盖开启工具
US9127442B1 (en) Bucket, breaker, and gripping apparatus for an excavator boom stick
CN102644305B (zh) 开斗面积和容积可变的多瓣式抓斗
CN107012821B (zh) 园林用手持式垃圾清理装置
AU2013216670A1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CN107807012B (zh) 水底固形物机械采集器
US20160244943A1 (en) Safety lifting system for a mechanical excavator
CN210767158U (zh) 一种防移位新型安全窨井盖
CN209412884U (zh) 一种推土机
RU2158335C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бульдозера
KR200171723Y1 (ko) 중량물 픽업장치
CN207829044U (zh) 一种用于水利清污的抓斗
CN201031152Y (zh) 一种耙齿抓斗的升降装置
JP6753268B2 (ja) 底泥収納容器
KR100396429B1 (ko) 다목적 복합 장비
CN217327911U (zh) 一种油缸管路接头保护装置
CN110552418A (zh) 一种防移位新型安全窨井盖
CN215188212U (zh) 一种园林种植装置
DE2203865B2 (de) Schlammräumer für Klärbecken mit gewichtsbelastetem Räumschild
CN203256894U (zh) 窖井清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