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779B1 -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779B1
KR102547779B1 KR1020200140213A KR20200140213A KR102547779B1 KR 102547779 B1 KR102547779 B1 KR 102547779B1 KR 1020200140213 A KR1020200140213 A KR 1020200140213A KR 20200140213 A KR20200140213 A KR 20200140213A KR 102547779 B1 KR102547779 B1 KR 102547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sidestream smoke
smoking article
article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281A (ko
Inventor
한승규
김재현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4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779B1/ko
Priority to JP2022502888A priority patent/JP7355212B2/ja
Priority to PCT/KR2021/012548 priority patent/WO2022092561A1/ko
Priority to US17/789,936 priority patent/US20230051032A1/en
Priority to EP21844939.5A priority patent/EP4011222B1/en
Priority to CN202180012121.6A priority patent/CN115038345A/zh
Publication of KR2022005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24F13/06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with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8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pecial devices, e.g. spikes or grippers, for holding the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14Protecting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2Supports for holding cigars or cigarettes while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4Cigar cutters, slitters, or perforators, e.g. combined with lighters
    • A24F13/26Cigar cutters, slitters, or perforators, e.g. combined with lighters formed as pocke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8Devices for blowing through ciga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18Extinguisher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0Means for cutting-off the glowing ash

Abstract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는, 내부에 흡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하여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물품삽입부, 물품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흡연물품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을 점화하는 점화부 및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을 처리하는 부류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는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흡연물품에 대한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APPARATUS FOR REMOVING SIDESTREAM SMOK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물품에 대한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류연 제거 장치는 손냄새 저감, 부류연(sidestream smoke) 제거(정화) 등을 목적으로 고안된 일종의 흡연 보조 기구이다. 부류연 제거 장치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밀폐된 흡연 공간과 부류연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들은 부류연 제거 장치 내부의 흡연 공간에 궐련을 삽입하여 흡연을 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궐련은 세장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흡연 공간 내에서 궐련의 상류 부분이 흔들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흔들림 현상으로 인해 흡연물품이 잘 점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부류연 제거 장치들은 특정 길이의 궐련에 맞게 설계 및 제조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의 궐련에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다수의 부류연 제거 장치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존재하였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0689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14360호 미국 특허공보 US8109276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연물품에 대한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는, 내부에 흡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물품삽입부, 상기 흡연물품이 상기 물품삽입부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지지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을 점화하는 점화부 및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을 처리하는 부류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신장 상태에서 상기 상류 말단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흡연물품의 삽입방향으로 수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점화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흡연물품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과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 공간 내에서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부류연처리부는 상기 부류연을 여과하는 필터구조물과, 상기 여과된 부류연이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의 종료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류연처리부는 상기 부류연이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며,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고 상기 배기팬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 공간 내로 삽입되는 흡연물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물품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향상되고, 점화 시에 흡연물품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되어 점화안정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탄성체로 탄성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흡연물품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의 부류연 제거 장치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구매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점화부가 탄성지지부와 결합되고, 점화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물품이 삽입됨에 따라 점화부가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을 관통하는 형태로 밀착될 수 있어, 점화안정성과 점화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됨으로써, 흡연물품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 진행 상황에 따라 벤트홀과 배기팬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흡연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의 종료가 감지됨에 따라 자동 소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 위험성과 화상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와 다양한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현재 흡연 위치 판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연기(smoke) 및/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거나 흡연에 이용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1쇄된 재생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등에 예시된 흡연물품(30)에서, 필터부는 흡연물질부의 하류 또는 하류 방향에 위치하고, 흡연물질부는 필터부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특히, 도 1 등의 도면은 흡연물품(3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류연 제거 장치(1)는 하우징(11), 물품삽입부(12), 백커버(13), 단열부(14), 온도센서(20), 점화부(15), 부류연처리부(16), 메쉬망(17), 디스플레이부(19) 및 제어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 제거 장치(1)는 전기적 구성요소(e.g. 제어부 18, 디스플레이부 19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아닐 수도 있다. 즉, 부류연 제거 장치(1)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 제거 장치(1)는 온도센서(20), 디스플레이(19) 등의 구성요소가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1)은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내부에 흡연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하우징(11)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측벽을 지칭하는 것처럼 도시하고 있으나, 하우징(11)은 물품삽입부(12), 백커버(13) 및 단열부(14)를 포함하는 외관 형성 구조물 전부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내구성을 보장하고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우징(11)은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흡연 공간 내로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1)에 벤트홀(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벤트홀(111)은 흡연 중에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흡연물품(30)의 연소를 촉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흡연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하우징(11)에 1개의 벤트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벤트홀(111)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도 있다. 또한, 벤트홀(111)의 형성 위치, 크기, 간격 등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벤트홀(111)의 개폐 여부 및/또는 개폐 정도는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물품삽입부(12)는 하우징(11)의 일단(e.g. 상단)에 위치하며, 흡연물품(30)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품삽입부(12)를 통해 부류연 제거 장치(1) 내의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30)을 삽입할 수 있다. 흡연 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물품삽입부(12)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흡연물품(3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품삽입부(12)는 흡연물품(30)을 잡아줄 수 있는 홀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물품삽입부(12)가 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삽입부(12)는 수동 조작을 통해 개구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확장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물품삽입부(12)는 흡연물품(30)에 맞게 자동으로 개구를 조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물품삽입부(12)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18)가 센서를 통해 흡연물품(30)이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입력(e.g. 버튼 푸시)이 수신될 때 물품삽입부(12)의 개구를 조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의 크기가 흡연물품(30)에 맞게 조절됨으로써 흡연물품(30)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되고 지지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크기의 흡연물품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활용성도 향상될 수 있다.
흡연물품(30)은 하류에 위치한 필터부와 필터부의 상류 말단과 접경하는 흡연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흡연물품(30)의 세부 구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필터부는 연기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흡연물질부는 흡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예로는 연소형 궐련을 들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연물품(30)은 흡연 시에 부류연이 발생되는 임의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백커버(13)는 하우징(11)의 타단(e.g. 하단)에 위치하여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부류연 처리부(16)를 통해 처리된(정화된) 부류연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백커버(13)에는 기체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3)에는 미세홀 등과 같은 기체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열부(14)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져 흡연 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단열부(14)는 하우징(11)의 외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부류연 제거 장치(1)와 닿을 때(e.g. 흡연을 위해 장치 1을 파지하는 경우) 내부 열에 의한 화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센서(20)는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되어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20)의 개수, 형상, 배치 위치, 배치 간격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20)가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적인 모니터링 모듈 없이 온도센서(20)만을 이용하여 흡연의 종료 여부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흡연물질부가 완전히 연소된 경우에 흡연이 종료되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e.g. 현재 흡연 위치가 흡연물질부 하류 말단에 도달한 경우),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증가하다가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e.g.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에서 연소력이 약해지는 경우)에 흡연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흡연 공간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온도센서(20-1, 20-2)가 흡연물품(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2개의 온도센서(20-1, 20-2)가 배치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온도센서(20)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온도센서(20)의 배치 간격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이용되면, 흡연 진행 상황(e.g. 흡연 진행 정도)이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흡연물질부의 상류 말단 부근에 배치된 온도센서(e.g. 20-2)를 통해 흡연의 시작이 감지(판단)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상기 온도센서(e.g. 20-2)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흡연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온도센서(e.g. 20-1, 20-2)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흡연 진행 정도(e.g. 현재 흡연(연소)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본 예에 대해서는 추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몇몇 예들에서, 복수개의 온도센서(20)가 삽입된 흡연물품(30)의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흡연 공간 내에서 흡연물품(30)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e.g. 90도 간격으로 4개의 온도센서 20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기울어짐(흔들림) 정도가 판단될 수 있다. 가령, 특정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가 다른 온도센서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8)는 상기 특정 온도센서 방향으로 삽입된 흡연물품(30)이 기울어져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변동되는 경우, 제어부(18)는 삽입된 흡연물품(30)이 흔들리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세장형의 바디를 갖는 온도센서(20)가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세장형의 온도센서(20)가 흡연물품(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20)는 세장형 바디의 제1 부분이 흡연물품(30)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제1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2 부분이 흡연물질부의 제2 대응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세장형 바디의 특정 부분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 진행 상황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상기 세장형 바디의 각 부분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흡연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온도센서(2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점화부(15)는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되어 흡연 공간 내로 삽입된 흡연물품(30)을 점화할 수 있다. 점화부(15)는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점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점화부(15)의 개수, 형상, 배치 형태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점화부(15)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부(15)는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부근을 점화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 시의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점화부(15)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 및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어떻게 되더라도 무방하다. 가령, 점화부(15)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제어부(18)가 흡연물품(30)의 삽입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점화부(15)를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류연 제거 장치(1)가 다양한 길이의 흡연물품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류연처리부(16)는 흡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삽입된 흡연물품(30)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처리부(16)는 삽입된 흡연물품(30)과 백커버(13) 사이에 위치하여 부류연에 대한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류연처리부(16)는 정화된 부류연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부류연처리부(16)의 세부 구조 및 동작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류연처리부(16)가 필터구조물(161)과 배기팬(16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구조물(161)은 부류연에 대한 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배기팬(162)은 부류연에 대한 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배기팬(162)은 회전을 통해 부류연을 필터구조물(161) 쪽으로 빨아당기고, 필터구조물(161)을 통과한 부류연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기팬(162)의 동작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8 등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메쉬망(17)은 부류연 처리부(16)와 백커버(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메쉬망(17)은 흡연 공간 내부의 특정 물체(e.g. 필터부 161의 일부 조각 등)가 백커버(13)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9)는 하우징(11)의 외면에 위치하여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9)는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 장치 정보, 흡연 이력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흡연 진행 정보(e.g. 흡연 진행 정도, 현재 흡연 위치, 잔여 퍼프 횟수, 흡연 시간, 잔여 흡연 시간 등과 같이 흡연 진행과 관련된 모든 정보), 퍼프 정보(e.g. 퍼프 횟수, 퍼프 길이, 퍼프 간격, 퍼프 강도, 퍼프 중인지 여부 등과 같이 퍼프 이벤트와 관련된 모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전원 상태, 고장 여부, 배터리 상태(e.g. 배터리 잔량, 충전 필요 여부 등)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연 이력 정보는 누적 흡연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9)는 LED 디스플레이와 같이 시각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는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부류연 제거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흡연물품(30)에 대한 흡연 진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고,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부류연 제거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8)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관하여서는 추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어부(18)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제어부(18)가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하우징(11) 외부에 위치한 것처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제어부(18)의 배치 위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외부 충격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는 하우징(11) 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부류연 제거 장치(1)가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인 출력을 제공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류연 제거 장치(1)가 스피커, 진동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는 상기 예시된 모듈들을 더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공간 내에 절단부(2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절단부(23)는 연소 중인 흡연물품(30)을 절단하여 추가적인 연소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희망 시점에 안전한 소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상 위험성(e.g. 직접 소화 시 부주의로 인한 화상 위험성)과 화재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절단부(23)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절단부(23)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삽입된 흡연물품(30)의 특정 부위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절단부(23)는 필터부와 흡연물질부의 사이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연소)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한 소화 기능을 보장될 수 있으며,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절단부(23)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절단부(23)는 사용자의 외력(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절단부(23)는 제어부(18)에 의해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연소) 위치 부근으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제어부(18)가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연소) 위치를 판단하는 방식은 도 10의 설명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몇몇 예들에서, 절단부(23)는 사용자가 하우징(11) 외면에 구비된 푸시형 버튼(미도시)을 누르는 동작, 하우징(11)을 비트는 동작, 하우징(11)을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동작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절단부(23)는 상기 예시된 동작들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우징(11)과 기계적으로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예시된 동작들에 의해 제어부(18)가 절단부(23)를 작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구조와 다양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복수의 온도센서(20)와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절단부(23)를 통해 안전한 소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부류연 제거 장치(1)의 경우, 물품삽입부(12)에 의해 흡연물품(30)의 하류 부분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흡연 중에 흡연물품(30)이 흔들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점화 시에 흡연물품(30)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점화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부류연 제거 장치(1)에 대하여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명료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류연 제거 장치(1)는 삽입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지지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21)는 스프링 등과 같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흡연물품(30)이 삽입됨에 따라 삽입 방향으로 수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령, 탄성지지부(21)는 흡연 공간 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연물품(30)의 삽입력에 의해 수축됨으로써 흡연물품(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물품(30)의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점화부(15)와 탄성지지부(21)의 결합 여부 및/또는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부(15)가 탄성지지부(21)와 결합되어 있고, 흡연물품(30)이 삽입됨에 따라 점화부(15)가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과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화부(15)가 탄성지지부(21)와 함께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을 지지하면서 점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점화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점화부(15)가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점화 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과 밀착되는 점화부(15)의 부분은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e.g. 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물품(30)이 삽입됨에 따라 점화부(15)가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을 관통하게 되기 때문에, 점화 시에 흡연물품(30)이 보다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라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들에서는, 점화부(15)가 탄성지지부(21)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점화부(15)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지지부(21)를 통해 흡연물품(30)이 지지될 수 있고, 점화부(15)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근처로 이동되어 점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연물품(30)의 삽입에 의해 탄성지지부(21)가 수축된 이후,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부(21)가 다시 신장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가 부류연 제거 장치(1)에 도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에 따르면, 탄성지지부(21)를 통해 흡연물품(30)에 대한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21)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흡연물품(30)이 흡연 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21)를 통해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L1>L2)의 흡연물품(30)이 모두 흡연 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흡연물품(30)에 대해 다수의 부류연 제거 장치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장치 구매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21)가 흡연물품(30)의 길이 방향(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연물품(30)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세로 방향으로 삽입된다고 할 때, 탄성지지부(21)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점화부(15)는 탄성지지부(21)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흡연물품(30)이 삽입됨에 따라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탄성지지부(21)가 흡연물품(3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화부(15)의 밀착 부분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지지안정성과 점화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향상된 부류연 제거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부류연 제거 장치(1)의 흡연 공간 내에 흡연물품(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물품(30)의 제1 지점의 측면과 제2 지점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지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특정 지점을 지지하기 위해, 흡연물품(3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부(22)가 배치(e.g. 90도 간격으로 4개의 지지부 22 배치)될 수도 있고,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지지부(2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2)의 개수, 배치 형태, 형상 등은 다양하게 설계 및 구현될 수 있다.
지지부(22)가 흡연물품(30)의 측면을 지지하는 경우, 흡연 중에도 지속적으로 흡연물품(30)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부(21)는 흡연 초기까지 흡연물품(30)을 지지할 수 있으나, 흡연이 진행될수록 지지 능력이 약화될 수 있다. 흡연에 의해 흡연물품(30)의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22)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면, 흡연 종료 시까지 흡연물품(3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지지부(22)가 배치되면, 흡연 초기의 지지안정성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탄성지지부(21)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탄성지지부(21)는 생략될 수도 있고,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지지안정성 및 점화안정성이 개선된 부류연 제거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흡연 공간 내로 삽입되는 흡연물품(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지지부(21)가 배치됨으로써, 흡연물품(30)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점화 시에 흡연물품(30)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점화안정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가 흡연 공간 내에 더 배치됨으로써, 흡연물품(30)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후술될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부류연 제거 장치(e.g. 1)의 제어부(e.g. 1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부류연 제거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7에 예시된 부류연 제거 장치(1)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동작의 주어가 생략된 경우, 상기 예시된 장치(1)의 제어부(18)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은 흡연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 S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흡연 시작을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점화부(15)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입력(e.g. 버튼 입력 등)을 통해 흡연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는 흡연 시작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e.g. 버튼 입력 등)을 통해 흡연의 시작을 인지하고 점화부(15)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흡연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20)는 예를 들어 흡연 공간 내에서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단계 S20에서, 흡연의 시작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개방(e.g. 일부 개방, 전부 개방)할 수 있다. 이는 벤트홀(111)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흡연물품(30)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는 배기팬(162)이 동작함에 따라 흡연 중에 발생되는 부류연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8)는 흡연 중에 사용자의 퍼프 이벤트에 기초하여 벤트홀(111)과 배기팬(162)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제어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이벤트에 기초하여 벤트홀(11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는 퍼프 시에 벤트홀(111)을 더 개방시키고, 비퍼프 시에 벤트홀(111)을 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퍼프 시에 보다 원활하게 외기가 유입되어 흡연물품(30)의 연소가 보다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비퍼프 시에 정화되지 않은 부류연이 벤트홀(111)을 통해 새어나가는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참고로, 퍼프 시에는 부류연이 많이 발생하지 않고 벤트홀(111)을 통해 기체가 유입되는 기류 패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벤트홀(111)이 개방되더라도 부류연이 새어나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시에 역방향으로 배기팬(162)을 동작(회전)시키고, 비퍼프 시에 정방향으로 배기팬(162)을 동작(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은 부류연이 필터구조물(161) 쪽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역방향은 그 반대의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퍼프 시에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 쪽으로 기류가 집중되어 연소가 촉진될 수 있고, 비퍼프 시에는 부류연이 필터구조물(161) 방향으로 흡입되어 부류연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이벤트에 관한 정보(e.g. 퍼프 강도, 퍼프 간격, 퍼프 길이 등)에 기초하여 벤트홀(111)의 개폐 정도 및/또는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퍼프 강도가 증가하거나, 퍼프 길이가 길어지거나, 퍼프 간격이 짧아지는 경우,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더 개방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덜 개방시킬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퍼프 강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는, 퍼프 강도가 증가하거나, 퍼프 길이가 길어지거나, 퍼프 간격이 짧아지는 경우, 제어부(18)는 퍼프 시에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즉, 역방향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예들에서, 제어부(18)는 전술한 예시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가 퍼프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는 온도 변화 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e.g. 흡연물품 30의 연소 온도가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퍼프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퍼프 시에 흡연물품(30)의 상류 말단에서 연소가 가속화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온도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퍼프 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온도 변화 정도가 클수록 퍼프 강도가 강하고, 온도 변화 정도가 작을수록 퍼프 강도가 약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제어부(18)는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가 흡연 종료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20)는 예를 들어 흡연물품(30)의 흡연물질부 하류 말단 부근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온도센서(20)의 측정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측정 온도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우, 흡연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시작 후의 경과 시간, 퍼프 이벤트 등을 기초로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흡연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퍼프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또는 최근 퍼프 후 일정 시간 이상 퍼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흡연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흡연 종료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퍼프횟수, 흡연 경과 시간 등에 기초하여 흡연 종료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는 미리 설정된 흡연 종료 조건이 만족됨에 응답하여 흡연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흡연 종료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8)는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가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폐쇄하고 배기팬(162)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111) 폐쇄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중단됨으로써, 산소 부족에 의해 자연스럽게 흡연물품(30)이 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폐쇄하고 배기팬(162)을 일정 시간 동안 동작 후 정지시키거나 지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트홀(111) 폐쇄에 의해 외기의 유입이 중단되고, 배기팬(162)을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흡연물품(30)이 소화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절단부(23)를 동작시킴으로써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8)는 벤트홀(111)을 폐쇄하고 배기팬(16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소화 프로세스와 삽입된 흡연물품(30)을 절단부(23)를 통해 절단하는 제2 소화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소화 프로세스와 제2 소화 프로세스는 순서에 관계 없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8)는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배기팬(162)을 정방향(즉, 빨아들이는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기팬(162)에 의해 담뱃재와 같은 흡연 부산물이 필터구조물(161) 부근에 모이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내부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제어부(18)가 흡연물품(30)의 소진 정도에 기초하여 배기팬(16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가령, 흡연물품(30)이 완전 소진된 경우에는 부산물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제어부(18)는 배기팬(162)을 더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더 느리게 회전시킬 수 있다. 흡연물품(30)의 소진 정도는 퍼프횟수, 흡연 경과 시간, 현재 흡연 위치(도 10 참조) 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흡연 진행 상황에 따라 벤트홀(111)과 배기팬(162)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연 종료 시 자동 소화 기능이 수행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 위험성과 화상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의 명료함을 위해, 도 8에 예시된 제어 방법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은 흡연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 S1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시작을 알리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단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8에 예시된 단계 S10을 참조하도록 한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흡연 진행 상황은 흡연 진행 정도, 퍼프 이벤트 등과 같이 흡연과 관련된 모든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20)들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흡연 진행 정도(또는 현재 흡연(연소)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센서(20-1, 20-2, 20-3)가 부류연 제거 장치(1) 내부의 흡연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어부(18)는 제1 온도센서(20-1), 제2 온도센서(20-2) 및 제3 온도센서(20-3)의 측정 온도를 비교하여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 위치와 흡연 진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1 온도센서(20-1)의 측정 온도가 가장 낮고, 제2 온도센서(20-2)의 측정 온도가 제3 온도센서(20-3)보다 낮고, 제3 온도센서(20-3)의 측정 온도가 가장 높은 경우, 제어부(18)는 흡연물품(30)의 현재 흡연 위치가 제2 온도센서(20-2)와 제3 온도센서(20-3)의 사이에 있고, 제3 온도센서(20-3)에 더 가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는 제2 온도센서(20-2)와 제3 온도센서(20-3) 간에 온도 차이가 클수록 제3 온도센서(20-3)에 더 많이 가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제어부(18)는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모니터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모니터링 정보의 종류와 그에 대한 구체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흡연물품(30)(또는 흡연 진행 정도)을 나타내는 표시(e.g. 궐련 형상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되,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표시의 길이가 감소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는 흡연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 영역(e.g. LED 점등 영역/구간)을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되,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e.g. LED 점등 영역/구간의 개수)가 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는 퍼프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퍼프 횟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는 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퍼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제어부(18)는 흡연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18)는 흡연 종료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단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8에 예시된 단계 S40을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흡연 종료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8)는 자동 소화 기능을 수행하며, 자동 소화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자동 소화가 완료된 경우 자동 소화 완료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를 통해 흡연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부류연 제거 장치(1)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부류연 제거 장치 11: 하우징
111: 벤트홀 12: 물품삽입부
13: 백커버 14: 단열부
15: 점화부 16: 부류연 처리부
161: 필터구조물 162: 배기팬
17: 메쉬망 18: 제어부
19: 디스플레이부 20, 20-1, 20-2, 20-3: 온도센서
21: 탄성지지부 22: 지지부
23: 절단부 30: 흡연물품

Claims (9)

  1. 내부에 흡연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기가 유입되는 벤트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흡연 공간으로 흡연물품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물품삽입부;
    상기 흡연물품이 상기 물품삽입부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지지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을 점화하는 점화부;
    상기 흡연 공간 내에 삽입된 흡연물품에서 발생되는 부류연을 처리하는 부류연처리부; 및
    상기 벤트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흡연 중 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한 상기 벤트홀의 개방 정도가 상기 흡연 중 비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한 상기 벤트홀의 개방 정도보다 크도록 제어하고,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벤트홀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신장 상태에서 상기 상류 말단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흡연물품의 삽입방향으로 수축되도록 배치되는,
    부류연 제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흡연물품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과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부류연 제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말단과 밀착되는 상기 점화부의 부분은 상기 상류 말단을 관통하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류연 제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공간 내에서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류연처리부는 상기 부류연을 여과하는 필터구조물과, 상기 여과된 부류연이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의 종료를 감지하는,
    부류연 제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류연처리부는 상기 부류연이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연 종료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배기팬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부류연 제거 장치.
KR1020200140213A 2020-10-27 2020-10-27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4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13A KR102547779B1 (ko) 2020-10-27 2020-10-27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2502888A JP7355212B2 (ja) 2020-10-27 2021-09-15 副流煙除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CT/KR2021/012548 WO2022092561A1 (ko) 2020-10-27 2021-09-15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7/789,936 US20230051032A1 (en) 2020-10-27 2021-09-15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844939.5A EP4011222B1 (en) 2020-10-27 2021-09-15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180012121.6A CN115038345A (zh) 2020-10-27 2021-09-15 侧流烟雾去除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13A KR102547779B1 (ko) 2020-10-27 2020-10-27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281A KR20220056281A (ko) 2022-05-06
KR102547779B1 true KR102547779B1 (ko) 2023-06-26

Family

ID=8107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13A KR102547779B1 (ko) 2020-10-27 2020-10-27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51032A1 (ko)
EP (1) EP4011222B1 (ko)
JP (1) JP7355212B2 (ko)
KR (1) KR102547779B1 (ko)
CN (1) CN115038345A (ko)
WO (1) WO2022092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3389A1 (en) * 2020-12-11 2022-06-16 Rai Strategic Holdings, Inc. Sleeve for smoking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088A (en) * 1976-08-26 1978-01-03 Ensor John E Smoke reducer for cigarette smokers
US5529078A (en) * 1994-05-09 1996-06-25 Truce, Inc. Smoker's box
KR19980014360U (ko) 1998-03-04 1998-06-05 박성영 담배흡연구
JP2000245430A (ja) * 1999-02-25 2000-09-1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式の喫煙用具
US6349728B1 (en) * 2000-05-03 2002-02-26 Philip Morris Incorporated Portable cigarette smoking apparatus
KR100598131B1 (ko) * 2003-09-01 2006-07-11 이승현 밀폐형 흡연장치
NL1031051C1 (nl) * 2006-01-06 2007-07-09 Gidding Holding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filteren van tabaksrook.
KR101289032B1 (ko) * 2011-09-20 2013-07-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점화장치가 구비된 담배 케이스
GB201207039D0 (en) * 2012-04-23 2012-06-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ing smokeable material
CN104886771A (zh) * 2015-06-09 2015-09-09 东莞颠覆产品设计有限公司 自动点烟香烟净化器
DE212017000046U1 (de) * 2016-01-18 2018-07-29 Joyetech Europe Holding Gmbh Federbelasteter Verriegelungsmechanismus einer elektronischen Zigarette, Verdampfer und elektronische Zigarette
KR20170130689A (ko) 2016-05-19 2017-11-29 서성용 금연 유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담배 연기 제거기
WO2018185014A1 (en) * 2017-04-03 2018-10-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mouthpiece configured to receive an insert unit
JP6930802B2 (ja) * 2017-04-11 2021-09-01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008990B1 (ko) * 2017-11-03 2019-08-08 이장욱 휴대용 담배연기 정화장치
CN208540742U (zh) * 2018-07-06 2019-02-26 龙其壹 电子烟
US11134714B2 (en) * 2018-11-15 2021-10-05 Smask, LLC Smoking filtr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1222A4 (en) 2022-11-30
CN115038345A (zh) 2022-09-09
US20230051032A1 (en) 2023-02-16
EP4011222A1 (en) 2022-06-15
KR20220056281A (ko) 2022-05-06
WO2022092561A1 (ko) 2022-05-05
EP4011222B1 (en) 2024-04-10
JP7355212B2 (ja) 2023-10-03
JP2023505624A (ja)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878A (ko) 연소 가스 검출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A012883B1 (ru) Бездымная сигаретная система
KR102547779B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19257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47780B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71395B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027463A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30396B1 (ko) 부류연 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4197353A1 (en)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comprising activated carbon filter
EP4205570A1 (en) Sidestream smoke removal device comprising smoking article recognition part
JP2023552017A (ja) プラズマイオンフィルタを含む副流煙除去装置
JP2023552018A (ja) ヘパフィルタを含む副流煙除去装置
CN116138505A (zh) 一种可抽吸材料加热装置及其加热方法
JPH08228749A (ja) 紙巻煙草の灰落ち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