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11B1 -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6111B1 KR102546111B1 KR1020210148944A KR20210148944A KR102546111B1 KR 102546111 B1 KR102546111 B1 KR 102546111B1 KR 1020210148944 A KR1020210148944 A KR 1020210148944A KR 20210148944 A KR20210148944 A KR 20210148944A KR 102546111 B1 KR102546111 B1 KR 102546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aterial
- negative electrode
- positive electrode
- lithium ion
- ion capacitor
- Prior art date
Links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45 Carbon black Super-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22 acrylic bind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57 cath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67 electr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69 physical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320 Li(NixCoyMnz)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707 LiFeP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4689 LiM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290 LiN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5 an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17 carbon nanostruc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한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한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 lithium ion capacitor)는 기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의 고출력 및 장수명 특성과 리튬 이온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이차전지 시스템이다.
전기적 이중층 내 전하의 물리적 흡착 반응을 이용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우수한 출력특성 및 수명특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에너지 밀도 때문에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양극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을 삽입 및 탈리할 수 있는 탄소계 재료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가 제안되었으며, 음극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을 삽입 및 탈리할 수 있는 탄소계 재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가 제안되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4299호(2016.10.27.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리튬이온 커패시터 전극용 다차원 탄소나노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커패시터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한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5 ~ 15㎛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000 ~ 3,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기공 부피가 0.7 ~ 1.5 cm3/g 범위이고, 2nm 이하 크기의 기공이 전체 기공의 85% 이상을 차지한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탄소 성분을 98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석유계 탄소 소재이며, 3.35 ~ 3.45Å의 면간격, 10 ~ 50Å의 결정크기(Lc) 및 1.75 ~ 2.0g/cc의 진밀도를 갖는다.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상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0.7 ~ 1.5㎤/g)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양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양극 활물질 계면의 부반응을 제어함으로써 내용량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흑연과 3.35 ~ 3.45Å의 면간격과 10 ~ 50Å의 결정 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음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기존 리튬이온커패시터 대비 2.5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의 사용 전압을 확보하여 리튬이온의 활동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는 양극(120), 음극(140), 분리막(150) 및 전해액(160)을 포함한다.
양극(120)은 양극집전체(122)와, 양극집전체(122)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층(124)을 포함한다.
양극집전체(122)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박으로써,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구리(Cu), 니켈(Ni), 타이타늄(Ti), 탄탈륨(Ta), 니오븀(Nb)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극집전체(122)의 크기나 두께 등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12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각 도전성 접착제(미도시) 및 전도성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양극활물질층(124)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활물질층(124)은 양극할물질 10 ~ 90 중량%, 도전재 1 ~ 10 중량% 및 바인더 1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리튬 금속 산화물로는 LiNiO2, LiMnO2, LiMn2O4, LiFePO4, Li(NixCoyMnz)O2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리튬 금속 산화물은 리튬 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고기공 탄소 소재는 80wt% 이상의 탄소로 구성된 원료를 약품부활에 의해 제조된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고기공 탄소 소재는 양극의 계면 및 저항 특성을 개선하여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기공 탄소 소재는 5 ~ 15㎛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000 ~ 3,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기공 탄소 소재는 기공 부피가 0.7 ~ 1.5 cm3/g 범위이고, 2nm 이하 크기의 기공이 전체 기공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기공 탄소 소재는 N2 가스 흡착법에 의해 측정된 기공 부피(P/P0 = 0.99)가 0.7 ~ 1.5 cm3/g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활물질로 이종의 물질인 리튬 금속 산화물과 고기공 탄소 소재를 물리적으로 함께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양극(120)을 구성하게 되면, 리튬 금속 산화물에 의해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고기공 탄소 소재에 의해 용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온 이동 및 저항 등의 계면 특성이 향상되어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내용량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고기공 탄소 소재는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10 ~ 25 중량부를 제시할 수 있다.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내구성 특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내용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양극활물질의 첨가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너무 적은 관계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내용량 및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반대로, 양극활물질의 첨가량이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도전재는 슈퍼-P(Super-P),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재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도전재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전재의 과다 사용으로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바인더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인더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중 2종 이상이 첨가되어 혼합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는 부 바인더로 셀룰로오즈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딜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양극활물질층(124)과 양극집전체((122)) 간의 결착력이 약해 깨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인더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인더의 과다 사용으로 내용량 및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음극(140)은 음극집전체(142)와, 음극집전체(142)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144)을 포함한다.
음극집전체(142)는, 양극집전체(122)와 마찬가지로,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써,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구리(Cu), 니켈(Ni), 타이타늄(Ti), 탄탈륨(Ta), 니오븀(Nb)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집전체(142)의 크기나 두께 등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14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각 도전성 접착제(미도시) 및 전도성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음극활물질층(144)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극활물질층(144)은 음극할물질 10 ~ 90 중량%, 도전재 1 ~ 10 중량% 및 바인더 1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흑연은 인조 흑연 및 천연 흑연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방성 탄소 소재는 탄소 성분을 98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석유계 탄소 소재이며, 3.35 ~ 3.45Å의 면간격, 10 ~ 50Å의 결정크기(Lc) 및 1.75 ~ 2.0g/cc의 진밀도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극활물질로 이종의 물질인 흑연과 3.35 ~ 3.45Å의 면간격과 10 ~ 50Å의 결정 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를 물리적으로 함께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음극(140)을 구성하게 되면, 2.5V 이하의 전압 영역의 사용이 어려운 기존 리튬이온 커패시터와 다르게 2.5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의 사용 전압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이방성 탄소 소재는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15 ~ 25 중량부를 제시할 수 있다. 이방성 탄소 소재가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반대로, 이방성 탄소 소재가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내용량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음극활물질의 첨가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너무 적은 관계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용량 및 출력 특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음극활물질의 첨가량이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도전재는 슈퍼-P(Super-P),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재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도전재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전재의 과다 사용으로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바인더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인더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중 2종 이상이 첨가되어 혼합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는 부 바인더로 셀룰로오즈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딜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극활물질층(144)과 음극집전체(142) 간의 결착력이 약해 깨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인더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인더의 과다 사용으로 내용량 및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분리막(150)은 양극(120) 및 음극(140) 사이에 배치되어, 양극(120) 및 음극(14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분리막(150)은 양극(120) 및 음극(140)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다공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해액(160)은 이온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한다. 전해질은 LiPF6, LiBF4 및 LiCIO4 중 어느 하나의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튬염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초기 충전시 음극으로 도핑되는 리튬 이온의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160)의 용매로 사용되는 재질의 예로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및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0.7 ~ 1.5㎤/g)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양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양극 활물질 계면의 부반응을 제어함으로써 내용량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흑연과 3.35 ~ 3.45Å의 면간격과 10 ~ 50Å의 결정 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음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기존 리튬이온커패시터 대비 2.5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의 사용 전압을 확보하여 리튬이온의 활동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리튬 이온 커패시터 제조
실시예 1
리튬 금속 산화물인 LiMn2O4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양극활물질 90wt%, 도전재로서 슈퍼-P(Super-P) 5wt%와 바인더 2종(아크릴 바인더 및 메틸 셀로롤로오스) 5wt%를 혼합하고 교반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 위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및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고기공 탄소 소재는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인조 흑연과 3.40Å의 면간격, 30Å의 결정크기(Lc) 및 1.85g/cc의 진밀도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음극활물질 92wt%, 도전재로서 슈퍼-P(Super-P) 3wt%와 바인더 2종(아크릴 바인더 및 메틸 셀로롤로오스) 5wt%를 혼합하고 교반시켜 음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음극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 위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및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이방성 탄소 소재는 인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양극과 음극에 단자를 부착하고 분리막을 내부와 외부로 교차 배치한 후, 원통형의 형태로 권취 소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PE) 필름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으로는 1M의 LiPF6의 에틸렌글리콜/디메틸클로라이드(EC/DMC)를 3 : 7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방성 탄소 소재가 인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방성 탄소 소재가 인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대한 출력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C-rate 기준으로 1C와 20C 수준의 전류값을 인가하여 각각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1C에서 측정된 용량이 150F 이상이고, 20C에서 측정된 용량값은 120F 이상으로 80%이상의 출력 특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1C에서 측정된 용량이 130 ~ 140F 수준이고, 20C에서 측정된 용량값은 100F 이하로 70% 수준의 출력 특성이 유지되어,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리튬 이온 커패시터 120 : 양극
122 : 양극집전체 124 : 양극활물질층
140 : 음극 142 : 음극집전체
144 : 음극활물질층 150 : 분리막
160 : 전해액
122 : 양극집전체 124 : 양극활물질층
140 : 음극 142 : 음극집전체
144 : 음극활물질층 150 : 분리막
160 : 전해액
Claims (6)
-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상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5 ~ 15㎛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000 ~ 3,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기공 부피가 0.7 ~ 1.5 cm3/g 범위이고, 2nm 이하 크기의 기공이 전체 기공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탄소 성분을 98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석유계 탄소 소재이며,
3.35 ~ 3.45Å의 면간격, 10 ~ 50Å의 결정크기(Lc) 및 1.75 ~ 2.0g/cc의 진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944A KR102546111B1 (ko) | 2021-11-02 | 2021-11-02 |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944A KR102546111B1 (ko) | 2021-11-02 | 2021-11-02 |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663A KR20230063663A (ko) | 2023-05-09 |
KR102546111B1 true KR102546111B1 (ko) | 2023-06-21 |
Family
ID=864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944A KR102546111B1 (ko) | 2021-11-02 | 2021-11-02 |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611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743B1 (ko) * | 2012-05-16 | 2014-05-1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리튬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KR102168789B1 (ko) * | 2018-12-20 | 2020-10-2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리튬코발트산화물-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KR102269341B1 (ko) * | 2020-11-23 | 2021-06-28 | 주식회사 비츠로셀 | 고 기공 탄소 소재를 이용한 고출력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 |
-
2021
- 2021-11-02 KR KR1020210148944A patent/KR102546111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인용발명 1: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7177호(2020.06.30.) 1부.* |
인용발명 2: 등록특허공보 제10-2269341호(2021.06.28.) 1부.* |
인용발명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0945호(2013.12.2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663A (ko) | 2023-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3285B2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 | |
KR101479881B1 (ko) | 리튬 이온 2차 전지 | |
JP2014029881A (ja) | リチウムイオン移動度及び電池容量が改良された二次バッテリー | |
JP3471238B2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 |
WO2011153330A1 (en) | High energy density electrochemical capacitors | |
JPWO2011036797A1 (ja) |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30035911A (ko) | 양극 재료, 이것을 이용한 리튬 이온 2차 전지, 및 양극 재료의 제조 방법 | |
JP2016058247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KR102530678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 |
CN113206254A (zh) | 正极材料、包括正极材料的正极和包括正极的锂电池 | |
JP2003100284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08243529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JP2016157609A (ja) | 蓄電素子 | |
CN112470308B (zh) | 锂二次电池用负极活性材料以及包含其的二次电池 | |
JP5406447B2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シートの製造方法 | |
JP2016177876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US20240079563A1 (en) | An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JP6573150B2 (ja) | 蓄電素子 | |
CN114080703A (zh) | 二次电池用负极活性物质、以及二次电池 | |
JP4145762B2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JPH1167273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2546111B1 (ko) |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
CN113054159B (zh) |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负极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 |
JP6848363B2 (ja) | 負極及び非水電解質蓄電素子 | |
CN110120500B (zh) | 金属二次电池用负极、金属二次电池和金属二次电池的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