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180B1 -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180B1
KR102545180B1 KR1020210060543A KR20210060543A KR102545180B1 KR 102545180 B1 KR102545180 B1 KR 102545180B1 KR 1020210060543 A KR1020210060543 A KR 1020210060543A KR 20210060543 A KR20210060543 A KR 20210060543A KR 102545180 B1 KR102545180 B1 KR 102545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pad
hole
dust collection
polishing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239A (ko
Inventor
윤부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어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어포스
Priority to KR102021006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1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01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supporting member
    • B24D3/002Flexible supporting members, e.g. paper, woven,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하는 연마기기에 사용되는 연마디스크는, 종이, 필름, 포, 스펀지, 파이버 중 어느 하나의 기재를 갖는 원형이며, 이면에 핫멜트 접착제, 나이렉스, 점착제, 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마디스크는 상기 연마디스크 전체에 대해 분포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멀티 집진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멀티 집진홀은 중심에 대하여 소용돌이 형태 또는 중심에 대하여 원심력방향으로 나가는 나선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A MULTI-HOLE ABRASIVE DISCK AND A PAD ASSEMBLY}
본 발명은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입하는 집진기능을 구비하며 연삭성능이 오래 지속되는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기기라 함은 목재, 석재 또는 금속재의 가공작업에 사용되는 표면 연마 공구의 일종으로, 구동축에 연마 패드와 연마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목재, 석재 또는 금속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종래의 연마기기는 연마 작업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디스크에 의해 연마된 가공물에 의해 발생하여 연마성능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분진을 연마 패드와 연마디스크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연마기기의 외측으로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의 경우 각 제조사의 제품에 따라 연마 패드 및 연마디스크에 형성된 집진용 홀의 패턴이 상이하여 상호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소모품인 상기 연마디스크를 교체할 경우 연마기기의 제조사 및 모델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마 패드와 연마디스크에 형성된 집진용 홀은 복수 개의 정형화된 원형홀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연마패드와 연마디스크 결합시 각각의 집진홀이 서로 일치되도록 결합하여야만 바람직한 집진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디스크에 전체에 멀티 집진홀을 형성하되 상기 멀티 집진홀이 내부에서 갯수가 많으며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집진수단의 전체 면적을 최소화하고 연마기기의 연마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멀티 집진홀을 갖는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연마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기기에 구비된 다양한 연마패드에 대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연마기기 작업시 상기 연마 패드의 집진홀과 상기 연마디스크에 형성된 집진수단을 서로 일치시킬 필요가 없는 멀티 집진홀을 갖는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연마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기기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분진들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집진홀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펀칭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일정한 크기의 원형의 집진홀에 비해 전체의 면적이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의 집진홀과 대비할 때 현저히 작기 때문에, 폐기물을 줄이면서도 연마디스크의 유효 연마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마기기의 전체적인 연마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멀티 집진홀을 갖는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연마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기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분진들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집진홀이 형성된 연마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연마디스크는 종이, 필름, 포, 스펀지, 파이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기재를 갖는 원형이며, 이면에 핫멜트 접착제, 나이렉스, 점착제, 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집진홀은 중심에 대하여 소용돌이 형태 또는 중심에 대하여 원심력방향으로 나가는 나선팔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분진 발생량에 따라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 1 내지 제 3 집진홀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이웃한 나선팔 사이에 상기 제 2 또는 제 3 집진홀에 대해 상기 제 2 또는 제 3 집진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 1 또는 제 2 집진홀이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하는 연마기기에 사용되는 연마디스크에 의하면, 연마디스크에 전체에 멀티 집진홀을 형성하되 상기 멀티 집진홀이 내부에서 갯수가 많으며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집진수단의 전체 면적을 최소화하여, 종래기술과 동등 이상의 집진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연마기기의 연마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집진홀을 갖는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연마패드 어셈블리는 연마기기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분진들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집진홀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펀칭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일정한 크기의 원형의 집진홀에 비해 전체의 면적이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의 집진홀과 대비할 때 현저히 작기 때문에, 폐기물을 줄이면서도 연마디스크의 유효 연마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마기기의 전체적인 연마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마기기에 대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연마패드 조립체의 결합전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연마패드 조립체의 결합전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의 평면도, 배면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와 종래 연마디스크의 집진성능을 나타내는 비교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와 종래 연마디스크 연삭성능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비교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마기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 오비탈 연마기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집진기능을 구비한 모든 연마기기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의 연마기기(1)는 본체(11),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에어 유입포트(12) 및 에어 배출포트(13), 및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유입포트(12)에 의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15)와 샤프트(16)를 포함하는 에어모터(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기(1)는 상기 에어모터(14)의 샤프트(16)와 일정치수만큼 편심되게 설치된 동력전달축(17), 상기 동력전달축(17)의 하단에 결합된 연마 패드 조립체(18), 및 상기 연마 패드 조립체(18)에 부착되는 연마디스크(19)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상단에는 스위치 레버(20) 및 상기 스위치 레버(20)의 조작에 의해 에어의 차단 및 공급을 결정하는 개폐밸브(21)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11)의 하단에는 연마패드조립체(18)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내부 공간부(11a)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1)의 공간부(11a) 일측에는 에어 배출포트(13)까지 연통된 집진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에어 배출포트(13)에는 집진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흡입수단(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집진로(23)가 상기 미도시된 흡입수단에 별도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흡입수단이 별도로 구비된 연마기기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패드조립체(100)는 연마기기(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와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의 하부에 끼어맞춤결합되는 하부연마패드부(130) 및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의 벨크로층 또는 감압성 접착물(PSA) 층 피착면에 대해 탈부착가능한 보조패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 보조패드부(150)는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가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 보조패드부(150)를 지지하고 상기 연마기기(1)의 동력전달축(17)과 볼트결합에 의해서 고회전에 대해서도 지탱할 수 있는 고강도 재료 고강도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 및 보조패드부(150)는 판상 몸체를 가지며, 고밀도 스펀지, 러버 등 단단하지만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에 의해서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층 또는 감압성 접착제층(PSA)에 대한 피착면(130a, 130b)이 상면 또는 하면에 영구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 및 보조패드부(150)를 달리 구성하여 하드 또는 소프트 작업에 맞출 수 있으며, 상기 보조패드부(150)의 사이즈를 작게 하여 다운사이즈의 연마디스크(19)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는 덮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상판부(111)와 상기 상판부의 외주부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13)와, 상기 상판부(1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마기기(1)의 동력전달축(17)에 대해 볼트 체결결합되는 연마기기 체결홀(115)과, 상기 플랜지부(113)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와의 수직방향 끼어맞춤 결합을 위한 하부연마패드부 체결홀(117)과, 상기 연마기기(1)의 에어 배출포트(13)에 대해 연통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집진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기기 체결홀(115)을 통해 상기 연마기기(1)의 동력전달축(17)에 대해볼트형 결합수단(140)이 돌출체결되어 고속회전에 대해 단단히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부(111)의 소정의 각도는 상기 볼트형 결합수단(140)이 체결되더라도 회전가압시 연마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의 플랜지부(113) 내부에는 격자형 판상체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21)와 상기 테두리부(121) 내부에 형성된 격자형 집진홀(122)과, 상기 격자형 집진홀(122)을 형성하도록 격자 모양으로 연결된 적어도 1이상의 가로보(126)와 세로보(12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보(126)와 세로보(127)은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에 형성되는 집진홀(132)의 갯수 또는 형상을 맞출 필요가 없는 격자형 집진홀(122)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는 상기 하부연마패드부 체결홀(117)에 대응하여 상기 판상 몸체의 테두리부(131)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탈착이 용이하게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돌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돌기부(135)는 상기 테두리부(131)에 대해 상방으로 수직 돌출된 기둥(135a)와 상기 기둥(135a)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걸이(135b)와, 상기 반경방향 걸이(135b) 선단에 형성된 첨단부(135c)를 포하하여 상기 하부연마패드부 체결홀(117)에 대해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후 쉽게 빠지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가 격자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31)와 상기 테두리부(131) 내부에 형성된 격자형 집진홀(132)과, 상기 격자형 집진홀(132)을 형성하도록 격자 모양으로 연결된 적어도 1이상의 가로보(136)와 세로보(137)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격자 모양으로 연결된 적어도 1이상의 가로보(136)와 세로보(137)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밀도 스펀지, 러버 등 단단하지만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에 의해서 탈부착이 가능하며 벨크로층) 또는 감압성 접착제층(PSA)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한 피착면(130a, 130b)이 상면 또는 하면에 영구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는 중앙에 일체적으로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연마기기 볼트체결 너트부(13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마기기 볼트체결 너트부(133)의 내면에는 상기 연마기기 볼트에 대응하는 나사산(133a)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육각형 등 다각형 모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연마패드부(130)가 격자형 판상체로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110)에 수용되며, 상기 연마패드상부케이스부(110)의 상판부(111)에 형성된 집진홀(122)에 대해 80% 이상 연통하는 격자형 집진홀(132)을 가지므로 집진홀(122)과 대응여부를 고려할 필요없이 서로 다른 수 및 다른 배치를 갖는 적어도 1 이상의 보조연마패드(15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보조연마패드(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상형태로 고밀도 스펀지, 러버 등 단단하지만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에 의해서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층(150a) 또는 감압성 접착제층(PSA; 150a, 150b)이 상면 또는 하면에 영구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형성되며, 6홀, 9홀 등 원하는 형태의 집진홀(151, 15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19)는, 연마기기(1) 회전시 분진들의 이동경로 (화살표)를 따라 집진홀(22)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19)는, 연마기기(1)의 고속 회전시 분진들이 많이 발생하는 디스크 외측에 대해 대구경의 집진홀(22a)을 형성하였으며, 분진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연마디스크 내측에 소구경의 집진홀(22b, 22c)를 형성하여 연마기기(1)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분진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연마디스크(19)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집진홀(2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마 작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디스크(19)의 경우 종래기술과는 달리 상기 집진홀(22)이 서로 다른 크기, 내부에서 외부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 1 내지 제 3 집진홀(22a, 22b, 22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의 평면도, 배면도, 측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한 연마디스크(19)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집진홀(22)을 가지되, 상기 연마디스크(19)의 중심에 대하여 각각 소용돌이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나선팔에 대응하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 1 집진홀(152a)의 직경이 제일크고, 그 내측으로 갈수록 제 2 및 제 3 집진홀(152b, 153c)의 직경이 작아져 미세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마디스크(19)의 중심에 대한 소용돌이 또는 나선 팔의 방향은 상기 연마기기(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꺽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마기기(1)가 회전 연마시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멀티 집진홀(22a, 22b, 22c)은 내부로 갈수록 홀 개수가 증가하하고, 직경이 작아지는데 내부의 경우 회전량이 적어 발생되는 분진이 적기 때문이며, 외부의 경우 회전량이 커 발생되는 분진이 많으며 분진도 크기 때문에 직경이 큰 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용돌이 형태 또는 나선원 형태의 집진홀(22)은 상기 연마디스크(19)의 저면에서 볼 때 연마디스크(19)의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량 발생하는 분진을 연마기기(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집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마디스크(19)의 내부에서는 분진이 로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직경이 작은 제 2 및 제 3 집진홀(152b, 153c)에 의해서 미세 분진을 집진하여 로드를 방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태와 나선원 형태의 제 1 내지 제 3 집진홀(152a, 152b, 153c)이 연마디스크(19)의 회전방향으로 임펠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연마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상기 공간부(11a)까지 더욱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패드(18)에 형성된 각각의 집진홀(22)과 연통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마디스크(19)의 집진수단(25)은 상기 연마 패드(18)의 집진홀(22)의 면적과 대응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슬릿 형상 전체에 대하여 전술한 분진 흡입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진수단(25)의 전체 면적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과 동등 이상의 집진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용돌이 형태와 나선원 형태의 제 1 내지 제 3 집진홀(22a, 22b, 22c)은 서로 이격되어 분포되어 있으므로 연마작업시 연마디스크(19)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디스크(19)의 멀티 집진홀(22))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정한 크기의 원형의 집진홀에 비해 전체의 면적이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의 집진홀과 대비할 때 현저히 작기 때문에, 펀칭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폐기물에 비해 폐기물을 줄이면서도 연마디스크(19)의 유효 연마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마기기(1)의 전체적인 연마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디스크와 종래 9홀 연마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흡입량과 연마성능에 대해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살펴보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와 종래 연마디스크의 집진성능을 나타내는 비교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에 사용된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와 종래 연마디스크 연삭성능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비교그래프이다.
먼저, 에어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 에어 호스(미도시)를 상기 에어 유입포트(12)에 연결한 후 스위치 레버(20)를 조작하여 개폐밸브(21)를 열어 에어모터(24)로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에어모터(14)가 회전하면서 샤프트(16) 및 이와 연결된 동력전달축(17)을 고속으로 편심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동력전달축(17)에 장착된 연마 패드(18)와 연마디스크(19)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목재, 석재 또는 금속재와 같은 피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피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이물질들은 연마 패드(18)와 집진홀(22)과 연마디스크(19)에 형성된 멀티 집진홀(22)을 통해 본체(11) 하단의 공간부(11a)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부(11a)로 유입된 분진 또는 이물질은 공간부(11a)의 일측에 설치된 집진로(23)를 따라 에어 배출포트(13)로 이송된 후 상기 에어 배출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로(23)에 별도로 흡입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디스크(19)와 종래기술에 따른 연마디스크에 대한 성능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품명/분 1.00 2.00 3.00 4.00 5.00 합계 평균
종래 9홀 3.25 1.05 0.26 0.13 0.08 4.77 0.95
본발명1 3.13 0.87 0.28 0.28 0.21 4.91 0.98
본발명2 3.15 0.95 0.37 0.37 0.31 5.26 1.05
이 때, 연마기기기의 종류는 DYNABRADE SANDER(ORBITAL)  6 인치를 사용하였고, 그 회전속도는  8000~10000 RPM이며, 상기 연삭량은 총 10 회 각각 3분씩 연삭한 후 평균한 값이다.
상기 비교실험은 출원인의 SA 331 필름 연마디스크 제품 중 P320, 9홀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제품은 자동차 외장에 도포되는 페인트 성분을 연삭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필름 연마디스크로서 일면에 벨크로 등이 부착되어 상기 연마기기에 대해서 결합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직접 상기 연마기기에 부착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비교실험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마디스크(19)의 경우 흡입량은 115g, 127g으로 종래기술의 97g과 대비할 때 18%, 30% 씩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연삭량의 경우에도 동등 수준 이상을 유지하면서도 연삭 가능 시간 3분을 지난 후에도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연삭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서 이러한 실험결과에 의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디스크(19)의 장점을 실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8: 연마패드 19 :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22a, 22b, 22c : 제 1 내지 제3 멀티 집진홀
110 : 연마패드상부케이스부 130 : 하부연마패드부

Claims (8)

  1. 연마기기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분진들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집진홀이 형성된 연마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연마디스크는 종이, 필름, 포, 스펀지, 파이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기재를 갖는 원형이며, 이면에 핫멜트 접착제, 나이렉스, 점착제, 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집진홀은 중심에 대하여 소용돌이 형태 또는 중심에 대하여 원심력방향으로 나가는 나선팔을 따라 적어도 3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분진 발생량에 따라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 1 내지 제 3 집진홀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이웃한 나선팔 사이에 상기 제 2 또는 제 3 집진홀에 대해 상기 제 2 또는 제 3 집진홀보다 직경이 작은 제 1 또는 제 2 집진홀이 이격 배치되는 연마디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따른 연마디스크가 사용되는 연마패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마패드 조립체는 집진기능을 구비한 연마기기와 연통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집진홀을 가지며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와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의 하부에 대해 상기 연마기기의 회전시 이탈이 방지되게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격자형 집진홀이 전체 표면적의 80% 이상인 하부연마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와 상기 하부연마패드부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연마패드부는 탄성소재로 적어도 하부면에 상기 연마디스크의 벨크로층 또는 감압성 접착제층에 대해 결합가능한 피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연마패드부는 상기 하부연마패드부 체결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연마패드부의 판상 몸체의 테두리부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탈착이 용이하게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돌기부를 포함하는
    멀티홀 연마디스크를 이용하는 연마패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마패드부의 하부면에 대해 탈부착가능하며, 소정갯수의 집진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마패드부와 동일하거나 직경이 더 작은 판상 보조연마패드부를 포함하는 멀티홀 연마디스크를 이용하는 연마패드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패드 상부케이스부는 덮개형상으로,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외주부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내부에 격자형 판상체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 내부에 형성된 격자형 집진홀과, 상기 격자형 집진홀을 형성하도록 격자 모양으로 연결된 적어도 1이상의 가로보와 세로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마기기의 회전축과 볼트 체결결합되는 연마기기 체결홀과, 상기 플랜지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부연마패드부와의 수직방향 끼어맞춤 결합을 위한 하부연마패드부 체결홀과, 상기 연마기기의 에어 배출포트에 대해 연통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집진홀을 포함하는 멀티홀 연마디스크를 이용하는 연마패드 조립체.
  8. 삭제
KR1020210060543A 2021-05-11 2021-05-11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KR102545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43A KR102545180B1 (ko) 2021-05-11 2021-05-11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43A KR102545180B1 (ko) 2021-05-11 2021-05-11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39A KR20220153239A (ko) 2022-11-18
KR102545180B1 true KR102545180B1 (ko) 2023-06-20

Family

ID=8423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543A KR102545180B1 (ko) 2021-05-11 2021-05-11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516A (en) * 1995-09-25 1997-03-11 Courson; Michael W. Rotating abrader with polygonal pad and dust evacuation
KR101087751B1 (ko) 2009-04-06 2011-11-30 주식회사 디어포스 집진기능을 구비한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연마 디스크
KR101488037B1 (ko) 2007-03-05 2015-01-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수퍼사이즈 코팅을 갖는 연마 용품,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2194B2 (ja) * 1995-07-05 2004-03-02 株式会社マキタ サンダ
KR20090004051U (ko) * 2007-10-26 2009-04-30 로이스기계주식회사 연마디스크용 샌드페이퍼
GB2515764A (en) * 2013-07-02 2015-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brasive article and adapter therefo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516A (en) * 1995-09-25 1997-03-11 Courson; Michael W. Rotating abrader with polygonal pad and dust evacuation
KR101488037B1 (ko) 2007-03-05 2015-01-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수퍼사이즈 코팅을 갖는 연마 용품, 및 제조 방법
KR101087751B1 (ko) 2009-04-06 2011-11-30 주식회사 디어포스 집진기능을 구비한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연마 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39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57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difying surfaces
JP3779110B2 (ja) 研削装置用研削ホイール
US5609516A (en) Rotating abrader with polygonal pad and dust evacuation
US5445558A (en) Wet sander
US6616517B2 (en) Wood floor sanding machine
JP2004508964A (ja) 電動式の研削工具に用いられる研削体および研削手段ならびに電動式の研削工具
US20040166788A1 (en) Sanding disc
EP2262613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adapter assembly for modifying surfaces
KR20100084590A (ko) 흡진후드를 장착한 연마기
KR100792778B1 (ko)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KR102545180B1 (ko) 멀티 집진홀 연마디스크 및 이를 이용가능한 연마패드 조립체
EP20016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dust from a grinder
KR101087751B1 (ko) 집진기능을 구비한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연마 디스크
KR102570519B1 (ko) 멀티홀사용가능 고 호환성 연마패드조립체
WO2008033973A1 (en) Abrad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EP0931501A2 (en) Attachment for a floor maintenance machine
CN2249147Y (zh) 圆盘式砂磨装置
KR101080384B1 (ko) 그라인더
JPH071343A (ja) 回転ディスクサンダー用研磨ディスクアセンブリー
CN214771279U (zh) 一种水晶抛光机用清洗装置
JPH0123731Y2 (ko)
US9821432B2 (en) Exchangeable abrasive means for an abrasion appliance having a suction extraction arrangement
CN214514775U (zh) 一种抛光机下盘
TW201317059A (zh) 研磨工具機的集塵罩
KR200193826Y1 (ko) 연삭기용 연삭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