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043B1 -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043B1
KR102545043B1 KR1020230028874A KR20230028874A KR102545043B1 KR 102545043 B1 KR102545043 B1 KR 102545043B1 KR 1020230028874 A KR1020230028874 A KR 1020230028874A KR 20230028874 A KR20230028874 A KR 20230028874A KR 102545043 B1 KR102545043 B1 KR 10254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ilter
holder module
reaction
re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2853A (ko
Inventor
최기인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23002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4Test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성능 평가를 위한 장치로써, 반응조 내부에 시료 거치부 및 반응 공간이 형성된 홀더 모듈을 배치하여 필터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공기정화 성능 평가 장치로써, 판상형의 필터형 시료,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내입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투광판,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홀더 모듈,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의 맞은편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모듈은, 상기 홀더 모듈의 일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주입로, 하부는 상기 주입로와 연통되고 상부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직 슬릿, 상기 수직 슬릿의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홀더 모듈의 상면에서 내입되어 형성된 반응 공간, 상기 반응 공간의 하방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 및 상기 주입로의 맞은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에 상기 홀더 모듈을 삽입하고, 상기 투광판이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여 상기 홀더 모듈의 상면에 밀착 고정할 때 상기 반응 공간의 상단부도 상기 투광판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부는 상기 반응 공간의 둘레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부 상단에 필터형 시료가 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응조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가스는 상기 홀더 모듈에서 주입로, 수직 슬릿, 반응 공간, 필터형 시료, 내부 공간, 배출로의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Performance test device for filter-type photocatalyst sample}
본 발명은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성능 평가를 위한 장치로서, 반응조 내부에 시료 거치부 및 반응 공간이 형성된 홀더 모듈을 배치하여 필터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촉매(Catalyst)란 반응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소모되지 않고 반응속도에만 영향을 주는 물질이다. 이 중에서도 광촉매(Photocatalyst)란 빛을 쪼여주었을 때 기존 광반응에 다른 메커니즘 경로를 제공하여 반응속도를 가속화하는 촉매를 뜻한다.
광촉매 상에서의 오염물질 분해 반응은 대부분 표면에서 생성된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에 기인하지만, 전체적인 메커니즘은 하이드록실 라디칼뿐만 아니라 공유대 정공, 전도대 전자, 슈퍼 옥사이드 음이온(활성산소) 등이 관련되는 일련의 산화환원 표면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혹은 물에 존재하는 유기물질, 악취물질, 바이러스, 박테리아 같은 세균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일반적으로 광촉매의 공기정화 성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방법으로는 ISO 22197 시리즈(자외선) 또는 ISO 17168 시리즈(실내광)가 있다. 상기 시험방법에서는 시료 표면에 일정 농도의 오염물질을 연속적으로 흘렸을 때, 광촉매 재료에 의한 오염물질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저감되는 정도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광촉매 재료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광촉매 성능평가를 위하여 시료는 규정된 크기(5cm x 10cm x 5mm)의 광촉매 반응기에 주입되어야한다. 기존의 실험 평가 장치는 내부에 시료를 직접 넣도록 규정되어있지만, 필터형으로 제작되는 시료 홀더에 대한 별도의 규정은 없다. 특히, 필터형 시료의 경우, 단순히 광촉매 재료 표면으로 오염가스를 접하게 하는 방식이 아니라 오염가스가 필터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평가 장치가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평판형 시료에 비해 복잡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기존의 성능 평가 장치는 상부 반응조에 시료고정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 장치의 설계가 복잡하고 시료 장착과정이 복잡하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성능이 낮아 2개의 필터형 시료에 오염가스가 연속통과하도록 배치해야 하는 저효율 필터형 시료를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필터형 광촉매 시료를 보다 편리하게 반응장치 안에 장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교체형 시료 홀더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시료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며, 청소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최소화하며, 부품 파손시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 등록번호 10-2155714 "광·암조건 동시 측정용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2. 등록번호 10-2177152 "범용 건축자재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3. 등록번호 10-2258156 "광촉매의 공기정화 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4. 등록번호 10-2256275 "광촉매 성능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광촉매 성능 시험방법"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시료 홀더가 장착된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성능평가용 반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오염 가스를 주입하여 필터형 시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하고, 저효율 필터형 시료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필터형 시료를 직렬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기능성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위해 본 발명은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공기정화 성능 평가 장치로써, 판상형의 필터형 시료,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내입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투광판,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홀더 모듈,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의 맞은편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모듈은, 상기 홀더 모듈의 일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주입로, 하부는 상기 주입로와 연통되고 상부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직 슬릿, 상기 수직 슬릿의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홀더 모듈의 상면에서 내입되어 형성된 반응 공간, 상기 반응 공간의 하방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 및 상기 주입로의 맞은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에 상기 홀더 모듈을 삽입하고, 상기 투광판이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여 상기 홀더 모듈의 상면에 밀착 고정할 때 상기 반응 공간의 상단부도 상기 투광판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부는 상기 반응 공간의 둘레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둘레부 상단에 필터형 시료가 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응조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가스는 상기 홀더 모듈에서 주입로, 수직 슬릿, 반응 공간, 필터형 시료, 내부 공간, 배출로의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홀더 모듈의 상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된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판의 둘레부를 수용하고 상기 반응조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반응조의 상면이 상하로 체결되어, 상기 투광판이 상기 반응조의 상면을 밀착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조와 커버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된 커버 고무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모듈은, 상기 반응조의 수용 공간에 단수 개 또는 복수 개 수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모듈이 복수 개 수용될 경우 인접한 양측의 홀더 모듈은 일측 홀더 모듈의 배출로와 타측 홀더 모듈의 주입로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모듈은, 하단부에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제1하부홈 및 일면에 형성된 내입면이 구비된 제1파츠 및 상기 반응 공간 및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공간의 둘레부 중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의 맞은편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내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2하부홈이 구비된 제2파츠로 구분되고, 상기 제1,2파츠는 상기 제1파츠의 내입면과 상기 제2파츠의 절개부 측 벽면의 조합으로 상기 수직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츠가 상기 반응조에 안치됨에 따라, 상기 제1하부홈과 상기 반응조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주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홈과 상기 반응조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배출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홀더 모듈이 구비된 성능 평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필터를 교체의 교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험을 진행 할 수 있다.
2. 홀더 모듈과 투광판 및 반응조와 커버 프레임 사이에 고무 패킹을 구비하여 오염가스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실험결과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3. 단수 개 또는 복수 개의 홀더 모듈을 반응조에 배치할 수 있어 저효율 필터형 시료의 경우 복수 개의 홀더 모듈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4. 주입된 가스가 홀더 모듈의 수직 슬릿을 통과하면서 분산되어 필터형 시료의 표면에서 균일하게 반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홀더 모듈이 모듈화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필터의 교체, 세척, 장치 부품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6. 모듈화 된 홀더 모듈은 단순한 형태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금형 제작 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을 복수개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의 제1파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의 제2파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의 제2파츠에 필터형 시료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의 제1파츠와 제2파츠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 상부에 투광판을 밀착하기 전 고무 패킹 및 패킹 시트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프레임과 커버 고무 패킹의 배치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에 홀더 모듈을 배치한 후, 투광판 및 커버 고무 패킹이 결합된 커버 프레임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을 복수 개 장착한 상태에서 일측의 홀더 모듈에만 필터형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공기정화 성능 평가 장치로써, 판상형의 필터형 시료(100),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내입된 수용 공간(210)이 형성된 반응조(200),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을 커버하는 투광판(300),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수용되는 홀더 모듈(400), 상기 수용 공간(210)에 연통되어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500) 및 상기 주입구(500)의 맞은편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210)에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600)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홀더 모듈(400)의 일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주입로(410), 하부는 상기 주입로(410)와 연통되고 상부는 토출구(421)가 형성된 수직 슬릿(420), 상기 수직 슬릿(420)의 토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에서 내입되어 형성된 반응 공간(430), 상기 반응 공간(430)의 하방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440) 및 상기 주입로(410)의 맞은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440)과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로(450)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상기 홀더 모듈(400)을 삽입하고, 상기 투광판(300)이 상기 수용 공간(210)을 커버하여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에 밀착 고정할 때 상기 반응 공간(430)의 상단부도 상기 투광판(300)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440)의 둘레부는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440)의 둘레부 상단에 필터형 시료(100)가 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응조(200)의 주입구(500)를 통하여 주입된 가스는 상기 홀더 모듈(400)에서 주입로(410), 수직 슬릿(420), 반응 공간(430), 필터형 시료(100), 내부 공간(440), 배출로(450)의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을 전면 또는 전방으로 지칭하며, 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을 후면 또는 후방으로 지칭하고, 상기 투광판(300)이 위치한 방향을 상면 또는 상부로 지칭하고, 상기 반응조(200)의 바닥면이 위치한 방향을 하면 또는 하부로 지칭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정한 것으로, 실제 사용 상태에서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의 설정된 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것을 명확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400)을 복수개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형 시료(100)는 광촉매가 혼입되어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필터형 광촉매를 시료로 성형한 것으로, 시험편은 높이 99.0 mm, 너비 49.0 mm의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크기로 형성된 필터형 시료(100)가 밀착하여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조(200)는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내입된 수용 공간(210)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홀더 모듈(400)이 수납되는 수용 공간(210)은 다양한 형상의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210)은 상기 반응조(200)의 바닥판 및 둘레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되어있어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및 둘레면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용 공간(210)이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 모듈(400)도 상기 수용 공간(210)에 대응하여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응조(200)는 주입되는 오염가스가 흡착되거나 오염가스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나 플라스틱 재질(아크릴 수지 등)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평가 대상이 되는 광촉매 필터형 시료(100) 이외에, 상기 반응조(200)에 주입되는 가스의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최대한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용 공간(210)은 후술할 상기 홀더 모듈(400)이 수용될 공간으로, 상기 홀더 모듈(400)의 외곽부가 상기 수용 공간(210)의 둘레부와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공간(210)은 사각형의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육면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판(300)은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투광판(300)은 빛이 조사될 때의 광촉매 성능평가를 위해 필요한 것이며,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등 빛이 투과하는 과정에서 에너지의 흡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광판(300)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일정한 광도로 빛을 투사하는 실험용 조명기구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형 시료(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홀더 모듈(400)은 주입되는 오염가스가 흡착되거나 오염가스와 반응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시료 홀더는 광촉매를 수용하는 수용체의 역할만을 수행하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홀더 모듈(400)은 필터형 시료(100)를 고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가스의 유입로와 배출로(450) 및 반응 공간(4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복잡한 실험절차와 과정을 생략하여 신속한 실험 준비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료 홀더는 모듈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홀더 모듈(4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홀더 모듈(400)은 사각형의 평면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210)은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홀더 모듈(400)은 상기 수용 공간(210)에 밀착하여 수용 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210)의 형태에 대응하여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일의 홀더 모듈(400)이 수용 공간(210)에 수용 될 경우 수용 공간(210)은 단일의 홀더 모듈(400)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홀더 모듈(400)이 직렬로 결합하여 수용 공간(210)에 수용 될 경우 수용 공간(210)은 복수의 홀더 모듈(400)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조(200)는 상기 수용 공간(210)을 수용하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수용 공간(2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광판(300)은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에 결합될 때, 상기 수용 공간(210)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에 밀착하여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주입로(410)는 상기 홀더 모듈(4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주입로(410)는 상기 주입구(500) 또는 타 홀더 모듈(400)의 배출로(450)를 통하여 유입된 가스가 상기 수직 슬릿(420)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로 설명하면, [도 1]은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전방 홀더 모듈(400)과 후방 홀더 모듈(400)이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있다.
이때, 상기 전방 홀더 모듈(400)의 주입로(410)는 상기 주입구(500)와 연통되고, 상기 후방 홀더 모듈(400)의 주입로(410)는 상기 배출로(450)와 연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상기 홀더 모듈(400)이 배치되는 개수와 위치에 따라 상기 주입로(410)가 연통되는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주입로(410)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스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로(410)의 단면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를 방향성 있게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입로(410)의 단면은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확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슬릿(42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슬릿(420)은 얇은 두께의 사각형의 단면을 가져 주입로(410)에서 이동된 가스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얇은 사각 형태의 단면에 균등하게 퍼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주입로(410)와 상기 수직 슬릿(420)은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주입로(410)에서 배출된 가스는 상기 수직 슬릿(420)의 내측면에 충돌한 뒤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스의 분산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수직 슬릿(420)의 하부는 상기 주입로(410)와 연통되고, 상부는 토출구(421)가 형성되어, 하부에 연통된 주입로(410)로부터 주입된 가스는 수직 슬릿(420)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 단면을 따라 넓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00)로부터 압축되어 주입된 가스는 상기 주입로(410)의 단면 형태를 따라 분산되어 유입되고, 상기 수직 슬릿(420)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분산되며,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릿형태의 단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입로(410)의 단면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확공되도록 구성된 경우, 가스가 방향성 있게 확산되며 분산효과가 증대된다. 이에 따라, 관 형태의 단면을 가진 주입구(500)에서 주입된 가스는 상기 주입로(410) 및 수직 슬릿(420)을 통과하면서 좁은 사각형의 단면형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반응 공간(430)으로 균일하게 확산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슬롯(420)의 토출구(421)에서 사각형의 단면을 따라 넓게 분산되어 배출된 오염가스는 상면이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된 필터형 시료(100)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접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실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421)는 상기 수직 슬릿(420)의 단면 형태가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반응 공간(430)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반응 공간(430)은 상기 수직 슬릿(420)의 토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에서 내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투광판(300)을 통하여 조사된 빛이 상기 필터형 시료(100) 표면의 광촉매와 반응하여 광촉매 반응이 발생하는 공간이다. 상기 반응 공간(430)은 상기 투광판(300)이 상기 반응조(200)와 결합할 때, 상기 투광판(300)과 상기 필터형 시료(100) 및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로 감싸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광촉매는 빛에 노출된 부분에서만 광촉매 반응이 발생하고 빛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광촉매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빛에 노출되는 필터형 시료(100)의 상단 표면으로 가스를 주입할 경우 공기정화 성능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반응 공간(430)은 주입된 가스가 최대한 필터형 시료(100)의 상단 표면에 밀착하여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 공간(430)의 높이는 4.0 mm ~ 8.0 mm 범위의 협소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공간(440)은 상기 반응 공간(430)의 하방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440)의 둘레부는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440)의 둘레부 상단에 필터형 시료(100)가 거치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 공간(430)과 상기 내부 공간(440)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형 시료(100)는 상기 반응 공간(430)과 내부 공간(440)의 경계선에 수평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형 시료(100)의 둘레부는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와 밀착하도록 거치되므로, 주입된 가스는 상기 반응 공간(430)에서 상기 내부 공간(440)으로 누수 없이 필터형 시료(100)를 통과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수직 슬릿(420)의 토출구(421)를 통하여 주입된 가스는 사각 평면의 필터형 시료(100)에 균등하게 퍼져서 분산되며, 필터형 시료(100) 상단 표면의 광촉매와 반응하고, 필터형 시료(100)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 공간(44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홀더 모듈(400)은 주입된 가스가 필터형 시료(1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통과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빛에 노출된 표면에서만 광촉매 반응이 발생하게 되므로, 광촉매 반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출로(450)는 상기 주입로(410)의 맞은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440)과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출로(450)는 타 홀더 모듈(400)의 주입로(410)와 연통될 수 있으므로, 상기 주입로(4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반응 공간(430)으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필터형 시료(100)를 통과하며 광촉매 반응을 통하여 오염 물질이 정화되고, 정화된 가스는 상기 내부 공간(440)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로(450)로 배출 될 수 있다.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된 고무 패킹(4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패킹(460)은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투광판(300)과 접촉·해체 반복에 의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홀더 모듈(400)과 상기 투광판(300)의 일체성을 강화하고, 양 부재 결합 부위를 통한 가스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상기 고무 패킹(460)이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 둘레부의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 패킹(460)을 삽입할 수 있는 패킹홈(461)이 상면 둘레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200)의 상단을 커버하여 배치되는 패킹 시트(4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시트(470)는 빛이 투과되는 투광성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투광판(300), 반응조(200)의 상면, 홀더 모듈(40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메워 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 시트(470)는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오염가스가 흡착되거나 오염가스와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 시트(470)는 투광성의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투광판(300)을 투과한 빛이 홀더 모듈(400)에 거치된 필터형 시료(100)에 도달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킹 시트(470)는 상기 반응조(200)에 복수 개의 홀더 모듈(400)이 수용될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 상면 전체를 단일 부재로 덮도록 형성되어 가스 누출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패킹 시트(470)는 상기 고무 패킹(460)과 동시에 적용이 가능하다. 각각의 홀더 모듈(400)에 고무 패킹(460)을 배치한 뒤 상기 고무 패킹(460)의 상부에 상기 패킹 시트(470)를 배치한 뒤 투광판(300)을 덮어 패킹 시트(470)와 고무 패킹(460)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판(300)의 둘레부를 수용하고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커버 프레임(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700)과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이 상하로 체결되어, 상기 투광판(300)이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을 밀착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조(200)와 커버 프레임(700)의 사이에 구비된 커버 고무 패킹(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2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프레임(700)과 커버 고무 패킹(800)의 배치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조(200)와 커버 프레임(700)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양 부재의 사이에 커버 고무 패킹(8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홀더 모듈(400)과 상기 투광판(300)의 결합·해체 반복에 의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일체성을 강화시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반응조(200) 둘레부의 상면을 따라 일정거리로 이격하여 형성된 하부 나사공(211) 및 상기 커버 프레임(700)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 나사공(71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고무 패킹(800)을 둘레부를 따라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커버 패킹 나사공(8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 나사공(211), 커버 패킹 나사공(810), 상부 나사공(710)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나사공을 관통하도록 볼트형 체결부재를 삽입하고 체결하여 결합력과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커버 고무 패킹(800)이 구비된 경우, 볼트형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 나사공(710), 커버 패킹 나사공(810), 하부 나사공(211)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 프레임(700)을 상기 반응조(200)에 밀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부에 상기 패킹 시트(470), 커버 고무 패킹(800) 및 커버 프레임(700)이 구비된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결합방식을 설명하자면, 상기 홀더 모듈(400)을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안착한 뒤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단에 상기 패킹 시트(470)를 배치하고, 상기 패킹 시트(470)의 상단에 투광판(300)을 배치하고, 상기 투광판(300)의 테두리에 상기 커버 고무 패킹(800)을 배치한 뒤 상기 투광판(300)의 둘레부와 커버 고무 패킹(800)을 커버하도록 커버 프레임(700)을 덮은 뒤 볼트형 체결구로 체결하여 가스가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700)의 측면은 상기 투광판(300), 패킹 시트(470) 및 커버 고무 패킹(800)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700)과 투광판(300)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700)의 중앙부에 투광판(3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반응조(200)의 상단에 일체화하여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700)과 투광판(300)이 일체로 구성될 경우 상기 커버 프레임(700)과 투광판(300)의 연결부에 별도의 연질 패킹을 구비하여 가스 누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단수 개 또는 복수 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모듈(400)이 복수 개 수용될 경우 인접한 양측의 홀더 모듈(400)은 일측 홀더 모듈(400)의 배출로(450)와 타측 홀더 모듈(400)의 주입로(410)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200)에 홀더 모듈(400)을 배치한 후, 투광판(300) 및 커버 고무 패킹(800)이 결합된 커버 프레임(700)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400)을 복수개 장착한 상태에서 일측의 홀더 모듈(400)에만 필터형 시료(1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반응조(200)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00)로부터 유입된 가스는 직렬로 배치된 홀더 모듈(400)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6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500)로부터 유입된 가스는 복수 개의 홀더 모듈(400)을 전부 거쳐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홀더 모듈(400)을 결합하는 경우는 저성능 필터형 시료(100')의 경우 1회의 광촉매 반응으로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오염 가스가 저성능 필터형 시료(100')를 복수개 통과할 때의 광촉매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는 고성능 필터형 시료(100'')의 경우, 단일의 홀더 모듈(400)만으로 광촉매 성능 평가가 가능하나, 저성능 필터형 시료(100')의 경우, 주입된 가스가 복수 개의 저성능 필터형 시료(100')를 통과해야 정확한 성능 평가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홀더 모듈(400)을 직렬로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저성능 필터형 시료(100')의 성능을 측정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모듈(400)을 직렬로 연결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고성능 필터형 시료(100'')의 성능을 측정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모듈(400)의 일측에만 필터형 시료(100)를 배치하여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0]은 복수 개로 배치된 홀더 모듈(400)의 일 실시예로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홀더 모듈(400)이 배치된 경우에도, 필터형 시료(100)를 단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측정하는 필터형 시료(100)의 개수와 관계없이 복수 개로 배치된 홀더 모듈(400)을 분해하거나 제거하지 않고도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홀더 모듈(400)은, 하단부에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제1하부홈(411) 및 일면에 형성된 내입면(422)이 구비된 제1파츠(400a) 및 상기 반응 공간(430) 및 내부 공간(440)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 중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431)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431)의 맞은편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내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440)과 연통되는 제2하부홈(451)이 구비된 제2파츠(400b)로 구분되고, 상기 제1,2파츠(400a,400b)는 상기 제1파츠(400a)의 내입면(422)과 상기 제2파츠(400b)의 절개부(431) 측 벽면의 조합으로 상기 수직 슬릿(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츠(400a,400b)가 상기 반응조(200)에 안치됨에 따라, 상기 제1하부홈(411)과 상기 반응조(200)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주입로(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홈(451)과 상기 반응조(200)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배출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400)의 제1파츠(400a)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400)의 제2파츠(400b)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400)의 제2파츠(400b)에 필터형 시료(10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모듈(400)의 제1파츠(400a)와 제2파츠(400b)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홀더 모듈(4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파츠(400a)와 상기 제2파츠(400b)는 복잡하지 않은 형태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이 용이하며, 규격화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후 세척이 간편하여 재사용이 용이하다. 상기 반응조(200)와 커버프레임을 상기 홀더 모듈(40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작하면 복수 개의 홀더 모듈(400)을 추가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주입로(410), 수직 슬릿(420) 및 배출로(450)를 밀폐된 관 형태로 형성할 경우 내부의 세척 및 파손 부위의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2파츠(400a,400b)로 분리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홀더 모듈(400)은 상기 주입로(410), 수직 슬릿(420) 및 배출로(450)의 둘레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내부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파츠(400a)는 하단부에 상방으로 내입되어 제1하부홈(411)이 형성되고, 후면에서 전방으로 내입되어 내입면(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파츠(400b)는 상기 반응 공간(430)과 내부 공간(440)을 포함하고,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 중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431)의 맞은편(제2파츠(400b)의 후면부)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내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4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2하부홈(4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31)는 상기 토출구(421) 및 반응 공간(430)과 연통되어 상기 수직 슬릿(420)에서 주입된 가스가 상기 필터형 시료(100)의 상단에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431)는 상기 반응 공간(430)의 주변부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431)를 통하여 상기 필터형 시료(100)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파츠(400b)의 절개부(431)를 통하여 상기 필터형 시료(100)를 삽입한 뒤, 상기 제1파츠(400a)와 제2파츠(400b)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필터형 시료(1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2파츠(400a,400b)가 결합될 때 상기 제1파츠(400a)의 내입면(422)과 제2파츠(400b)의 절개부(431) 측 벽면이 조합으로 상기 수직 슬릿(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츠(400a,400b)가 결합된 뒤 상기 반응조(200)의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하부홈(411)과 상기 반응조(200)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주입로(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홈(451)과 상기 반응조(200)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배출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주입로(410), 수직 슬릿(420) 및 배출로(450)는 세척 및 부품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나, 상기와 같이 제1,2파츠(400a,400b)로 결합되어 형성된 경우 분리가 가능하여 주입로(410), 수직 슬릿(420) 및 배출로(450)의 세척 및 손상된 부분의 교체가 용이하다.
하기에는 상기 홀더 모듈(400)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필터형 광촉매 성능 평가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파츠(400a)의 제1하부홈(411)은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양측벽면과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면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방되어있다. 상기 제1파츠(400a)가 상기 수용 공간(210)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제1하부홈(411)의 하부는 상기 반응조(200)의 바닥판과 조합되어 상기 주입로(4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파츠(400a)의 내입면(422)은 제1파츠(400a)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양측벽면과 전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면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후방으로 개방되어있다. 상기 제1파츠(400a)의 후면과 상기 제2파츠(400b)의 전면 측 벽면의 조합으로 상기 내입면(422)의 개방된 후면은 상기 제2파츠(400b)의 전면벽에 의하여 밀폐되어 상기 수직 슬릿(420)이 형성된다. 이때, 수직 슬릿(420)의 상단부는 상기 절개부(431)에 의하여 상기 반응 공간(430)과 자연스럽게 연통될 수 있다.
제2파츠(400b)의 제2하부홈(451)은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양측벽면과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면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방되어있다. 상기 제2파츠(400b)가 상기 수용 공간(210)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제2하부홈(451)의 하부는 상기 반응조(200)의 바닥판과 조합되어 상기 배출로(4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2파츠(400a,400b)로 체결 가능한 홀더 모듈(400)의 각 구성은 상기의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필터형 시료
200 : 반응조
210 : 수용 공간 211 : 하부 나사공
300 : 투광판
400 : 홀더 모듈
400a : 제1파츠 400b : 제2파츠
410 : 주입로
411 : 제1하부홈
420 : 수직 슬릿
421 : 토출구 422 : 내입면
430 : 반응 공간
431 : 절개부
440 : 내부 공간
450 : 배출로
451 : 제2하부홈
460 : 고무 패킹
461 : 패킹홈
470 : 패킹 시트
500 : 주입구
600 : 배출구
700 : 커버 프레임
710 : 상부 나사공
800 : 커버 고무 패킹
810 : 커버 패킹 나사공

Claims (5)

  1. 필터형 광촉매 시료의 공기정화 성능 평가 장치로써,
    판상형의 필터형 시료(100);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내입된 수용 공간(210)이 형성된 반응조(200);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을 커버하는 투광판(300);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수용되는 홀더 모듈(400);
    상기 수용 공간(210)에 연통되어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500); 및
    상기 주입구(500)의 맞은편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210)에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600);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홀더 모듈(400)의 일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주입로(410);
    하부는 상기 주입로(410)와 연통되고 상부는 토출구(421)가 형성된 수직 슬릿(420);
    상기 수직 슬릿(420)의 토출구(421)와 연통되고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에서 내입되어 형성된 반응 공간(430);
    상기 반응 공간(430)의 하방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440); 및
    상기 주입로(410)의 맞은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440)과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로(450); 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상기 홀더 모듈(400)을 삽입하고, 상기 투광판(300)이 상기 수용 공간(210)을 커버하여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에 밀착 고정할 때 상기 반응 공간(430)의 상단부도 상기 투광판(300)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440)의 둘레부는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440)의 둘레부 상단에 필터형 시료(100)가 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더 모듈(400)은 상기 반응조(200)의 수용 공간(210)에 복수 개 수용되고, 인접한 양측의 홀더 모듈(400)은 일측 홀더 모듈(400)의 배출로(450)와 타측 홀더 모듈(400)의 주입로(410)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반응조(200)의 주입구(500)를 통하여 주입된 가스는 상기 홀더 모듈(400)에서 주입로(410), 수직 슬릿(420), 반응 공간(430), 필터형 시료(100), 내부공간(440), 배출로(450)의 순서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홀더 모듈(400)의 상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된 고무 패킹(4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투광판(300)의 둘레부를 수용하고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커버 프레임(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700)과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이 상하로 체결되어, 상기 투광판(300)이 상기 반응조(200)의 상면을 밀착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반응조(200)와 커버 프레임(700)의 사이에 구비된 커버 고무 패킹(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홀더 모듈(400)은,
    하단부에 상방으로 내입되어 형성된 제1하부홈(411) 및 일면에 형성된 내입면(422)이 구비된 제1파츠(400a); 및
    상기 반응 공간(430) 및 내부 공간(440)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공간(430)의 둘레부 중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431)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431)의 맞은편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내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440)과 연통되는 제2하부홈(451)이 구비된 제2파츠(400b); 로 구분되고,
    상기 제1,2파츠(400a, 400b)는 상기 제1파츠(400a)의 내입면(422)과 상기 제2파츠(400b)의 절개부(431)측 벽면의 조합으로 상기 수직 슬릿(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츠(400a, 400b)가 상기 반응조(200)에 안치됨에 따라,
    상기 제1하부홈(411)과 상기 반응조(200)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주입로(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홈(451)과 상기 반응조(200) 바닥판의 조합으로 상기 배출로(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KR1020230028874A 2021-10-13 2023-03-06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KR10254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874A KR102545043B1 (ko) 2021-10-13 2023-03-06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67A KR102545039B1 (ko) 2021-10-13 2021-10-13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조립식 성능 평가 장치
KR1020230028874A KR102545043B1 (ko) 2021-10-13 2023-03-06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767A Division KR102545039B1 (ko) 2021-10-13 2021-10-13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조립식 성능 평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853A KR20230052853A (ko) 2023-04-20
KR102545043B1 true KR102545043B1 (ko) 2023-06-16

Family

ID=86143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767A KR102545039B1 (ko) 2021-10-13 2021-10-13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조립식 성능 평가 장치
KR1020230028874A KR102545043B1 (ko) 2021-10-13 2023-03-06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767A KR102545039B1 (ko) 2021-10-13 2021-10-13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조립식 성능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50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129A (ja) 1998-11-30 2000-06-16 Shinku Riko Kk 光触媒機能評価方法及び評価装置
JP6307409B2 (ja) 2014-10-15 2018-04-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成分測定装置
KR102155714B1 (ko) 2020-07-07 2020-09-14 한국세라믹기술원 광·암조건 동시 측정용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102177152B1 (ko) 2020-07-30 2020-11-10 한국세라믹기술원 범용 건축자재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102256275B1 (ko) 2020-11-19 2021-05-25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광촉매 성능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광촉매 성능 시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9614A (en) * 1980-10-16 1982-04-28 Fujikura Ltd Power cable with watertight conducto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4014745A (ja) * 2002-06-06 2004-01-15 Lasertec Corp 汚染防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並びにその評価方法
KR20150125841A (ko) * 2014-04-30 2015-11-10 주식회사 나인에코 유기오염물질 시료채취기
KR101724383B1 (ko) * 2016-07-18 2017-04-07 (주) 아이스퀘어 방사능 측정 시스템
JP6947303B2 (ja) * 2018-06-28 2021-10-13 富士通株式会社 ガスセンサ及びガスセンサカートリッジ
KR102258156B1 (ko) 2019-03-22 2021-06-01 (주)벤텍프런티어 광촉매의 공기정화 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KR102255615B1 (ko) * 2019-10-30 2021-05-24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2129A (ja) 1998-11-30 2000-06-16 Shinku Riko Kk 光触媒機能評価方法及び評価装置
JP6307409B2 (ja) 2014-10-15 2018-04-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成分測定装置
KR102155714B1 (ko) 2020-07-07 2020-09-14 한국세라믹기술원 광·암조건 동시 측정용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102177152B1 (ko) 2020-07-30 2020-11-10 한국세라믹기술원 범용 건축자재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102256275B1 (ko) 2020-11-19 2021-05-25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광촉매 성능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광촉매 성능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564A (ko) 2023-04-20
KR20230052853A (ko) 2023-04-20
KR102545039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9103A1 (en) Full air-exchanging safety cabinet
KR102545043B1 (ko) 필터형 광촉매 시료용 성능 평가 장치
US4952516A (en) Self-venting diagnostic test device
CN102019161A (zh) 一种多通道光催化反应装置
CN111443195A (zh) 免疫检测试剂卡
CN113671122B (zh) 一种基于工业烟气的连续性检测设备
KR10046861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KR101500443B1 (ko) 미세조류의 배양을 위한 광생물 배양기
JPWO2012099215A1 (ja) 自動分析装置
KR20240022154A (ko) 범용 광촉매 시료 성능 평가 장치
EP0295069A2 (en) Diagnostic test device
KR102453966B1 (ko) 무필터식 초소형 집진기가 내장된 유해가스 측정 경보 장치
KR102256275B1 (ko) 광촉매 성능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광촉매 성능 시험방법
KR101144330B1 (ko)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CN205538660U (zh) 一种紫外分光光度计
US2004024104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digestion of liquid samples
KR101718737B1 (ko) 국소 영역의 케미컬 제거 장치
JP5460558B2 (ja) 光触媒装置
KR102458710B1 (ko) 광촉매 분말 성능 평가 장치
CN215263102U (zh) 一种卧式比色皿及其检测板
CN215050282U (zh) 一种荧光定量prc检测用超净工作台
CN219506491U (zh) 一种样品存储柜
CN210206347U (zh) 活性炭光催化处理器
CA2838929A1 (en) Roomside replaceable fan filter unit
CN210765322U (zh) 一种微生物培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