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330B1 -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 Google Patents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330B1
KR101144330B1 KR1020100024304A KR20100024304A KR101144330B1 KR 101144330 B1 KR101144330 B1 KR 101144330B1 KR 1020100024304 A KR1020100024304 A KR 1020100024304A KR 20100024304 A KR20100024304 A KR 20100024304A KR 101144330 B1 KR101144330 B1 KR 10114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front surface
cover
chamber body
micro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189A (ko
Inventor
김만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3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33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재 시료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마이크로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내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수용용기와; 상기 챔버본체를 커버하며 상기 시료 전면의 외주연을 접촉지지하여 상기 시료의 측면 및 뒷면으로부터 상기 시료 표면을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 전면의 전영역으로 캐리어가스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시료 전면으로부터 방출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가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된 나팔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은 크기로 절단된 시료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MICRO CHAMBER FOR MEASURING THE POLLUTANT OF THE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마이크로 챔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장재의 절단 시료로부터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 챔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건물 또는 자동차내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위하여 밀폐화가 강조되면서 단열재와 같은 건축자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내 공기질이 악화되고 있다. 또한,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인테리어 용품이 사용되면서 이들로부터 많은 오염물질들이 방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질 및 자동차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 휘발성 오염물질이 적게 방출되는 내장제품을 평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오염물질 방출여부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제품을 절단하지 않고 시료제품 전체를 챔버 내에 삽입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료제품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시료제품 전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대형장비가 요구된다. 이에 시료제품의 일부를 작은 크기로 절개하여 오염물질 방출여부를 평가하는 마이크로 챔버가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마이크로 챔버(10)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마이크로 챔버(10)는 시료(S)가 수용되는 챔버본체(11)와. 챔버본체(11)를 커버하는 커버(12)와, 챔버본체(11)와 커버(1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13)를 포함한다.
종래 마이크로 챔버(10)는 가스공급관(14)를 통해 공급된 캐리어가스가 시료(S)의 표면을 경유하여 가스배출관(15)으로 배출되며 시료(S)의 오염물질을 채취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 마이크로 챔버(10)는 실링부재(13)에 의해 챔버(11) 내부가 밀폐되므로 시료(S)의 전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후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도 희석되어 가스배출관(15)으로 배출된다. 즉, 오염물질의 방출여부를 평가하는 시료(S)의 전면 뿐만 아니라 측면과 후면도 함께 혼합되어 평가하게 되므로 시료(S)의 전면에 대한 정확한 평가결과를 얻기가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마이크로 챔버(10)는 가스공급관(14)을 통해 공급된 캐리어가스가 커버(12)의 일측단부에서 공급되어 타측단부로 배출되므로 시료(S) 표면의 대표적인 평가가 힘들었다. 즉, 캐리어가스가 시료표면의 한 점으로 공급되어 타측의 한 점으로 배출되므로 시료표면에 캐리어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전영역에 대한 대표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장재의 시료 전면을 시료의 측면 및 후면과 격리하여 시료 전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어가스가 시료 전면의 전영역에 걸쳐 고르게 공급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의 일면에 대한 대표적인 평가가 가능한 마이크로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 성형품, 표면처리제품을 개발한 평가방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오염물질 방출단계 및 원인을 찾아낼 수 있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내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수용용기와; 상기 챔버본체를 커버하며 상기 시료 전면의 외주연을 접촉지지하여 상기 시료의 측면 및 뒷면으로부터 상기 시료 전면을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 전면의 전영역으로 캐리어가스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시료 전면으로부터 방출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가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된 나팔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에는 외주연의 판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시료 전면을 접촉지지하는 격리돌기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수용용기는 상기 시료가 상기 커버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시료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시료의 두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본체와 상기 커버의 결합영역에는 상기 시료의 측면과 뒷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간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팔관은, 상기 챔버 커버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영역으로 직경이 점차 확산되게 구비되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상기 외측관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내측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내측관 사이에 형성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 챔버는 시료의 전면이 절단된 측면 및 후면과 공간적으로 격리되게 되므로 시료의 전면에서 배출된 오염물질만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시료 전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료 전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단계적으로 원료 및 성형품을 평가하여 오염물질이 원료, 성형과정, 표면처리 중 어느 단계에서 방출된 것인지 방출단계 및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챔버는 나팔관을 통해 시료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중심영역으로 캐리어가스가 전영역을 이동하며 오염물질을 내포하게 되므로 시료의 전면에 대한 정확하고 대표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료수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시료 제품을 절단하여 마이크로 챔버 내에서 측정하고자하는 시료의 일면과 다른 면을 공간적으로 격리하여 시료의 일면에서만 방출되는 오염물질만을 측정하여 시공 후 실내 공기 질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챔버(100)는 챔버본체(110)와, 챔버본체(110) 내부에 결합되어 시료(S)를 수용하는 시료수용용기(120)와, 챔버본체(110)를 커버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S)의 일면을 다른 면과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는 시료 커버(130)와, 커버(130)에 결합되어 시료(S)의 표면으로 캐리어가스를 공급하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가스를 배출시키는 나팔관(1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의 일면은 즉, 실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표면은 시료의 전면(前面)이라 정의하고, 시료의 다른 면은 시료의 절단된 측면 및 시료의 전면과 반대 면을 이루는 시료의 뒷면으로 각각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챔버본체(110)는 내부에 시료(S)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챔버본체(110)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 기둥의 형태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챔버본체(110)의 일측에는 캐리어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150)을 수용하는 공급관수용공(111)이 형성된다. 챔버본체(11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챔버본체(110) 내부의 공간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열선(미도시)이 배치된다. 공급관수용공(111)에 수용된 가스공급관(150)은 캐리어가스가 나팔관(140)의 공급유로(143)로 공급되기 전에 챔버본체(110)를 경유하면서 열선(미도시)에 의해 미리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정하게 온도가 상승된 캐리어가스가 시료(S)의 전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챔버(100)는 가스공급관(150)이 챔버본체(110)를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가스공급관(150)의 캐리어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부재 없이 챔버본체(110)의 열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캐리어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료수용용기(120)는 챔버본체(110) 내에 결합되며 내부에 시료(S)를 수용한다. 시료수용용기(120)는 챔버본체(11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시료수용용기(120)는 장기간의 사용으로 내부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세척을 위해 챔버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시료수용용기(120)의 내부에는 시료(S)를 지지하는 스페이서(121)가 구비된다. 스페이서(121)는 시료(S)의 하부영역을 지지하여 시료(S)의 전면이 커버(130)의 격리돌기(131)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121)는 시료(S)의 두께에 대응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시료수용용기(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S)의 측면이 시료수용용기(120)의 내측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시료(S)의 폭보다 일정길이 크게 구비되며 시료(S)가 시료수용용기(120) 내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시료수용용기(120) 면과 접촉하지 않으며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시료수용용기(120)를 형성하는 내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이격돌기(122)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격돌기(1220에 의해 시료(S)가 시료수용용기(120) 내에서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시료수용용기(120)와 시료(S)의 측면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시료(S)의 후면과 시료의 측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이 챔버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될 수 있다.
이때,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각 이격돌기는(122)는 시료의 두께에 제한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수용용기(120)는 상이한 폭을 갖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시료(S)의 폭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버(130)는 챔버본체(110)의 상면을 커버하여 시료(S)의 전면을 측면과 후면에 대해 공간적으로 격리시킨다. 또한, 커버(130)는 내부에 나팔관(140)을 수용하여 시료(S)의 전면으로 캐리어가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커버(130) 하단면(133)의 판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격리돌기(131)가 구비된다. 격리돌기(131)는 커버(130)가 챔버본체(110)의 상면을 커버할 때 시료(S)의 전면 테두리영역과 접촉된다. 격리돌기(131)가 시료(S)의 전면과 접촉하면서 시료(S)의 전면과 커버(130)의 하단면(133) 사이의 공간은 시료(S)의 측면 및 후면과 격리된다. 격리된 시료(S)의 전면과 커버(130)의 하단면(133) 사이의 공간으로 캐리어가스가 공급되어 시료(S) 전면의 오염물질 방출결과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커버(130)가 챔버본체(110)의 상면을 커버할 때 시료수용용기(120)와의 결합영역은 밀폐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된 이격공간(d)이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이격공간(d)은 시료(S)의 후면과 측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시료(S)의 후면과 측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이 이격공간(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시료(S)의 전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과 혼합될 여지가 없어 시료(S) 전면 만에 대한 보다 신뢰도 있는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나팔관(140)은 커버(130)를 통해 시료(S)의 전면으로 캐리어가스를 공급하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가스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캐리어가스는 정화된 청정공기로 시료(S)의 전면과 접촉하며 시료(S)의 전면으로부터 방출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팔관(140)은 캐리어가스가 시료(S) 전면의 한 점으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전영역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나팔관(140)은 상부영역에 비해 하부영역의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된 나팔관 형태로 구비된다.
나팔관(140)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커버(130)에 결합되는 외측관(141)과, 외측관(141)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공급유로(142)와 배출유로(145)를 상호 구획하는 내측관(142)을 포함한다. 외측관(141)과 내측관(142) 사이에는 캐리어가스가 공급되는 공급유로(143)가 형성되고, 내측관(142) 사이에는 오염가스가 배출되는 배출유로(145)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관(142)의 하부영역은 커버(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외측관(142)의 상부영역은 커버(130)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시료채취튜브(170)와 연결되고, 하부영역은 커버(130)의 하단면(133)으로 연결된다. 외측관(142)의 형상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곡선형상으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캐리어가스가 가스공급관에서 시료 전면으로 이동하는 동안 정류상태로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관(142)의 일측에는 가스공급관(150)과 결합되는 결합영역(141a)이 형성되어 공급유로(143)로 캐리어가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결합영역(141a)은 외측관(142)으로부터 분기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가스공급관(150)이 삽입된다. 가스공급관(150)으로부터 공급된 캐리어가스는 일정 압력에 의해 공급유로(14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내측관(141)은 외측관(142)과 동심원상에 배치되며 외측관(14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측관(141)은 나팔관(140) 내에 공급유로(143)와 배출유로(145)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도록 공간을 구획한다. 내측관(141)은 커버(130)의 하단면(133)으로도 연장형성되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의 내측으로 공급된 캐리어가스가 시료(S)의 주변영역에서 중심영역으로 동일한 선속도를 가지며 공급되도록 한다.
공급유로(143)는 외측관(142)과 내측관(141) 사이에 형성되어 캐리어가스를 시료(S)의 전면으로 공급한다. 공급유로(1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돌기(131)에 의해 격리된 시료(S)의 테두리영역으로 캐리어가스가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공급유로(143)는 나팔관(140)의 형상에 따라 360도에 걸쳐 형성되므로 시료(S) 전면의 전영역에 동시에 고르게 공급된다.
배출유로(145)는 나팔관(140)의 중심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캐리어가스는 공급유로(143)를 통해 시료(S) 전면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중심영역으로 이동하며 나팔관 형상을 가지고 있어 시료표면 전영역에 동일한 선속도로 고르게 분포되고 중심영역에 형성된 배출유로(145)를 통해 배출된다.
가스공급관(150)은 캐리어가스를 나팔관(140)으로 공급한다. 가스공급관(150)은 챔버본체(110)에 관통되게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나팔관(140)의 상부영역에는 시료채취튜브(170)가 구비된다. 시료채취튜브(170)는 시료(S) 전면과 접촉하며 전면으로부터 방출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가스가 채취된다.
나팔관(140)과 시료채취튜브(170) 사이에는 연결관(160)이 구비된다. 연결관(160)은 나팔관(140)의 외측관(142)과 내측관(141)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나팔관(140)과 시료채취튜브(170)를 상호 연결한다. 이에 의해 오염가스가 외부 누설없이 시료채취튜브(17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챔버(100)의 오염물질 채취과정을 도2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시료수용용기(120)에 시료(S)의 두께에 대응하는 스페이서(121)를 장착하고 스페이서(121)의 상면에 시료(S)를 적재한다. 그리고, 챔버본체(110)의 상면으로 커버(130)를 결합시킨다.
커버(130)의 결합에 의해 격리돌기(131)가 시료(S) 전면의 테두리영역을 접촉하게 되고 시료(S) 전면은 커버(130)의 내측면과 함께 측면 및 후면과 격리된 공간을 형성한다.
가스공급관(150)을 통해 캐리어가스가 공급되고, 캐리어가스는 나팔관(140)의 공급유로(143)를 통해 시료(S) 전면으로 공급된다. 공급유로(143)를 통해 공급된 캐리어가스는 내측관(141)을 통해 안내되어 시료(S) 전면의 테두리영역으로 공급되어 배출유로(145)가 형성된 중심영역으로 이동한다. 캐리어가스는 중심영역으로 이동하며 시료(S)의 전면과 접촉하고 시료(S)로부터 방출된 오염물질을 내포하여 이동한다.
오염물질이 내포된 오염가스는 시료(S)의 중심영역으로 이동하고 나팔관(140)의 배출유로(145)를 경유하고 샘플채취튜브(170)로 이동하여 채취된다. 이 채취된 오염가스를 평가하여 시료(S) 전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챔버는 시료의 전면이 절단된 측면 및 후면과 공간적으로 격리되게 되므로 시료의 전면에서 배출된 오염물질만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시료 전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료 전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오염물질이 원료, 성형품, 표면처리제품 중 어느 단계에서 방출된 것인지 방출단계 및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시료의 절단된 측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은 시료를 표면처리하지 않은 단계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챔버는 나팔관을 통해 시료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중심영역으로 캐리어가스가 전영역을 이동하며 오염물질을 내포하게 되므로 시료의 전면에 대한 정확하고 대표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챔버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마이크로챔버 110 : 챔버본체
111 : 공급관수용공 120 : 시료수용용기
121 : 스페이서 130 : 커버
131 : 격리돌기 140 : 나팔관
141 : 내측관 142 : 외측관
143 : 공급유로 145 : 배출유로
150 : 가스공급관 160 : 연결관
170 : 시료채취튜브

Claims (5)

  1. 시료의 오염물질을 검출하는 마이크로챔버에 있어서,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 내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수용용기와;
    상기 챔버본체를 커버하며 상기 시료 전면의 외주연을 접촉지지하여 상기 시료의 측면 및 뒷면으로부터 상기 시료 전면을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 전면의 전영역으로 캐리어가스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시료 전면으로부터 방출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가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된 나팔관을 포함하되,
    상기 시료수용용기는 상기 시료가 상기 커버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시료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시료가 시료수용용기 한쪽으로 쏠려 시료수용용기 벽면에 접촉하지 않으며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시료의 두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단면에는 외주연의 판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시료 전면을 접촉지지하는 격리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챔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본체와 상기 커버의 결합영역에는 상기 시료의 측면과 뒷면에서 방출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챔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관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영역으로 직경이 점차 확산되게 구비되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상기 외측관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내측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내측관 사이에 형성되어 시료 전면의 전 영역에 캐리어가스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챔버.
KR1020100024304A 2010-03-18 2010-03-18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KR10114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304A KR101144330B1 (ko) 2010-03-18 2010-03-18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304A KR101144330B1 (ko) 2010-03-18 2010-03-18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89A KR20110105189A (ko) 2011-09-26
KR101144330B1 true KR101144330B1 (ko) 2012-05-11

Family

ID=4495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304A KR101144330B1 (ko) 2010-03-18 2010-03-18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40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건축자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측정용 챔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4051B (zh) * 2018-07-04 2024-05-24 北京市劳动保护科学研究所 一种加速建材表面污染气体散发的装置
KR102177152B1 (ko) * 2020-07-30 2020-11-10 한국세라믹기술원 범용 건축자재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521A (ja) 2000-08-02 2002-04-26 Univ Waseda 建材・施工材からの揮発性有機化合物等の放散量検出装置
JP2006226745A (ja) 2005-02-16 2006-08-31 Isuzu Motors Ltd Voc捕集装置
KR100622869B1 (ko) 2005-06-30 2006-09-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배판이 구비된 오염물질 방출 시험챔버
KR100622871B1 (ko) 2005-07-11 2006-09-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염물질 방출시험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521A (ja) 2000-08-02 2002-04-26 Univ Waseda 建材・施工材からの揮発性有機化合物等の放散量検出装置
JP2006226745A (ja) 2005-02-16 2006-08-31 Isuzu Motors Ltd Voc捕集装置
KR100622869B1 (ko) 2005-06-30 2006-09-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배판이 구비된 오염물질 방출 시험챔버
KR100622871B1 (ko) 2005-07-11 2006-09-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염물질 방출시험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40A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건축자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측정용 챔버 시스템
KR102032462B1 (ko) 2016-12-27 2019-10-15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건축자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측정용 챔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89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4541A (en) Device and a method for separating liquid samples
KR101144330B1 (ko) 내장재의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챔버
JP4924707B2 (ja) 被検出物捕集具及びその使用方法
US10209230B2 (en) Electrode for resistance furnace
RU2014138186A (ru) Кассета для тестирования со встроенным передаточным модулем
CN103969186B (zh) 原位红外光谱池
CN1846856A (zh) 具有自密封流体端口的设备
KR20220086719A (ko) 휴대형 공기 샘플러
US10656077B2 (en) Sample testing methods with automated cleaning
CN101065654A (zh) 环境污染物的采样和分析
JP2005528907A (ja) 液体試料の実地検査のための微生物用キットおよび方法
US9816903B2 (en) Filtration device for liquid samples
KR20170054636A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JP3178212U (ja) サンプリングバッグ用自動洗浄装置
US20130040338A1 (en) Device for capturing objec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7256289A (ja) 分析用、特に測光又は分光光度分析用の装置
US11498064B2 (en) Photometric dispensing nozzle unit, photometric dispensing apparatus, and photometric dispensing method
JP5747135B2 (ja) 製品の汚染物質放出実験チャンバー装置
CN210571211U (zh) 一种气密性实验装置
JP5512768B2 (ja) 被検出物捕集具及びその使用方法
CN113945431B (zh) 一种痕量物质取样装置、分析系统及取样方法
KR101181318B1 (ko) 자동차 내장부품의 오염물질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8170245A (ja) 放散による化学物質の発生部位の探索装置
KR100622869B1 (ko) 분배판이 구비된 오염물질 방출 시험챔버
JP2012053057A (ja) 被検出物捕集具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