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998B1 -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 Google Patents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998B1
KR102544998B1 KR1020230034032A KR20230034032A KR102544998B1 KR 102544998 B1 KR102544998 B1 KR 102544998B1 KR 1020230034032 A KR1020230034032 A KR 1020230034032A KR 20230034032 A KR20230034032 A KR 20230034032A KR 102544998 B1 KR102544998 B1 KR 10254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llecting
reinforcing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명훈
강경민
Original Assignee
권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명훈 filed Critical 권명훈
Priority to KR102023003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4Foundations produced by soil stabilis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형성된 배수관과 외측에 형성된 집수관이 보강부재(보강편)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고, 보강부재에 의한 보강과 함께 집수관으로 집수된 물을 배수관으로 효과적으로 유도시켜 배수시킬 수 있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에 위치하고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면에는 물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 집수관(20)으로 이루어진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관(20)의 외표면에는 상기 집수홀(21)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지지돌기(5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dummy ditch with excellent drainage and reinforcing}
본 발명은 내측에 형성된 배수관과 외측에 형성된 집수관이 보강부재(보강편)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고, 보강부재에 의한 보강과 함께 집수관으로 집수된 물을 배수관으로 효과적으로 유도시켜 배수시킬 수 있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및 조경공사에 포함되는 도로건설이나 운동장, 잔디광장 등의 공사시에 널리 시공되는 배수공법 중 심토층 배수공사로 시공하고 있는 맹암거는 토양 공극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적게하거나 지하수위를 차단 혹은 저하시켜서 토질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토질의 내구력을 증진시키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한 배수공법이다.
이때 암거의 매설은 불투수층까지 굴착한 후 투수성재료를 채워넣어 상부를 복토하여 심토층내에 함유된 수량을 배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맹암거는 지표층을 굴착하여 터파기를 한 후 부직포를 깔고 부직포상에 부직포로 감싼 유공관을 부설한 다음 그 위에 투수층을 이루도록 골재를 투입한 후 복토를 하여 지표층을 만들어 시공을 완료하는 구조이다.
상기 부직포는 토질조건상 토양입자가 물과 같이 흘러서 유공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유공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부직포로 유공관을 감싼 상태로 지중에 부설하는 시공과정에서 부직포가 유공관에서 쉽게 풀어져 나풀거리게 됨으로써 시공작업시 나풀거리는 부직포로 인한 작업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부직포의 상측에 투입되는 골재가 부직포와 밀착된 상태로 유공관의 집수홀을 막게 되면서 물이 효과적으로 집수홀을 통해 내측으로 집수되지 못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종래 맹암거의 보강 및 원활한 배수를 위해 을 위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0999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형성되는 제1통수관부와 외측에 형성되는 제2통수관부 및 이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리브로 이루어진 배수관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리브에 의해 보강과 함께 복수의 배수통로를 형성하게 되어 배수효율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그러나 배수통로가 많은 뿐 리브에 의해 서로 구획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배수통로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다를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오른쪽 배수통로에 물이 많이 유입되고 왼쪽의 배수통로에는 물이 전혀 유입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음으로써 물의 집수효율이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유공관의 상측으로 시공되는 골재가 유입공을 막게 될 경우에는 집수효율이 더 좋지 못하게 되어 결국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가는 모래 등의 이물질이 배수통로에 그대로 적재됨으로써 물의 배수를 저해시켜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0999호(2001.01.15. 배수관) 특허공보 제10-1991-0004003호(1991.06.20. 암거 집배수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배수관과 집수관이 보강부재(보강편)로 연결되어 일체로 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우수한 보강력을 갖게 되며, 특히 보강편에 물이동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집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물이동통로를 통해 인접하는 다른 집수공간으로 이동되어 배수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집수된 물을 배수관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시켜 줄 수 있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차점과 물이동통로 사이에 이물질 적재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집수공간으로 1차 이동되어 집수된 물에 포함된 입자크기가 아주 작은 가는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적재되도록 하여 배수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배수관 내부 바닥에 쌓이는 이물질 적재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편이 맹암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격벽이 맹암거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맹암거의 보강성능을 월등하게 높여줄 수 있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돌기의 형성으로 인해 집수관의 외표면에 감싸여지는 부직포를 쉽게 결속시켜 주어 나풀거리지 않게 됨은 물론, 집수관의 상측으로 투입되는 자갈 등의 골재를 집수홀에서 이격시켜 줌으로써 집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중앙에 위치하고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면에는 물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 집수관(20)으로 이루어진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관(20)의 외표면에는 상기 집수홀(21)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지지돌기(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에 형성된 집수공간(35)을 분할시켜 줌은 물론 배수관(10)과 집수관(20)을 보강시켜 주도록 격벽(5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55)에는 분할된 집수공간(35)을 서로 소통시켜 집수공간(35)으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홀(56)이 형성된다.
삭제
상기 물이동통로(45)는 상기 교차점(4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점(40)과 보강편(30)의 사이에 이물질 적재공간(6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수관(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는 맹암거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 일정부분이 서로 겹쳐져 연결되도록 각각 제1밀착부(23)와 제2밀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23)에는 탄성걸림편(25)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밀착부(24)에는 연결되는 맹암거의 집수관(20)에 형성된 탄성걸림편(25)이 끼워져 걸림결합되도록 걸림홀(26)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에 따르면, 보강편과 격벽에 의해 맹암거의 길이방향과 교차방향으로 보강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맹암거에 비해 보강력이 매우 우수하여 지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갈이나 토사의 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보강편에 물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집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물이동통로를 통해 인접하는 다른 집수공간으로 이동된 후 배수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집수된 물이 효과적으로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물에 포함된 이물질(입자가 작은 가는 모래 등)이 배수관으로 인입되지 않고 이물질 적재공간에 적재됨으로써 모래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인입되어 내부 바닥에 쌓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배수관 내부 바닥에 적재된 이물질에 의해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돌기에 의해 골재가 집수홀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지중으로 유입된 물이 효과적으로 집수홀로 유입됨에 따라 더욱 우수한 배수효율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적재공간에 이물질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도,
도 5는 도 1의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맹암거의 표면에 부직포가 감싸여진 상태에서 집수홀의 상측으로 골재가 올려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맹암거들의 연결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의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는 지중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배수관(10)과, 배수관(10)의 외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집수관(20)과,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1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고, 집수관(20)으로 유입된 물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다.
집수관(20)은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여러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면이 6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집수관(20)의 표면에는 지하수 즉, 지중으로 유입된 물을 집수하도록 설정된 간격 및 위치에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집수관을 보강시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어 진다.
보강편(20)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배수관(10)과 집수관(20)에 일체가 되게 형성된다. 예로서 보강편(30)은 배수관(10)과 집수관(20)과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보강력이 낮아짐에 따라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강편(30)에 의해 집수관(20)의 보강은 물론 보강편 자체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집수관(20)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보강력을 대폭 상승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집수관의 상측이나 측면방향으로 가해지는 골재나 토사의 압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강편이 호형으로 형성되어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집수관(20)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탄성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집수관의 파손이나 손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된다.
상기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됨으로써 어느 일측에 형성된 집수공간으로는 많은 물이 유입되고 다른 집수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적은 경우라도 각각의 집수공간에 형성된 물이동통로를 통해 인접 집수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집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어 보다 짧은 시간내에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편이 호형으로 형성된 상태로 집수관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우수한 보강력을 갖게 되는 것이며, 집수홀을 통해 집수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1차적으로 집수공간에 저장된 후 유입홀을 통해 배수관으로 유입됨은 물론 물이동통로를 통해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된 후 해당 집수공간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배수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집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효과적으로 주변 인접부분으로 이동시켜 준 후 배수관으로 배수시켜 줄 수 있어 배수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집수관(20)의 외표면에는 상기 집수홀(21)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지지돌기(5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50)를 형성한 이유는, 집수관(20)의 외표면에 부직포(70)로 감싸 결속하는 경우 부직포(70)의 해당 부분이 지지돌기(50)에 걸려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가 쉽게 풀어져 나풀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깔금하게 부직포를 감싸줄 수 있음은 물론 부직포의 나풀거림에 의한 시공상에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돌기(50)로 인해 부직포의 상측으로 안착 시공되는 골재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지지돌기(50)에 걸려 지지되면서 집수관(20)의 외표면에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원활하게 집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 중간부분, 즉 본 발명의 맹암거의 중간에는 맹암거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격벽(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격벽(55)에는 설정된 위치에 이동홀(56)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55)은 집수관(20)을 보강시켜 주게 됨으로써 집수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됨은 물론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에 형성된 집수공간(35)을 분할시켜 주게 된다.
상기 이동홀(56)은 집수공간(35)이 형성된 각 부위마다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격벽(55)에 의해 분할된 집수공간(35)을 서로 소통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집수공간(35)으로 유입된 물 중에서 유입홀(11)로 유입되거나 물이동통로(45)를 통해 이동되지 못한 물의 일부가 상기 이동홀(56)을 통해 격벽(55)에 의해 분할된 인접한 집수공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집수공간에 형성된 유입홀이나 물이동통로를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물이동통로(45)는 상기 교차점(4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진다. 이에 따라, 맹암거의 중간부에서 위쪽부분에는 상기 교차점(40)과 보강편(30)의 사이에 물이동통로나 유입홀의 위치보다 더 낮게 이물질 적재공간(60)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 적재공간(60)이 형성됨으로써 집수관(20)으로 유입되어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에 포함된 가는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홀(11)이나 물이동통로(45)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적재됨으로써 결국 배수관(10)으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어 배수관(10)의 내부 바닥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되며, 장기간 쌓인 이물질로 인한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맹암거의 중간부 하측부분에 형성되는 이물질 적재공간(60)은 물이동통로보다 위쪽에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 적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나, 맹암거의 중간부에서 아래쪽 부분은 보강편과 집수관의 사이 모서리공간이 물이동통로의 형성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해당 모서리공간에 이물질이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집수공간으로 집수되어 물이동통로를 통해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된 물 중에서 물 배수관(1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맹암거의 중간부분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집수공간으로 이동된 물은 집수관(20)의 집수홀(21)을 통해 반대로 빠져나가 지중으로 배수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맹암거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는데, 이렇게 성형된 맹암거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맹암거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는 돌출됨이 없이 판판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수단의 예로서, 상기 집수관(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는 맹암거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 일정부분이 서로 겹쳐져 연결되도록 각각 제1밀착부(23)와 제2밀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23)에는 탄성걸림편(25)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밀착부(24)에는 연결되는 맹암거의 집수관(20)에 형성된 탄성걸림편(25)이 끼워져 걸림결합되도록 걸림홀(26)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맹암거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 인접되는 각 맹암거의 집수관에 형성된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가 서로 밀착되면서 연결부분이 매끈하게 연결되는 것이며, 이 상태로 걸림홀(26)에 탄성걸림편(25)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맹암거를 분리되지 않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맹암거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 배수관의 양 단부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관(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도 각각 제3밀착부(12)와 제4밀착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편이 호형으로 형성됨은 물론 양측 단부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을 형성한 상태로 집수관의 내표면에 연결되게 형성됨으로써 집수관의 보강력을 대폭 높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집수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호형으로 형성된 보강편이 탄성변형되면서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집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편에 형성된 물이동통로를 통해 집수공간에 수용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다른 집수공간으로 이동된 후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집수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수관으로 유입시켜 배수시켜 줄 수 있게 되며,
또한, 집수관의 외표면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부직포가 걸려 결속됨으로써 부직포의 나풀거리지 않아 작업성이 좋고, 집수관의 상측으로 투입되어 적재되는 자갈 등의 골재가 지지돌기에 의해 집수홀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지중으로 유입된 물이 이격공간을 통해 집수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집수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되고, 이는 더욱 우수한 배수효율을 발휘하게 된다.
10: 배수관 11: 유입홀
12: 제3밀착부 13: 제4밀착부
20: 집수관 21: 집수홀
23: 제1밀착부 24: 제2밀착부
25: 탄성걸림편 26: 걸림홀
30: 보강편 35: 집수공간
40: 교차점 45: 물이동통로
50: 지지돌기 55: 격벽
56: 이동홀 60: 이물질 적재공간
70: 부직포

Claims (5)

  1. 중앙에 위치하고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면에는 물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 집수관(20)으로 이루어진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관(20)의 외표면에는 상기 집수홀(21)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지지돌기(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2. 삭제
  3. 중앙에 위치하고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면에는 물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 집수관(20)으로 이루어진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사이에 형성된 집수공간(35)을 분할시켜 줌은 물론 배수관(10)과 집수관(20)을 보강시켜 주도록 격벽(55)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55)에는 분할된 집수공간(35)을 서로 소통시켜 집수공간(35)으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홀(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4. 중앙에 위치하고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면에는 물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 집수관(20)으로 이루어진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되고,
    상기 물이동통로(45)는 상기 교차점(4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점(40)과 보강편(30)의 사이에 이물질 적재공간(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5. 중앙에 위치하고 표면에 복수개의 유입홀(11)이 형성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표면에는 물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21)이 형성된 집수관(20)으로 이루어진 맹암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수관(10)과 집수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지되, 돌출된 중앙부분이 상기 배수관(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집수관(20)의 내표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편(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집수관(20)과 보강편(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집수홀(21)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유입홀(11)을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도록 집수공간(35)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보강편(30)의 양측 단부는 인접되는 보강편의 단부와 서로 교차되어 교차점(40)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점(40)과 상기 집수관(20) 사이의 보강편(30)의 표면에는 집수공간(35)에 집수된 물의 일부가 인접되는 집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이동통로(45)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관(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는 맹암거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 일정부분이 서로 겹쳐져 연결되도록 각각 제1밀착부(23)와 제2밀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부(23)에는 탄성걸림편(25)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밀착부(24)에는 연결되는 맹암거의 집수관(20)에 형성된 탄성걸림편(25)이 끼워져 걸림결합되도록 걸림홀(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KR1020230034032A 2023-03-15 2023-03-15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KR10254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032A KR102544998B1 (ko) 2023-03-15 2023-03-15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032A KR102544998B1 (ko) 2023-03-15 2023-03-15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998B1 true KR102544998B1 (ko) 2023-06-16

Family

ID=8694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032A KR102544998B1 (ko) 2023-03-15 2023-03-15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9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003A (ko) 1989-07-06 1991-02-28 강진구 휘도 신호의 에지 성분 보상회로
KR20010000999U (ko) 1999-06-23 2001-01-15 박찬준 배수관
WO2013185291A1 (zh) * 2012-06-12 2013-12-19 Nie Pingsheng 给排水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003A (ko) 1989-07-06 1991-02-28 강진구 휘도 신호의 에지 성분 보상회로
KR20010000999U (ko) 1999-06-23 2001-01-15 박찬준 배수관
WO2013185291A1 (zh) * 2012-06-12 2013-12-19 Nie Pingsheng 给排水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747B1 (en) Drainage system for sand bunker
KR101874284B1 (ko)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JP2009209571A (ja) 導水材および導水材の設置方法
KR102544998B1 (ko) 우수한 배수성과 보강성을 갖는 맹암거
JP2004019122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US8182174B2 (en) Drainage system for directing surface water to underground strata
CN110805047A (zh) 一种土质边坡保土护坡景观结构及施工方法
KR102430713B1 (ko) 옹벽 배수 시스템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KR100641069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100658971B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KR200388790Y1 (ko) 친환경 블록
KR100795695B1 (ko) 초연약지반 천층의 표면수와 지중수의 동시 배수용 배수재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KR101816262B1 (ko) 투수 감쇄 수로관
KR20150002028U (ko) 다발관을 이용한 경사면 배수구조
JP4002820B2 (ja) 浸透トレンチ用連結ユニット及び浸透トレンチの施工方法
CN214573077U (zh) 一种海绵城市人行道的排水结构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JP4420536B2 (ja) 浸透式ボックスカルバート、浸透式管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056522B2 (ja) 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JPS5810758Y2 (ja) 堤防等の排水装置
CN218952240U (zh) 一种挡墙与路基排水沟的连通结构
KR200419136Y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