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615B1 -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615B1
KR102544615B1 KR1020220052322A KR20220052322A KR102544615B1 KR 102544615 B1 KR102544615 B1 KR 102544615B1 KR 1020220052322 A KR1020220052322 A KR 1020220052322A KR 20220052322 A KR20220052322 A KR 20220052322A KR 102544615 B1 KR102544615 B1 KR 10254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glossiness
inspection line
illuminan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783A (ko
Inventor
강석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지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지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지케미칼
Priority to KR102022005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6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783A/ko
Priority to KR1020230075464A priority patent/KR102655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2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2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 G01N2013/0208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by measuring contact ang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 단계,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이송 단계, 검사 라인에 의해 이송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단계, 광택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제1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1 선별 단계, 제1 선별 단계를 통해 선별되고 남은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단계, 조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및 제2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2 선별 단계를 포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ROSION RESISTANCE OF COIN CELL TYP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TERMINAL}
본 발명은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IT 기기의 핵심부품으로 이차전지 산업이 각광 받고 있다. 최근에는 대용량 전지가 사용되는 전기자전거,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전기자동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및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의 용도로써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차전지의 부품 중의 하나인 전극 단자(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는 집전체의 말단부(즉, 전극탭)와 접촉 또는 접속되어 집전체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극 단자는 그 일측이 이차전지의 단위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단위셀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며, 단위셀 내부의 전해액이 전극 단자와 케이스의 접합부위를 통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필름이 전극 단자 중간에 부착된다.
이러한 전극 단자는 통상 집전체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며, 외부 공기 및 이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식성 금속으로 도금된다. 구체적으로, 양극 단자 및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고, 음극 단자 및 음극 집전체는 구리 재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의 전극 단자는 산화가 잘되고, 부식에 약하므로 그 표면에 니켈 등을 도금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328호 (2015.05.18. 공고)
본 발명은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의 측정 값을 기초로 내식성 기준에 충족하는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여 선별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 단계,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이송 단계, 검사 라인에 의해 이송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단계, 광택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제1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1 선별 단계, 제1 선별 단계를 통해 선별되고 남은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단계, 조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및 제2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2 선별 단계를 포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제1 판단 단계는 전극 단자의 광택도가 90 내지 110인 경우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은 제2 선별 단계 이후에, 제2 선별 단계를 통해 선별되고 남은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접촉각 측정 단계, 접촉각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기설정된 접촉각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3 판단 단계, 및 제3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3 선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크롬을 포함한 코팅재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스테인리스강(SU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이송시키는 검사 라인,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유닛, 기설정된 광택도를 기준으로 광택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1 선별 유닛, 검사 라인에 설치되며, 제1 선별 유닛에 의해 선별되고 남아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유닛 및 기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조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조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2 선별 유닛을 포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선별 유닛은 전극 단자의 광택도가 90 내지 110인 경우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는 검사 라인에 설치되며, 제2 선별 유닛에 의해 선별되고 남아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접촉각 측정 유닛, 및 기설정된 접촉각을 기준으로 접촉각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접촉각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3 선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크롬을 포함한 코팅재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스테인리스강(SU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의 측정 값을 기초로 내식성 기준에 충족하는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여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코인셀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코인셀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이차전지용 코인셀 전극 단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110)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이송 단계, 검사 라인(110)에 의해 이송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단계, 광택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여 내식성 기준에 충족하는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제1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1 선별 단계, 제1 선별 단계를 통해 선별되고 남은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단계, 조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내식성 기준에 충족하는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및 제2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제2 선별 단계를 포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의 측정 값을 기설정된 광택도 및 조도를 기준과 비교하여 내식성 기준에 충족하는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여 선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 단계(S110)는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로, 여기서 금속 코팅은 전극 단자에 크로메이트(cromate)층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크로메이트는 크롬을 포함하는 코팅재를 이용하여 전극 단자를 코팅하는 것으로, 내식성이 강한 크롬 코팅재를 이용하여 내식성이 약한 전극 단자를 코팅하는 것을 말한다.
전극 단자를 코팅하는 재료, 환경 및 과정 등에 따라 전극 단자의 코팅 품질이 변할 수 있어, 이차전지를 제조 및 판매하기 전에 전극 단자의 코팅 품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극 단자에서 양극 단자 및 양극 집전체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극 단자 및 음극 집전체는 스테인리스강(SUS)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각 전극 단자에서 광택도, 조도 및 접촉각을 측정하여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 전극 단자의 내식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단계(S120)는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110) 상에 배치하여 검사 라인(110)을 따라 이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사 라인(110) 상에 전극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전극 단자는 검사 라인(110)을 따라 이송되어 후술할 광택도, 조도 및 접촉각이 측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내식성 기준을 충족하는 양품이 선별될 수 있다.
일례로, 검사 라인(110)은 무한궤도로 이루어져 복수의 전극 단자를 연속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택도 측정 단계(S130)는 광택도 측정 유닛(120)을 통해 검사 라인(110)에 의해 이송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광택도는 빛을 입사시켜 입사하는 빛의 양에 대하여 반사되는 빛의 양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전극 단자의 코팅면의 광택도에 따라 코팅 품질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식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단 단계(S140)는 광택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말한다.
제1 판단 단계는 제1 선별 유닛(1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광택도를 기준으로 전극 단자의 양품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은 90 내지 110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광택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광택도가 기설정된 광택도 범위 내에 형성되면 양품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광택도 범위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광택도 범위는 90 내지 110G 범위의 광택도를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 단자의 광택도는 낮을수록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택도는 내식성과 반비례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광택도 90 내지 110GU의 범위인 이차전지 전극 단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며, 도 4는 광택도 180 내지 200GU의 범위인 이차전지 전극 단자의 SEM 사진이고, 도 5는 광택도 350 내지 380GU의 범위인 이차전지 전극 단자의 SEM 사진이다. 여기서 이차전지 전극 단자는 광택도가 낮을수록 양품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의 이차전지 전극 단자 중에서, 다른 것들보다 표면이 거칠고 광택도가 낮은 도 3의 광택도 90 내지 110GU의 범위인 이차전지 전극 단자가 양품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별 단계(S150)는 제1 선별 유닛(130)에 의해 제1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말하며, 제1 선별 단계에 따라 양품의 전극 단자는 별도로 선별되어 조도 측정 단계 및 접촉각 측정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측정 단계(S160)는 조도 측정 유닛(140)을 통하여 제1 선별 단계를 통해 선별되고 남은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조도는 표면이 거칠고 매끄러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전극 단자의 코팅 품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단 단계(S170)는 조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말하며, 제2 선별 유닛(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조도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범위 내에 형성되면 양품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조도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선별 단계(S180)는 제2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말하며, 제2 선별 유닛(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선별 단계에서 양품의 전극 단자를 선별하게 되면 남은 전극 단자는 검사 라인(110)을 따라 계속하여 이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각 측정 단계(S190)는 접촉각 측정 유닛(160)을 이용하여 제2 선별 단계를 통해 선별되고 남은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접촉각은 액체 방울이 고체 위에 존재할 때, 액체-기체 경계면이 액체-고체 경계면과 만드는 각을 말하며, 전극 단자의 코팅 품질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극 단자의 내식성을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촉각은 액체가 고체표면의 표면장력보다 클 때, 액체의 방울이 고체의 표면에서 이루는 각을 말한다. 이러한 접촉각은 표면의 거칠기가 높을수록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각을 통하여 전극 단자의 표면 거칠기를 알아내어,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의 내식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판단 단계(S200)는 접촉각 측정 단계를 통해 측정된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기설정된 접촉각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말하며, 제3 선별 유닛(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판단 단계는 전극 단자의 접촉각이 제1 접촉각 내지 제2 접촉각 인 경우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촉각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전극 단자의 접촉각이 기설정된 접촉각 범위 내에 형성되면 양품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접촉각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선별 단계(S210)는 제3 판단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말하며, 제3 선별 유닛(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광택도 측정 유닛(120), 조도 측정 유닛(140) 및 접촉각 측정 유닛(160)은 검사 라인(110)에 설치되어 전극 단자가 검사 라인(1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극 단자의 광택도, 조도 및 접촉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광택도, 조도 및 접촉각을 각각 측정하는 과정 사이에 전극 단자의 양품을 선별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1차적으로 광택도의 기준을 통과하면 따로 선별되고, 광택도 기준에 충족하지 못한 남은 전극 단자는 2차적으로 조도의 기준을 통과하면 따로 선별되고, 또 조도 기준에 충족하지 못한 남은 전극 단자는 3차적으로 접촉각을 기준으로 선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는 이러한 3단계의 측정 검사를 통하여 전극 단자의 광택도, 조도, 접촉각을 팩터로하여 내식성을 평가하여 보다 양품의 전극 단자를 선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
110: 검사 라인
120: 광택도 측정 유닛
130: 제1 선별 유닛
140: 조도 측정 유닛
150: 제2 선별 유닛
160: 접촉각 측정 유닛
170: 제3 선별 유닛

Claims (10)

  1.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단계;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거나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상기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가 90 내지 110인 경우 양품으로 판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2. 삭제
  3.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단계;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거나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상기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기설정된 접촉각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4.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단계;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거나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상기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는 크롬을 포함한 코팅재에 의해 코팅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5.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를 검사 라인 상에 배치하여 이송하는 단계;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 및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기설정된 광택도 기준과 비교하거나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기설정된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양품의 상기 전극 단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단된 상기 전극 단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는 스테인리스강(SU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인셀 타입 이차 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6.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이송시키는 검사 라인;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유닛;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유닛;
    기설정된 광택도를 기준으로 상기 광택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1 선별 유닛; 및
    기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상기 조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2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별 유닛은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가 90 내지 110인 경우 양품으로 판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
  7. 삭제
  8.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이송시키는 검사 라인;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유닛;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유닛;
    기설정된 광택도를 기준으로 상기 광택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1 선별 유닛; 및
    기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상기 조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2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접촉각 측정 유닛; 및
    기설정된 접촉각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각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접촉각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3 선별 유닛을 더 포함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
  9.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이송시키는 검사 라인;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유닛;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유닛;
    기설정된 광택도를 기준으로 상기 광택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1 선별 유닛; 및
    기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상기 조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2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는 크롬을 포함한 코팅재에 의해 코팅되는,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
  10. 금속 코팅된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를 이송시키는 검사 라인;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를 측정하는 광택도 측정 유닛;
    상기 검사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 유닛;
    기설정된 광택도를 기준으로 상기 광택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광택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1 선별 유닛; 및
    기설정된 조도를 기준으로 상기 조도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극 단자의 조도에 따라 양품을 판단하여 선별하는 제2 선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는 스테인리스강(SUS)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인셀 타입 이차 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장치.
KR1020220052322A 2020-06-24 2022-04-27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54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22A KR102544615B1 (ko) 2020-06-24 2022-04-27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0230075464A KR102655799B1 (ko) 2020-06-24 2023-06-13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355A KR102393385B1 (ko) 2020-06-24 2020-06-24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0220052322A KR102544615B1 (ko) 2020-06-24 2022-04-27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355A Division KR102393385B1 (ko) 2020-06-24 2020-06-24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464A Division KR102655799B1 (ko) 2020-06-24 2023-06-13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783A KR20220054783A (ko) 2022-05-03
KR102544615B1 true KR102544615B1 (ko) 2023-06-22

Family

ID=7917783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355A KR102393385B1 (ko) 2020-06-24 2020-06-24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0220052322A KR102544615B1 (ko) 2020-06-24 2022-04-27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0230075464A KR102655799B1 (ko) 2020-06-24 2023-06-13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KR1020240045398A KR20240049527A (ko) 2020-06-24 2024-04-03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355A KR102393385B1 (ko) 2020-06-24 2020-06-24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464A KR102655799B1 (ko) 2020-06-24 2023-06-13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KR1020240045398A KR20240049527A (ko) 2020-06-24 2024-04-03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933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974A (ja) * 2006-02-03 2007-08-16 Toppan Printing Co Ltd メッキの検査方法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検査方法
JP2010066132A (ja) * 2008-09-11 2010-03-25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および連続焼鈍炉
KR101094073B1 (ko) * 2011-06-29 2011-12-15 주식회사 톱텍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 가공장치용 가공유닛
KR101787636B1 (ko) 2014-09-26 201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328B1 (ko) 2012-05-11 2015-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다성분 전극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974A (ja) * 2006-02-03 2007-08-16 Toppan Printing Co Ltd メッキの検査方法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検査方法
JP2010066132A (ja) * 2008-09-11 2010-03-25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および連続焼鈍炉
KR101094073B1 (ko) * 2011-06-29 2011-12-15 주식회사 톱텍 점화플러그의 중심전극 가공장치용 가공유닛
KR101787636B1 (ko) 2014-09-26 201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684A (ko) 2021-12-31
KR102393385B1 (ko) 2022-05-02
KR102655799B1 (ko) 2024-04-19
KR20220054783A (ko) 2022-05-03
KR20230096927A (ko) 2023-06-30
KR20240049527A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511889B (zh) 一种太阳能电池板支架表面焊接缺陷检测方法
US20100304177A1 (en) Metal material for electrical electronic component
KR102544615B1 (ko)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303643B1 (ko) 배터리의 리드 필름 틈새 검사장치 및 방법
US20170229211A1 (en) Covered Wire, Covered Wire With Terminal,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ed Wire
CN114729862A (zh) 用于拉伸试验的薄膜样品及用于薄膜样品的物理性质评估方法
EP3922394B1 (en) Method for evaluating resistance welding quality of battery by using eddy current signal characteristics
CN112239877A (zh) 镀镍钢片的制造方法及由其制备的镀镍钢片
KR20210158685A (ko) 코인셀 타입 이차전지용 전극 단자 내식성 검사 방법 및 장치
CN111295251B (zh) 镀敷线材的制造方法和镀敷线材的制造装置
JP2022551895A (ja)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並びにそれを含む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210071828A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를 포함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US102815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heat s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sink
CN101556898B (zh) 一种芯片制造工艺中的挡片回收的检测方法
Park et al. Fretting wear behavior of tin plated contacts: Influence on contact resistance
US202303874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Case of Secondary Battery, and Pouch Film of Secondary Battery and Pouch Case of Secondary Battery
US20230182370A1 (en) Punch Pin Hol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Punch and Die
JP4456413B2 (ja) 缶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塗装板及び缶蓋用塗料
TWI412612B (zh) 壓延板材
CN111289574A (zh) 一种基于导电参数无损检测导电材料质量的方法及装置
EP4306942A1 (en) Nondestructive wire bonding inspection method
EP4187673A1 (en) Method for inspect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US20210355595A1 (en) Copper or copper alloy sheet strip with surface coating layer
Marion-Péra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magnetic sheet insulation tests
CN114616462A (zh) 焊接缺陷检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