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588B1 -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588B1
KR102544588B1 KR1020197028976A KR20197028976A KR102544588B1 KR 102544588 B1 KR102544588 B1 KR 102544588B1 KR 1020197028976 A KR1020197028976 A KR 1020197028976A KR 20197028976 A KR20197028976 A KR 20197028976A KR 102544588 B1 KR102544588 B1 KR 10254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p part
guide
featur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310A (ko
Inventor
데이비드 오브리 플럼프터
Original Assignee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3701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4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9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guided by means not coaxially aligned with syringe barrel, e.g. channel-like member formed on exterior surface of syringe barrel for guiding a pushing rod connected to and displacing needle safety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54Shielding of proximal needles, e.g. for pe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약물 전달 장치(1)용 다수 부분 캡 조립체(120, 200)가 제공되며, 캡 조립체는 제1 캡 부품(131) 및 제2 캡 부품(130)을 포함하고, 제1 캡 부품은 제2 캡 부품에 조립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401)을 구비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403)를 구비하고,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특징부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캡 조립 키트 및 캡 조립 방법이 약물 전달 장치와 함께 제공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캡 또는 캡 조립체, 특히, 다수 부분 캡 또는 다수 부분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또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분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WO2015/028439A1로부터 알려져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개선된 캡 조립체 또는 캡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캡의 생산을 향상시키는 해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 정의된 요지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점 및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요지이다. 청구된 요지 이외에, 본 개시는 또한 다른 유리한 구성 및 요소를 포함할 수 있어, 본 개시는 청구된 요지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양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캡 또는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적절하게는, 약물 전달 장치용 캡 또는 캡 조립체 조립 키트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캡 또는 캡 조립체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캡 또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양태 중 하나와 연관되어 개시된 특징은 다른 양태에 대해 개시된 것으로도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실시예와 연관되어 개시된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키트 및 캡 조립체 또는 캡 사이의 차이는 키트에서는, 캡의 부품 또는 부분이 아직 조립되지 않은 반면, 캡 조립체 또는 캡은 부품 또는 부분이 이미 조립된 상황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캡 또는 캡 조립체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을 포함한다. 제1 캡 부품은 캡의 내측면 또는 내면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제1 캡 부품은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 부품은, 캡 조립체 또는 제1 캡 부품의 바람직하게는 근위의 개구를 통하여 약물 전달 장치의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캡 조립체의 길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카트리지의 길이에 비하여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2 캡 부품은 캡의 외측면 또는 외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제2 캡 부품은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 부품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 부품은 금속 또는 금속계 합금으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캡의 외관은 제2 캡 부품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값의 내구적이며 안정적인 캡을 제공하는 반면, 내부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캡 부품을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기능에 맞게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는 제1 캡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제1 캡 부품에서의 스냅 특징부 또는 다른 특징부와 같이, 다수의 기능적 특징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캡 부품은 제2 캡 부품에 수용될 수 있고/있거나 제2 캡 부품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캡 조립체를 조립할 때, 제1 캡 부품은, 적절하게는, 제2 캡 부품의 근위 개구를 통하여 제2 캡 부품에 도입될 수 있다. 조립되면,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은 상대 회전 및 축 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캡 부품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는 단일 부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 및/또는 제2 캡 부품은 하나 이상의 개구, 예를 들면, 2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캡 부품은 근위단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 즉, 근위 개구를 갖는다. 2개의 개구가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캡 부품의 근위단에 하나의 개구가 있고, 원위단에 하나의 개구, 즉, 원위 개구가 있다.
캡 또는 캡 조립체에서, 제1 및 제2 캡 부품은 서로 조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트는 또한 제1 및 제2 캡 부품을 포함하지만, 아직 서로 조립되지 않으며, 방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캡을 조립하기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거나 포함한다.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를 구비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특징부는 가이드 트랙과 협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특징부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안내 계면,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특징부 및 가이드 트랙이 협력하면, 즉, 안내 계면이 설정되면, 적절하게는 축 방향 및/또는 각도 또는 회전 방향으로의 서로에 대한 캡 부품의 이동이 안내 계면에 의해 결정된다.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 바람직하게는, 단지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이 허용되도록 축 방향 안내 계면이 적절하게 구성된다. 본원에 사용된 "축 방향", "반경 방향", "회전" 및 "각도"는 캡/캡 조립체 또는 제1 또는 제2 캡 부품과 같은 그의 하나 이상의 부품의 메인 종축에 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내 계면은 후술하는 값 중 하나에 비하여 같거나 작은 각도로 상대 회전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10°, 5°, 4°, 3°, 2° 또는 1°, 0.75°, 0.5°, 0.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완전히 조립되면, 상대 회전 이동이 전적으로 방지된다.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에 의해, 적절하게는 이미 조립 공정 중, 상당한 장점을 가질 수 있는 2개의 캡 부품의 정의된 상대 회전 배향이 달성되도록 하는 것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캡 부품에 구비되는 특징부는 다른 캡 부품 상의 특징부에 대하여 정의된 위치를 갖는데, 이는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것이며 또한 잘못된 각도 배향으로 서로 조립된 캡 부품이 추후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율을 증가시킬 것이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 및/또는 제2 캡 부품은 통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캡 부품은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캡 부품은 메인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특징부 또는 가이드 트랙이 각각의 캡 부품의 메인 몸체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다수 부분 캡 조립체를 조립할 때, 안내 계면이 설정되도록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캡 부품이 제2 캡 부품에 도입될 수 있다. 안내 계면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이동, 특히, 상대 축 방향 이동의 제1 부가 수행된 이후,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안내 계면이 설정되기 전에, 제1 캡 부품이 이미 제2 캡 부품에 수용되어도 안내 계면이 설정되지 않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안내 계면이 설정된 이후,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이 서로에 대하여, 특히, 축 방향으로, 단부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안내 계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안내 계면의 개시부로부터 단부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적절하게 안내된다. 단부 위치에서,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은 적절하게 상대 축 방향 및/또는 회전 이동에 대항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 제1 캡 부품 및/또는 제2 캡 부품은 종축, 특히, 메인 종축을 정의한다. 2개의 캡 부품의 축은 일치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트랙은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직선형 트랙일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종축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으로 투영될 때 종축과 일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종축을 포함하지만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지 않는 평면 상으로의 투영으로 볼 때, 가이드 트랙 및 종축은 일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이 제2 캡 부품에 조립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2 캡 부품에 대하여 단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의 상대 각도 배향이 한정되도록,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이 구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안내 계면을 무시하는 경우에도, 유지된다. 따라서, 안내 계면 이외에, 캡 부품은 상대 각도 배향의 제한된 개수 만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각각의 부품의 조절된 영역에서, 제2 캡 부품의 내측 단면 및 제1 캡 부품의 외측 단면이 서로 조절될 수 있다. 조절은 각각의 캡 부품의 조절된 영역에서 적절하게 내면 및 제1 캡 부품의 외면을 형상화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캡 부품이 오정렬되면, 단면 형상이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지 않아 상대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캡 부품이 정확하게 정렬되면, 단면의 조절된 부분이 협력하여, 예를 들면, 회전 구속된 계면 또는 2개의 부품 사이의 제한된 상대 회전 가능한 계면을 형성하며, 상대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안내 계면이 아직 설정되지 않더라도,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이 예비 정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캡 조립체의 조립 중 보다 용이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게 안내 계면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특징부 및 가이드 트랙이 예비 정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특징부 및 가이드 트랙의 협력에 의해 안내 계면이 설정되기 이전에 2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는 중 스플라인 계면 또는 예비 정렬 계면이 캡 부품 사이에 형성되도록, 캡 부품이 적절하게 설계된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서로 조립될 수 있는 상대 각도 배향은 배향 각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배향 각도의 단일의 연속적인 범위에 한정된다. 결과적으로, 축 방향 안내 계면이 설정되지 않거나 아직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배향 각도의 범위에서 캡 부품이 정렬될 수 있다. 안내 계면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에서 허용되는 상대 회전 이동을 각도의 제한된 범위로 제한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각도의 제한된 범위는 배향 각도의 범위에 비하여 적절하게는 보다 작고, 예를 들면, 보다 작은 연장부를 갖는다. 각도의 제한된 범위는 배향 각도의 범위의 부분 집합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조립되어야 하는 의도된 위치가 0°로 각각 -α1 및 +α2 까지의 양쪽 회전 방향으로 가능한 편차를 갖도록 배향 각도의 범위가 적절하게 된다. α1 및 α2는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예비 정렬에 의해, α1 및/또는 α2는 후술하는 값 중 하나에 비하여 동일하거나 작은 값으로 이미 제한될 수 있다: 30°, 25°, 20°, 15°, 10°, 5°. 안내 계면은 상대 회전 가능성을 훨씬 더 제한할 수 있거나 상대 회전 가능성을 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특징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조립 공정이 일단 완료되면 조립 중 및/또는 단부 위치에서 제1 및 제2 캡 부품에 의해 바로 정의된 상대 회전 위치가 취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안내 계면은 단부 위치에서 설정된다. 가이드 트랙은 단부 위치에 도달된 때를 나타내도록 가이드 특징부와 협력하는 축 방향 단부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트랙은 슬롯 또는 홈이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갖는다. 각각의 곡면은 가이드 트랙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안내 계면이 실현될 수 있다. 각각의 표면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캡 조립체는 제3 캡 부품을 포함한다. 제3 캡 부품은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 예를 들면, 스냅 특징부를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 제3 캡 부품은 캡 조립체용 클립 요소일 수 있다. 클립 요소는 캡이 포켓 등에 클립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은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 예를 들면, 스냅 특징부를 구비하거나 포함한다. 제3 캡 부품은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에 의해 제1 캡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는 제3 캡 부품을 제1 캡 부품에 고정하기 위해 제3 캡 부품에 구비되는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와 협력하도록 적절하게 설계되고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제2 캡 부품은 고정 가이드 트랙, 특히, 축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거나 포함한다. 고정 가이드 트랙은 제1 캡 부품 고정 수단으로의 또는 제1 캡 부품 고정 수단을 향하는 제3 캡 부품 및/또는 제3 캡 부품 고정 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캡 부품은 제3 캡 부품의 고정 특징부를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로 안내하도록 제3 캡 부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안내 계면이 제2 캡 부품 및 제1 캡 부품 사이의 정의된 상대 각도 위치를 확보함에 따라,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가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로 신뢰할 수 있게 안내되고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와 협력할 수 있는 것이 또한 확보된다.
실시예에서, 축 방향 고정 가이드 트랙 및 축 방향 가이드 트랙은, 축 방향 안내 계면이 설정될 때, 공통 평면에서 연장되고, 배치되고/되거나 공통 평면에 한정된다. 이러한 평면은 캡 조립체 또는 그 부품의 메인 종축도 포함하는 평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을 서로에 대하여, 특히, 상대 축 방향 이동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데에 제3 캡 부품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 및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가 협력하면,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축 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단부 위치에서 계속 작동 가능한 제3 캡 부품 및/또는 안내 계면에 의해 상대 회전 이동이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 및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는, 특히 단지 서로에 대해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의 고정 범위에서 배치될 때, 협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상대 축 방향 위치, 즉, 대응하는 축 방향 위치에 있더라도,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이 고정 범위의 외측에 배치되면, 고정 특징부는 협력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0°는 고정 특징부가 협력을 허용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이상적인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이다. 고정 특징부의 적당한 협력을 계속 허용하기 위해 만족되어야 하는 공차는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1° 이하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 범위는 매우 작다. 안내 계면이 설정되면, 고정 범위는 각도의 제한된 범위에서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고정 범위는 배향 각도의 범위에서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안내 계면을 무시할 때 가능한 상대 각도 배향의 범위는 제1 및 제3 캡 부품의 고정 특징부가 협력할 수 없는 배향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안내 계면은 가능한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의 범위를 고정 특징부가 협력할 수 있는 것이 확보되는 각도의 제한된 범위로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각도의 고정 범위는 배향 각도의 범위가 아닌 각도의 제한된 범위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캡 부품은 캡 조립체의 외면을 형성한다. 제2 캡 부품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캡 부품은 딥 드로잉 부품이다. 딥 드로잉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2 캡 부품을 제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딥 드로잉은 매우 비용 효과적이고, 고 체적에 적합하고/하거나 높은 수율을 보장하는 금속 부품용 생산 방법이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트랙은 제1 캡 부품에 구비되고, 가이드 특징부는 제2 캡 부품에 구비되거나, 그 반대이다. 적절하게는, 가이드 특징부는 제2 캡 부품의 내면에 배치되며, 가이드 트랙은 제1 캡 부품의 외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특징부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돌출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는 제2 캡 부품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는 딥 드로잉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돌출부는 각각의 캡 부품의 메인 몸체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돌출부는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캡 부품, 특히, 그 외면은 함몰부를 포함한다. 함몰부는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는 다단 딥 드로잉 공정의 일부로서 발생하는 가압 작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함몰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돌출부 및 함몰부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는 딥 드로잉 공정으로 돌출부를 제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특징부, 특히, 돌출부는 함몰부에 의해 정의된다. 가이드 특징부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동일한 캡 부품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함몰부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캡 부품의 나머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3 캡 부품의 일부분, 특히, 제3 캡 부품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함몰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함몰부는 캡 조립체의 클립 요소의 베어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캡 부품 또는 클립 요소는 다수 부분 부품이다. 제3 캡 부품은, 제2 또는 외측 부분,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외측 쉘에 연결되는 제1 또는 내측 부분,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트랙의 시작부에서, 가이드 트랙은 리드 인 영역을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의 천이 영역을 통하여, 리드 인 영역이 안내 영역에 이를 수 있다. 리드 인 영역에서, 가이드 특징부가 가이드 트랙과 협력할 수 있는 상대 배향 각도는 안내 영역에 비하여 넓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드 인 영역은 가이드 특징부를 수용하고 가이드 특징부를 가이드 특징부가 리드 인 영역에 비하여 보다 긴밀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트랙의 안내 영역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안내 계면이 설정되면 가이드 특징부 및 안내 영역이 협력하는 경우에 적절한 긴밀한 안내를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서로에 대하여 각도 방향으로 잘못 배향되거나 오정렬되어 가이드 특징부가, 리드 인 영역 없이, 가이드 트랙과 협력할 수 없더라도, 리드 인 영역은 조립 공정 중 캡 부품의 상대 축 방향 이동 중 가이드 특징부를 획득하고, 제1 및 제2 캡 부품을 적절하게 각도 방향으로 배향시켜, 가이드 특징부 및 가이드 트랙의 안내 영역이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약물인, 약물,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투여량의 약물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장치는 카트리지가 교체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약물 전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재사용 가능하다. 장치는 펜 타입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장치용 다수 부분 캡 조립체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을 포함하고, 제1 캡 부품은 제2 캡 부품에 조립되고, 특히, 제2 캡 부품에 수용되고/되거나 제2 캡 부품에 대하여 고정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를 구비하고,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특징부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장치용 다수 부분 캡 조립 키트는, 캡 조립체로 조립될 수 있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을 포함하고, 제1 캡 부품은 제2 캡 부품에 수용될 수 있고 제2 캡 부품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를 구비하고,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특징부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장치용 다수 부분 캡 조립 방법은:
- 제1 캡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 제2 캡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를 구비하고, 가이드 트랙 및 가이드 특징부는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단계,
- 축 방향 안내 계면이 설정되도록 제2 캡 부품 내에 제1 캡 부품을 도입하고,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을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단부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이동은 축 방향 안내 계면에 의해 안내되는, 단계, 및
- 단부 위치에서 제1 캡 부품 및 제2 캡 부품을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술하는 추가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특정의 장점을 갖는다.
상이한 양태 또는 실시예와 연관되어 본원에서 상술하고 후술하는 특징은 다른 양태 및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특징 및 유리한 실시예는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라 캡이 부착된 약물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캡이 제거되고 79 단위의 투여량이 다이얼 조작된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부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외측 몸체를 도시한다.
도 5a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내측 몸체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내측 몸체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카트리지 홀더를 도시한다.
도 7a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 부재 부품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제1 디스플레이 부재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부재 부품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1 드라이버 부품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2 드라이버 부품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3 드라이버 부품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최후 투여량 너트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클러치 부품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1 클리커 부품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제2 클리커 부품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버튼을 도시한다.
도 17은 버튼이 해제된 영 단위(zero unit) 위치에 있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부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일부 단위가 다이얼 조작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부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버튼이 눌러진 영 단위(zero unit) 위치에 있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부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캡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외측 캡 요소의 근위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외측 캡 요소의 3차원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부착 중의 캡의 근위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부착 후의 캡의 근위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부착 후의 캡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근위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클립 요소의 제1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외측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내측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캡 조립체의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캡 조립체의 일부분을 종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31은 클립 요소의 제1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캡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도 32의 캡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클립 요소의 원위부를 도시한다.
도 35는 클립 요소의 부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클립 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클립 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도 37의 클립 요소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9는 도 38의 클립 요소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40은 분해된 상태에 있는 캡 조립체의 실시예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41은 조립된 상태에 있는 도 40에 도시된 부분을 갖는 캡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42는 도 42a의 부분 단면도 및 도 42b의 사시도를 기초로 도 41의 캡 조립체의 조립 중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43은 캡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 요소, 동종의 요소 및 동일하게 작용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도면은 축척에 충실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중요한 원리의 보다 나은 도시를 위해 특정 특징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주사기 펜 형태의 약물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본원에서 "주사기 펜"이라는 단어 또는 유사한 단어를 사용하는 표현은 약물 전달 장치, 바람직하게는, 펜-타입 약물 전달 장치와 연관된 것으로도 이해되어야 한다. 장치(1)는 원위단(도 1의 하단) 및 근위단(도 1의 상단)을 갖는다. 약물 전달 장치(1)의 부품이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외측 하우징부(10), 내측 몸체(20), 피스톤 로드(30), 드라이버(40), 너트(50), 디스플레이 부재(60), 버튼(70), 카트리지(81)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홀더(80), 클러치(90), 클리커(100), 스프링(110), 캡(120) 및 윈도우 인서트(230)를 포함한다. 니들 허브 및 니들 커버를 포함하는 니들 장치(미도시)가 교환될 수 있는 추가적인 부품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30)는 베어링(31)을 포함한다. 드라이버(40)는 원위 드라이버부(41), 근위 드라이버부(42) 및 커플러(4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부재(60)는 넘버 슬리브(61) 및 다이얼 슬리브(62)를 포함한다. 클리커(100)는 원위 클리커부(101), 근위 클리커부(102) 및 스프링(103)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외측 하우징부(10)는 내측 몸체(20)를 부착하기 위한 원위부(11) 및 최대 단위(이 예에서, 80U) 정지부가 계합될 때 디스플레이 부재(60)의 감합면과 접촉하는 내면(미도시)에 회전이 어려운 정지부(12)를 구비하는 근위부를 갖는 대체로 튜브형 요소이다. 단부면은 또한 버튼(70)의 투여량 분주 정지부의 단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단부면의 보어는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에 디스플레이 부재(60)를 중앙에 위치시킨다. 윈도우 인서트(230)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13)가 구비된다. 외측 몸체(10)는 사용자에게 파지를 위한 표면을 제공하며 분주 중에 반작용한다.
내측 몸체(20)는 상이한 직경 영역을 갖는 대체로 튜브형 요소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알 수 있듯이, 내측 몸체(20)는 외측 몸체(10)에 수용되며 그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외측 몸체(10)에 대한 내측 몸체(20)의 임의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내측 몸체는 내부 스플라인을 통하여 클리커 및 최후 투여량 너트(50)를 안내하면서, 구동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스톤 로드(30)(리드 스크류)가 구동되는 암 나사산을 제공하며, 수 나사산 형태에 넘버 슬리브(61) 및 다이얼 슬리브(62)를 지지하고 안내하고, 카트리지 홀더(80)를 고정하며, 외측 몸체(10) 및 윈도우 인서트(230)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내측 몸체(20)의 최외각 직경은 또한 가시적인 디자인의 일부를 형성하며, 외측 몸체(10)로부터 캡(120)을 분리하는 링으로서 카트리지 홀더(80)에 캡(120)이 고정될 때 가시적인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가시적 링은 또한 카트리지 홀더가 정확하게 감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카트리지 홀더(80)에서 캡 스냅 특징부와 정렬되는 함몰부를 갖는다.
수 나사산(21)이 내측 몸체(20)의 외면에 구비된다. 또한, 스플라인(22)(도 5b)이 내측 몸체(20)의 내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 스플라인(22)은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클리커(100)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며 또한 최후 투여량 너트(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플라인 중 일부는 내부 부품의 정확한 회전 조립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넓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보다 넓은 스플라인은 조립 중 원위 구동 슬리브(41) 상의 정지면에 대하여 최후 투여량 너트(50)가 상방 회전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단차 진입 및 각이 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교호하는 긴 스플라인(22)과 함께, 분주단에서 버튼(70)(투여량 다이얼 그립)의 회전을 잠그고 버튼(70)이 눌러질 때 0U 다이얼 정지부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짧은 스플라인이 도 5b에 도시된 개방단에 있다. 이는 클러치 부품(90) 상의 수형 스플라인 특징부와의 계합에 의해 달성된다.
베이어닛 특징부(23)는 카트리지 교체 중 카트리지 홀더(80)를 기구 내로 안내하여 카트리지 편향 스프링(110)을 압축한 다음, 카트리지 홀더(80)를 짧은 거리로 후퇴시켜 기구 내의 축 방향 유격을 줄인다. 내측 몸체(20) 내측의 스냅 특징부는 카트리지 홀더(80)가 정확하게 감합되면 카트리지 홀더(80)의 회전을 잠근다. 이러한 스냅의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카트리지 홀더(80)를 부분적으로 감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스냅이 적어도 계합하기 시작하지 않은 경우 카트리지 편향 스프링(110)이 카트리지 홀더(80)를 축출한다. 윈도우 보유 노우즈(24)는 외측 몸체(10) 및 윈도우 인서트(230) 조립체가 내측 몸체(20)에 축 방향으로 삽입될 때 윈도우 인서트(230)를 유지한다.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되는 정지면(25)은 넘버 슬리브(61)용 회전단 위치를 정의한다. 이러한 단부 위치는 최소 투여량(0U)을 위한 투여량 디텐트 위치의 단이다.
피스톤 로드(30)는 서로 중첩되는 반대측 핸드를 갖는 2개의 수 나사산(32, 33)을 갖는 세장형 요소이다. 이들 나사산(32) 중 하나는 내측 몸체(20)의 암 나사산과 계합한다. 디스크 형상 베어링(31)이 피스톤 로드(30)의 원위단에 구비된다. 베어링(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부품일 수 있거나 기 설정 한계점(breaking point)을 통해 일체형 부품으로서 피스톤 로드(30)에 부착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30)는 드라이버(40)로부터의 분주 하중을 베어링(31)에 전달하여, 피스톤 로드가 내측 몸체(20) 내의 나사산을 통과함에 따라 드라이버(40) 나사산 계면에 의해 피스톤 로드(30)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추가적인 축 방향 하중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1:1에 비하여 큰 기계적 이점을 생성한다. 피스톤 로드(30)는 베어링(31)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재설정되며 이는 결국 피스톤 로드를 내측 몸체(20) 내로 다시 회전시킨다. 이는 원위 구동 슬리브(41)를 계합 해제한 다음 회전시켜, 최후 투여량 너트(50)를 원위 구동 슬리브(41) 상의 시작 위치로 다시 재설정한다.
드라이버(40)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1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는 3개의 부품을 갖는 대체로 튜브형 요소이다.
원위 구동 슬리브(41)는 피스톤 로드 나사산(33)과 계합하여 투여량 전달 중 내측 몸체(20)를 통해 피스톤 로드(30)를 구동한다. 원위 구동 슬리브(41)는 또한, 재설정 클러치 특징부를 통해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결국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러(43)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슬리브의 2개의 절반부는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회전되게 축 방향으로 연결되지만,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 재설정 중 회전되게 결합 해제된다.
수 나사산(44)은 최후 투여량 너트(50)와 계합한다. 나사산 형태는 3개의 스테이지로서, 다이얼 조작된 단위의 대부분을 계수하도록 너트(50)가 주행하는 얕은 제1 스테이지(도 9의 좌측), 최후 투여량 너트가 정지면과의 계합 전에 축방향으로 급속하게 이동하는 급속 스테이지, 정지면이 계합되었을 때 너트(50) 상의 축 방향 구속이 나사산 형태의 적당한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확보하는 최종 얕은 구간을 갖는다. 4개의 등간격 정지면(45)은 최후 투여량 너트(50) 상의 감합 정지면(51)과 계합하여 다이얼 조작될 수 있는 단위의 수를 제한한다. 스플라인(46)은 원위 구동 슬리브(41)의 근위단에 구비되어, 원위 구동 슬리브(41) 상에 스냅 결합될 수 있는 커플러(43)로부터 또는 커플러(43)로 토크를 전달한다.
도 10에 도시된 근위 구동 슬리브(42)는 클리커 부품(100) 및 클러치(90)를 지지하며, 투여량 버튼(90)으로부터의 회전 이동을 커플러(42) 및 원위 구동 슬리브(41)로 전달한다.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원위단에 위치되는 치형 특징부(47)는 커플러(43) 상의 재설정 클러치 특징부와 계합하여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구동 슬리브의 양 절반부를 연결한다. 재설정 중, 이러한 치형(47)이 계합 해제된다.
원위 및/또는 근위 클리커부(101, 102)와 계합하는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외면에 수 개의 스플라인이 구비되어,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중간 영역에 위치되는 추가적인 스플라인이 클러치(90) 부품과 계합한다. 상기 스플라인들이 회전 비대칭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어, 다양한 클리커 부품들이 우발적으로도 위아래가 거꾸로 조립될 수 없다.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근위부는 4개의 아암 또는 핑거(48)를 갖는다. 후크 형상 베어링면(49)이 유연성 핑거(48)의 단부의 플랜지 세그먼트의 아래측(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음)에 존재한다. 클러치(90)에 스냅 결합하기 위한 버튼(70)용 공간을 만들고 또한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다이얼 슬리브(62)로의 조립 중 이들 핑거를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할 수 있는 간극 또는 슬롯을 두고 유연성 핑거(48)가 분리된다. 조립 후, 후크(49)는 스프링(103)으로부터의 반응력 하에서 다이얼 슬리브(62)에 대하여 근위 구동 슬리브(42)를 유지한다. 분주 중, 버튼(70)은 클러치(90) 및 클리커 부품을 통하여 스프링(103)을 누르고, 이 스프링(103)은 이후 축 방향 하중을 이들 베어링면을 통하여 다이얼 슬리브(62)에 가하는 근위 구동 슬리브(42)로 커플러(43)를 통하여 반응한다. 이러한 축 방향 하중은 다이얼 슬리브(62)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넘버 슬리브(61) 상의 0U 정지면이 내측 몸체(20)에 접촉할 때까지, 장치의 몸체 내로 다시, 내측 몸체(20)의 나선형 나사산을 따라 넘버 슬리브(61)를 구동한다.
도 11에 도시된 커플러(43)는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구동 슬리브의 2개의 절반부를 함께 회전되게 결합하는 한편, 절반부가 재설정 중 결합 해제하도록 한다. 커플러(43)는 또한 근위 구동 슬리브(42)로부터의 최후 투여량 보호 정지 하중을 원위 구동 슬리브(41)로 전달하여야 한다. 2개의 세트의 치형이 치형(46) 및 치형(47)을, 각각 계합하기 위해 커플러(43)에 구비된다. 커플러(43)는 원위 구동 슬리브(41)에 스냅 결합되어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대해 제한된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내측 몸체(20) 및 드라이버(40)의 원위 구동 슬리브(41) 사이에 너트(50)가 구비된다. 정지면(51)이 최후 투여량 너트(50)의 근위면에 위치되어, 정지면(51)이 원위 구동 슬리브(41)의 정지부(45)에 접촉한 경우, 다이얼 조작될 수 있는 단위의 개수를 제한한다. 최후 투여량 너트(50)의 기능은 사용자가 유한의 양을 넘어 다이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은 카트리지(81)의 분주 가능 체적을 기반으로 하며, 그 제한에 도달될 때, 사용자는 카트리지(81)를 교체하고 장치를 재설정하여야 한다.
너트(50)의 외부 리브(52)는 내측 몸체(20)의 스플라인(22)과 계합한다. 너트의 암 나사산(53)은 원위 구동 슬리브(41)의 수 나사산(44)과 계합한다. 대안으로서, 스플라인 및 리브는 너트(50) 및 드라이버(40) 사이의 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나사산은 너트(50) 및 내측 몸체(20) 사이의 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너트(50)는 예를 들면, 절반 너트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60)는 조립 중 함께 스냅 결합되는 넘버 슬리브(61) 및 다이얼 슬리브(62)로 구성되어, 이들 2개의 부품의 축 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여, 이에 따라, 단일 부분으로서 작용하게 하는 대체로 튜브형 요소이다.
도 8에 도시된 넘버 슬리브(61)의 주요 기능은 다이얼 조작된 투여량을 표시하도록 투여량 수가 인쇄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고, 내측 몸체(20)에 나사 연결될 때 피스톤 로드(30) 상의 나선형 나사산을 따르도록 다이얼 조작 중 내부 기구의 나선형 경로를 안내하고, 다이얼 슬리브(62)에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넘버 슬리브(61)는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외측 몸체(10) 내에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다이얼 조작된 투여량만이 윈도우 개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시화된다. 다이얼 조작된 조건을 제한하는 80U (최대 투여량) 정지면이 다이얼 슬리브(62)에 위치될 때를 제외하고, 넘버 슬리브는 다이얼 조작될 때 그 주행을 제한하도록 0U(최소 투여량) 정지면(63)을 갖는다. 각 분주 스트로크의 단부에서, 이 정지면(63)은 내측 몸체(20) 상의 감합면(25)과 계합하여 넘버 슬리브(61)의 회전 위치를 제한한다.
나선형 구동면(64)은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넘버 슬리브(61)를 안내하여 내측 몸체 상의 나선형 경로(21)를 따르는 나사산을 형성한다.
일단 조립되면 상대 이동이 허용되지 않도록 다이얼 슬리브(62)가 넘버 슬리브(61)에 조립된다. 이 부분은 성형 및 조립이 모두 가능하게 하도록 별개의 부품으로서 만들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검정색 투여량 수에 대비되도록 넘버 슬리브(61)는 바람직하게는 흰색인 반면, 다이얼 슬리브(62) 색상은 심미성에 맞게 또는 약물 종류를 구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이얼 슬리브(62)의 근위단에는 다이얼 조작 시 클러치 부품(90)과 체결되고, 분주시 클러치로부터 계합 해제되는 내부 클러치 특징부들(6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 특징부(65)는 다이얼 조작 중 그리고 0U 및 80U 정지부가 계합될 때 클러치(90)에 대해 다이얼 슬리브(62)의 회전을 잠근다. 버튼(70)이 눌러지면, 이들 클러치 특징부가 계합 해제되어 클러치(90) 및 구동 기구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한편, 다이얼 슬리브(62) 및 넘버 슬리브(61)가 스핀하여 0U 시작 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이얼 조작 중, 다이얼 슬리브(62)는 클러치(90) 및 넘버 슬리브(61)와의 계합을 통해 외측으로 회전하고, 분주 중,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의해 인가되는 축 방향 힘 하에서, 다이얼 슬리브의 단부 상의 플랜지 형상 베어링면(66)으로 역회전한다. 분주 중, 이 베어링면(66)은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유연성 아암(48)과 계합한다. 최대 투여량(예를 들면, 80U)이 다이얼 조작되면, 2개의 직경 방향 반대면(67)이 외측 몸체(10)와 계합하여 최대 투여량 정지면을 형성한다.
래칫 아암(68)은 버튼(70)(투여량 다이얼 그립) 상의 래칫 특징부와 계합하여 분주 중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전달되는 단위 당 하나의 클릭음을 제공한다. 또한, 이는 사용자가 버튼(70)을 계속 내리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넘버 슬리브(61)를 파지하여, 일부 다이얼 조작된 위치로부터 외부측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이는 피스톤 로드(30)를 되돌리며, 이에 따라 후속의 다이얼 조작된 용량은 정량 이하가 된다. 이는 0U 정지부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버튼(70)은 투여량 다이얼 그립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작용을 클러치로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90)에 의해 유지된다. 이는 또한 가청 피드백(래칫 클릭음)을 제공하는 분주 클리커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이얼 슬리브(62) 상의 래칫 아암(68)과 계합하는 래칫 치형(71), 및 외측 몸체(10)와 함께 투여량 완료 정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부면(72)을 갖는다. 이러한 단부면(72)은 이에 따라 투여량 정확도를 향샹시키는 매우 확실한 정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단부면(72)이 외측 몸체(10)에 접촉할 때 분주 중의 단부 위치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70)의 중심 슬리브 형상부는 그들 각각의 원위단에 후크 형상 스냅 특징부(74)를 갖는 4개의 아암(73)을 구비한다. 버튼(70)으로부터의 토크를 클러치를 통해 다이얼 슬리브(62) 및 근위 구동 슬리브(42)로 전달하기 위해, 아암(73)은 클러치(90)와 계합하는 스플라인 표면을 형성한다. 스냅 특징부(74)는 클러치(90)의 개구와 계합하며, 펜 몸체(10)로부터 버튼(70)을 당기기 위해 축 방향 하중이 인가될 때 계합을 유지하기 위해, 스냅 특징부(74)는 각이 진 언더컷 면을 갖도록 설계된다. 아암(73) 사이의 공간은 투여량 분주 중, 버튼(70)이 눌러지고 해제될 때, 버튼(70) 및 클러치(90)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근위 구동 슬리브(42)의 유연성 아암(48)에 유격을 제공하는 포켓을 정의한다.
카트리지 홀더(80)는 베이어닛 연결(82)을 통해 내측 몸체(20)에 부착되며 분주될 약물을 함유하는 글라스 앰플 또는 카트리지(81)를 수용한다. 카트리지 홀더(80)는 후방면(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개구(83)를 포함하며, 개구(83)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면, 카트리지 홀더가 내측 몸체(20)로부터 제거될 때, 앰플이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면은 투여량 수 스케일과 함께 인쇄된다. 나사산을 갖는 원위단(84)이 일회용 펜 니들을 부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물" 또는 "약제"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약학적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약학적 제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최대 1500 Da의 분자량을 갖고/갖거나, 펩타이드,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백신, DNA, RNA, 효소, 항체 또는 그의 조각, 호르몬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언급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당뇨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관련 합병증, 심부정맥 또는 폐혈전색전증과 같은 혈전색전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협심증, 심근 경색증, 암, 황반변성, 염증, 건초열, 죽상경화증 및/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당뇨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관련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인간 인슐린 또는 인간 인슐린 유사체 또는 유도체, 글루카곤형 펩타이드(GLP-1) 또는 이들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인슐린 유사체는 예를 들어, Gly(A21), Arg(B31), Arg(B32) 인간 인슐린; Lys(B3), Glu(B29) 인간 인슐린; Lys(B28), Pro(B29) 인간 인슐린; Asp(B28) 인간 인슐린; 인간 인슐린이며, B28 위치의 프롤린은 Asp, Lys, Leu, Val, 또는 Ala로 치환되고, B29 위치에서는 Lys가 Pro; Ala(B26) 인간 인슐린; Des(B28-B30) 인간 인슐린; Des(B27) 인간 인슐린, 및 Des(B30) 인간 인슐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인슐린 유도체는 예를 들어, B29-N-미리스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미리스토일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 인간 인슐린; B28-N-미리스토일 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28-N-팔미토일-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30-N-미리스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30-N-팔미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29-N-(N-팔미토일-Y-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N-리토콜일-Y-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des(B30) 인간 인슐린; 및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 인간 인슐린이다.
엑센딘-4는 예를 들어, H-His-Gly-Glu-Gly-Thr-Phe-Thr-Ser-Asp-Leu-Ser-Lys-Gln-Met-Glu-Glu-Glu-Ala-Val-Arg-Leu-Phe-Ile-Glu-Trp-Leu-Lys-Asn-Gly-Gly-Pro-Ser-Ser-Gly-Ala-Pro-Pro-Pro-Ser-NH2의 서열의 펩타이드인 엑센딘-4(1-39)를 의미한다.
엑센딘-4 유도체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들의 목록에서 선택된다:
H-(Lys)4-des Pro36, des Pro37 엑센딘-4(1-39)-NH2,
H-(Lys)5-des Pro36, des Pro37 엑센딘-4(1-39)-NH2,
des Pro36 엑센딘-4(1-39),
des Pro36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des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또는
des Pro36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des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des Pro36 [Met(O)14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여기서, -Lys6-NH2 기는 엑센딘-4 유도체의 C-말단에 결합될 수 있음);또는 하기 서열의 엑센딘-4 유도체
des Pro36 엑센딘-4(1-39)-Lys6-NH2 (AVE0010),
H-(Lys)6-des Pro36 [Asp28] 엑센딘-4(1-39)-Lys6-NH2,des Asp28 Pro36, Pro37, Pro38엑센딘-4(1-39)-NH2, H-(Lys)6-des Pro36, Pro38 [Asp28] 엑센딘-4(1-39)-NH2,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des Asp28 Pro36, Pro37, Pro38 [Trp(O2)25] 엑센딘-4(1-39)-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des Met(O)14 Asp28 Pro36, Pro37, Pro38 엑센딘-4(1-39)-NH2, H-(Lys)6-des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 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des Asp28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엑센딘-4(1-39)-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S1-39)-(Lys)6-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또는, 상기 언급된 엑센딘-4 유도체 중 임의의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 화합물.
호르몬은 예를 들어, Rote Liste(2008년 판) 50장에 열거된, 뇌하수체 호르몬 또는 시상하부 호르몬 또는 조절 활성 펩타이드 및 그 길항근, 예컨대 고나도트로핀(폴리트로핀, 루트로핀, 융모성 고나도트로핀, 메노트로핀), 소마트로파인(소마트로핀), 데스모프레신, 털리프레신, 고나도렐린, 트립토렐린, 루프로렐린, 부세렐린, 나파렐린, 고세렐린이다.
폴리사카라이드는 예를 들어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초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전술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설페이트, 예를 들면 폴리 설페이트 형태 및/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폴리-황산염화 저분자량 헤파린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예로서 에녹사파린 나트륨이 있다.
항체는 기본 구조를 공유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도 알려져 있는 구형 혈장 단백질(약 150 kDa)이다. 글로불라 혈장 단백질은 아미노산 잔기에 부가된 당사슬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단백질이다. 각 항체의 기본 기능 단위는 (1 Ig 단위만을 함유한) 면역 글로불린(Ig) 단량체이며, 분비 항체는 IgA와 같이 2 Ig 단위를 갖는 이량체, 경골 어류 IgM와 같이 4 Ig 단위를 갖는 사량체, 또는 포유류 IgM와 같이 5 Ig 단위를 갖는 오량체일 수도 있다.
Ig 단량체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 시스테인 잔기 사이의 이황화물 결합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동일한 중쇄와 2개의 동일한 경쇄로 구성되는 "Y"-형상의 분자이다. 각각의 중쇄는 약 440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가지고, 각각의 경쇄는 약 220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가진다. 중쇄와 경쇄는 각각 사슬의 접힘(folding)을 안정화시키는 사슬 내 이황화 결합을 포함한다. 각 사슬은 Ig 도메인으로 불리는 구조 도메인들로 구성된다. 이들 도메인은 약 70 내지 11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그 크기 및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카테고리(예컨대, 가변 또는 V, 및 불변 또는 C)로 분류된다. 이들 도메인은, 보존된 시스테인과 다른 하전된 아미노산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2개의 β 시트가 함께 묶여서 "샌드위치" 형상을 만드는 특징적 면역글로불린 접힘을 가진다.
α, δ, ε, γ, 및 μ로 나타낸 5종의 포유류 Ig 중쇄가 있다. 함유된 중쇄의 종류는 항체의 이소 타입을 정의하며; 이들 중쇄는 각각 IgA, IgD, IgE, IgG, 및 IgM 항체에서 발견된다.
특정 중쇄들은 크기 및 조성면에서 상이하고; α 및 γ은 대략 45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δ는 대략 50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한편, μ 및 ε은 대략 55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각각의 중쇄는 두 개의 영역을 갖는데, 불변 영역(CH) 및 가변 영역(VH)을 갖는다. 한 종에서, 불변 영역은 같은 이소 타입의 모든 항체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상이한 이소 타입의 항체에서는 다르다. 중쇄 γ, α 및 δ는 3개의 텐덤 Ig 도메인으로 구성된 불변 영역, 그리고 부가 가요성을 위한 힌지 영역을 가지며; 중쇄 μ 및 ε은 4개의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으로 구성된 불변 영역을 가진다. 중쇄의 가변 영역은 상이한 B 세포들에 의해 생성된 항체들에서 서로 다르지만, 하나의 B 세포 또는 B 세포 클론에 의해 생성된 모든 항체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각 중쇄의 가변 영역은 약 110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가지며, 하나의 Ig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포유 동물에서는, λ와 κ로 나타내는 2종의 면역 글로불린 경쇄가 있다. 경쇄는 2개의 연속적인 도메인인, 하나의 불변(constant) 도메인(CL) 및 하나의 가변(variable) 도메인(VL)을 갖는다. 경쇄의 대략적인 길이는 211 내지 217개의 아미노산에 해당한다. 각각의 항체는 항상 동일한 2개의 경쇄를 함유하며; 포유동물의 항체 당, 오로지 한 종류의 경쇄, κ 또는 λ로 존재한다.
모든 항체의 일반적 구조는 매우 유사하지만, 특정 항체의 고유의 속성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가변(V) 영역에 의해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쇄(VL)에 3개, 중쇄(VH)에 3개의 가변 루프는 항체에 대한 결합, 즉, 항원 특이성의 원인이 된다. 이들 루프를 상보성 결정 영역(CDR)이라 한다. VH 도메인과 VL 도메인 모두로부터의 CDR이 항원-결합 부위에 기여하기 때문에, 최종 항원 특이성을 결정하는 것은 어느 한쪽 단독이 아닌 중쇄 및 경쇄의 조합이다.
"항체 조각"은 위에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항원 결합 조각을 함유하며, 상기 조각이 유도된 완전 항체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과 특이성을 나타낸다. 파파인에 의한 제한 단백질 가수 분해는 Ig 원형을 3개의 단편으로 쪼갠다. 두 개의 동일한 아미노 말단 단편들은 항원 결합 단편들(Fab)이며, 각각은 하나의 전체의 L 사슬 및 약 절반의 H 사슬을 포함한다. 크기면에서 유사하지만, 사슬간 이황화물 결합을 가진 양 중쇄의 절반이 카복실 말단기를 함유하는 세 번째 조각은 결정성 조각(Fc)이다. Fc는 탄수화물, 보체 결합, 및 FcR-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제한된 펩신 소화는, H-H 사슬간 이황화물 결합을 비롯하여, Fab편들과 힌지 영역을 모두 함유하는 단일 F(ab')2 조각을 생성한다. F(ab')2는 항원 결합에 대해 이가이다. Fab'을 얻기 위해 F(ab')2의 이황화 결합은 쪼개질 수 있다. 또한, 중쇄 및 경쇄들의 가변영역들은 단일 사슬 가변 단편(scFv)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융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예를 들면 산 부가 염 및 염기성 염이 있다. 산 부가 염은 예를 들어, HCl 또는 HBr 염이다. 염기성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또는 알칼라인, 예를 들어 Na+ 또는 K+ 또는 Ca2+ 또는 암모늄 이온 N+(R1)(R2)(R3)(R4)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갖는 염이고,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임의로 치환된 C1-C6-알킬기, 임의로 치환된 C2-C6-알케닐기, 임의로 치환된 C6-C10-아릴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C6-C10-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추가의 예는 1985년 미국 펜실배니아주 이스턴 소재의 마크 퍼블리싱 컴퍼니(Mark Publishing Company)의 알폰소 알.제나로(Alfonso R.Gennaro)(편집자)의 레밍턴의 "약학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판 및 약학 기술의 백과사전(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에 설명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 화합물은 예를 들어 수화물이다.
튜브형 클러치(90)가 디스플레이 부재(60) 및 버튼(70) 사이에 구비된다. 클러치는 버튼(70)에 대하여 고정되어 버튼(70)을 유지하며, 분주 중 버튼(70)이 눌러질 때, 함께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주행하여, 클러치 치형을 다이얼 슬리브(62)로부터 계합 해제한다. 이는 또한 버튼으로부터의 토크를 근위 구동 슬리브(42)로 전달하고, 버튼으로부터의 다이얼 조작 및 0U/80U 정지 하중을 클러치 치형을 통하여 다이얼 슬리브 및 넘버 슬리브로 전달한다.
클러치의 내면에 구비되는 구동 슬리브 스플라인(91)은 근위 구동 슬리브(42)와 계합한다. 원위 단부면는, 버튼 외부 위치(다이얼 조작된 투여량)에서, 클러치가 클러치 스프링(103)의 편향 작용 하에서 근위 클리커부(102)에 대한 회전이 잠기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근위 클리커부(102) 상의 유사한 치형과 감합하는 클러치 편향 치형(92)이 제공된다. 다이얼 조작 중 근위 클리커부(102)가 근위 구동 슬리브(42) 상의 스플라인과 계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형(92)은 낮은 높이를 갖는다. 4개의 스냅 개구(93)는 버튼(70)의 스냅 특징부(74)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근위단 가까이에서, 클러치는 사용자가 0U 위치 아래로 버튼(70)을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70)이 눌러진 분주의 단부에서, 내측 몸체(20)로 잠기는 스플라인(94)을 갖는다.
버튼(70)을 클러치를 통하여 넘버 슬리브(61)로 회전되게 결합하도록, 클러치 치형(95)이 다이얼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65)과 계합한다. 분주 중, 클러치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들 클러치 치형(95)을 계합 해제하여, 다이얼 슬리브(62)를 장치 내로 역회전하도록 해제하는 한편, 클러치(90) 및 이에 따른 드라이버(40)가 투여량을 분주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리커(100)는 원위 클리커부(101), 근위 클리커부(102) 및 스프링(103)을 포함한다. 클러치 스프링(103)은 버튼(70)을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투여 종료 시 버튼(70)이 튀어나와, 클러치(90)를 다이얼 조작을 위해 준비된 다이얼 슬리브(62)와 재계합한다.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103)은 클리커로서 그리고 넘버 슬리브(61)용 디텐트 위치로서 작용하도록 클리커 부품에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또한, 클러치 스프링(103)은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구동 슬리브(41, 42)의 2개의 절반부를 회전 계합에서 유지하는 한편, 2개의 절반부가 장치 재설정 중 계합 해제하도록 한다.
원위 클리커부(101)는 근위 구동 슬리브(42)로 영구적으로 스플라인 형성되며, 내측 몸체(20)로 결국 스플라인 형성되는 근위 클리커부(102)와 계합한다. 다이얼 조작 중, 구동 슬리브가 내측 몸체에 대하여 회전되면, 클러치 스프링(103)의 압축력 하에서 2개의 클리커(101, 102)가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각각의 클리커의 단부면에 형성된 클리커 치형과 조합된 이러한 힘은 클릭음 및 또한 디텐트 다이얼 조작 위치를 제공한다.
분주 중, 2개의 클리커(101, 102)가 분주 하중 하에서 함께 가압되어, 근위 구동 슬리브(42) 및 내측 몸체(20)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며, 피스톤 로드를 전방으로 구동하여 투여량을 전달한다. 내부 보어 상에서 스플라인(104)은 항상 원위 클리커부(101)를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회전되게 결합시키지만, 분주 중, 버튼(70)이 눌러질 때와, 다이얼 조작 중, 2개의 클리커가 서로 승월(ride over)할 때에는 자유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원위 클리커부(101) 및 근위 클리커부(102) 상의 클리커 치형(105, 106)의 프로파일은 동일하며, 클리커부는 다이얼 조작 중 스프링(103)으로부터의 압축 하중 하에 서로 승월한다.
근위 클리커부(102)는 다이얼 조작 및 분주 중 내측 몸체에 대한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외부 스플라인(107)에 의해 내측 몸체(20)로 영구적으로 스플라인 형성되어, 다이얼 조작 중 클릭음을 제공하고, 분주 중 근위 이동 슬리브(42)를 회전 잠금되게 한다. 추가적인 원통형 스플라인(108)은 또한 버튼(70)이 눌러질 때 근위 클리커부(102)를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회전되게 결합하며, 이는 사용자가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80 단위를 지나치게 다이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차 클리커 치형(106) 이외에도, 근위 클리커부(102)는 그 반대측 단부면에 클러치 편향 치형(109)을 갖는다. 이들 치형은 클러치 상의 유사한 치형(92)과 감합하여, 버튼 외부 위치(다이얼 조작된 투여량)에서, 클러치 스프링(103)의 편향 작용 하에서, 클러치가 근위 클리커부(102)에 대해 회전이 잠기는 것을 확보한다.
카트리지 편향 스프링(110)은 2개의 부품이 차례로 조립되는데, 하부 부분이 첫 번째로, 상부 부분이 두 번째로 조립된다. 스프링 조합은 카트리지 홀더(80) 내의 페룰의 단부면 상으로 카트리지(81)를 편향시키도록 극도의 공차에서 카트리지(81)에 단부 하중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가 니들을 제거하고 부착할 때, 니들 캐뉼러 및 카트리지의 격막 사이의 마찰이 카트리지(81)를 카트리지 홀더(8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확보한다. 편향 스프링(110)은 또한 사용자가 카트리지 홀더(80)를 연결하여야 하는 것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며, 이는 이러한 베이어닛 조인트의 촉각 피드백에 부가될 수 있다. 스프링(100)은 또한 카트리지 홀더가 고정 위치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카트리지 홀더(80)를 축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에러는 사용자에게 강조된다.
캡(120)은 카트리지 홀더(80)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카트리지(81) 자체를 격막 주위의 영역 위로 유입하는 먼지 및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캡(120)은 표준 펜 주사기 니들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캡(120)은 캡(120)을 부착하기 위한, 이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1)를 추가적인 요소,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재킷 포켓에 부착하기 위한 클립 요소(134) 또는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립 요소(134)는 캡(120)에 스냅 감합된다. 캡(120) 및 클립 요소(134)의 구조 및 이들의 연결과 관련된 상세가 이후에 설명된다.
윈도우 인서트(230)는 투여량 수를 예를 들면 그 인쇄 크기로부터 대략 25%만큼 확대시키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인서트(230)는 배면 인쇄될 수 있어, 인쇄 표면을 마모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윈도우 개구를 통한 광 입사를 극대화하여 투여량 수 및 투여량 수 주위의 백색 영역이 균일하게 조명되게 할 수 있다. 다이얼 조작된 투여량을 표시하는 윈도우 개구에 인접하게 화살표가 인쇄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로 약물 전달 장치의 기능과 그 부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투여량을 선택해야 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작 조건(휴지 조건)에서, 디스플레이 부재(60)는 사용자에게 다이얼 조작된 투여량 수를 표시한다. 다이얼 조작된 단위의 수는 외측 몸체(10) 내의 투여량 윈도우(230)를 통하여 관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60)와 내측 몸체(20) 사이의 나사산 계합으로 인해, 버튼(70)의 시계 방향 회전은 디스플레이 부재(60)로 하여금 장치 외부측으로 감기게 하여, 전달되는 단위의 수를 증분식 계수하게 한다. 도 18은 다이얼 조작의 중간 단계(예컨대, 80 단위 중 7 단위)를 나타낸다.
투여량 설정 중, 버튼(70), 드라이버(40) 및 디스플레이 부재(60)는 함께 클러치(90)를 통하여 회전이 잠긴다. 또한, 버튼(70), 드라이버(40) 및 디스플레이 부재(60)가 축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들 3개의 부품은 투여량 설정 중 하우징(10)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긴다. 버튼(70)의 시계 방향 회전은 드라이버(40)가 회전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드라이버는 다이얼 조작 내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피스톤 로드(30)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클리커 구성부(100)는 투여량을 다이얼 조작할 때 사용자에게 촉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80 단위의 최대 설정 가능 투여량에서, 정지 특징부(12 및 67)가 계합하여 추가적인 다이얼 조작을 방지한다.
최후 투여량 너트(50)는 분주된 단위의 수를 계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너트(50)는 카트리지의 수명이 다하면 장치를 잠금으로써, 사용자가 더 이상 약물을 다이얼 조작할 수 없게 한다. 최후 투여량 너트(50) 및 드라이버(4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산 계면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최후 투여량 너트(50)는 스플라인(22)에 조립되므로, 너트(50)와 내측 몸체(20)는 (항상) 함께 회전이 잠긴다. 다이얼 조작 중 드라이버(40)의 회전은 너트(50)가 나사산(44)을 따라 전진하도록 한다. 너트(50)는 항상 내측 몸체(20)의 내에서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는 너트의 전진을 허용한다. 최후의 투여량을 향하는 도 9에 도시된 나사산(44)의 피치의 변화는 카트리지 수명 록 아웃 조건의 종단 쪽으로의 너트(50)의 전진을 축 방향으로 가속화한다. 수명 조건의 종료 시, 최후 투여량 너트(50)의 정지 특징부(51)는 드라이버(40) 상의 대응하는 특징부(45)와 접촉한다. 내측 몸체(20)와의 스플라인 접촉은 이들 정지 특징부(45)에 의해 전달된 임의의 토크를 반응시킨다.
원하는 투여량이 다이얼 조작되면, 장치(1)는 투여량을 분주할 준비가 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버튼(70)을 누를 것을 필요로 하며, 이는 다이얼 슬리브(62)로부터의 클러치(90)의 계합 해제를 유발하여, 디스플레이 부재(60) 및 버튼(70)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모든 조건에서, 아암(73) 및 핑거(48)의 계합 및 근위 구동 슬리브(42) 상의 대응하는 스플라인과 계합하는 스플라인(91)에 의해, 드라이버(40) 및 버튼(70)이 함께 회전이 잠긴다. 이에 따라, 클러치(90)가 계합 해제된 상태(버튼(70)이 눌러진 상태)에서, 버튼(70) 및 드라이버(40)는 함께 회전이 잠기며, 버튼(70), 드라이버(40) 및 디스플레이 부재(60)는 여전히 축 방향으로 결합된다.
투여량 분주 시, 투여량 버튼(70) 및 클러치(90)가 클러치 스프링(103)을 압축하는 기구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근위 클리커부(102)가 내측 몸체(20)로 스플라인 형성되고 클리커 치형(105, 106)을 통과하는 축 방향 하중이 근위 클리커부(102)에 대하여 원위 클리커부(101)를 회전 잠금하기 때문에, 기구가 축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하는 한편, 다이얼 슬리브(62) 및 넘버 슬리브(61)는 다시 외측 하우징(10) 내부로 자유롭게 스핀된다. 피스톤 로드(30), 드라이버(40) 및 내측 몸체(20) 사이의 감합 나사산의 상호 작용은 2:1의 기계적 이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축 방향으로 전진하는 드라이버(40)는 피스톤 로드(30)를 회전시켜, 내측 몸체(20)와의 피스톤 로드(30)의 나사산 계합으로 인해, 피스톤 로드를 전진시킨다. 투여량 분주 중, 버튼(70) 및 디스플레이 부재(60)를 포함하는 분주 클리커(68, 71)가 작동 상태로 된다. 분주 클리커는 약물이 분주되는 사용자에게 일차적으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계의 종료가 도 19에 도시된다. 투여량이 완료되는 이 지점에서, 사용자가 투여량 버튼(70)의 단부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클러치 스프링(103)이 이 투여량 버튼(70)을 후방으로 눌러, 클러치 및 다이얼 슬리브 사이의 치형(65, 95)을 재계합한다.
장치를 재설정하는 단계가 카트리지 홀더(80)의 제거 및 빈 카트리지를 채워진 카트리지(81)로 교체하는 단계와 함께 시작한다. 카트리지 홀더가 다시 부착됨에 따라, 새로운 카트리지의 마개 구멍이 베어링(31)과 접촉하여, 피스톤 로드(30)를 다시 하우징 내로 누른다. 초기에, 피스톤 로드(30)가 내측 몸체(20) 내로 나사 조임되어, 스프링(103)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근위 구동 슬리브(42)로부터 커플러(43)를 축 방향으로 계합 해제한다. 일단 계합 해제되면, 커플러(43)는 원위 구동 슬리브(41)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기 시작하며, 카트리지 홀더(80)가 내측 몸체(20)와의 계합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커플러(43)가 계속 회전한다. 그러므로, 압축된 스프링(103)에 의해 클리커부(101, 102)가 함께 눌러짐에 따라, 여전히 내측 몸체(20) 내에 회전 구속된 근위 구동 슬리브(42)에 대하여 원위 구동 슬리브(41)가 회전한다. 원위 구동 슬리브(41)가 회전함에 따라, 최후 투여량 너트(50)는 그의 (원위) 시작 위치로 재설정된다. 카트리지 홀더(80)가 내측 몸체(20)에 결합되면, 베이어닛 구조(23)로 인해 기구가 후퇴하고, 근위 구동 슬리브(42)와 커플러(43) 및 이에 따른 원위 구동 슬리브(41)의 재계합이 허용된다.
아래에서, 캡 또는 캡 조립체(120)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캡의 실시예가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다.
캡(120)은 원위단(121) 및 근위단(122)을 갖는다. 캡은 카트리지 홀더(80)를 커버하여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카트리지(81) 자체를 커버하여 격막 주위의 영역 위로 유입하는 먼지 및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캡(120)은 캡(120)의 근위 개구를 통하여 캡(120) 내부로 이동되는 펜 주사기의 원위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캡이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될 때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홀더에 부착된 니들 장치(180) 및 카트리지 홀더(80)가 캡(1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캡(120)이 약물 전달 장치(1)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약물의 투여량을 설정하고/하거나 분주하도록, 캡(120)은 약물 전달 장치(1)의 사용 전에 분리된다. 카트리지에 부착된 니들 장치(180) 및 카트리지 홀더(80)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도록 캡(120)의 내부가 형성된다. 캡은, 부착될 때, 모든 측면에서 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의 근위 개구는 단지 캡의 개구일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80) 및 니들 장치(180)를 안내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미도시)이 캡(12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은 외측 캡 요소(130) 및 내측 캡 요소(131)를 포함하는 캡(12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또한, 클립 요소(134)가 도시된다. 내측 및 외측 캡 요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요소는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캡 조립체(200)를 형성한다. 외측 및 내측 캡 요소(130, 131)는 각각 금속 슬리브 및 플라스틱 슬리브로 형성되거나 만들어진다. 슬리브는 함께 조립되어 제거 가능 캡(120)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 및 내측 캡 요소(130, 131)는, 적합한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 수단, 정방향 잠금(positive locking), 마찰 잠금 및/또는 스냅 상호 작용에 의해 연결된다. 클립 요소(134)는 셔츠 또는 재킷 포켓으로의 캡(120)에 의한 주사기 펜(1)의 연결을 허용하며, 이런 이유로 항상 취급되기 쉽다. 외측 캡 요소(130)의 개구(135)는 클립 요소(134)가 내측 캡 요소(131)와 연동하여 내측 캡 요소(131)에 스냅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 캡 요소(13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며, 내측 캡 요소(131)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외측 캡 요소(130) 및 플라스틱 내측 캡 요소(131)의 조합은 고품질 외관 및 쾌적한 터치를 제공한다. 또한, 금속 외측 캡 요소(130)는 장치의 마모에 강한 외면을 제공한다. 캡(120)은 지나치게 무겁지 않고 편안한 조작을 허용한다. 특히, 캡이 카트리지 홀더 또는 장치의 다른 부분에 부착될 때, 캡(120)의 내측 부품의 디자인은 클립 요소(134)의 유지를 허용하며, 캡(120) 내부에서 카트리지 홀더(80)에 감합되는 표준 니들 및 니들 커버를 수용하는 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외측 캡 요소(130)는 중합체 내측 캡 요소(131) 위에 금속 스킨을 제공하는 0.4 내지 0.6 mm 두께의 알루미늄 요소일 수 있다. 캡(120)의 형태는 완전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캡의 형태와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캡(120)은 부착 중 촉각적 느낌의 변경 없이 완전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캡을 대체할 수 있다. 내측 캡 요소(131)의 유사한 플라스틱 특징은, 그렇지 않은 경우 보통(plain)의 금속 슬리브를 기존의 플라스틱 카트리지 홀더 보유 특징부에 부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마모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내측 및 외측 캡 요소(131, 130)는 슬리브 형상을 갖는다. 금속 슬리브는 금속 시트로부터 딥 드로잉 가공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적어도 외면 위에서 양극 산화 처리될 수 있다. 양극 산화 처리는 캡(120)에 고품질 및 마모에 강한 외면을 제공하며, 캡(120)이 다양한 금속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품질 시각적 외관 및 강건한 표면을 갖는 재사용 가능 주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유사한 금속 슬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펜 하우징/기구에 금속 외측 캡 요소(130) 및 플라스틱 내측 캡 요소(131)를 포함하는 제거 가능 캡(12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비용을 최소화하며 강건하고 마모에 강한 특징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금속 및 플라스틱 슬리브 형상 부품의 조합의 사용은 플라스틱 카트리지 홀더 캡 보유 수단으로 부착되는 특징부와 함께 플라스틱 슬리브가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카트리지 홀더의 캡 보유 수단 및/또는 캡 조립체의 캡 보유 수단은 각각의 부품의 근위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1은 외측 캡 요소(130)의 근위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이러한 부품의 3차원 절개도를 도시한다. 외측 캡 요소(130)는 개방단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며 딥 드로잉 가공된 금속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다. 둥글거나 접힘 단부(161)를 형성하기 위해 가장 근위 영역이 롤링된다. 이러한 재료의 롤링 백은 비딩(beading)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외측 캡 요소(130)의 재료는 1회 절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료는 1회 보다 많이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은 외측 캡 요소(130)의 내면에 날카로운 에지(147)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접근 가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딥 드로잉 가공 및 그 후의 비딩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생성되는 개방단의 보다 얇은 재료로 인해, 외측 캡 요소(130)의 내면에 원주 방향 요홈(143)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143)은 캡(120)을 카트리지 홀더(80)에 부착할 때 내측 캡 요소(131)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날카로운 에지(147)는 요홈(143)의 근위 에지이며, 에지(147)는 조립 후 플라스틱 내측 캡 요소(131)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3은 약물 전달 장치(1)의 부착 중의 캡(120)의 근위부(14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부착 중, 카트리지 홀더(80)가 캡(120) 내부로 이동하도록, 내측 및 외측 캡 요소(131, 130)를 포함하는 캡(120)이 카트리지 홀더(80)에 대하여 근위로 이동한다.
외측 캡 요소(130)는 외측 캡 요소(130)의 내면에 캐비티(143)를 포함하는 근위부(141)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캐비티(143)는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요홈으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캐비티(143)는 내측 캡 요소(131)의 변형 가능 영역(151)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캐비티(143)의 영역에서의 외측 캡 요소(130)의 두께는 외측 캡 요소(130)의 원위부 또는 중간부의 두께보다 작다. 외측 캡 요소(130)의 중간부 및 근위부(141)에 위치된 캐비티(143) 사이의 완만한 천이를 허용하는 램프(ramp)의 형상으로 캐비티(143)의 원위 에지(145)가 형성된다. 캐비티(143)의 근위 에지(147)는 원위 에지(145)에 비하여 급격하며 날카로운 에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캡 요소(131)는, 내측 캡 요소(131)의 근위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약물 전달 장치(1)의 카트리지 홀더(80)에 위치된 캡 보유 수단(155)과 계합하는 데에 적합한 캡 스냅 수단(149)을 포함한다. 캡 스냅 수단(149)을 약물 전달 장치(1)의 캡 보유 수단(155)으로 잠그거나 캡 스냅 수단(149)을 캡 보유 수단(155)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부착 및 분리 중 변형될 수 있는 변형 가능 영역(151)의 적어도 근위부에 의해 캡 스냅 수단(149)이 형성된다. 캡 스냅 특징부(149)는 융기된 내부 범프 특징부(153) 또는 핑거 및 캐비티(171)를 포함하며, 캐비티(171)의 영역 내에서 내측 캡 요소(131)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얇고, 캐비티(171)는 변형 가능 영역(1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범프 특징부(153)는 원위 슬로프에 비하여 덜 급격한 근위 슬로프를 갖는다.
내측 캡 요소의 캐비티(171)의 감소된 두께는 캡 스냅 수단(149)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캡 보유 특징부(155)로의 계합을 허용한다. 외측 캡 요소(130)의 캐비티(143)로 인해, 외측 및 내측 캡 요소(130, 131)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변형 가능 영역(151)은 외측 캡 요소(130)의 캐비티(143) 내부로 변형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변형 가능 영역(151)은 외측 및 내측 캡 요소(130, 131) 사이의 간극 내부로 변형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 스냅 수단(149)의 근위단(173)은 캐비티(143)의 근위 에지(147) 위에서 근위로 연장되며, 근위 에지(147)는 끝단의 원형(circular)을 유지하기 위해 캡 스냅 수단(149)의 근위단(173)의 외측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캡 스냅 수단(149)의 근위단(173)은 에지(147) 위에서 돌출하지 않는다. 특히, 클립이 양쪽 캡 부분을 함께 축 방향으로 유지하므로, 근위단(173)이 에지(147) 위에서 돌출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캡 보유 수단(155)은 플라스틱 카트리지 홀더(80)의 외면에 위치된다. 캡 보유 수단(155)은 사다리꼴, 원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기초 영역을 가질 수 있는 상승부(157)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승부(157)가 카트리지 홀더(8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장치(1) 상에서 동등하게 이격되거나 동등하지 않게 이격되게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승부가 존재한다.
상승부(157)는 근위 슬로프 및 원위 슬로프를 가지며, 원위 슬로프는 상승부(157)의 근위 슬로프에 비하여 덜 급격하다. 원위 슬로프는 부착 중 상승부(157)의 상부 위에서의 내부 범프 특징부(153)의 근위 슬로프의 용이한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 범프 특징부(153)가 일단 상승부(157)의 상부 위로 이동되면, 상승부(157) 및 내부 범프 특징부(153) 모두의 보다 급격한 슬로프는 내부 범프 특징부(153)의 원위 이동을 방해하여, 부착 후의 내부 범프 특징부(153)의 후방 이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캡(120)을 원위로 당기는 충분한 힘을 가해 내부 범프 특징부(153)를 상승부(157) 위에서 다시 당기므로, 캡(120)의 분리를 허용한다. 내부 범프 특징부(153)의 원위 슬로프 및 상승부(157)의 근위 슬로프가 보다 급격하기 때문에, 분리에 요구되는 힘이 부착에 요구되는 힘에 비하여 크며, 이는 캡(120)의 우발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안적인 내부 범프 특징부(153) 및 상승부(157) 실시예는 대칭일 수 있는 다른 슬로프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범프 특징부(153)가 상승부(157)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 내부 범프 특징부(153)가 외측 캡 요소(130)를 향하여 밀린다. 외측 캡 요소(130)의 근위 에지(147)에 의해 캡 스냅 수단(149)의 근위단(173)이 그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결과적인 토크가 변형 가능 영역(151)을 외측으로 변형시키며 노우즈 선단이 상승부(157)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한다. 캡(120)의 부착 중 내부 범프 특징부(153)가 상승부(157)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외측 캡 요소(130)의 캐비티(143)는 공간이 플라스틱 내측 캡 요소(131)의 변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한다.
도 24는 약물 전달 장치(1)로의 부착 후의 캡(120)의 근위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내부 범프 특징부(153)는 상승부(157)의 근위 에지의 뒤에서 계합된다. 상승부(157)는 내측 캡 요소(131)의 캐비티(171)에 계합한다. 내부 범프 특징부(153)가 상승부(157)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더라도, 캡 스냅 특징부(149)는 외측 캡 요소(130)의 캐비티(143) 내부로 여전히 변형된다. 캡 스냅 수단(149)의 근위단(173)을 그 위치에 유지하는 외측 캡 요소(130)의 근위 에지(147) 및 외측 캡 요소(130)의 캐비티(143) 내부로 변형 가능 영역(151)을 미는 상승부(157)의 조합은 상승부(157) 위에서의 캡 스냅 특징부(149)의 밀착 또는 억지 끼워 맞춤을 일으켜, 캡(120)을 부착된 위치에 유지한다.
도 25는 약물 전달 장치(1)로의 부착 후의 캡(120)의 다른 실시예의 근위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내측 캡 요소(131)의 디자인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캡 스냅 수단(149)의 근위단(173)은 캐비티(143)의 근위 에지 위에서 연장되지 않고, 이는 부착 중 근위 에지(173)가 또한 캐비티(143) 내부로 이동하도록 변형을 허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승부(157)로부터 요구되는 적은 힘 입력으로, 캡 스냅 수단(149)이 보다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특징부는 조합될 수 있다. 레이아웃, 기능 및 부품 수는 다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26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클립 요소(134)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6 및 도 32는 약물 전달 장치(1)의 클립 요소(134) 또는 고정 요소를 도시한다. 클립 요소(134)에 의해, 약물 전달 장치(1)의 캡, 예를 들면, 전술한 캡(120) 또는 캡 조립체(200)(또한, 아래 참조) 또는 약물 전달 장치(1)의 고정 또는 부착이 추가적인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클립 요소(134)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 고정부(168) 또는 메인 몸체를 포함한다(도 31 참조). 뿐만 아니라, 클립 요소(134)는 클립 요소(134)의 원위단(도 26의 좌측)에서 약간의 곡률을 포함한다.
클립 요소(134)는 2개의 부품, 즉, 제1 부품(300) 및 제2 부품(301)(예를 들면, 도 31 내지 도 38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품(300, 301)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 부품(300, 301)이 일체형 부품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품(300, 301)은 서로 부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해제 불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부품(301)은 제1 부품(3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특히, 제1 부품(3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부품(301) 내부로 도입된다. 그러므로, 제2 부품(301)은 클립 요소(134)의 외측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품(3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성이고/이거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1 부품(300)은 유연부를 포함한다. 유연부는 제1 부품(300)의 국부적인 반경 방향 유연성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부품, 예를 들면, 재킷 포켓으로의 클립 요소(134)의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부품(3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특히, 제1 부품(300)은 플라스틱 부품이다. 이는 그 자체로 제1 부품(300)의 특정 정도의 탄성 변형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품(300)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된다.
부분적으로, 제1 부품(300)은 I 형상 영역을 갖는다(예를 들면, 도 37 참조). "I"의 하나의 수평 스트로크 또는 바는, 이에 따라, 제2 부품(301)(도 37의 상부 수평 스트로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스트로크를 "상부 수평 스트로크"라 한다. 상부 수평 스트로크는 전술한 메인 몸체 또는 세장형 몸체(168)를 구성할 수 있다. "I"의 추가적인 수평 스트로크 또는 바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전술한 캡(12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I"의 수직 스트로크 또는 바는 2개의 수평 스트로크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부품(300)은 선단(303)을 포함한다(예를 들면, 도 38 및 도 39 참조). 선단(303)은 클립 요소(134)의 근위단 부분에 배치된다. 선단(303)은 제1 부품(300)의 가장 근위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선단(303)은 "I"의 상부 스트로크의 근위단을 구성할 수 있다.
근위단 부분에서, 제1 부품(300)의 두께 또는 반경 방향 연장부는 그의 가장 근위단을 향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선단(303)은 제1 부품(300)의 추가적인 부분, 예를 들면, 원위부 또는 중간부와 비교하여 감소된 두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선단(303)은 보다 얇거나 또는 제1 부품(300)의 나머지에 비하여 감소된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선단(303)의 상측에서, 즉, 제2 부품(301)에 대향하는 측에서, 선단(303)은 약간 경사질 수 있다. 얇은 선단(3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품(300)이 이러한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제2 부품(301)은 강성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제2 부품(301)은 제1 부품(300)의 재료에 비하여 보다 강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예를 들면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완전히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부품(301)은 금속의 시트로부터 스탬프 가공된 다음 도금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2 부품(301)은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완전히 유리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둥근 에지를 갖는 세장형 형상을 포함한다. 제2 부품(301)은 제1 부품(300)의 상측의 형상으로 조절된 형상을 포함하여 제2 부품이 제1 부품(3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하거나 덮을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접힘 에지 또는 측벽을 포함한다. 접힘 측벽은 전술한 "I" (도 37 참조)의 수평 스트로크 중 하나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반경 방향 연장부 또는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원위단 부분에서 곡률을 더 포함한다. 제2 부품(301)의 강성 및 경질 재료에 의해, 클립 요소(134)의 고품질이며 마모에 강한 외면이 제공된다. 제2 부품(301)이 금속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2 부품(301)은 또한 다양한 금속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품(301)은 캐비티 또는 유격 영역(304)을 더 포함한다(도 39 참조). 제2 부품(301)의 아래측, 즉, 부품(300, 301)이 서로 부착될 때 제1 부품(300)에 대향하는 제2 부품(301)의 측면에 캐비티(304)가 배치된다. 캐비티(304)는 접힘 측벽에 의해 획정된다. 선단(303)의 디자인은 제2 부품(301)의 캐비티(304) 내부로 선단이 구부러지게 하며, 이에 따라, 표준 포켓 클립의 핀칭(pinching) 효과를 모사한다. 이에 따라, 캡(120), 이에 따라, 장치(1)가 포켓 등의 내부에 놓일 때, 보유의 조치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부품(300, 301)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부품(300, 301)은 서로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부품(301)은 제1 부품(300) 내부에 압입되거나 클립 결합된다. 특히, 제2 부품(301)은 제1 부품(300) 위에 압입되며, 이에 따라, 제1 부품(300)의 강건하고 마모에 강한 덮개를 제공한다.
제2 부품(301)은, 예를 들면, 도 33, 도 36, 도 37에 도시된 유지 특징부(302)를 포함한다. 유지 특징부(302)는 제2 부품(30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지 특징부(302)는 제2 부품(301)의 전술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벽의 접힘은 클립 요소(134)의 횡축에 대하여 90도 보다 크다. 접힘은, 예를 들면, 91, 92, 93, 94, 95, 100 또는 105도이다. 접힘 측벽은 제2 부품(301)의 아래측에 접촉하지 않으며, 아래측은 클립 요소(134)가 조립될 때 제1 부품(300)에 대향하고/하거나 수용하는 제2 부품(301)의 측면일 수 있다.
제2 부품(301)의 접힘 측벽은 클립 요소(134)의 조립 시 제1 부품(300)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제2 부품의 내측 공간을 획정한다. 제1 부품(300) 및 제2 부품(301)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특히, 제2 부품(301)을 제1 부품(300) 상으로 클립 결합하기 위해, 제1 부품(300)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2 부품(301) 내부로 도입된다. 제1 부품(300)의 상측은 제2 부품(301)의 접힘 측벽 사이에 수용된다. 특히, "I" 형상 제1 부품(300)의 상부 수평 스트로크가 제2 부품(301)의 접힘 측벽(302) 사이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도입된다. 제2 부품(301)의 접힘 측벽은, 이에 따라, 제1 부품(300)을 제2 부품(301)에 대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한다. 부품(300, 301)의 디자인은, 제1 부품(300)이 접힘 측벽을 지나 삽입될 때, 특히 제2 부품(301)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제2 부품(301)은 단면도로 볼 때 C형 부분을 형성한다 (도 36 및 도 37 참조). 제2 부품(301)이 제1 부품(300) 상으로 클립 결합될 때, 이는 C'의 선단의 비교적 많은 양의 유연성을 허용한다. 제1 부품(300)은 압축 시 고체 블록으로서 작용한다. 일단 삽입되면, 제2 부품(301)은 보유를 위해 되튀어 오를 수 있다.
90도에 비하여 큰 측벽의 접힘으로 인해, 제2 부품(301)은 일단 제1 부품(300) 위에 압입되면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품(301) 및 제1 부품(300)이 서로 연결되기 전에, 클립 요소(134)의 제1 부품(300)이 캡(120)에 고정된다. 클립 요소(134), 특히, 제1 부품(300)을 캡(120)에 고정하기 위해, 제1 부품(300)은, 예를 들면, 도 26 및 도 31에서 볼 수 있는 안내 요소(150)를 포함한다. 안내 요소(150)는 상술한 곡률의 내부에서 제1 부품(300)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된다. 안내 요소(150)는 제2 부품(301)으로부터 외면하는 제1 부품(300)의 아래측에 배치된다. 클립 요소(134)가 안내 요소(150)를 수용하는 요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클립 요소(134) 또는 장치(1)의 종축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 요소(150)는 레일을 구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요소(150)는 클립 요소(134)의 제1 부품(300)의 축 방향 연장부의 절반에 비하여 적게 연장된다. 안내 요소(150)는 전술한 안내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는 T 형상 단면을 포함한다(또한, 도 29 참조). T 형상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안내 요소(150)는 수용부(152)를 포함한다(도 26 참조). 수용부(152)는 T 형상 부분의 "T"의 수평 스트로크 또는 바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부(152)는, 예를 들면, 캡 조립체(200)의 내부에서, 클립 요소(134)가 장착될 부품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 또는 개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도 29 및 도 30 참조).
또한, 안내 요소(150)는 안내부(158)를 포함한다(도 26 참조). 안내부(158)는 안내 요소(150)의 T 형상 부분의 "T"의 수직 스트로크 또는 바를 구성한다. 안내부(158)는 제1 부품(130)의 세장형 메인 몸체("I"의 상부 수평 스트로크)를 수용부(152)와 연결하는 웹(web)일 수 있다. 안내부(158)는 또한, 예를 들면, 전술한 캡 조립체(200) 내에서, 클립 요소(134)가 장착될 부품의 하나 이상의 개구에 의해 수용될 수 있거나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 요소(134)는, 특히, 안내 요소(150)는 연결 특징부(154)를 포함한다. 연결 특징부(154)는 제1 부품(130)의 아래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특징부(154)는 제1 부품(300) 및 캡(120)을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내측 부분 또는 캡 요소(131)(도 28 참조)의 대응 연결 특징부(170)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특징부(154)는 안내 요소(150)의 근위단 부분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 특징부(154)는 안내 요소(150)의 원위면을 더 포함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연결 특징부는 내측 캡 요소(131)로의 스냅 결합 연결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부품(300)은 특징부(156)를 더 포함한다. 특징부(156)는, 제1 부품(300)의 종축(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음)에 수직하는 법선을 갖는 반경 방향 면과, 제조 및 조립 시의 공차로부터 유발되는 클립 요소(134)의 제1 부품(300) 및 외측 부분(130) 사이의 임의의 간극을 숨기거나 덮도록 설계되는 종 방향 면을 포함한다. 특징부(156)는 공칭 공차 조건에 인접한 경우에 비하여 작은 양의 유격이 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특징부(156)는 예를 들면, 캡 조립체(200) 내에서, 클립 요소(134)가 장착될 대응 부품 중 하나 이상의 유격이 작은 양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30 참조).
뿐만 아니라, 클립 요소(134), 특히, 제1 부품(300)은 부착 특징부(160)를 포함한다. 부착 특징부(160)는 추가적인 부품(도 27의 함몰부(166) 참조)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특징부(160)는 범프 또는 핍(pip)을 포함한다. 부착 특징부(160)는 안내 요소(150)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1 부품(300) 및/또는 클립 요소의 근위단 가까이에 배치된다. 부착 특징부는 제2 부품(301)으로부터 외면하는 제1 부품(300)의 아래측에 배치된다. 부착 특징부(160)는, 바람직하게는, '핀치 지점'을 생성하기 위해 기계적 접촉 또는 밀착 근접성에 의해 외측 부분(130)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조립체(200) 또는 장치(1)의 사용자의 셔츠 포켓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로의 캡 조립체(200) 또는 약물 전달 장치(1)의 고정 및 부착이 용이해질 수 있거나 보조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계적 접촉은 마찰 또는 파지력(grip force)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요소로의 캡 조립체(200)의 부착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7은 상술한 외측 캡 요소일 수 있거나 이와 관련될 수 있는 외측 부분 또는 외측 캡 요소(13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외측 부분(130)은 세장형 형상을 포함한다. 외측 부분(130)은 슬리브 형상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부분(130)은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외측 부분(130)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딥 드로잉에 의해 형성되거나 제작된다. 외측 부분(130)은 전술한 개구(164)를 더 포함한다. 개구(164)는 외측 부분(130)의 원위단에 배치된다. 개구(164)는, 바람직하게는, 펀칭에 의해 외측 부분(130)으로 형성된다. 외측 부분(130)은 도 27에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은 근위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의해 설명된 안내 요소(150)에 대응하는 대응 안내 특징부(162)가 개구(164) 내에 형성된다. 대응 안내 특징부(162)는 (개구(164)로부터 비롯하여) 외측 부분(130)의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대응 안내 특징부(162)는 가이드 슬롯일 수 있다. 대응 안내 특징부(162)는 안내 요소(150)의 안내부(158)가 대응 안내 특징부(162) 내에 배치되도록 안내부(158)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 요소(150)가 개구(164)에 도입될 수 있거나 수용될 수 있도록, 개구(164), 대응 안내 특징부(162) 및 클립 요소(134)가 구성된다. 특히, 개구(164)로의 안내 요소(150)의 도입 후, - 예를 들면, 캡 조립체(200)의 조립 중 - 제1 부품(300)이 근위로 밀리면, 안내부(158)가 대응 안내 특징부(162)에 수용되거나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부(152)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개구(164)의 나머지에 수용되고 외측 부분(130) 및/또는 내측 부분(131) 내부에 배치된다(도 29 및 도 30 참조).
외측 부분(130)은 전술한 함몰부(166)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부품(300) 및 외측 부분(130)이 조립될 때, 함몰부(166)는 클립 요소(134)의 상술한 부착 특징부(160)를 수용하거나 이와 상호 작용한다(아래의 도 29 및 도 30 참조). 바람직하게는, 부착 특징부(160)는 함몰부(166) 내부로 연장되고/되거나 함몰부(166) 내에서 외측 부분(130)과 접촉한다. 함몰부(166)는, 외측 부분(130)의 종축을 따라 개구(164)로부터 축 방향으로, 특히, 근위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함몰부(166)는 부착 특징부(160)에 따르는 형상을 가지며, 즉, 부착 특징부(160)의 전술한 범프와 유사한 곡률을 갖는 형상을 갖는다(도 26 참조).
도 28은 내측 부분(131)의 사시 평면도를 도시한다. 내측 부분(131)은 슬리브일 수 있고 외측 부분(130) 내부로 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부분(131)은 대응 연결 특징부(170)를 포함한다. 제1 부품(300)의 연결 특징부(154) 및 대응 연결 특징부(17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부품(300)이 내측 부분(131)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특징부(154)에 대응 연결 특징부(170)가 대응한다(도 30 참조). 대응 연결 특징부(170)는 내측 부분(131)의 근위면을 구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부분(131)은 개구(172)를 더 포함한다. 개구(172)는 내측 부분(131)의 원위단에 배치되거나 이와 가깝게 배치된다. 개구(172)는 또한 외측 부분의 개구(164)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27 참조). 안내 요소(150)에 대응하는 대응 안내 특징부(172a)가 개구(172) 내부에 형성된다.
도 29는 캡 조립체(200)의 일부의 개략적인 부분을 도시한다(도 30도 참조). 조립체(200)는 전술한 클립 요소(134) 및 외측 부분(130) 및 내측 부분(131)을 포함한다. 도 29는 조립된 상태의 전술한 부품을 도시한다. 캡 조립체(200) 내측이 바닥에 도시되며, 외측 부분이 도 29에 도시된 부분의 상부에 도시된다. 도시된 상황에서는, 내측 부분(131)이 외측 부분(130) 및 클립 요소(134)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되며, 안내 요소(150)는 외측 부분(130)의 개구(164)를 통하여, 바람직하게는, 또한 내측 부분(131)의 개구(172)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를 위해, 캡 조립체(200) 내에서 개구(164, 172)가 중첩될 수 있다. 안내 요소(150)가 상술한 바와 같이 T 형상 부분("T"가 아래 위로 뒤집어져 도시됨)을 포함하는 것이 도 29에 더 도시된다. 제1 부품(300)의 전체의 단면이,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I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내부(158)는 대응 안내 특징부(162) 내에 배치된다(도 29도 참조). 안내 요소(150), 특히, 수용부(152)는, 예를 들면, 외측 부분(130) 및/또는 내측 부분(131)에 대한 클립 요소(134)의 (외측) 반경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수용부(152)가 대응 안내 특징부(162)를 반경 방향으로 지나거나 통과하게 하는 데에 있어 대응 안내 특징부(162)가 지나치게 좁기 때문이다.
도 30은 캡 조립체(200)의 부분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캡 조립체(200)는 종축(X)을 포함한다. 종축(X)은 클립 요소(134), 외측 부분(130) 및 내측 부분(131)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거나 공선형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카트리지 홀더(180)를 도시하는 도 30에는 캡 조립체(200)가 부착되는 약물 전달 장치가 도시된다.
클립 요소(134)는 내측 부분(131)의 개구(172) 및 외측 부분(130)의 개구(164)를 폐쇄하여, 캡 조립체(200)의 둥근 형상이 그 결과로서 형성된다. 연결 특징부(15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 부분(130)의 개구(164) 및 내측 부분(131)의 개구(172)(개구는 도 30에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음) 내에 배치된다. 특히, 안내 요소(150)의 수용부(152)가 외측 부분(130) 내부 및 또한 내측 부분(131) 내부에 배치되도록, 대응 안내 특징부(162)는 수용부(15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클립 요소(134), 특히, 그의 제1 부품(300) 및 내측 부분(131)이 서로 연결된다. 특히, 클립 요소(134), 특히, 제1 부품(300) 및 내측 부분(131)이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도록, 연결 특징부(154)가 스냅 상호 작용을 통하여 대응 연결 특징부(170)와 상호 작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에 접한다. 연결 특징부(154)의 원위면 및 대응 연결 특징부(170)의 근위면이 접함에 따라, 클립 요소(134) 및 내측 부분(131)이, 바람직하게는, 신뢰할 수 있게 서로 연결된다. 전술한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또는 연결 중, 제1 부품(300) 및 내측 부분(131)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약간 변형될 수 있다. 내측 부분(131)이 외측 부분(130) 내부에 유지되도록, 연결 특징부(154)는 외측 부분(130)에 대한 내측 부분(131)의 (즉, 도 30의 우측으로의) 근위 이동을 차단한다.
전술한 특징부(156)는 (공칭 공차 조건 하에서) 내측 부분(131)의 원위면 및 외측 부분(130)의 원위면 및 반경 방향 면(이들 면이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음)에 대하여 작은 양의 유격으로 배치된다. 도 30에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클립 요소(134)의 부착 특징부(160)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부분(130)의 함몰부(166)에 기계적으로 접촉하거나 밀접하게 놓인다(상술한 설명 참조).
또한, 예를 들면, 캡 조립체(200)가 적용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의 추가적인 부품이 도시된다. 이러한 부품은 약물(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음)을 유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홀더(180)와 연관된다. 또한,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홀더(180)로부터의 약물로 유체 연통되는 주사 니들(182)이 도시된다. 내측 부분(131)이 니들(182), 내측 니들 커버 및 또한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홀더(18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 도시된다.
내측 부분은, 유리하게는, 간단한 개방-차단(open-shut) 사출 성형 공구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하거나 후술하는 개념 모두는 캡 또는 캡 조립체와 연관되는 개념에 관한 것이라면 특별히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인지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때때로 상이한 표현으로 동일한 요소를 다룰 수 있으며, 상이한 표현은, 물론, 본원에서 약간 상이하게 취급된다는 사실만으로 상이한 요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캡(120)(도 3 참조)은 캡 조립체(200)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홀더(180)는 카트리지(81) 및/또는 카트리지 홀더(80)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캡의 금속 요소는 외측 부분(130)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캡의 플라스틱 요소는 내측 부분(131)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외측 캡 요소는 외측 부분(130)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내측 캡 요소는 외측 부분(131)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개구(135)는 개구(164)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열거에서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은 요소는 상이한 표현으로 취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캡 조립체 또는 캡을 조립할 때, 캡의 부품, 예를 들면, 내측 및 외측 캡 요소(130, 131)를 서로에 대하여 정의된 상대 각도 배향으로 재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아래에서, 도 40 내지 도 43과 함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캡 또는 캡 조립체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여기에서,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아래에 개시된 캡 조립체의 부품은 상술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캡 조립체에 대해 아래에 개시된 특징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다른 캡 또는 캡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0은 분해된 상태에 있는 캡 조립체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 40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캡 조립체용 부품은 본원에서 상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측 캡 요소(131)로도 지정되는 제1 캡 부품과, 본원에서 상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측 캡 요소(130)로도 취급되는 제2 캡 부품을 포함한다. 그리고, 캡 조립체용 캡 부품은 본원에서 상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 요소(134)로도 참조되는 제3 캡 부품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캡 부품은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캡 부품은 제2 캡 부품에 수용되고 고정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면, 도 42a 및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 조립체의 조립을 위해, 제1 캡 부품(131)은 고정구(fixture)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캡 부품(130), 예를 들면, 딥 드로잉(deep-drawn) 금속 부품은 정의된 단부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제1 캡 부품 위에서 안내된다.
도 40에서 알 수 있듯이,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인 제1 캡 부품(131)은 가이드 트랙(401), 예를 들면, 홈을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축 방향으로 배향된다. 가이드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제1 캡 부품(131)의 부분에 배치된다. 가이드 트랙은 제1 캡 부품(131)의 종축(X)에 평행하거나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가이드 트랙의 영역에서, 캡 부품(131)은 축(X)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지 않거나 상당히 넓어지지 않는다. 캡 부품의 상이한 영역에서, 예를 들면,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는 영역과 축 방향으로 중첩하는 영역(402) 및/또는 비-중첩 영역에서, 축(X)을 따라 보이는 바와 같이, 캡 부품, 특히, 외면은 가이드 트랙(401)을 갖는 영역에 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더 넓어질 수 있다.
가이드 트랙(401)은, 바람직하게는, 제1 캡 부품(131)의 원위단 및/또는 근위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영역에 구비된다. 즉, 트랙의 시작부 및/또는 종료부는 캡의 근위단 및/또는 원위단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401)은 개구(172)에 대하여 및/또는 캡 부품의 원위단 또는 원위단 가까이에 구비되는 안내 특징부(172a)에 대하여 근위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안내 특징부(172a)는, 위에서 더 개시된 바와 같이, 제3 캡 부품, 즉, 클립 요소(134)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트랙(401)은 또한 제1 캡 부품(131)의 근위 개구로부터 원위로 오프셋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 및 안내 특징부(172a)는 서로에 대하여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 및 안내 특징부(172a)는 공통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트랙(401)은 안내 특징부(172a)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향,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더 개시된 바와 같이, 제3 캡 부품(134)은, 예를 들면, 제3 캡 부품 및 제1 캡 부품(131) 사이에 구비되는 스냅 결합(snap-fit)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캡 부품에 고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 캡 부품은 가이드 특징부(403)(도 42a에 가장 잘 도시됨)를 포함한다. 가이드 특징부(403)는 제2 캡 부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된다. 가이드 특징부는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가이드 트랙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제2 캡 부품(130)은 위에서 이미 더 설명된 안내 특징부(162)를 더 포함한다. 안내 특징부는 근위 방향으로 개구(164)로 이어진다. 안내 특징부(162)는 축 방향으로 배향된다. 2개의 캡 부품(130, 131)이 서로 조립되면, 안내 특징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적절하게 배향되고/되거나 가이드 트랙(401) 및/또는 안내 특징부(172a)로서 대응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캡 부품은 위에서 더 개시된 바와 같은 함몰부(166)를 더 포함한다. 제2 캡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제조된다. 다단 딥 드로잉 공정의 일부로서 발생하는 가압 작동에 의해 함몰부(166)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부(166)의 영역에서, 제2 캡 부품의 내면 상에, 가이드 특징부(403)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적절하게는 함몰부의 상보적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면, 이 둘 모두는 반구형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특징부(403)는 가이드 트랙(401)의 베어링면(들) 또는, 예를 들면, 홈의 측벽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3 캡 부품(134)이 제1 캡 부품(131)에 연결되면, 제3 캡 부품의 범프 또는 핍(pip)(404)은 함몰부(166)(도 43 참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안내 특징부(172a)는 제3 캡 부품(134)의 고정 특징부,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된 연결 특징부(154)를 제1 캡 부품(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절한 고정 특징부로 안내하는 고정 가이드 트랙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캡 부품(134)이 제1 캡 부품(131)에 고정되면, 제2 캡 부품(130)은 캡의 나머지 2개의 부품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캡 부품(131, 130)은 서로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정됨으로써, 이들의 단면은, 제1 및 제2 캡 부품이 특정 상대 각도 위치 또는 배향을 가질 때만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단면에 의해, 적어도 특정 종류의 예비 정렬이 제공될 수 있다. 예비 정렬은 적절하게는 적어도 가이드 특징부(403) 및 가이드 트랙(401)이 협력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면, 제1 캡 부품의 외측 단면 및 제2 캡 부품의 내측 단면은 그 형상면에서 서로 적당하거나 어울리도록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이들이 정확한 배향을 가질 때만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조립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면은 적절하게는 원형이 아니라, 2개의 캡 부품 사이에 회전 구속된 계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1 캡 부품의 영역(404)의 단면의 외면을 제2 캡 부품의 영역(405)의 단면의 내면에 일치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조립 공정 중, 안내 계면이 설정되기 전에, 영역(404, 405)의 표면이 협력하여, 예를 들면, 회전 구속된 계면을 형성하도록, 영역(404, 40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405)은 가이드 특징부(403)로부터 근위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영역(404)은 가이드 트랙(401)의 원위단으로부터 원위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401)은, 예를 들면, 그 원위단 영역(406)에서, 가이드 특징부(403)가 약간 잘못 배향되더라도 이를 용인하는 리드 인(lead-in)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의 추가적인 경로에서, 가이드 특징부(403)는 리드 인 영역에 비하여 보다 긴밀하게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가이드 특징부(403)에 접하도록 설계되는 단부 정지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정지부는 조립 공정 중 축 방향 단부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단부 정지부(407)의 영역에서, 가이드 트랙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곡률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특징부 중 하나와 일치한다. 이는 단부 위치에서 2개의 캡 부품 사이에 넓은 면적의 베어링면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가이드 트랙(401)은 후술하는 값과 같거나 큰 길이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0.25*L, 0.3*L, 0.35*L, 0.4*L, 0.5*L, 0.55*L.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이드 트랙(401)은 후술하는 값과 같거나 작은 길이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0.8*L, 0.7*L, 0.6*L. "L"은 제1 캡 부품, 제2 캡 부품 또는 캡 또는 캡 조립체의 길이이다. 가이드 특징부(403)는 가이드 트랙의 축 방향 연장부에 비하여 작은, 특히, 가이드 트랙(401)의 축 방향 연장부의 4분의 1에 비하여 작은 길이에 걸쳐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특징부(403)는 0.5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으로 각각의 캡 부품의 메인 몸체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가이드 특징부는 캡 또는 제2 캡 부품의 근위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제1 또는 제2 캡 부품의 원위단으로부터의 안내 특징부(172a 또는162)의 근위단의 거리에 비하여 크다.
캡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 가이드 특징부(403) 및 가이드 트랙(401)이 기계적으로 협력하도록 제1 캡 부품(131) 및 제2 캡 부품(130)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먼저, 가이드 특징부(403) 및 가이드 트랙(401)의 예비 정렬을 확보하기 위해 영역(405, 404)에서 캡 부품의 표면이 상호 작용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특징부(403)가 가이드 트랙(401)의 리드 인 영역과 협력할 수 있는 것을 적어도 확보한다. 대안적으로, 예비 정렬이 가이드 특징부(403)가 가이드 트랙(401)과 항상 계합하는 것을 확보하기에 충분히 정확하다면, 리드 인 영역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단 리드 인 영역을 지나면, 제1 및 제2 캡 부품 사이의 축 방향 이동은 가이드 특징부 및 가이드 트랙에 의해 형성되는 축 방향 안내 계면에 의해 축 방향으로 긴밀하게 안내되어, 2개의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안내 특징부(162)가 제3 캡 부품의 연결 특징부(154)를 적절하게 제1 캡 부품(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대응하는 고정 특징부로 안내하여, 이러한 특징부가 제1 및 제3 캡 부품을 연결하도록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이 확보될 수 있다. 이는 캡이 신뢰할 수 있게 조립되는 것을 확보한다. 이러한 계면 없이는, 상당한 상대 회전이 계속 가능할 수 있어, 도입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캡 부품의 고정 특징부가 신뢰할 수 있게 상호 작용할 수 없다. 안내 계면을 통한 보다 긴밀한 축 방향 안내는 캡 부품이 정의된 상대 위치를 갖는 것을 확보한다. 조립 공정이 종료되기 직전인 상황이 부분 단면도로서 도 42a에 도시되며 측면도로서 도 42b에 도시된다. 제2 캡 부품은 제1 캡 부품에 대하여 그 단부 위치에 거의 도달하였다. 단부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안내 계면이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다. 적절하게는, 단부 위치에 도달된 것을 나타내도록, 가이드 특징부(403)가 단부 정지부(407)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43에서, 내부에 가이드 특징부(403)를 동시에 정의하는 함몰부(166)에서 클립 요소의 범프 또는 핍(404)이 어떻게 정지하는 지가 곧바로 명백하다. 가이드 특징부의 곡면(들)은, 가이드 특징부가 가이드 트랙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상이한 지점이 곡면의 반경 방향 연장부를 따라 존재함에 따라, 가이드 특징부가, 그 곡면에서, 일부 제조 공차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가이드 트랙이 또한 제2 캡 부품에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 특징부가 제1 캡 부품에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인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캡 부품의 내면에 가이드 트랙으로서 홈을 정의하기 위해 외면에 릿지가 형성된다면, 반구형 가이드 특징부를 정의하는 것으로 반구형 함몰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캡의 심미적인 외관이 그대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 트랙이 제1 캡 부품에 구비되고 가이드 특징부가 제2 캡 부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캡 부품(이는 추후에 캡 또는 캡 조립체의 외측 쉘을 형성한다)의 제안된 디자인은, 딥 드로잉 이후 부품에 추가될 임의의 이차적인 형성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제2 캡 부품이 딥 드로잉용으로 설계된 단일 프레스 상에서 금속 또는 금속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공정의 출력을 최대화하여, 심미성 및 지각된 품질을 희생하지 않고, 저비용 약물 전달 장치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형성된 안내 계면에 의해, 캡 부품의 정의된 각도 배향이 확보될 수 있다.
보호 범위는 상술한 본원에 제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각각의 새로운 특성 및 특성의 각각의 조합으로 구현되며, 이는 특히,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이 청구범위 또는 실시예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청구범위에 기재된 임의의 이러한 특징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1 약물 전달 장치
10 외부 하우징부
11 원위부
12 회전이 어려운 정지부/정지 특징부/제2 회전 정지부
13 개구
20 내측 몸체/하우징
21 수 나사산
22 스플라인
23 베이어닛 특징부
24 윈도우 보유 노우즈/유지 수단
25 정지면/제1 회전 정지부
30 피스톤 로드
31 베어링
32 수 나사산/제1 외측 나사산
33 수 나사산/제2 외측 나사산
40 드라이버
41 원위 드라이버부/개별 부품/원위부/제1 부품
42 근위 드라이버부/개별 부품/근위부/제2 부품
43 커플러
44 수 나사산/나선형 홈
45 정지면
46 스플라인
47 치형 특징부
48 핑거/유연성 아암
49 베어링면
50 투여량 너트
51 정지면
52 외부 리브
53 암 나사산
60 디스플레이 부재
61 넘버 슬리브/제1 부품
62 다이얼 슬리브/다른 부품
63 정지면
64 나선형 구동면/돌출 나사산
65 클러치 특징부/치형
66 베어링면/플랜지/접촉 특징부
67 반대면
68 래칫 아암/분주 클리커/클리커 특징부
70 버튼
71 래칫 치형/분주 클리커/클리커 치형
72 단부면
73 아암/핑거
74 스냅 특징부
80 카트리지 홀더
81 카트리지
82 베이어닛 연결
83 개구
84 원위단
90 클러치
91 구동 슬리브 스플라인
92 클러치 편향 치형
93 스냅 개구/스냅 특징부
94 스플라인
95 클러치 치형
100 클리커
101 원위 클리커부/제2 치형 요소
102 근위 클리커부/제1 치형 요소
103 스프링
104 스플라인
105, 106 클리커 치형
107 외부 스플라인
108 형상 스플라인
109 클러치 편향 치형
110 스프링
120 캡
230 윈도우
101 원위 클리커부
102 근위 클리커부
130 외측 부분/캡의 금속 요소/외측 캡 요소
131 내측 부분/캡의 플라스틱 요소/내측 캡 요소
132 외측 하우징부의 금속 요소
133 외측 하우징부의 플라스틱 요소
134 고정 요소/클립 요소
135 캡의 개구
136 외측 하우징부의 개구
137 (캡의) 단부면
141 근위부
143 캐비티
147 에지
149 캡 스냅 수단
151 변형 가능 영역
153 내부 범프 특징부
155 캡 보유 특징부
157 상승부
161 접힘 단부
171 캐비티
173 근위단
150 안내 요소
152 수용부
154 연결 특징부
156 특징부
158 안내부
160 부착 특징부
162 대응 안내 특징부
164 개구(외측 부분)
168 고정부
166 함몰부
170 대응 연결 특징부
172 개구(내측 부분)
172a 안내 특징부
180 카트리지/카트리지 홀더
182 주사 니들
200 캡 조립체
300 제1 부품
301 제2 부품
302 유지 특징부
303 선단
304 캐비티/유격 영역
401 가이드 트랙
402 영역
403 가이드 특징부
404 영역
405 영역
406 원위단 영역
X 종축

Claims (17)

  1. 약물 전달 장치(1)용 다수 부분 캡 조립체(120, 200)로서,
    - 제1 캡 부품(131), 및
    - 제2 캡 부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 부품은 상기 제2 캡 부품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40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403)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트랙 및 상기 가이드 특징부는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트랙(401)은 상기 제1 캡 부품(131)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특징부(403)는 상기 제2 캡 부품(130)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특징부는 상기 제2 캡 부품의 내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캡 부품(130)의 외면은 함몰부(166)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에 의해 정의되는, 캡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부품(131) 및 상기 제2 캡 부품(130)은, 상기 안내 계면 외에, 상기 제1 캡 부품이 상기 제2 캡 부품에 조립될 수 있는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의 상대 각도 배향이 한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서로 조립될 수 있는 상대 각도 배향은 배향 각도의 범위로 한정되고,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각도의 제한된 범위로 상기 상대 회전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도의 제한된 범위는 상기 배향 각도의 범위의 부분 집합(subset)인, 캡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캡 조립체는 상기 제1 캡 부품에 구비되는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에 의해 상기 제1 캡 부품(131)에 고정되는 제3 캡 부품(1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는 상기 제3 캡 부품을 상기 제1 캡 부품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3 캡 부품에 구비되는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154)와 협력하도록 설계되고 배치되며, 상기 제2 캡 부품은 상기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로의 상기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가이드 트랙(172a)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부품(131) 및 상기 제2 캡 부품(130)은, 상기 안내 계면 외에, 상기 제1 캡 부품이 상기 제2 캡 부품에 조립될 수 있는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의 상대 각도 배향이 한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캡 부품이 서로 조립될 수 있는 상대 각도 배향은 배향 각도의 범위로 한정되고,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각도의 제한된 범위로 상기 상대 회전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도의 제한된 범위는 상기 배향 각도의 범위의 부분 집합(subset)이고,
    상기 제3 캡 부품 고정 특징부(154) 및 상기 제1 캡 부품 고정 특징부는 상대 각도 배향의 고정 범위에 배치될 때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 범위는 상기 각도의 제한된 범위에서 상기 상대 각도 배향을 완전히 커버하되 상기 배향 각도의 범위에서 상기 상대 각도 배향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는, 캡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 트랙(172a) 및 상기 가이드 트랙(401)은 공통 평면에서 연장되는, 캡 조립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부품(131)은 슬리브 형상 부품이고, 상기 제2 캡 부품(130)은 슬리브 형상 부품이고, 상기 제3 캡 부품(134)은 클립 요소이고, 상기 제2 캡 부품은 상기 캡 조립체의 외면을 형성하는, 캡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 부품(130)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며 딥 드로잉 부품인, 캡 조립체.
  8.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캡 부품(134)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166) 내에 배치되는, 캡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특징부(403)는 상기 가이드 트랙(401)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하나 이상의 곡면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401)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가이드 트랙인, 캡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부품(131) 및 상기 제2 캡 부품(130)은 상대 회전 및 축 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서로 고정되는, 캡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를 조립할 때, 상기 제1 캡 부품은 제2 캡 부품의 근위 개구를 통하여 제2 캡 부품에 도입될 수 있는, 캡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제3 캡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캡 부품(134)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166) 내에 배치되는, 캡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캡 조립체(120, 200)와, 복수의 투여량의 약물을 포함하는 카트리지(81)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1)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1)용 다수 부분 캡 조립체(120, 200)를 조립하기 위한 키트로서,
    캡 조립체로 조립될 수 있는 제1 캡 부품(131) 및 제2 캡 부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 부품은 상기 제2 캡 부품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캡 부품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40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403)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트랙 및 상기 가이드 특징부는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키트.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1)용 다수 부분 캡 조립체(120, 200)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 제1 캡 부품(131)을 제공하는 단계,
    - 제2 캡 부품(132)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중 하나는 가이드 트랙(40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 특징부(403)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트랙 및 상기 가이드 특징부는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사이에 축 방향 안내 계면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은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단계,
    -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제2 캡 부품 내에 상기 제1 캡 부품을 도입하고,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을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단부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이동은 상기 축 방향 안내 계면에 의해 안내되는 단계, 및
    - 상기 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1 캡 부품 및 상기 제2 캡 부품을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삭제
KR1020197028976A 2017-03-07 2018-03-07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54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9861A KR102592490B1 (ko) 2017-03-07 2018-03-07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9522.6 2017-03-07
EP17159522 2017-03-07
PCT/EP2018/055544 WO2018162523A1 (en) 2017-03-07 2018-03-07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kit for assembling a cap, method for assembling a cap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cap assembl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861A Division KR102592490B1 (ko) 2017-03-07 2018-03-07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310A KR20190123310A (ko) 2019-10-31
KR102544588B1 true KR102544588B1 (ko) 2023-06-19

Family

ID=582615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861A KR102592490B1 (ko) 2017-03-07 2018-03-07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197028976A KR102544588B1 (ko) 2017-03-07 2018-03-07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861A KR102592490B1 (ko) 2017-03-07 2018-03-07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344680B2 (ko)
EP (1) EP3592407A1 (ko)
JP (1) JP7105243B2 (ko)
KR (2) KR102592490B1 (ko)
CN (1) CN110382025B (ko)
AR (1) AR111327A1 (ko)
AU (1) AU2018229746B2 (ko)
IL (1) IL269115B2 (ko)
MX (1) MX2019010597A (ko)
TW (1) TWI757445B (ko)
WO (1) WO2018162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2407A1 (en) 2017-03-07 2020-01-1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kit for assembling a cap, method for assembling a cap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cap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883A (ja) * 2001-09-25 2003-04-03 Kotobuki:Kk 内軸を外軸に取り付ける取付方法及び内軸の外軸への取付構造
US20100067971A1 (en) 2008-09-17 2010-03-18 Beifa Group Co., Ltd.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lidable cap
WO2012049147A1 (en) 2010-10-12 2012-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WO2015085068A1 (en) 2013-12-05 2015-06-11 Becton, Dickinsion And Company Pen needle outer cover concepts
JP2016531682A (ja) * 2013-08-29 2016-10-13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163A (ja) 1993-03-05 1994-09-13 Oda Kanichi スライドをする二重構造の注射針と一体の注射針用キャップ
JP3650900B2 (ja) * 1996-03-27 2005-05-25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等のキャップ
US8277421B2 (en) * 2007-07-23 2012-10-02 Terumo Kabushiki Kaisha Drug solution injector
JP2013528086A (ja) * 2010-06-11 2013-07-08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アセンブリ及び薬物送達デバイス
RU2013136400A (ru) * 2011-01-04 2015-02-10 Санофи-Авентис Дойчланд Гмбх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заполненного шприца и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AR086257A1 (es) * 2011-05-06 2013-11-27 Sanofi Aventis Deutschland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y soporte de cartucho para un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US9278179B2 (en) * 2012-06-20 2016-03-08 Safety Syringes, Inc. Contact trigger release needle guard with elastic spring
GB201314381D0 (en) 2013-08-12 2013-09-25 Ucb Pharma Sa Injector
CN105492049B (zh) * 2013-08-29 2019-11-08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药物输送装置的盖组件和药物输送装置
EP2878323A1 (en) * 2013-11-28 2015-06-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having a needle shield with needle cap remover
US10342925B2 (en) * 2014-01-27 2019-07-09 Ucb Biopharma Sprl Auto-injector
GB201507981D0 (en) * 2015-05-11 2015-06-24 Owen Mumford Ltd Needle assemblies
JP2019509799A (ja) * 2016-02-25 2019-04-11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軸線方向に移動可能なシールドを有する医療用注射デバイス
EP3592407A1 (en) 2017-03-07 2020-01-1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kit for assembling a cap, method for assembling a cap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cap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883A (ja) * 2001-09-25 2003-04-03 Kotobuki:Kk 内軸を外軸に取り付ける取付方法及び内軸の外軸への取付構造
US20100067971A1 (en) 2008-09-17 2010-03-18 Beifa Group Co., Ltd.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lidable cap
WO2012049147A1 (en) 2010-10-12 2012-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JP2016531682A (ja) * 2013-08-29 2016-10-13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キャップ
WO2015085068A1 (en) 2013-12-05 2015-06-11 Becton, Dickinsion And Company Pen needle outer cover concep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2407A1 (en) 2020-01-15
KR20230093355A (ko) 2023-06-27
CN110382025A (zh) 2019-10-25
IL269115B1 (en) 2023-07-01
IL269115A (en) 2019-11-28
TWI757445B (zh) 2022-03-11
US11344680B2 (en) 2022-05-31
US20200001020A1 (en) 2020-01-02
RU2019131373A3 (ko) 2021-07-12
RU2019131373A (ru) 2021-04-07
WO2018162523A1 (en) 2018-09-13
AU2018229746A1 (en) 2019-10-24
AU2018229746B2 (en) 2023-10-12
IL269115B2 (en) 2023-11-01
JP2020510482A (ja) 2020-04-09
BR112019016780A2 (pt) 2020-03-31
KR102592490B1 (ko) 2023-10-23
TW201842942A (zh) 2018-12-16
CN110382025B (zh) 2022-04-26
MX2019010597A (es) 2019-10-15
AR111327A1 (es) 2019-07-03
JP7105243B2 (ja) 2022-07-22
KR20190123310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5012B (zh) 用於藥物輸送裝置之組件、藥物輸送裝置及製造用於藥物輸送裝置之組件的方法
JP2016531682A (ja)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キャップ
US10617829B2 (en)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KR10240509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254458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캡 조립 키트, 캡 조립 방법 및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410824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버튼 및 약물 전달 장치용 버튼의 조립 방법
RU2773615C2 (ru) Колпачок в сборе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набор для сборки колпачка,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олпач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содержащее колпачок в сбор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