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888B1 -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888B1
KR102543888B1 KR1020200095002A KR20200095002A KR102543888B1 KR 102543888 B1 KR102543888 B1 KR 102543888B1 KR 1020200095002 A KR1020200095002 A KR 1020200095002A KR 20200095002 A KR20200095002 A KR 20200095002A KR 102543888 B1 KR102543888 B1 KR 10254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ling
temperature
thermoelectric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022A (ko
Inventor
박세훈
윤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엘
Priority to KR102020009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8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110)과, 상기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부(100)이 복수로 배치되고,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설치되며, 제1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제1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냉각유로(CF)가 설정된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측정온도가 세팅된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와,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한 후, 상기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세팅된 설정습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thermoelectric modu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열전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전모듈이란 양단에 직류(DC)를 인가하면 일단이 발열하고 타단이 흡열하는 펠티어(Peltier) 효과를 가지는 다수개의 열전소자를 직렬로 연결하여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여 열전공조기 또는 가열장치 등으로 사용되는 모듈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열전모듈은 흡열되는 흡열부 또는 발열되는 방열부로 이루어지며, 열전공조기 또는 가열장치로 활용될 때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흡열부 또는 방열부에 방열핀, 방열블록 등 방열부재가 결합된다.
종래의 열전공조기의 예로서, 특허문헌 1 내지 3 등이 있다.
예로서, 특허문헌 1 내지 3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경우 흡열부 및 방열부를 구비하고, 흡열부에 공기를 통과시켜 냉방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열전공조기는, 열전모듈, 열전모듈의 방열부에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 열전모듈의 흡열부에 결합되는 제2열교환부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복수의 세트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종래의 열전공조기는, 제습모드 수행시 제습효과를 얻기 위하여 제2열교환부를 통과하는 풍량이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냉방모드 및 제습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냉방모드 및 제습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열전공조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제습모드 실행시 풍량의 최소화로 냉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제습모드 실행시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3-0085633 A
(특허문헌 2) KR10-1185567 B1
(특허문헌 3) KR10-201245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습모드 수행시 주변온도의 상승을 최소화하여 냉방 및 제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110)과, 상기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부(100)이 복수로 배치되고,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설치되며, 제1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제1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냉각유로(CF)가 설정된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측정온도가 세팅된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와,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한 후, 상기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세팅된 설정습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에서, 상기 냉각유로(CF)의 공기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일부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아 냉방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 제습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에서의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은,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에서의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의 7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상기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순차적으로 흐르며,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흐름방향은, 상기 냉매의 흐름방향과 서로 반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는, 제2공간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의 주변으로 흘러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냉각한 후 상기 제2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부(120) 내부에 형성된 냉매유로를 따라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는,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 열전모듈의 방열부 및 흡열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부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제2열교환부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열전모듈부의 제2열교환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제2열교환부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로의 냉각을 수행하는 냉방모드를 먼저 수행한 후 제2열교환부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습도범위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모드를 수행함으로써 냉방모드 및 제습모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온도 및 습도의 제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제2열교환부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흐름 속도, 즉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제습모드 수행시 냉방모드도 부분적으로 수행하여 냉방 및 제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의 제1열교환부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의 냉매흐름방향을 복수의 제2열교환부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공기흐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냉방 및 제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흐름방향이 공기흐름방향과 반대로 설정되는 경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측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측의 냉매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어, 흡입 측의 공기의 온도와 배출 측의 공기의 온도의 편차가 극대화된다.
상기와 같이 온도의 편차가 극대화되면, 복수의 제2열교환부들 중 흡입 측으로부터 일정 개수의 제2열교환부들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며 나머지 개수의 제2열교환부들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가 유지됨으로써,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일부의 제2열교환부는 냉방기능을 나머지 제2열교환부는 제습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냉방 및 제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의 수행을 위한 열전공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전공조기로서 배면 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열전공조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열전공조기를 분해한 배면 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열전공조기 중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유로형성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열전공조기 중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유로형성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Ⅸ-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열전공조기의 열전모듈부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면 쪽에서 본 도 10의 열전모듈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열전모듈부의 유로형성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열전모듈부에서 도 12의 유로형성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에서 ⅩⅣ-ⅩⅣ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열전모듈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C-C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0의 열전모듈부 중 흡열부에 결합된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열교환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전냉각장치 중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도 19에 도시된 열전냉각장치에서 한 쌍의 열전모듈 사이에 위치된 제1열교환부의 배치예들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22a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열전냉각장치로서, 응축수핸들링부가 추가된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2b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열전냉각장치로서, 응축수핸들링부가 추가된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3a는, 도 22a 및 도 22b에서의 응축수핸들링부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 도시된 응축수핸들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3c는, 도 23a에서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의 적용을 위한 열전공조기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수행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은,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110)과, 상기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부(100)이 복수로 배치된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복수의 열전모듈부(100)를 포함하는 열전공조기이면 특허문헌 1 내지 3 등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열전공조기는,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설치되며, 제1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제1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냉각유로(CF)가 설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은,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냉각에 의하여 냉각될 공기가 채워지는 가상으로 설정된 공간으로서 건물의 내부는, 물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열전공조기에 관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열전공조기는, 일 예로서,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들과, 한 쌍의 냉각유로형성부(200)와, 방열유로형성부(300)와, 하우징(400)과, 냉각공기유동형성부(250)와; 방열공기유동형성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모듈부(100)는,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110)과,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열전모듈(110)은, 일 예로서, 한 쌍의 기판과,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열전소자(미도시)들과, 열전소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인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은, 금속, 세라믹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열팽창 등을 고려하여 세라믹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기판은, 열전소자의 배열에 따라서 어느 하나는 방열부로서, 나머지 하나는 흡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110)은,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2개, 4개 등 냉각 또는 가열용량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전원인가부 이외의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 등의 단열부재에 형성된 개구부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 각각에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는,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어 방열부(111)의 방열효과 및 흡열부(112)의 흡열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교환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한 열교환 또는 물 등의 냉매의 유동을 이용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열교환부(130)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한 열교환 또는 물과 같은 냉매의 유동을 이용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는, 열교환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에 결합되어 방열부(111)로부터 열을 방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열교환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등록특허 제10-1185567호의 도 2에 도시된 구조, 바람직하게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20437호의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도 6 및 도 8,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에 결합된 방열플레이트(121)와, 방열플레이트(121)와 결합되는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과, 히트파이프(12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방열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열핀부재(1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플레이트(121)는, 상면 및 하면 중 열전모듈(110)과 밀착되는 일면에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21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1a)은,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 각각이 삽입되도록 방열플레이트(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열전모듈(110)과 밀착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홈(121a)은,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 직접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에 밀착되는 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과 밀착되는 일면에 결합됨으로써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 직접 접촉되고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냉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은, 일단부가 방열플레이트(121)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히트파이프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히트파이프(122)는, 상용품으로서 긴 길이를 가지는 로드형상을 가지며 제1열교환부(120)의 구조에 따라서 직선, 곡선, 바람직하게는 'ㄱ'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트파이프(122)는, 삽입홈(1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방열플레이트(121)의 일면과 함께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평면부(122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부(122b)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122)에 일부로서 형성되어 히트파이프(122)가 삽입홈(1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방열플레이트(121)의 일면을 이룸으로써, 방열플레이트(121) 및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냉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평면부(122b)에 의하여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과 밀착되는 일면에 효과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 직접 접촉되고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냉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히트파이프(122)가 방열플레이트(121) 중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 밀착되는 일면에 결합되는 경우 원통형상의 히트파이프(122)에 의하여 방열플레이트(121) 및 열전모듈(110)의 방열부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는데, 평면부(122b)에 의하여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과 밀착되는 일면에 효과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히트파이프(122)가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 직접 접촉되고 열전모듈(110)의 방열부와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면부(122b)는, 히트파이프(122)가 삽입홈(1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방열플레이트(121)의 일면과 함께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변형되어 형성되거나, 히트파이프(122)가 삽입홈(121a)에 삽입되기 전에 미리 형성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히트파이프(122)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122)에 평면부(122b)를 구비함으로써 히트파이프(122)가 결합된 방열플레이트(121)의 두께를 얇게 하여 열전모듈(110)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켜 모듈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은,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방열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상기 방열핀부재(123)들은,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 중 방열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방열핀부재(123)들은,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인 방열플레이트(121)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측변 가장자리로부터 쌍을 이루어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핀부재(123)들의 길이방향은, 방열플레이트(121)의 상면 및 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핀부재(123)들은,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과 함께 제1공기유로(P1)를 따른 공기유동에 의한 열교환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방열핀부재(123)들은, 히트파이프(122)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서로 평행하게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열교환부(12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의 히트파이프(122) 및 방열핀부재(123)가 하나의 방열조립체로서 방열조립체가 서로 교대로 위치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열전모듈(110)의 흡열부(112)에 결합되어 공기유동에 의하여 공기 중의 열을 흡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제1열교환부와 유사한 구조로서 열교환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등록특허 제10-1185567호의 도 2에 도시된 구조, 바람직하게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20437호의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도 6 및 도 9, 도 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110)의 흡열부(112)에 결합된 방열플레이트(131)와, 방열플레이트(131)에 결합되어 방열효과를 극대화하는 열교환부재(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재(133)는, 방열플레이트(131)의 상면에서 수직인 방향의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본체플레이트(133b)와, 본체플레이트(133b)의 상단 및 하단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상단부(133a) 및 하단부(133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부(133a) 및 하단부(13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접한 방열핀부재(133)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33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33d)는, 상단부(133a) 및 하단부(13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인접한 방열핀부재(133)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기 결합부(133d)는, 상단부(133a) 및 하단부(13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더 돌출되어 인접한 방열핀부재(133)에 형성된 돌출부(133e)에 걸림되도록 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열교환부재, 즉 방열핀부재(133)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형성된 후 결합부(133d)의 구조에 의하여 인접한 열교환부재(133)에 대하여 가압하여 간단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조립작업에 의하여 복수의 열교환부재(133)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조립이 용이하며 공기와의 열교환 및 제1열교환플레이트(311)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열전모듈부(100)는, 열전모듈(110),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하나의 모듈로서, 각 제1열교환부(12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부(120)가 서로 중첩되시킴으로써 열전공조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모듈부(100)는, 한 쌍으로 제1열교환부(12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도 6 및 도 8에 도시된바 와 같이, 방열핀부재(123)들이 결합된 히트파이프(122)가 대향되는 열전모듈부(100)의 히트파이프(122)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모듈부(100)는, 한 쌍의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가 평행을 이루며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흡열부(112)는 다른 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110)은, 후술하는 방열유로형성부(300)가 중앙에 위치되고 후술하는 한 쌍의 냉각유로형성부(200)가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110)을 기준으로 방열유로형성부(300)에 대향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우징(4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로형성부(300)는, 공기를 흡입하는 방열흡입부(310)와, 방열흡입부(310)로부터 흡입된 후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제1열교환부(120)들을 거치면서 제1열교환부(120)들을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배출구(320)를 연결하여 방열유로(RF)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방열유로형성부(300)는,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제1열교환부(120)들을 거치는 방열유로(RF)를 형성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을 요하는 내부공간(IS)-제1공간으로 정의됨-을 가지는 구조물(1)의 외벽(예를 들면 판넬)에 결합되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후 다시 주입하도록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후술하는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의 위치는, 제한적이나, 공기를 흡입하는 방열흡입부(310) 및 방열배출구(320)는, 하우징(400)에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 및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열유로형성부(300)는,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제1열교환부(120)들을 거치는 유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바, 열전모듈부(100)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앙공간에서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유로형성플레이트(331, 3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제1열교환부(120)들을 구성하는 방열핀부재(123)들의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방열핀부재(123)들이 방열유로(RF)의 공기흐름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열유로형성부(300)는, 방열흡입부(310) 및 방열배출구(320)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열흡입부(310) 및 방열배출구(320)은, 하우징(400)에 슬롯구조로서 형성되거나, 하우징(400)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공기유동이 가능한 커버부재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공기유동형성부(350)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방열유로(RF)에 설치되어 방열흡입부(310)로부터 방열배출구(320)에 이르는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방열공기유동형성부(350)는, 앞서 설명한 방열유로형성부(30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방열유로(RF)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를 하우징(40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432)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공기유동형성부(350)는, 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방향을 흡입하여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터보팬과 같은 원심형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공기유동 구조에 따라서 원심형 팬, 사류형 팬, 출류형 팬, 횡류형 팬 등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는, 각 열전모듈부(100)에 대응되어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흡입부(210)와, 냉각흡입부(210)로부터 흡입된 후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배출구(220)를 연결하여 냉각유로(CF)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는, 냉각흡입부(21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거친 후 냉각배출구(220)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을 요하는 내부공간(IS)을 가지는 구조물(1)의 외벽에 결합되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후 다시 주입하도록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후술하는 하우징(400)은, 구조물(1)의 외벽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413)에 냉각흡입부(210)에 대응되는 흡입개구(411)와, 냉각배출구(220)에 대응되는 배출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는,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가 하우징(400)의 흡입개구(411) 및 배출개구(4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의 배치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사각기둥의 메인유로부(231)와, 메인유로부(231)의 상류측에 결합되며 냉각흡입부(210)가 형성된 상류측유로부(232)와, 메인유로부(231)의 하류측에 결합되며 냉각배출구(220)가 형성된 하류측유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부(231)는,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의 배치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며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며 내부에는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가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측방에는,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의 설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설치개구(231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는,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거치는 냉각유로(CF)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활한 공기흐름을 고려하여 공기역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을 요하는 내부공간(IS)을 가지는 구조물(1)의 외벽에 결합되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후 다시 주입하도록 사용됨이 일반적인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물(1)은, 내부공간(IS)와 연통되어 내부공간(IS)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흡입개구(1a)가 형성되고, 냉각흡입부(210)를 통하여 흡입된 후 제2열교환부(130)를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가 내부공간(IS)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냉각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개구(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1)은,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 모두가 내부공간(IS)에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400)은,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이 관통공을 관통하여 구조물(1)의 내부공간(IS)으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구조물(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공기유동형성부(250)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냉각유로(CF)에 설치되어 냉각흡입부(210)로부터 냉각배출구(220)에 이르는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냉각공기유동형성부(250)는, 터보팬 등 냉각흡입부(210)에 설치된 흡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방출하는 원심형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동 구조에 따라서 원심형 팬, 사류형 팬, 출류형 팬, 횡류형 팬 등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구조물(1)과 결합되고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가 설치되며,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가 구조물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 쌍의 냉각유로형성부(2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하우징(400)는, 설치 및 적재의 편의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은,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되거나,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재 및 이에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부재들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400)은, 일예로서,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흡입개구(411) 및 배출개구(412)가 형성된 제1하우징(410)과;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 냉각유로형성부(2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1하우징(410)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410)은,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흡입개구(411) 및 배출개구(412)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하우징(410)은, 흡입개구(411) 및 배출개구(412)가 형성된 결합플레이트(413)와, 결합플레이트(413)의 변에서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2하우징(420)과 결합되는 결합프레임(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3)는, 흡입개구(411) 및 배출개구(412)가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앞서 설명한 구조물(1)과의 결합을 위하여 편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조물(1)과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프레임(415)은, 결합플레이트(413)의 변에서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2하우징(420)과 결합되는 판금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2하우징(420)은,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 냉각유로형성부(2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1하우징(410)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하우징(420)은, 제1하우징(410)과 결합되어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 냉각유로형성부(2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420)은, 앞서 설명한 방열흡입부(310)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관통구(431)와, 방열배출구(32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관통구(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통구(431)는, 방열흡입부(310)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열전공조기의 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열전모듈(110)에 대한 전원인가 및 제어, 방열유동형성부(350) 및 냉각공기유동형성부(250)의 구동 및 제어 등을 위한 센서, 전원장치, 제어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은, 사용자의 조작 및 제어를 위한 제어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하우징(400) 내부에 열전모듈부(100)의 배치를 최적화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단화하여 냉방성능을 높임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이에 한 쌍의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열전공조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달리, 열전공조기의 제2실시예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열전모듈(110)의 흡열부(11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열전공조기의 다른 예로서, 도 19 및 도 21a 내지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110)과,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포함하며, 각 제2열교환부(13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들과; 중앙에 배치된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들에 대응되어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흡입부(210)와, 냉각흡입부(210)로부터 흡입된 후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배출구(220)를 연결하여 냉각유로(CF)를 형성하는 냉각유로형성부(200)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에 대응되어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방열흡입부(310)와, 방열흡입부(310)로부터 흡입된 후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들을 거치면서 제1열교환부(120)들을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배출구(320)를 연결하여 방열유로(RF)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방열유로형성부(300)와; 구조물(1)과 결합되고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가 설치되며,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가 구조물 내부와 연통되도록 냉각유로형성부(200)가 설치된 하우징(400)과; 냉각유로(CF)에 설치되어 냉각흡입부(210)로부터 냉각배출구(220)에 이르는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냉각공기유동형성부(250)와; 방열유로(RF)에 설치되어 방열흡입부(310)로부터 방열배출구(320)에 이르는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방열공기유동형성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구성과 대비하여,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의 위치, 제2열교환부를 거치는 냉각유로(CF)를 형성하는 냉각유로형성부(2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의 위치 및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400)은,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냉각유로형성부(200)의 냉각흡입부(210) 및 냉각배출구(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흡입개구(411) 및 배출개구(412)가 형성된 제1하우징(410)과;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 냉각유로형성부(200) 및 방열유로형성부(300)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제1하우징(410)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110)은, 냉각유로형성부(200)가 중앙에 위치되고, 한 쌍의 방열유로형성부(300)가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110)을 기준으로 냉각유로형성부(200)에 대향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우징(4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부(120)는,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에 결합된 방열플레이트(121)와, 방열플레이트(121)와 결합되는 복수의 히트파이프(122)들과, 히트파이프(12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방열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열핀부재(1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형성부(200)는,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의 배치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메인유로부(231)와, 메인유로부(231)의 상류측에 결합되며 냉각흡입부(210)가 형성된 상류측유로부(232)와, 메인유로부(231)의 하류측에 결합되며 냉각배출구(220)가 형성된 하류측유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재(133)들의 배치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재(133)들의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재(133)들의 양 끝단이 대향되는 제2열교환부(130)의 방열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재(133)들이 교대로 상하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열교환부(130)는,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열교환부재(133)들이 하나의 열교환부재 군으로 대향되는 제2열교환부의 열교환부재 군과 교대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 및 냉각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서 열전모듈부(100)의 작동을 반대로 작동시켜 냉각기능이 아닌 가열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2열교환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열교환부에는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응축수가 하측으로 흘러 전기부품을 손상시키는 등 안전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본 출원인의 출원발명 중 하나인 한국 공개특허출원 제10-2016-0078824호에 기재된 응축수저장부 및 응축수제거부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응축수핸들링부(9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핸들링부(900)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2열교환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응축수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응축수 저장 및 제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응축수핸들링부(900)는, 제2열교환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저장부(910)와, 응축수저장부(9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초음파에 의하여 작은 물입자, 즉 미스트를 형성하는 초음파부(920)와, 초음파부(920)에 의하여 형성된 미스트를 응축수저장부(9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미스트유동형성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저장부(910)는, 제2열교환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응축수저장부(910)는, 하우징(400) 내 적소, 제2열교환부로부터 응축수가 흐름을 고려하여 제2열교환부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되며, 하우징(400) 내 설치위치에 따라서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응축수저장부(910)의 전체 형상은, 전체 형상이 하나 이상의 직사각형의 조합에 의한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응축수가 저장됨을 고려하여 그릇 구조를 가지며 상측이 개방된 저장하우징(911)과, 저장하우징(911)의 개구를 복개하는 커버부재(9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수저장부(910)는, 제2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공급받기 위한 구조, 저장하우징(911) 내부에 발생된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개구(913)와 배출개구(913)를 통한 미스트의 배출을 위한 공기가 미스트유동형성부(93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개구(914)를 포함하는 미스트 배출구조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에, 상기 저장하우징(911)은, 저장하우징(911) 내부에 발생된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개구(913)와 배출개구(913)를 통한 미스트의 배출을 위한 공기가 미스트유동형성부(93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개구(914)가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913)는, 저장하우징(911)의 측벽에 형성되어 저장하우징(911) 내부에 발생된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로서, 저장하우징(911)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보다 충분히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개구(913)가 형성된 저장하우징(911)의 측벽의 외면에는, 미스트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동가이드부(94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부(941)는, 미스트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배출개구(913)가 형성된 저장하우징(911)의 측벽의 외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상기 유동가이드부(941)는, 미스트가 저장하우징(911)의 상측으로 유동됨이 바람직한바 저장하우징(911)의 측벽의 외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개구(914)는, 저장하우징(911)의 측벽에 형성되어 배출개구(913)를 통한 미스트의 배출을 위한 공기가 미스트유동형성부(93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개구로서, 저장하우징(911)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보다 충분히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개구(914)를 통한 공기유입시 후술하는 초음파부(920)에 의하여 발생되는 물기둥(901) 등 초음파부(92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입개구(914)를 통한 공기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가이드부(942)가 저장하우징(911)의 측벽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부(942)는, 저장하우징(911)의 측벽 내면에 설치되어 유입개구(914)를 통한 공기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공기가이드부(942)는, 저장하우징(911)의 측벽의 내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수저장부(910)는, 제2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다양한 구조 및 방법에 의하여 전달받게 되며, 예로서,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냉각유로형성부(200)와 연결된 배관(902)이 커버부재(9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912)는, 배관(902)를 연결을 위한 배관연결구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응축수가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관(902)를 통한 응축수 유입부(903)는 응축수저장부(910)의 바닥까지 충분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응축수저장부(910)는, 저장된 응축수의 양의 측정 및 초음파부(920)의 작동제어 등을 위한 수위센서(943)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센서(943)는, 저장된 응축수의 양의 측정 및 초음파부(920)의 작동제어 등을 위한 수위측정센서로서 수위측정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초음파부(920)는, 응축수저장부(9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초음파에 의하여 작은 물입자, 즉 미스트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응축수저장부(910)에 설치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진동부(921)와, 진동자(921)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작동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저장부(910)에 저장된 응축수를 후술하는 제1열교환부의 열교환 효율 향상을 위한 충분한 양의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가습기와 같은 원리의 적용보다는,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부(910) 내부에서 물기둥(901)이 발생될 정도로 진동자(921)를 강하게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응축수저장부(910) 내부에서 물기둥(901)이 발생시킴에 있어서, 진동자(921)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응축수가 진동자(921)로부터 충분한 수위에 이상에서만 진동자(921)를 작동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가 진동자(921)로부터 충분한 수위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10㎜보다 작은 경우 진동자(921)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응축수의 수위가 40㎜보다 큰 경우 응축수가 너무 많아 진동자(921)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량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921)의 작동제어에 의하여 응축수저장부(910) 내 응축수의 수위를 10㎜~40㎜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유동형성부(930)는, 초음파부(920)에 의하여 형성된 미스트를 응축수저장부(9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상기 미스트유동형성부(930)는, 도 22a 내지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부(910)의 외측에서 유입개구(914)에 대응되어 설치된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열전공조기는,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와,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냉각될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제어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온도센서는, 특정공간, 예를 들면 제1공간 내의 공기를 냉각하고자 하는 경우 온도 제어대상이 공기인바 냉각될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측, 즉, 냉각흡입부(210) 부근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온도센서는, 특정부재에 결합되어 공기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냉각대상이 공기를 통하여 냉각되는 부재인 경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대신 해당 부재에 결합되어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습도센서는,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습도센서는, 습기가 제거될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냉각흡입구(210)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열전공조기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CF)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열교환부(100)들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제1공간으로부터 냉각흡입구(21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냉각배출구(220)를 통하여 제1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냉각유로(CF)가 설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전제 구성을 가지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은,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측정온도가 세팅된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와,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한 후,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세팅된 설정습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는,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측정온도가 세팅된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를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측정온도는,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온도로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냉방온도범위는, 미리 세팅된 설정온도(TS) + 오차범위(ΔT)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설정온도(TS)는, 25℃이고 오차범위(ΔT)는 2℃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에 위하여 공기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는바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는,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작은 경우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반대로 제어하여 방열부 및 흡열부의 기능을 바꾸어 제2열교환부(130)에서 방열하여 제2열교환부(130)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 공기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는,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지나치게 작게 하락한 경우,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반대로 제어하는 것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는, 측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하락한 경우 이에 대하여 빠른 대체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공조기는, 냉각유로(CF) 상에 설치되어 측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하락한 경우 설정온도(TS)에 도달하거나 설정온도(TS)보다 오차범위(ΔT) 내, 즉 냉방온도범위 내로 공기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미도시) 및/또는 판넬과 같은 구조물의 냉각의 경우 판넬을 가열하기 위한 보조히터(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히터는, 냉각유로(CF) 상 및/또는 판넬에 설치되어,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하락한 경우 설정온도(TS)에 도달하거나 설정온도(TS)보다 오차범위(ΔT) 내, 즉 냉방온도범위 내로 공기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미도시) 및/또는 판넬과 같은 구조물의 냉각의 경우 판넬을 가열하는 구성으로서 판상히터, 할로겐히터, 세라믹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온도, 예를 들면 설정온도(TS)가 25℃일 때 하락온도가 ±2℃이상인 경우 보조히터는, 냉각유로(CF) 상에 설치되어 측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하락한 경우 설정온도(TS)에 도달하거나 설정온도(TS)보다 오차범위(ΔT) 내, 즉 냉방온도범위 내로 공기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미도시) 및/또는 판넬과 같은 구조물의 냉각의 경우 판넬을 가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보정 후에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에 도달하거나 설정온도(TS)보다 오차범위(ΔT) 내, 즉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는 경우 후술하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보정 후에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에 도달하거나 설정온도(TS)보다 오차범위(ΔT) 내, 즉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는 경우 후술하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는,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미리 세팅된 설정온도(TS) + 오차범위(ΔT))에 도달한 후,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세팅된 설정습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습도, 즉 측정습도는, 습도측정원리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으며, 상대습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상대습도는, % 또는 %RH로 표시되며 (현재의 수증기량)/현재 온도의 포화 수증기량)×100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설정습도범위는, 설정습도±Δ습도오차 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습도는 50%RH, Δ습도오차는 15%RH로 세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에서, 냉각유로(CF)의 공기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일부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아 냉방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 제습기능을 수행하도록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유동량 제어는,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에서의 공기의 유동량은,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에서의 공기의 유동량을 기준으로 제어, 구체적으로 팬의 회전속도로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에서의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은,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에서의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의 7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의 유동량이 90%보다 큰 경우 제2열교환부(130)에서의 공기흐름이 빨라 제습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70%보다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제습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저하되어 냉방기능의 수행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온도 및 설정습도에 근접된 상태로 주변온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 실험조건은, 도 1 내지 도 23c에 도시된 열전공조기를 이용하여 냉방온도범위를 25±2 ℃로 하고, 설정습도범위를 50±15%RH로 하였다.
그 결과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온도의 평균이 24.7 ℃,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습도의 평균이 53.6 %RH로 측정되었으며, 측정온도 및 측정습도가 25±2 ℃ 및 50±15%RH에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는, 그 수행 중에 온도센서에 의하여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미리 세팅된 설정온도(TS) + 오차범위(ΔT))보다 큰 경우 제습기능을 정지하고 냉방모드 수행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 후에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의 수행에 위하여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고, 특정습도 또한 설정습도범위에 있은 경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정지하는 정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정지시에도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며,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보다 큰 경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 후에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정지시에 측정된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는 경우, 측정습도가 설정습도범위보다 큰 경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다시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의 수행에 의하여 공기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는바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작은 경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멈추고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반대로 제어하여 방열부 및 흡열부의 기능을 바꾸어 제2열교환부(130)에서 방열하여 제2열교환부(130)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 공기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보다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보정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앞서 설명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보다 큰 경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 후에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는 경우, 측정습도가 설정습도범위보다 큰 경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다시 수행한다.
측정된 측정온도가 세팅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고, 측정습도가 설정습도범위내에 있는 경우 앞서 설명한 정지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순차적으로 흐르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흐름방향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의 흐름방향과 서로 반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매흐름방향이 공기흐름방향과 반대로 설정되는 경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측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측의 냉매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어, 흡입 측의 공기의 온도와 배출 측의 공기의 온도의 편차가 극대화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온도의 편차가 극대화되면, 복수의 제2열교환부(130)들 중 흡입 측으로부터 일정 개수(예를 들면 ①, ②, ③)의 제2열교환부(130)들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며 나머지 개수(예를 들면 ④)의 제2열교환부(130)들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가 유지됨으로써,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일부(예를 들면 ①, ②, ③)의 제2열교환부(130)는 냉방기능을 나머지(예를 들면 ④) 제2열교환부는 제습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냉방 및 제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는, 제2공간으로부터 흡입되어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의 주변으로 흘러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냉각한 후 제2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는, 제1열교환부(120) 내부에 형성된 냉매유로를 따라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열교환부(120)의 냉각에 있어서 공냉식, 수냉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열전모듈부 200 : 냉각유로형성부
300 : 방열유로형성부 400 : 하우징
250 : 냉각공기유동형성부 350 : 방열공기유동형성부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110)과, 상기 열전모듈(110)의 방열부(111) 및 흡열부(112)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열교환부(120) 및 제2열교환부(130)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부(100)이 복수로 배치되고,
    공기의 온도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가 설치되며, 제1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2열교환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제1공간으로 배출하도록 냉각유로(CF)가 설정된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측정온도가 세팅된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와,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에 의하여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에 도달한 후, 상기 습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세팅된 설정습도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는,
    상기 냉각유로(CF)의 공기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의 상기 복수의 열전모듈부(100)들의 일부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높아 냉방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 하류측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 제습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며,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는, 상기 복수의 열전모듈부(100)들 중 일부는 냉방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는 제습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며,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의 수행 중에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하락한 경우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TS)에 도달하거나 상기 설정온도(TS)보다 오차범위(ΔT) 내로 공기를 상기 냉각유로(CF)에 설치된 보조히터에 의하여 가열하는 온도보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에서의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은,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에서의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의 7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상기 각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순차적으로 흐르며,
    상기 냉각유로(CF)를 통한 공기의 흐름방향은, 상기 냉매의 흐름방향과 서로 반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제2공간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의 주변으로 흘러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제1열교환부(120)를 냉각한 후 상기 제2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부(120) 내부에 형성된 냉매유로를 따라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7. 삭제
  8.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는,
    그 수행 중에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세팅 냉방온도범위보다 큰 경우 제습기능을 정지하고 상기 냉방모드 수행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9.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는,
    그 수행에 의하여 공기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TS)로부터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습모드 수행단계(S20)를 멈추고 상기 열전모듈부(100)의 열전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방향을 반대로 제어하여 방열부 및 흡열부의 기능을 바꾸어 상기 제2열교환부(130)에서 방열하여 상기 제2열교환부(130)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 공기의 측정온도가 상기 설정온도(TS)보다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KR1020200095002A 2020-07-30 2020-07-30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KR10254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02A KR102543888B1 (ko) 2020-07-30 2020-07-30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02A KR102543888B1 (ko) 2020-07-30 2020-07-30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022A KR20220015022A (ko) 2022-02-08
KR102543888B1 true KR102543888B1 (ko) 2023-06-19

Family

ID=8025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002A KR102543888B1 (ko) 2020-07-30 2020-07-30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093B1 (ko) * 2022-02-09 2022-07-25 주식회사 씨앤엘 공냉식 냉각을 이용한 열전냉방장치
CN114877485B (zh) * 2022-03-17 2024-02-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器防潮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6891A1 (en) * 2007-01-03 2008-07-03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PTAC dehumidification without reheat and without a humidistat
KR101185567B1 (ko) * 2012-02-23 2012-09-26 주식회사 씨앤엘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6891A1 (en) * 2007-01-03 2008-07-03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PTAC dehumidification without reheat and without a humidistat
KR101185567B1 (ko) * 2012-02-23 2012-09-26 주식회사 씨앤엘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022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6156B (zh) 除湿装置
KR102543888B1 (ko) 열전공조기의 제어방법
KR101660716B1 (ko) 환기장치
KR101127377B1 (ko) 조습장치
JP4945956B2 (ja) 除湿装置
KR100707440B1 (ko) 가습기
KR101596831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4946800B2 (ja) 調湿装置
JP4311488B2 (ja) 調湿装置
JP5320001B2 (ja) 電子除湿器
KR100783804B1 (ko) 제습기능을 갖는 제어용 패널을 위한 냉각장치
WO2013080478A1 (ja) 熱交換素子とそれを用いた熱交換換気機器
JP5135673B2 (ja) 除湿機
CN220582587U (zh) 除湿机
JP2010281522A (ja) 換気装置
KR102012450B1 (ko) 공냉식 냉각을 이용한 열전냉각장치
JP2011002132A (ja) 調湿システム
CN113639341B (zh) 一种基于三介质换热器的除湿热水机组
JP2006052874A (ja) 冷却装置
JP4165328B2 (ja) 調湿装置
JP2007098262A (ja) 除湿機
CN220541247U (zh) 除湿机
KR20060124391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WO2002025182A1 (fr) Unite d'humidification
CN220473894U (zh) 调湿模组及橱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