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457B1 -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457B1
KR102543457B1 KR1020170184552A KR20170184552A KR102543457B1 KR 102543457 B1 KR102543457 B1 KR 102543457B1 KR 1020170184552 A KR1020170184552 A KR 1020170184552A KR 20170184552 A KR20170184552 A KR 20170184552A KR 102543457 B1 KR102543457 B1 KR 10254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switching element
voltag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778A (ko
Inventor
양승목
황석현
최환승
손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4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4Voltage stabilisation; Maintaining constant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45Current stabilisation; Maintaining constant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9Circuits providing for substitution of the light source in case of its fail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 제 1 광원부 또는 제 2 광원부 중 하나의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스위칭부에 소정의 전압을 전달하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스위칭부를 소정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레귤레이터부를 포함함으로써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제어하는 MCU에 고장나더라도 하이빔에 대한 바이패스를 동작시켜 하이빔을 오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Light driving apparatus for fail safety of LDM}
본 발명은 광원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귤레이터 및 FET를 이용하여 하이빔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여, LDM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하이빔을 오프함으로써, 고장대응이 가능한 광원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륜 자동차 또는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노면의 전방을 조사하기 위한 헤드라이트가 전조등으로써 구비되어 있다. 종래에는 차량용 전조등의 광원으로써 할로겐 전구나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되었다.
반면,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제품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차량용 전조등에도 LED를 광원으로 하는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LED를 광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할로겐 전구나 HID 램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발광 효율이나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전조등은 다양한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간 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모드, 미등 모드, 로우빔 모드, 하이빔 모드 등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광원구동장치에서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모두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때,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제어하는 MCU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하이빔이 꺼지지 않고, 켜져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하이빔은 대향차 등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어, 켜져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사고 발생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제어하는 MCU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하이빔을 끌 필요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857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귤레이터 및 FET를 이용하여 하이빔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여, LDM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하이빔을 오프함으로써, 고장대응이 가능한 광원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는,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 상기 제 1 광원부 또는 상기 제 2 광원부 중 하나의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소정의 전압을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는 하나는 로우빔 광원이고, 다른 하나는 하이빔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여부가 결정되는 제 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MOSFET(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JFET(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동작되며,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4 스위칭 소자;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제 5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동작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7 스위칭 소자; 및 제 7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8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동작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압이 상기 제 2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 3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제어하는 MCU에 고장나더라도 하이빔에 대한 바이패스를 동작시켜 하이빔을 오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이빔가 계속 동작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는 제 1 광원부(110), 제 2 광원부(120), 스위칭부(130), 제어부(140), 레귤레이터부(150), 및 전원부(160)로 구성된다.
제 1 광원부(110) 및 제 2 광원부(120)는 빛을 발생하는 광원으로, 차량의 전조등이다. 차량의 전조등에 사용되는 LED로 구성되거나, 다른 광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광원부(110) 및 제 2 광원부(120)는 하나는 로우빔 광원이고, 다른 하나는 하이빔 광원일 수 있다. 제 1 광원부(110)와 제 2 광원부(120)는 직렬로 연결되며, 차량의 설계에 따라 전원부로부터 연결되는 로우빔 또는 하이빔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제 1 광원부(110) 및 제 2 광원부(120)는 복수의 광원이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광원부 내부의 광원들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 1 광원부(110) 및 제 2 광원부(120)는 LED 어레이에 구현될 수 있고, 스위칭부(130), 제어부(140), 레귤레이터부(150), 및 전원부(160)는 엘이디구동모듈(LDM, LED Drive Module)에 구현될 수 있다. LED 어레이는 복수의 LED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는 장치로 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LDM은 LED 어레이들을 구동하고 제어하는 모듈이다.
스위칭부(130)는 상기 제 1 광원부(110) 또는 상기 제 2 광원부(120) 중 하나의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한다. 제어부(14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하이빔을 오프해야 하는바, 하이빔 광원에 해당하는 제 1 광원부(110) 또는 제 2 광원부(120)의 바이패스를 형성한다. 하이빔 광원에 대한 바이패스는 로우빔만 키는 경우이거나 제어부(14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동작한다.
스위칭부(130)는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여부가 결정되는 제 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어부(140)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칭 소자를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경로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제 1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바이패스가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제 1 스위칭 소자의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출력과 제 1 스위칭 소자을 연결하는 경로를 구동소자들로 구현할 수 있다. 구동소자들은 저항 또는 BJT(바이폴라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소자들이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바이패스가 제 1 광원부에 대해 형성되고, 바이패스가 동작하는 경우, 즉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경우에는 전원부(160) - 스위칭부(130) - 제 2 광원부(120)로 경로가 형성되고, 바이패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즉 제 1 광원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전원부(160) - 제 1 광원부(110) - 제 2 광원부(120)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130)의 제 1 스위칭 소자는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FET 중 MOSFET(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JFET(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FET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스위칭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MOSFET을 이용하는 경우, 구현되는 회로도에 따라 PMOS 또는 NMOS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스위칭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위칭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을 발생시켜 바이패스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MCU일 수 있고, 스위칭부(130)로 하나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여 스위칭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제 1 광원부(110) 및 제 2 광원부(120)의 전체 광원부에 대한 온 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전원부의 제어하기 위하여, 광원구동집적회로(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구동집적회로를 통해 전력 입력여부 또는 전력을 광원부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상기 제 1 광원부(110) 및 제 2 광원부(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가 빛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전력이 필요한바, 광원부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력을 전원부(160)가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도 2와 같이, 차량전원(210)으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광원부에 적합하도록 전력을 변환하는 컨버터부(220)로 구현될 수 있다. 컨버터부(220)는 차량전원으로 입력받은 전력을 전압과 전류가 안정되도록 일정한 전압과 전류를 가지는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버터부(220)는 정전압컨버터부(221) 및 정전류컨버터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전원은 보통 9 ~ 16 V인바, 정전압컨버터부(221)가 이를 광원부에 적합한 범위의 전압을 변환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정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된 전압은 40 V일 수 있다. 정전압컨버터부(221)는 Pre BOOST로 정전압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이후 정전류컨버터부(222)가 광원부를 구동하기 적합하도록 일정한 전류를 가지는 전력으로 변환한다. 광원부, 특히 LED는 전류에 민감한바, 전류의 변화가 커지면 LED가 훼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정전류컨버터부(222)는 광원부로 입력되는 전력의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정전류컨버터부(222)는 Buck으로, 정전류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150)는 상기 스위칭부(130)에 소정의 전압을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4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130)를 소정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경로가 단락되거나, 제어부(140)의 출력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150)는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로 구현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150)는 스위칭부(130)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스위칭부(130)가 고장에 대응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레귤레이터부(150)는 일정한 전압을 스위칭부(130)에 인가하여, 스위칭부(130)에 의해 하이빔이 바이패스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는, 레귤레이터부(150)는 제어부(140)가 스위칭부(130)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레귤레이터부(150)가 출력하는 전압은 전원부(160)의 전력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로부터 출력을 인가받아,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130)와 레귤레이터부(150)의 실제 구현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의 회로도는 실시예로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3 개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제 1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부가 연결되어 전류가 먼저 인가되는 제 1 광원부를 하이빔 광원으로 형성하고, 광원부를 지나 전류가 빠져나가는 제 2 광원부를 로우빔 광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가 하이빔 광원인바, 스위칭부는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어부는 하이빔, 즉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한다.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은 온 오프와 같이 두 가지 전압으로 구분되는 전압들로, 제 1 전압이 제 2 전압보다 높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1 전압은 5 V, 제 2 전압은 0 V로 구현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는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스위칭부가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한다. 레귤레이터부가 인가하는 제 3 전압은 계속 인가되는 전압일 수 있고, 제 3 전압은 제 1 전압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3 전압은 제 1 전압과 동일한 크기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나, 제 1 전압과 동일한 전압으로 구현하는 것이 회로에 안정적일 수 있다. 즉, 제 1 전압이 5 V인 경우, 제 3 전압도 5 V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130)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위칭 소자는 BJT(바이폴라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 3 스위칭 소자는 PMOS(P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 2 스위칭 소자 및 제 2 스위칭 소자는 다른 스위칭 소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정상일 때 제어부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고,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레귤레이터부로부터 전압을 안정적으로 받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와 레귤레이터부의 전압을 바로 제 3 스위칭 소자가 입력받는 경우, 회로가 안정적이지 않게 될 수 있는바, 제 2 스위칭 소자를 거쳐 제 3 스위칭 소자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동작되며,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제 1 실시예는 도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어부(MCU)는 R4 및 R5의 저항을 통해 제 2 스위칭 소자인 BJT(SW2)의 베이스로 연결되고, BJT(SW2)의 콜렉터(Collector)는 R1 및 R2의 저항을 통해 제 3 스위칭 소자인 PMOS(SW3)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레귤레이터부의 전압(+5V)은 R3를 통해 R4 앞 단으로 인가된다. 제 1 광원부는 광원1로 하이빔 광원이고, 제 2 광원부는 광원2로 로우빔 광원이다. 전원부는 Pre-BOOST와 Buck으로 구현되며, 제어부는 MCU로 구현되고, MCU에서 출력되는 제 1 전압은 5 V이고, 제 2 전압은 0 V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MCU에서 5 V가 출력되면, SW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0 V보다 커지는바 SW2가 ON되고, SW2가 ON되면, SW2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SW3의 Vgs가 -V가 되면서 SW3이 ON된다. SW3가 ON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는바, 하이빔 광원인 광원 1은 바이패스되고, Buck - SW3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2만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로 동작한다.
MCU에서 0 V가 출력되면, SW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0 V가 되어 SW2는 OFF되고, SW2가 OFF되면, SW3도 OFF된다. SW3이 OFF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지 않는바, Buck - 광원1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하이빔 광원인 광원 1과 로우빔 광원인 광원 2가 모두 동작하는 하이빔 모드로 동작한다.
만약, MCU가 단락되어 Don't Care 상태이거나, Low Level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하이빔이 계속 켜져있을 수 있는바, 하이빔을 오프해야 한다. MCU에 고장이 발생하면, MCU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끊기고, 이때는 레귤레이터부 전압인 +5V에 의해 SW2가 ON되고, SW2가 ON되면, SW3이 ON된다. SW3이 ON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는바, 하이빔 광원인 광원 1은 바이패스되고, Buck - SW3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2만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로 동작하고 로우빔 모드가 유지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황별로 각 구성의 온오프 상태는 다음 표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MCU SW2 SW3 바이패스 하이빔
MCU 정상 5 V ON ON O OFF
0 V OFF OFF X ON
MCU 고장 X ON ON O OFF
이와 같이,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고 하이빔을 오프하여 고장에 대응할 수 있다.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제 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광원부가 하이빔 광원인바, 스위칭부는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어부는 하이빔, 즉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전압은 5 V, 제 2 전압은 0 V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바이패스를 동작시키는 전압과 바이패스를 동작시키지 않는 전압이 반대가 된다. 레귤레이터부는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스위칭부가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한다. 레귤레이터부가 인가하는 제 3 전압은 계속 인가되는 전압일 수 있고, 제 3 전압은 제 1 전압에 대응되도록 제 3 전압도 5 V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4 스위칭 소자, 상기 제 1 BJT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제 5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6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스위칭 소자 및 제 5 스위칭 소자는 BJT일 수 있고, 제 6 스위칭 소자는 PMOS일 수 있다. 제 4 스위칭 소자, 제 5 스위칭 소자, 및 제 6 스위칭 소자는 다른 스위칭 소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의 제 2 스위칭 소자에 대응되는 제 5 스위칭 소자와 제어부 사이에 제 4 스위칭 소자를 더 추가하여 제어부가 제어동작이 반대가 되는 경우에도 고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동작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제 2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어부는 제 4 스위칭 소자인 제 1 BJT(SW4)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 1 BJT(SW4)의 콜렉터는 R4 및 R5의 저항을 통해 제 5 스위칭 소자인 제 2 BJT(SW5)의 베이스로 연결되고, 제 2 BJT(SW5)의 콜렉터는 R1 및 R2의 저항을 통해 제 6 스위칭 소자인 PMOS(SW6)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레귤레이터부의 전압(+5V)은 R3를 통해 R4 앞 단으로 인가된다. 도 3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1 광원부는 광원1로 하이빔 광원이고, 제 2 광원부는 광원2로 로우빔 광원이다. 전원부는 Pre-BOOST와 Buck으로 구현되며, 제어부는 MCU로 구현되고, MCU에서 출력되는 제 1 전압은 5 V이고, 제 2 전압은 0 V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MCU에서 5 V가 출력되면, SW4의 베이스에 5 V가 인가되어 SW4가 ON되고, SW4가 ON되면, SW5의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GND)에 연결되어 있는바, 콜렉터 단자의 전압도 0 V가 된다. SW5 콜렉터 단자의 전압이 0 V가 되면, SW5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0 V인바 SW5가 OFF되고, SW5가 OFF되면, SW6이 OFF된다. SW6이 OFF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지 않는바, Buck - 광원1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하이빔 광원인 광원 1과 로우빔 광원인 광원 2가 모두 동작하는 하이빔 모드로 동작한다.
MCU에서 0 V가 출력되면, SW4가 OFF되고, SW4가 OFF되면, 레귤레이터부의 전압 +5V에 의해 SW5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0 V이상이 되어 SW5가 ON되고, SW5가 ON되면, SW6도 ON된다. SW6이 ON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는바, 하이빔 광원인 광원 1은 바이패스되고, Buck - SW6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2만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로 동작한다.
만약, MCU가 단락되어 Don't Care 상태이거나, High Level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하이빔이 계속 켜져있을 수 있는바, 하이빔을 오프해야 한다. MCU에 고장이 발생하면, MCU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끊기고, 이때는 레귤레이터부 전압인 +5V에 의해 SW5가 ON되고, SW5가 ON되면, SW6이 ON된다. SW6이 ON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는바, 하이빔 광원인 광원 1은 바이패스되고, Buck - SW6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2만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로 동작하고 로우빔 모드가 유지된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황별로 각 구성의 온오프 상태는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MCU SW4 SW5 SW6 바이패스 하이빔
MCU 정상 5 V ON OFF OFF X ON
0 V OFF ON ON O OFF
MCU 고장 X OFF ON ON O OFF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제 3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다르게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광원부를 하이빔 광원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부는 제 1 광원부가 아닌 하이빔인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한다. 제어부는 하이빔, 즉 제 2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전압은 5 V, 제 2 전압은 0 V로 구현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는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스위칭부가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한다. 레귤레이터부가 인가하는 제 3 전압은 계속 인가되는 전압일 수 있고, 제 3 전압은 제 1 전압에 대응되도록 제 3 전압도 5 V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7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8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7 스위칭 소자는 BJT(바이폴라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 8 스위칭 소자는 NMOS(N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 7 스위칭 소자 및 제 8 스위칭 소자는 다른 스위칭 소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다르게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8 스위칭 소자로 NMOS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이패스시켜야 하는 하이빔이 제 2 광원부로 구현되는바, 스위칭부는 그라운드(GND)와 바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NMOS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PMOS 대신 NMOS를 사용하면 PMOS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제 2 실시예의 저항(R1 및 R2)과 BJT(SW5)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가가 절감될 수 있고, 더욱 안정된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동작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부를 구현하는 제 3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어부(MCU)는 제 7 스위칭 소자인 BJT(SW7)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SW7의 콜렉터는 R4 및 R5의 저항을 통해 제 8 스위칭 소자인 NMOS(SW8)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레귤레이터부의 전압(+5V)은 R3를 통해 R4 앞 단으로 인가된다. 도 3에 따른 제 1 실시예 및 도 4에 따른 제 2 실시예와 다르게 제 1 광원부는 광원1로 로우빔 광원이고, 제 2 광원부는 광원2로 하이빔 광원이다. 전원부는 Pre-BOOST와 Buck으로 구현되며, 제어부는 MCU로 구현되고, MCU에서 출력되는 제 1 전압은 5 V이고, 제 2 전압은 0 V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MCU에서 5 V가 출력되면, SW7의 베이스에 5 V가 인가되어 SW7이 ON되고, SW7이 ON되면, SW7의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GND)에 연결되어 있는바, 콜렉터 단자의 전압도 0 V가 된다. SW7 콜렉터 단자의 전압이 0 V가 되면, SW8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0 V인바, SW8이 OFF된다. SW8이 OFF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지 않는바, Buck - 광원1 - 광원2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1과 하이빔 광원인 광원 2가 모두 동작하는 하이빔 모드로 동작한다.
MCU에서 0 V가 출력되면, SW7이 OFF되고, SW7이 OFF되면, 레귤레이터부의 전압 +5V에 의해 SW8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0 V이상이 되어 SW8이 ON된다. SW8이 ON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는바, 하이빔 광원인 광원 1은 바이패스되고, Buck - 광원1 - SW8으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1만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로 동작한다. 바이패스 동작시 경로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Buck - SW8 - 광원2과 다르게 Buck - 광원1 - SW8으로 경로가 형성된다.
만약, MCU가 단락되어 Don't Care 상태이거나, High Level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하이빔이 계속 켜져있을 수 있는바, 하이빔을 오프해야 한다. MCU에 고장이 발생하면, MCU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끊기고, 이때는 레귤레이터부 전압인 +5V에 의해 SW8이 ON된다. SW8이 ON되면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는바, 하이빔 광원인 광원 2는 바이패스되고, Buck - 광원1 - SW8로 경로가 형성되어, 로우빔 광원인 광원 1만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로 동작하고 로우빔 모드가 유지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황별로 각 구성의 온오프 상태는 다음 표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MCU SW7 SW8 바이패스 하이빔
MCU 정상 5 V ON OFF X ON
0 V OFF ON O OFF
MCU 고장 X OFF ON O OFF
상기 스위칭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이빔이 제 1 광원부로 구현되는지 제 2 광원부로 구현되는지, MCU의 제 1 전압으로 바이패스를 동작시키는지 제 2 전압으로 바이패스를 동작시키는지, 또는 스위칭소자를 어떤 소자를 이용하는지와 같이, 요구되는 스펙 내지 환경에 따라 구현되는데 필요한 소자 내지 구현 회로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 1 광원부
120: 제 2 광원부
130: 스위칭부
140: 제어부
150: 레귤레이터부
160: 전원부
210: 차량전원
220: 컨버터부
221: 정전압 컨버터부
222: 정전류 컨버터부

Claims (13)

  1.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
    상기 제 1 광원부 또는 상기 제 2 광원부 중 하나에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제 1 광원부 및 상기 제 2 광원부 중 상기 스위칭부에 병렬로 연결된 하나에 대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력이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부를 포함하는 광원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 및 제 2 광원부는 하나는 로우빔 광원이고, 다른 하나는 하이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여부가 결정되는 제 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동작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광원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동작되며,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1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4 스위칭 소자;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제 5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구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동작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5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6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1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이고, 상기 제 2 광원부는 하이빔 광원이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광원부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부는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 2 광원부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제 3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제 7 스위칭 소자; 및
    제 7 스위칭 소자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제 2 광원부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8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구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 1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가 ON되고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FF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동작되고,
    상기 제어부가 제 2 전압을 출력하면, 상기 제 7 스위칭 소자가 OFF되고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제 3 전압에 의해 상기 제 8 스위칭 소자가 ON되어 상기 제 2 광원부가 바이패스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13. 제 4 항, 제 7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이 상기 제 2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 3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KR1020170184552A 2017-12-29 2017-12-29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KR10254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52A KR102543457B1 (ko) 2017-12-29 2017-12-29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52A KR102543457B1 (ko) 2017-12-29 2017-12-29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8A KR20190081778A (ko) 2019-07-09
KR102543457B1 true KR102543457B1 (ko) 2023-06-14

Family

ID=6726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52A KR102543457B1 (ko) 2017-12-29 2017-12-29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4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193A (ja) * 2006-10-10 2008-04-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ヘッドランプ制御回路
KR101614932B1 (ko) * 2015-10-06 2016-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579A (ko) 2011-03-25 2012-10-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단락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193A (ja) * 2006-10-10 2008-04-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ヘッドランプ制御回路
KR101614932B1 (ko) * 2015-10-06 2016-04-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8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708B2 (en) Lighting circuit
US10375783B2 (en) Lighting circuit and vehicular lamp
US8729821B2 (en) Semiconductor light source light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US10212767B2 (en) Constant current power driver circuit for automotive light assembly
JP6101587B2 (ja) 車両用前照灯
US20030006717A1 (en) Multiregulator circuit and lamp
US10111291B2 (en) Lighting circuit and vehicular lamp
JP2007318881A (ja) Led点灯用電源装置
CN103906310A (zh) 光源驱动电路以及设有所述光源驱动电路的车灯
JP7365866B2 (ja) 灯具モジュール
KR102543457B1 (ko) 엘이디구동모듈(ldm)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JP5416356B2 (ja) 車両用灯具
JP7183012B2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点灯回路
US10728985B2 (en) Vehicle lamp and lighting circuit
CN107409451B (zh) 具有可控led矩阵的led照明电路
JP2014116354A (ja) 発光素子駆動装置、照明装置
JP5897768B2 (ja) Ledドライバ回路、および、ledドライバ回路の制御方法
JP2008131838A (ja) 電源装置
WO2021251376A1 (ja)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点灯回路
JP2019192478A (ja) 車両用灯具
KR101847801B1 (ko) 차량 램프용 엘이디 구동 모듈의 기준전압 출력 회로
JP7102909B2 (ja) 車両用灯具
WO2021251374A1 (ja)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点灯回路
KR102581389B1 (ko) Led 구동 장치
JP2022152828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