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85B1 -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85B1
KR102543085B1 KR1020210056758A KR20210056758A KR102543085B1 KR 102543085 B1 KR102543085 B1 KR 102543085B1 KR 1020210056758 A KR1020210056758 A KR 1020210056758A KR 20210056758 A KR20210056758 A KR 20210056758A KR 102543085 B1 KR102543085 B1 KR 10254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lades
disposed
blad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868A (ko
Inventor
소병완
윤여천
Original Assignee
우성씨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씨엔에스(주) filed Critical 우성씨엔에스(주)
Priority to KR102021005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유량조절장치는, 인접한 두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로부터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시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공간의 일부에 대한 유체통과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APPARATUS FOR CONTROLLNG FLUID FLOW AND DAMP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로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댐퍼(Damper)는 덕트(Duct) 또는 공조기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공기, 배기가스 등)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움직이는 날개 구조 기구의 총칭이다.
댐퍼는 다양한 형태로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방화댐퍼(Fire Damper)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원하는 공기량을 공급하는 풍량조절댐퍼(Volume Damper)등이 대표적이며, 덕트의 구조에 따라 원형 및 사각 등의 형태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중 사각덕트 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풍량제어 댐퍼(Volume Damper)의 경우 댐퍼의 조절날개(Blade)가 열리기 시작하는 초기 시점이 완전히 열린 시점보다 높은 압력비를 형성하여 풍량의 흐름 특성이 과도하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낮은 풍량을 제어함에 있어서 댐퍼의 개도율이 낮더라도 풍량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효율적인 제어가 이뤄질 수 없으며, 이 현상은 댐퍼의 크기가 클수록 더욱 심하게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27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댐퍼의 개방 초기에도 효율적인 유량조절이 이루어지는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유량조절장치는, 인접한 두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로부터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시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공간의 일부에 대한 유체통과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절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인접한 단부들 각각의 회전루트를 따라 형성된 곡선형 구조의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는 유체가 통과되는 통과부와 유체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것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차단부는 폭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차단부 사이에는 상기 통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부에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확장단부가 제1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첨단부가 제2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는 대향익형댐퍼의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조절체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측면부를 가진 일측판과, 타측에 배치된 상기 측면부를 가진 타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판과 타측판은,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하면서 유체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상술된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댐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로부터 두 개의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블레이드가 회전 시 두 개의 블레이드 사이공간의 일부에 대한 유체통과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체를 포함함으로써, 댐퍼의 초기 개방 시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절체가 두 개의 블레이드의 단부들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구조의 차단부를 포함함으로써, 댐퍼의 개도율이 낮은 경우에도 풍량의 변화가 일정하게 이루져서 댐퍼의 초기 개방 시 유체의 유량을 더욱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유량에 대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높은 턴다운비가 적용되는 설비에서 저부하 운전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어서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다.
도 1(a)는 평행익형댐퍼를 나타내고, 도 1(b)는 대향익형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평행익형댐퍼의 개도율에 따른 유량곡선을 나타내고, 도 2(b)는 도 1(b)의 대향익형댐퍼의 개도율에 따른 유량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댐퍼의 유량조절장치가 복수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댐퍼가 완전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댐퍼가 초기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댐퍼가 완전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와 같이 댐퍼가 초기 개방되기 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는 평행익형댐퍼를 나타내고, 도 1(b)는 대향익형댐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풍량제어댐퍼(Volume Damper)는 블레이드(댐퍼 날개)(B)의 회전 방향에 따라 두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풍량제어댐퍼는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평행익형댐퍼(Paraller Blade Damper)로서,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B)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댐퍼가 닫힌상태(Full Close)에서 열리기 시작하는 과정(개방초기)에서, 유체의 압차가 크고 유체가 통과하는 면적의 변화량이 커서 유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데, 이는 댐퍼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풍량제어댐퍼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대향익형댐퍼(Opposed Blade Damper)로서,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B)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평행익형댐퍼에 비하여 유량제어가 용이하지만, 댐퍼의 크기가 큰 산업용 댐퍼에서는 역시나 저궤도(개방초기) 미세유량 제어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도 2(a)는 도 1(a)의 평행익형댐퍼의 개도율에 따른 유량곡선을 나타내고, 도 2(b)는 도 1(b)의 대향익형댐퍼의 개도율에 따른 유량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α는 댐퍼 크기를 임의의 비율로 나타낸 값이며, 이값이 클수록 크기가 큰 댐퍼임)
도면을 참조하면, 풍량제어댐퍼에서는 정확한 유량제어를 얻기 위해서 개도율(Stroke)과 풍량(Air Flow)이 선형화(Linear) 될 때 가능하다.
즉, 풍량제어댐퍼에서는 개도율과 풍량을 나타내는 곡선이, 변화율이 불규칙한 비선형적 곡선이 아닌 상대적으로 변화율이 규칙적인 선형적 곡선, 다시 말해 직선에 가까워질수록, 유량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적 곡선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평행익형댐퍼의 경우 더 큰 압력강하를 공급하도록 크기가 조절되어야 하고, 이것은 공급팬(Supply Fan)의 운영경비가 증가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하여 대향익형댐퍼를 적용하여 풍량제어효과를 높여야 한다.
그러나, 댐퍼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는 산업용 보일러 및 대형 공기조화기 등의 댐퍼에서는 대향익형댐퍼라 할지라도 선형적 곡선을 얻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선형적 곡선의 제어가 불가하다는 것은 높은 턴다운비(Turndown Ratio)가 적용되는 장치에서 저부하 운전(Low Load Operation)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의미가 되며, 이는 안정적인 장치의 운영이 불가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풍량제어댐퍼(Volume Damper)의 유량제어를 선형화 하기 위해서, 저궤도(개방초기)에서 이루어지는 과도한 유량흐름을 줄여줘야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조치를 구현하도록, 본 발명은 두 개의 블레이드(B) 사이에 유량을 추가로 조절하는 조절체(100)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댐퍼의 유량조절장치가 복수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댐퍼가 완전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댐퍼가 초기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댐퍼가 완전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유량조절장치는 조절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체(100)는 인접한 두 개의 블레이드(B) 사이에 배치되며, 두 개의 블레이드(B)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체(1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블레이드(B)의 단부들(Ba) 사이로부터 블레이드(B)가 회전하는 측으로 배치된다.
즉, 조절체(100)는 일단부가 두 개의 블레이드(B) 단부들(Ba)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두 개의 블레이드(B)가 회전하는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조절체(100)는 두 개의 블레이드(B)가 회전 시 두 개의 블레이드(B) 사이공간의 일부에 대한 유체통과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두 개의 블레이드(B)가 회전하는 과정 중 특히 개방 초기에 미세한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상기 조절체(10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댐퍼가 설치된 통로의 내벽에 설치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체(100)는 두 개의 블레이드(B)의 인접한 단부들(Ba) 각각의 회전루트를 따라 형성된 곡선형 구조의 측면부(110)를 가진다.
즉, 조절체(100)의 일측 측면부(110)는 두 개의 블레이드(B) 중 하나의 단부의 회전루트를 따라 곡선형 구조를 형성되고, 조절체(100)의 타측 측면부(110)는 두 개의 블레이드(B)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의 회전루트를 따라 곡선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두 개의 블레이드(B) 중 하나의 블레이드(B)가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루트를 따라 조절체(100)의 일측 측면부(110)가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블레이드(B)가 회전하면서 개방하는 개방부분은 조절체(100)의 일측 측면부(110)가 커버링한다.
또한, 두 개의 블레이드(B) 중 나머지 하나의 블레이드(B)가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루트를 따라 조절체(100)의 타측 측면부(110)가 배치됨으로써, 나머지 하나의 블레이드(B)가 회전하면서 개방하는 개방부분은 조절체(100)의 타측 측면부(110)가 커버링한다.
참고로, 두 개의 블레이드(B)의 인접한 단부들(Ba)은 회전하면서 조절체(100)의 측면부(110)에 거의 닿을 정도로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단부들(Ba)과 조절체(100)의 측면부(110) 사이의 틈을 통해서는 유체가 거의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곡선형 구조의 측면부(110)는 일부분에 대해서만 유체가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체(100)의 측면부(110)는 유체가 통과되는 통과부(111)와 유체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통과부(111)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개방된 부분이고, 상기 차단부(112)는 유체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폐쇄된 부분이다.
이러한 측면부(110)를 가진 조절체(100)는 일정 부분(통과부(111))에서 유량이 차단됨에 따라, 블레이드(B)의 회전 과정 중 저궤도(개방초기)에서 이루어지는 과도한 유량흐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112)는 블레이드(B)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차단부(112)는 측면부(110)의 폭이 블레이드(B)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삼각형 구조는 측방향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으로 보이는, 즉 측면도 상으로 삼각형 형상을 띄는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는 측면부(110)의 곡선형 구조와 대응되게 삼각형의 양측변이 굴곡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차단부(112)에 의해, 댐퍼의 초기 개방 시 유체의 유량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조절체(100)의 차단부(112)는 블레이드(B)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복수 개의 차단부(112) 사이에는 통과부(111)가 배치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차단부(112)는, 차단부(112)에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확장단부(112a)가 제1 연결프레임(121)에 의해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첨단부(112b)가 제2 연결프레임(122)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프레임(12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블레이드(B)의 단부들(B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조절체(100)가 배치되는 댐퍼의 블레이드(B)는 대향익형댐퍼의 블레이드(B)일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조절체(100)가 평행익형댐퍼에 비하여 유량제어가 용이한 대향익형댐퍼에 활용됨으로써 유량제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조절체(10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익형댐퍼에 적용 시, 조절체(100)는 일측에 배치된 측면부(110)를 가진 일측판(P1)과, 타측에 배치된 측면부(110)를 가진 타측판(P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판(P1)과 타측판(P2) 각각은 길이방향에서의 단부에 링크바(123)가 배치되며, 제1 연결프레임(121)과 제2 연결프레임(122)은 링크바(123)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일측판(P1)과 타측판(P2)은, 두 개의 블레이드(B)의 단부들(Ba)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절체(100)의 일측판(P1)과 타측판(P2)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이어진 구조로서 사이공간이 채워져서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일측판(P1)에 있는 측면부(110)의 차단부(112)와 타측판(P2)에 있는 측면부(110)의 차단부(112)가 이어져서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일측판(P1)에 있는 측면부(110)의 통과부(111)와 타측판(P2)에 있는 측면부(110)의 통과부(111)가 이어져서 하나의 홀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절체(100)에 의해 댐퍼의 초기 개방 시 유량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도 7에는 댐퍼가 초기 개방이 완료되기 까지의 과정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타나 있다. 참고로 도 7에 포함된 세 개의 도면 각각에는, (A)부분과 (B)부분 각각에 배치된 조절체(100)에 대한 유체의 통과범위가 나타나 있다.
제일 위의 첫번째 도면에서는, 댐퍼가 완전 폐쇄된 상태로서 블레이드(B)가 아직 회전하기 전의 상태이며, 이때 두 개 블레이드(B)의 인접한 단부들(Ba) 사이에 조절체(100)의 제1 연결프레임(121)이 끼어져 있음에 따라, 유체가 댐퍼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위에서부터 두번째 도면에서는, 댐퍼가 막 개방된 상태로서 블레이드(B)가 약 15% 정도 회전된 상태이며, 이때 두 개 블레이드(B)의 단부들(Ba)이 조절체(100)에서 차단부(112)의 확장단부(112a)와 첨단부(112b) 사이 정도까지 회전하는 과정에서, 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통과부(111)에서 중간 높이의 면적까지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제일 아래의 세번째 도면에서는, 댐퍼의 초기 개방이 완료된 상태로서 블레이드(B)가 약 30% 정도 회전된 상태에서, 이때 두 개 블레이드(B)의 단부들(Ba)이 조절체(100)에서 차단부(112)의 첨단부(112b)까지 회전되었기에, 유체가 통과부(111)의 전체 면적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효과적인 측면에 있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댐퍼를 기준으로 하여 유체의 압력차를 살펴보면, 블레이드(B)를 회전시켜 댐퍼를 개방하는 초기에는 댐퍼가 완전히 개방된 시점보다 높은 압력차가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과도하게 통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차단부(112)의 테이퍼진 구조에 의해 이를 방지함으로써 댐퍼의 초기 개방 시 유체의 유량을 더욱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댐퍼에서는 낮은 풍량을 제어함에 있어서 댐퍼의 개도율이 낮더라도 풍량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효율적인 제어가 이뤄질 수 없으며, 이는 댐퍼의 크기가 클수록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블레이드(B)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구조의 차단부(112)가 구성됨으로써, 댐퍼의 초기 개방 시 유체의 유량을 더욱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댐퍼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블레이드, 구동부, 및 상술된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유체의 통로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유체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데, 일례로서 모터가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되었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두 개의 블레이드(B)의 단부들(Ba) 사이로부터 두 개의 블레이드(B)의 단부들(Ba)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블레이드(B)가 회전 시 두 개의 블레이드(B) 사이공간의 일부에 대한 유체통과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체(100)를 포함함으로써, 댐퍼의 초기 개방 시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절체(100)가 두 개의 블레이드(B)의 단부들(Ba)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구조의 차단부(112)를 포함함으로써, 댐퍼의 개도율이 낮은 경우에도 풍량의 변화가 일정하게 이루져서 댐퍼의 초기 개방 시 유체의 유량을 더욱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유량에 대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높은 턴다운비가 적용되는 설비에서 저부하 운전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어서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B : 블레이드 Ba : (블레이드의)단부
100 : 조절체 110 : 측면부
111 : 통과부 112 : 차단부
112a : 확장단부 112b : 첨단부
P1 : 일측판 P2 : 타측판
121 : 제1 연결프레임 122 : 제2 연결프레임
123 : 링크바

Claims (10)

  1. 인접한 두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로부터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시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공간의 일부에 대한 유체통과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인접한 단부들 각각의 회전루트를 따라 형성된 곡선형 구조의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는 유체가 통과되는 통과부와 유체통과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폭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차단부 사이에는 상기 통과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부에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확장단부가 제1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첨단부가 제2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대향익형댐퍼의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는, 일측에 배치된 상기 측면부를 가진 일측판과, 타측에 배치된 상기 측면부를 가진 타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판과 타측판은, 두 개의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이 회전하는 측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의 유량조절장치.
  10.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하면서 유체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량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댐퍼.
KR1020210056758A 2021-04-30 2021-04-30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KR10254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58A KR102543085B1 (ko) 2021-04-30 2021-04-30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58A KR102543085B1 (ko) 2021-04-30 2021-04-30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868A KR20220149868A (ko) 2022-11-09
KR102543085B1 true KR102543085B1 (ko) 2023-06-15

Family

ID=8404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58A KR102543085B1 (ko) 2021-04-30 2021-04-30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0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101Y2 (ja) 1991-06-05 1998-01-28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気圧風量調節ダンパ
JP2000240813A (ja) 1999-02-19 2000-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流量制御ダンパ
KR100666135B1 (ko) 2006-03-08 2007-01-09 백완기 가변 풍량 조절장치
JP2016191499A (ja) * 2015-03-31 2016-11-10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3Y2 (ja) * 1990-07-12 1996-01-17 空調技研工業株式会社 風量調整用ダンパー
KR20200142733A (ko) 2019-06-13 2020-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 조절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101Y2 (ja) 1991-06-05 1998-01-28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気圧風量調節ダンパ
JP2000240813A (ja) 1999-02-19 2000-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流量制御ダンパ
KR100666135B1 (ko) 2006-03-08 2007-01-09 백완기 가변 풍량 조절장치
JP2016191499A (ja) * 2015-03-31 2016-11-10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868A (ko)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5818B2 (ja) 弁内の流体の流れを増大させる装置
EP21626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scillating fluid jets
EP2762798A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DE2421873A1 (de)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brennluft einer feuerung, insbesondere mit oel- oder gasbrenner und geblaese fuer heizungsanlagen
KR102543085B1 (ko)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댐퍼
JPS6030843B2 (ja) 流体の流れ方向制御装置
JP6229873B2 (ja) 流量制御ダンパ
JP6563178B2 (ja) 調整弁および該調整弁の製造方法
JP2015028380A5 (ko)
DE4334473C2 (de) Vorrichtung zum Schwebendführen einer laufenden Bahn
US3342211A (en) Dampe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s
EP2653215B1 (en) Gas/Air mixing device for a gas burner
EP2896906A1 (de) Mechanisch selbsttätig arbeitender Volumenstromregler
US20190277314A1 (en) Valve body for a servovalve
DE202006005235U1 (de) Volumenstromregler, insbesondere für klima- und lüftungstechnische Anlagen
DE19516276C2 (de) Seitenkanalgebläse
US10253647B2 (en) Regulating valve and turbine
JP6221351B2 (ja) ボイラ
CN114992830B (zh) 用于排风系统的喷口与喷口风速的调节方法
CN211231694U (zh) 一种智能可控新型三通阀
CN114992831B (zh) 用于排风系统的喷口以及喷口风速的调节方法
US2388073A (en) Fluid flow control
JPH0226142B2 (ko)
EP1429081B1 (de) Belüftungssystem zur Raumbelüftung
CN114992833A (zh) 一种用于排风系统的喷口与喷口风速的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