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831B1 -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831B1
KR102542831B1 KR1020200166467A KR20200166467A KR102542831B1 KR 102542831 B1 KR102542831 B1 KR 102542831B1 KR 1020200166467 A KR1020200166467 A KR 1020200166467A KR 20200166467 A KR20200166467 A KR 20200166467A KR 102542831 B1 KR102542831 B1 KR 102542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ttle
feed composition
meal
cattle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736A (ko
Inventor
김수헌
유창균
이원영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
Priority to KR102020016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40Mineral licks, e.g. sal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6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중 및 육량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 루핀종실; 옥수수 글루텐 피드; 옥수수 후레이크; 대두박; 채종박; 팜박 및 야자박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매박; 및 옥수수 배아박을 포함하는, 소사료 조성물; 그리고 상기 소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Cattle feed for improving carcass weight and meat yield grade, and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체중 및 육량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아가 단계 별 사료 교체의 필요성이 없어 급여 편이성이 우수하여 목장의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가축 가운데 재래종 상태로 남아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가축인 한우의 육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우리나라 한우 농가들이 비육우 한 마리를 키우는 데 투입하는 전체 비용 중 약 70% 이상이 사료비 및 송아지에 소요되며, FTA로 인한 저가 쇠고기의 수입으로 국내 한우 시장은 불안할 뿐만 아니라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은 한우 쇠고기의 가격 경쟁력을 하락시키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수익 향상을 위해 고급육을 생산하려는 노력과 함께 사료비를 절감하고 급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이유(weaning) 직후에 거세한 후 장기적으로 비육하거나, 농후사료의 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방법, 항균제, 비타민제, 효소제, 완충제 등의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 곡물, 건초 등과 같은 천연 부산물을 포함하는 완전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여전히 많은 사료비와 시간이 소요되며, 나아가 예를 들어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91249호는 한우의 사양 단계별로 사료를 개발하고, 이를 한우에 급여함으로써 한우의 육질 개선 및 비육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소의 사양 단계를 육성기(6 ~ 13 개월령), 비육전기(14 ~ 22 개월령) 및 비육후기(23 ~ 28 개월령)로 나누어 급여해야 하는 점에서 급여 편이성이 낮은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급여 편이성이 우수하며, 이와 함께 도체중 및 육량등급이 향상될 수 있는 소사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잔존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도체중 및 육량 등급이 향상될 수 있는 소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료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급여 편이성이 우수한 소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밀; 루핀종실; 옥수수 글루텐 피드; 옥수수 후레이크; 대두박; 채종박; 팜박 및 야자박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매박; 및 옥수수 배아박을 포함하는, 소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의 사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경우 등심단면적은 높으나 등지방이 얇으며, 이에 따라 육질 등급 및 육량 등급이 우수한 소를 사육할 수 있으며, 발명의 사료에 의하면 하나의 사료로 어린송아지, 번식우 및 비육우 3단계(육성, 비육전기, 비육후기) 등 최소 5가지 사료 급여 교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 목장의 급여 편의성 및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여 편이성이 우수하며, 도체중 및 육량등급이 향상될 수 있는 소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은 밀; 루핀종실; 옥수수 글루텐 피드; 옥수수 후레이크; 대두박; 채종박; 팜박 및 야자박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매박; 및 옥수수 배아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비육우에 있어서 단계별 사료 교체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고, 번식우 및 어린 송아지에 있어서 동일한 사료 급여함으로써 어린 송아지의 거부감 감소로 사료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목장의 급여 편의성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밀 5 내지 10 중량%; 루핀종실 5 내지 10 중량%; 옥수수 글루텐 피드 15 내지 25 중량%; 옥수수 후레이크 15 내지 20 중량%; 대두박 5 내지 10 중량%; 채종박 5 내지 10 중량%; 팜박 및 야자박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매박 15 내지 30 중량%; 및 옥수수 배아박 5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는 다른 기재가 없는 한 소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Wheat)은 5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7 중량일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분 부족으로 인해 사료 펠렛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추위 내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반추위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루핀종실(Lupin Seed)은 5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8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사료 내 우회 단백질 함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칼로이드 독소 및 항트립신인자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옥수수 글루텐 피드(Corn Gluten Feed, 단백피)는 15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20 내지 23 중량일 수 있으며,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단백질이 높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추위 내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반추위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기호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옥수수 후레이크(Corn, Flake)는 15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17 중량일 수 있으며,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전분이 높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전분 함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단백질이 낮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부족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두박(Soybean Meal)은 5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7 중량일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우회 단백질이 높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우회 단백질 함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단백질이 높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과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채종박 (Rapeseed Meal)은 5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7 중량일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을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단백질이 높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 내 탄닌 및 시내핀의 쓴맛 때문에 기호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팜박(Palm Kernel Meal) 및 야자박(Coconut Meal)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매박은 15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며,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섬유소 함량이 높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섬유소 함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 생산 시 기계 압착에 의해 생산 시 지방이 높은 원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사료 내 지방 함량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열매박은 바람직하게는 팜박(Palm Kernel Meal) 및 야자박(Coconut Meal)의 혼합을 포함하며, 이 경우 혼합비는 팜박 1 중량부 당 야자박 1 내지 4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팜박 1 중량부 당 야자박 2 내지 3 중량부인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옥수수 배아박(Corn Germ Meal)은 5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7 내지 9 중량일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는 단백질이 낮은 원료이기 때문에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부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밀기울 0 중량% 초과 5 중량% 이하; 및 당밀 0 중량% 초과 5 중량% 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소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석회석(Limestone, Fine) 1 내지 2 중량%; 소금 0.1 내지 0.5 중량%, 비타민 0.005 내지 0.1 중량% 및 미네랄 0.1 내지 0.3 중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회석(Limestone, Fine)은 석회암의 분말로써 1 내지 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부형제 효과로 사료 내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말의 입도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200 내지 250 메쉬(mesh) 범위의 입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금(salt)은, 0.3 내지 0.5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0.3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금 내 Cl-로 인해 반추위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비타민은 0.005 내지 0.1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비타민은 A, D, E 복합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비타민 A, D, E 각 성분은 동일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고, 0.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요구량을 초과하여 영양소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미네랄은 0.1 내지 0.3 중량%, 예를 들어 0.19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미네랄은 아연(Zn), 망간(Mn), 구리(Cu) 및 코발트(Co) 복합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코발트 1 중량부 당 구리 20 내지 40 중량부, 아연 및 망간 각각 10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연(Zn), 망간(Mn), 구리(Cu) 및 코발트(Co)를 미네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3.3 중량%, 43.3 중량%, 13.0 중량%, 0.4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0.19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고, 0.1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요구량을 초과하여 영양소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단백질 19 내지 21 중량%; 조지방 3 내지 5 중량%; 칼슘 0.7 내지 1.0 중량%; 인 0.3 내지 0.6 중량%; 조섬유 5 내지 20 중량%, 조회분 3 내지 10 중량% 및 잔부의 가소화양분함량(TDN), 예를 들어 72 내지 75 중량%의 가소화양분함량(TDN)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소사료 조성물의 고형분은 소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0%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7 내지 88%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소사료 조성물을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의 사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육 방법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상기 소는 어린 송아지, 번식우, 암소 및 한우거세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어린 송아지는 입붙이 후 6개월령까지의 송아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육방법은 소의 사양 단계, 예를 들어 육성기(6 ~ 13 개월령), 비육전기(14 ~ 22 개월령) 및 비육후기(23 ~ 28 개월령)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육 방법은 건초를 추가로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소사료 조성물과 동시에 혹은 본 발명의 소사소 조성물 급여 전 또는 후에 건초를 추가로 급여할 수 있다. 이때 건초는 소 급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건초라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톨페스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2 내지 15 kg/일의 양으로 급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어린 송아지의 경우 2 내지 5 kg/일, 번식우의 경우 3 내지 4kg/일, 암소 비육의 경우 10 내지 12 kg/일, 한우거세우에 대하여 육성기에는 3kg/일으로 시작하여 8kg/일까지 증가시키고, 비육전기에 8kg/일을 유지하며, 비육후기에는 9kg/일로 급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에 의하면 하나의 사료로 어린송아지, 번식우 및 비육우 3단계 등 최소 5가지 사료 급여 교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 목장의 급여 편의성 및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등심단면적은 높으나 등지방이 얇으며, 이에 따라 육질 등급 및 육량 등급이 우수한 소를 사육할 수 있으며,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사료의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된 조성을 사용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하기 원료들을 분쇄하고, 배합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펠렛 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였다. 이때 압출 성형 조건은 60℃ 내지 80℃의 온도로, 3 내지 6kgf/cm2으로 가압하여 압출 성형하여, 직경 5mm, 길이 10 내지 20mm의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옥수수(Corn) 1.00
밀(Wheat) 5.00
루핀종실(Lupin Seed) 10.00
대두박(Soybean Meal) 8.00
채종박(Rapeseed Meal) 5.00
팜박(Palm Kernel Meal) 5.00
야자박(Coconut Meal) 10.00
옥수수 배아박(Corn Germ Meal) 8.00
밀기울(Wheat Bran) 5.00
옥수수 글루텐 피드(단백피, Corn Gluten Feed) 21.00
당밀(Molasses) 5.00
석회석(Limestone Fine (#20)) 1.50
소금(Salt) 0.30
비타민(Vitamins) A,D,E 복합제(A,D,E 중량비 1:1:1) 0.01
미네랄(Minerals)- 아연, 망간, 구리, 코발트 복합제(아연 43.3 중량%, 망간 43.3 중량%, 구리 13.0 중량%, 코발트 0.4 중량%) 0.19
옥수수 후레이트(Corn, Flake) 15.00
총 합 100.00
2. 급여 시험
상기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사료를 영월에 위치한 진선목장 및 서원목장에서 2017년 7월부터 2018년 3월 까지 9 개월 동안 한우 거세 28두 및 한우암소 13두에 대해 급여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한우 거세 28두에 육성기에는 3kg/일로 시작하여 8kg/일까지 증가시키고, 비육전기에 8kg/일을 유지하며, 비육후기에는 9kg/일로 하루 2회 분할 급여하였고, 암소 13두에 대해 10kg/일으로 시작하여 12kg/일까지 증가시켜 급여하였다. 한우 거세우 및 암소 모두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후 이들 소의 육질 등급 및 육량 등급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 육질 등급: 축산물 등급판정 세부기준 제5조
* 육량 등급(육량지수): 축산물 등급판정 세부기준 제4조
구체적으로 한우거세 및 한우암소의 육량 등급 판정을 위한 육량지수는 아래와 같다.
- 한우암소: [6.90137 - 0.9446 × 등지방두께(㎜) + 0.31805 × 배최장근단면적(㎠) + 0.54952 × 도체중량(㎏)] ÷ 도체중량(kg) × 100
- 한우거세: [11.06398 - 1.25149 × 등지방두께(㎜) + 0.28293 × 배최장근단면적(㎠) + 0.56781 × 도체중량(㎏)] ÷ 도체중량(kg) × 100
한편, 비교를 위해 동기간의 전국 평균 육질등급 및 육량등급 관련 정보를 진선목장으로부터 획득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내었다.
소의 종류 목장 구분 육질등급 육량등급
1등급 이상% 1+등급 이상% C등급% 등지방, mm 도체중, kg 등심단면적, cm2
한우거세
(28두)
A목장 평균 96.4 35.7 14.3 11.8 434.1 94.3
전국 평균 88.8 63.8 34.2 13.8 438.0 92.0
한우암소
(13두)
A목장 평균 84.6 30.8 46.2 14.5 399.4 91.5
전국 평균 55.7 20.6 29.3 14.2 359.0 84.5
한우거세우 출하개월령은 A 목장 29.1 개월로 전국 평균 31.5 개월 대비 2개월 전후의 기간이 단축될 수 있었으며, 그럼에도 한우거세의 육질등급은 1등급이상 비율이 전국 평균 대비 7.7% 증가한 수치로 우수하였다. 출하개월령은 사육비 및 수익성 측면을 고려할 때 28개월령에 가까운 것이 유리하다. 또한, 육량 등급에 있어서 등지방과 C등급 비율이 전국 평균 대비 현저히 낮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등심단면적은 전국 평균 대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한우거세의 경우 등심단면적은 높으나, 등지방이 얇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우암소의 경우 육질등급에 있어서 1등급 이상 및 1+등급 이상 각각 28.9% 및 10.2% 증가한 수치로 모두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육량 등급에 있어서 도체중 및 등심단면적이 전국 평균 대비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C등급 비율이 높은 것은 도체중 증가로 인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에 의하면 하나의 사료로 한우거세 및 한우암소의 구분 없이 급여가 가능하며, 나아가 어린송아지, 번식우 및 비육우 3단계 등 최소 5가지 사료 급여 교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향상된 도체중 및 육량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8)

  1.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밀 5 내지 10 중량%; 루핀종실 5 내지 10 중량%; 옥수수 글루텐 피드 15 내지 25 중량%; 옥수수 후레이크 15 내지 17 중량%; 대두박 5 내지 10 중량%; 채종박 5 내지 10 중량%; 팜박 및 야자박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매박 15 내지 30 중량%; 및 옥수수 배아박 5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는, 소사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 밀기울 0 중량% 초과 5 중량% 이하; 및 당밀 0 중량% 초과 5 중량% 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석회석 1 내지 2 중량%; 소금 0.3 내지 0.5 중량%, 비타민 0.005 내지 0.1중량% 및 미네랄 0.1 내지 0.3중량%을 추가로 포함하는, 소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사료 조성물은 조단백질 19 내지 21 중량%; 조지방 3 내지 5 중량%; 칼슘 0.7 내지 1 중량%; 인 0.3 내지 0.6 중량%; 조섬유 5 내지 20 중량%, 조회분 3 내지 10 중량% 및 잔부의 가소화양분함량(TDN)을 포함하는, 소사료 조성물.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사료 조성물을 어린송아지 단계부터, 육성기 및 비육기 단계까지 계속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의 사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는 어린 송아지, 번식우, 암소 및 한우거세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의 사육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건초를 추가로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의 사육방법.
KR1020200166467A 2020-12-02 2020-12-02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KR102542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467A KR102542831B1 (ko) 2020-12-02 2020-12-02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467A KR102542831B1 (ko) 2020-12-02 2020-12-02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736A KR20220078736A (ko) 2022-06-13
KR102542831B1 true KR102542831B1 (ko) 2023-06-16

Family

ID=8198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467A KR102542831B1 (ko) 2020-12-02 2020-12-02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87B1 (ko) * 2023-05-31 2024-03-08 한기웅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823B1 (ko) * 2004-01-15 2005-11-08 김종민 한우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 제조방법
US20080233244A1 (en) 2007-03-23 2008-09-25 Solae, Llc Animal food compositions and treats
US20190289880A1 (en) 2016-05-24 2019-09-26 Novozymes A/S Polypeptides having Alpha-Galactosidase Activity and Polynucleotides Enco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59B1 (ko) * 2005-08-01 2007-08-21 서정호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KR101710589B1 (ko) * 2014-05-08 2017-03-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823B1 (ko) * 2004-01-15 2005-11-08 김종민 한우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 제조방법
US20080233244A1 (en) 2007-03-23 2008-09-25 Solae, Llc Animal food compositions and treats
US20190289880A1 (en) 2016-05-24 2019-09-26 Novozymes A/S Polypeptides having Alpha-Galactosidase Activity and Polynucleotides Enco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736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1839B (zh) 一种秸秆型育肥牛全价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51059B1 (ko)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KR101710589B1 (ko)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CN101642192A (zh) 一种螃蟹饲料
CA3032310C (en) Growth performance improvements in pasture and feedlot systems
CN108567071B (zh) 一种改善肉羊生长性能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22666A (zh) 一种降低羔羊断奶应激的全混合日粮饲料
CN103416586A (zh) 一种山羊育肥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489371A (zh) 一种特大型育肥猪配合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00809A (ko) 산란계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6044A (ko) 육질 개선 및 단기비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비육방법
KR102542831B1 (ko)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CN113558140A (zh) 一种新型牛羊畜牧复合生化成型饲草的生产方法
KR101414297B1 (ko)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RU215381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рма для кроликов
CN101744157A (zh) 奶牛饲料
KR20200018557A (ko) 육질 개선 및 단기비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비육방법
CN104839493A (zh) 哺乳猪复合预混料及其制备与使用方法
KR100525823B1 (ko) 한우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 제조방법
KR101512605B1 (ko) 익스펜딩 가공 사료 제조방법
CN111202179A (zh) 一种猪饲料及其制备方法
JP2007202428A (ja) 環境対応型の豚用ペレットまたはクランブル飼料
CN101283729A (zh) 环保精细饲料
KR20240063535A (ko) 국내 육성 트리티케일을 이용한 한우 섬유질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wain et al. An alternative effort to reduce feed cost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 by utilizing fish processing waste as fish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