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732B1 -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732B1
KR102542732B1 KR1020190008589A KR20190008589A KR102542732B1 KR 102542732 B1 KR102542732 B1 KR 102542732B1 KR 1020190008589 A KR1020190008589 A KR 1020190008589A KR 20190008589 A KR20190008589 A KR 20190008589A KR 102542732 B1 KR102542732 B1 KR 10254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polarizing fil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618A (ko
Inventor
이희제
한상헌
권윤경
박병수
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0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7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본 출원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점착 초기부터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기재를 고정하는 경우, 기재를 고정하기 위해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이 선택된다.
한편, 점착제층을 기재에 접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 또는 예상치 못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관이나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점착제층의 재점착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점착력이 높은 점착제층의 경우는 이와 같은 재점착 작업은 곤란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기포를 저감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엠보스 가공된 라이너에 의해 감압 점착제의 점착면에 요철의 표면 형태를 형성하는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 이 경우, 감압 점착제를 기재에 접합했을 때에 양자간에 기포가 혼입되어도, 감압 점착제의 표면 홈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기 쉬워지므로, 재점착을 하지 않고 기포를 제거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전술한 감압 점착제는 홈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해진다. 또한, 이 감압 점착제를 기재에 가볍게 점착한 경우는, 홈이 있음으로써 점착 면적이 작아져, 리워크(Rework)나 위치 새로 고침 등의 작업은 행하기 쉬워지기는 하지만,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편광판의 경우, 편광판의 일면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이 접착되며, 다른 일면에 표시 패널이 부착되며, 이 때, 표시 패널은 점착제층을 통하여 부착된다. 표시 패널 부착시, 상기와 같이 오부착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부터 점착력이 높은 점착제층의 경우, 이를 재박리시 편광판 및 표시 패널에 충격이 가해져 내구성이 좋지 못한 단점을 갖게 되며, 점착력이 초기부터 낮게 형성되는 경우, 표시 패널과의 부착성이 좋지 못한 단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편광판에 표시 패널을 부착시, 점착 초기에 점착력이 낮게 유지됨과 동시에, 표시 패널과의 점착 후에도 점착력이 낮게 유지되며, 이 후 표시 패널의 고정에 필요한 충분한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편광 필름에 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9283호
본 출원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편광판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은, 가변 전 초기 점착력은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특정 열처리 공정 이후의 가변 후 후기 점착력이 높게 형성되어, 가변 전 오부착시 리워크(Rework) 특성이 용이하며, 가변 후 표시 패널과의 점착력이 향상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로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 35℃ 이상인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은 표시 패널과 초기 점착력이 낮은 특징을 가지며,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시에도 점착력이 상승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로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 35℃ 이상인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여, 특정 열처리 후 점착력이 상승하여, 추후 표시 패널과의 점착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개략적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유리전이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DSC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용융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DSC 그래프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의 경우, 가변 전 초기 점착력은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특정 열처리 공정 이후의 가변 후 후기 점착력이 높게 형성되어, 가변 전 오부착시 리워크(Rework) 특성이 용이하며, 가변 후 표시 패널과의 점착력이 향상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편광판 보호 필름(10)/편광판(20)/점착제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점착력은 600gf/in 이상 1000gf/in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점착력은 600gf/in 이상 1000gf/in 이하, 바람직하게는 650gf/in 이상 950gf/i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gf/in 이상 900gf/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점착력은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 점착 필름을 편광판에 합지한 후, 열 처리 공정을 통하여 상기 범위의 점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광판과 점착 필름 일체형인 편광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5℃ 이상인 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로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 35℃ 이상인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은 표시 패널과 초기 점착력이 낮은 특징을 가지며,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시에도 점착력이 상승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로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 35℃ 이상인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여, 특정 열처리 후 점착력이 상승하여, 추후 표시 패널과의 점착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점착력 및 후기 점착력은 180° 각도 및 18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한 후 각각 측정하였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 바람직하게는 90gf/inc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gf/inch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5gf/inch 이상, 바람직하게는 10gf/i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gf/in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 바람직하게는 700gf/inch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gf/inch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0gf/inch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gf/inc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gf/inch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110gf/inch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초기 점착력은 상기 언급한 초기 점착력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중기 점착력은 180° 각도 및 18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한 후 각각 측정하였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110gf/inch 이하, 바람직하게는 95gf/inc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gf/inch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10gf/inch 이상, 바람직하게는 15gf/inch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gf/inch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은, 상기와 같이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것인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상온(23℃)에서의 2시간 방치/ 24시간 방치후에도 점착력이 낮은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즉,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은 상온에서 장시간 방치하여도 점착력의 상승을 막을 수 있어, 추후 표시 패널이 오부착시에도 재가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되며, 오부착시 표시 패널의 제거가 편리하고 이물질이 남지 않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기 점착력/상기 초기 점착력이 1.2 이상 500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후기 점착력/상기 초기 점착력은 1.2 이상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4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0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은 초기 점착력 대비 후기 점착력이 크게 상승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점착 초기에 오부착시 리워크(Rework) 특성이 우수하고, 특정 공정 이후의 후기 점착력이 크게 상승하여 표시 패널과의 점착력이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5℃ 이상인 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5℃ 이상인 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 3종 이하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5℃ 이상인 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5℃ 이상인 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2종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성분은 GC(Gas chromatograph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성은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분석에 의하여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추후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낮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점착력이 낮게 유지된다는 것은 상기 점착제층을 표시 패널에 라미네이션(lamination) 한 후의 초기 상태의 점착력과 특정 시간 경과 후의 점착력의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차이가 없음의 의미는 수치의 완전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일부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추후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상기 점착제층을 표시 패널에 라미네이션(lamination) 한 후, 열처리 공정 후의 점착력이 상승하여 가변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용융온도는 물질이 고체상(Solid state)에서 액체상(liquid state)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를 의미하며, 특히 고분자의 경우 가열할수록, 특정 온도에서는 입체구조에 큰 변화가 생겨 마치 상 전이에 상당하게 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때의 온도를 용융온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용융온도는 DS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10mg의 시료를 전용 펜(pan)에 필봉하고 일정 승온 환경으로 가열 할 때 상 변이가 일어남에 따른 물질의 흡열 및 발열량을 온도에 따라 그려 측정한 값이다.
즉,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용융온도(Tm)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Tg)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변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상온(25℃)에서 점착력이 상승하지 않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도 2는 유리전이온도(Tg)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에 대한 DS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용융온도(Tm)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에 대한 DS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 유리전이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경우, 안정구간(Glassy)에 대하여 온도를 서서히 높여줄수록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온도 구간에서 서서히 상전이(Glassy->Rubbery)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유리전이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가변 특성은 발생할 수 있으나, 그 상전이 온도 구간이 넓어, 상온(25℃)에서 장시간 보관시 상전이가 일부 일어나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상승하여 경시 안정성이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가변 특성도 상전이 상태가 고무상(Rubbery) 상태로 우수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도 3에서 알 수 있듯, 용융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의 경우, 안정구간(Solid)에 대하여 온도를 서서히 높여주는 경우, 특정 온도(melting)에서 급격한 상전이(Solid->liquid)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즉, 용융온도 거동을 보이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특정 온도 값에서 급격한 상전이가 일어나게 되어, 용융온도보다 아래의 온도에서는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아 점착력 상승을 억제(경시 안정성 우수)할 수 있으며, 용융온도보다 위의 온도에서는 상전이가 발생하여 점착력이 급격히 상승(가변 특성 우수)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0816834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X는 N 또는 O이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n은 10 내지 30의 정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n은 15 내지 25의 정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n은 16 내지 22의 정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N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X는 O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특히 상기 n 값이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탄소의 side chain 간의 엉킴에 의하여 일부 결정화가 생기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상기 중합체가 용융온도(Tm) 거동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 종 이상의 모노머를 공중합 하였을 때, 최종 중합체의 용융온도가 35℃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용융온도는 35℃ 이상일 수 있으며,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은 2종 이상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물건을 의미하며,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단위체가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단량체들이 규칙없이 서로 섞인 형태를 갖는 불규칙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일정 구간별로 정렬된 블록이 반복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또는 단량체가 교대로 반복되어 중합되는 형태를 갖는 교대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것인 중합체는 불규칙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교대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STA(Stearyl acrylate) 및 STMA(Stear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단관능 폴리실록산으로는 Chisso사의 FM-0721, 신에츠사의 KF201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g/mol 내지 20만 g/mol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g/mol 내지 15만 g/mol, 바람직하게는 3만 g/mol 내지 10만 g/mol 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용융온도 35℃ 이상인 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값을 갖는 경우, 중합체 내의 분자들의 배열이 우수하여, 추후 점착제층의 제조시 초기 점착력이 낮은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분자량이 균일하지 않고 어떤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이 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 분자량 중의 하나로,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분석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상기 1종 이상의 모노머; 및 용매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Tolue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상기 1종 이상의 모노머를 용해시킬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따른 일반적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및 상기 모노머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모노머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상기 모노머를 상기 중량부 포함하는 경우, 중합체 전체의 용융온도 값이 적절히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후 점착 시트의 상온에서의 초기 점착력이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온에서의 경시 안정성 또한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 내지 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상기 범위의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중합체가 존재할 수 있는 양이 적합하여 상온에서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여, 점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추후 표시 패널과의 가변 공정에 있어, 가변 성능이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g/mol 내지 500만 g/mol 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는 또한 상용성 등의 기타 기능성 향상의 관점에서, 초산비닐, 스틸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공중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질소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함유 단량체로는, VP(N-vinyl pyrrolidone, N-비닐 피롤리돈)를 들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알킬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40 중량부, 질소함유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알킬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40 중량부, 질소함유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는 것의 의미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질소함유 단량체 및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상기 중량비로 중합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알킬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질소함유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기 조성 및 함량을 갖는 경우, 추후 점착제층의 가변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 분산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성 화합물은 헥산디올디(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2-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프탈산, 프로필렌기의 수가 2 내지 14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산성 변형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상품명으로 일본 동아합성사의 TO-2348, TO-2349) 등의 다가 알코올을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β-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프탈산디에스테르, β-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의 수산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다가 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비이미다졸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O-아실옥심계 화합물, 티옥산톤계 화합물,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쿠마린계 화합물 및 벤조페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페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플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3',4'-디메톡시페닐)-6-트리아진,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 프로판산, 2,4-트리클로로메틸-(4'-에틸비페닐)-6-트리아진 또는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비페닐)-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비이미다졸 또는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 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Irgacure-907) 또는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369)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Ciba Geigy 社의 Irgacure OXE 01, Irgacure OXE 02와 같은 O-아실옥심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또는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또는 디이소프로필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 포스핀 옥사이드 또는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 프로필 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3,3'-카르보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또는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Cl]-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등을 단독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열개시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Toluene)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정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따른 일반적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이형 필름은 소수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가 매우 얇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점착제층의 일면에 부착하는 투명층을 말하는 것이며,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시클로 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및 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시판되는 실리콘 처리 이형필름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형 필름은 추후 표시 패널 부착시 제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3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3 ㎛ 이상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오부착시 리워크(Rework)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점착제층을 제거함에 있어 이물질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는 110 ㎛ 이상 700 ㎛ 이하인 것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는 120 ㎛ 이상 6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5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5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범위를 가짐으로써, 추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시 두께가 적합하며, 또한 오부착시 리워크(Rework)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점착제층을 제거함에 있어 이물질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다수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기재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바코터로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AR(polyarylate), PCO(polycylicolefin),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ES(polyethersulphone) 및 COP(cycloolefin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에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이 사용된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요오드를 흡수한 PVA(poly vinyl alcohol)를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PVA 필름을 수용액에 담가 팽윤(swelling)시키는 팽윤하는 단계, 상기 팽윤된 PVA 필름에 편광성을 부여하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PVA 필름을 연신(stretch)하여 상기 이색성 염료 물질을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연신 단계, 및 상기 연신 단계를 거친 PVA 필름의 색을 보정하는 보색 단계를 거쳐 편광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편광판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및 위상차 필름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양면에 편광판 보호필름이 부착된 종래의 편광판의 편광판 보호필름 상에 부착되어, 위상차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그 구조는 상 편광판 보호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편광자/하 편광판 보호필름일 수 있다. 그 부착 방법은,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코터, 나이프 코터, 캐필러리 코터, 또는 마이크로 챔버 닥터 블레이드(Micro Chamber Doctor blade) 코터 등을 사용하여 위상차 필름 또는 편광자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코팅한 후, 점적방식으로 접착제를 뿌리고,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합지 롤로 가열 합지하는 방법,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 또는 UV 경화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은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편광판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35℃ 이상 60℃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열처리 하는 것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35℃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35℃ 이상 60℃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열처리 하는 것을 의미하여, 상기 열처리 단계는 챔버(chamber)를 이용하여 열처리 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온도에서 20분 내지 50분 처리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에 상기 열처리 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편광판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는 면의 점착력은 600gf/in 이상 1000gf/in 이하로, 점착력이 상승하여 편광판과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좋아지게 된다.
즉,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 필름은 편광자와 점착제층이 합지된 일체형의 편광 필름을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glass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1. 편광 필름의 제조
실리콘 이형처리된 PET 필름에 하기 표 1의 조성 및 중량부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두께 25μm로 도포한 후, 120℃의 온도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제조하였다. 건조 후 상기 점착제층 상에 편광판을 합지한 후 40℃ 오븐(Oven)에서 1일 동안 숙성시켜 편광판과의 부착력을 증진시켜 편광판/점착제층 일체형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조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합체 경화제
(DR-7030HD)
조성 함량
실시예 1 EHA/MMA/VP/HEA
(70/20/5/5)
STA/STMA/FM-0721
(20/60/20)
(Tm: 39℃)
3 pt 0.7 pt
실시예 2 EHA/MMA/VP/HEA(70/20/5/5) STA/STMA/FM-0721
(20/60/20)
(Tm: 39℃)
5 pt 0.7 pt
실시예 3 EHA/MMA/VP/HEA(65/20/10/5) STA/STMA/FM-0721
(20/60/20)
(Tm: 39℃)
5 pt 0.7 pt
실시예 4 EHA/MMA/VP/HEA(65/20/10/5) STA/STMA/FM-0721
(10/70/20)
(Tm: 38℃)
5 pt 0.7 pt
실시예 5 EHA/MMA/VP/HEA(65/20/5/10) STA/STMA/FM-0721
(20/60/20)
(Tm: 39℃)
5 pt 0.7 pt
비교예 1 EHA/MMA/VP/HEA(70/20/5/5) - - 0.7 pt
비교예 2 EHA/MMA/VP/HEA(70/20/5/5) BYK-377 1 pt 0.7 pt
상기 표 1에서 EHA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MMA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VP는 N-비닐피롤리돈, HEA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STA는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및 STMA는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의미한다. 또한 FM-0721은 단관능 폴리실록산으로 Chisso 社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FM-0721은 폴리실록산이 존재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또한, 상기 중합체 및 경화제의 함량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및 2의 편광 필름에 대하여, Glass에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의 일면을 점착한 후 특정 온도 조건에서 점착력 및 재작업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점착력(gf/in) 32 24 28 29 31 1500 25
중기 점착력(gf/in) 35 30 28 30 30 1550 27
후기 점착력(gf/in) 1520 1480 1350 1380 1400 1630 26
재작업성 OK OK OK OK OK NG OK
1. 초기 점착력: 점착제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하고 23℃에서 2시간 방치 후, 180° 각도 및 18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중기 점착력: 점착제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하고 23℃에서 24시간 방치 후, 180° 각도 및 18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후기 점착력: 점착제층을 2kg 고무 롤러로 1회 왕복하여 유리 기판에 부착하고 23℃에서 24시간 방치 하고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 180° 각도 및 1800mm/분의 박리속도로 텍스춰 어넬라이져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재작업성: 점착제층을 유리 기판에 부착하고, 10분 후 재박리시 유리 기판에 점착제가 남지 않고 떨어지면 OK, 점착제의 잔류물이 남아있으면 NG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 본원 실시예 1 내지 5의 편광 필름의 경우, 초기 점착력 및 중기 점착력이 낮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상온(25℃)에서 점착력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후기 점착력이 특정 범위 이상으로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원의 실시예 1 내지 5의 편광 필름은 가변 특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오부착시 재작업성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비교예 1의 경우, 점착제 조성물로 특정 용융온도 범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로, 초기 점착력이 높아 오부착시 점착제 잔류물이 남아 재작업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특정 용융온도 범위를 갖는 중합체가 아닌 다른 중합체를 포함한 것으로 초기 점착력은 낮게 유지되어 재작업성은 우수하나, 후기 점착력 또한 낮게 유지되어 가변 특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접착력이 상승하지 않는 문제를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편광판 보호필름
20: 편광판
30: 점착제층
40: 편광 필름

Claims (17)

  1.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구비된 편광판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점착제층;
    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점착력은 600gf/in 이상 1000gf/in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35℃ 이상인 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단관능 폴리실록산 및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인 편광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편광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9008168344-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X는 N 또는 O이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n이 16 내지 22의 정수인 것인 편광 필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는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단관능 폴리실록산 1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및
    상기 모노머 6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용융온도가 35℃ 이상인 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STA(Stearyl acrylate) 및 STMA(Stear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 분산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및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3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기 점착력/상기 초기 점착력이 1.2 이상 500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23℃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중기 점착력이 110gf/inch 이하인 것인 편광 필름.
  14.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 편광판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접합 후의 23℃에서 2시간 방치 후의 초기 점착력이 100gf/inch 이하이고, 그 후 50℃에서 20분 열처리한 후의 후기 점착력이 500gf/inch 이상인 것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35℃ 이상 60℃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열처리 하는 것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편광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90008589A 2019-01-23 2019-01-23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54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89A KR102542732B1 (ko) 2019-01-23 2019-01-23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89A KR102542732B1 (ko) 2019-01-23 2019-01-23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18A KR20200091618A (ko) 2020-07-31
KR102542732B1 true KR102542732B1 (ko) 2023-06-12

Family

ID=7183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589A KR102542732B1 (ko) 2019-01-23 2019-01-23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7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341A1 (ja) * 2017-05-31 2018-12-06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675B1 (en) 1999-05-13 2003-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 articles
JP6734010B2 (ja) * 2014-03-18 2020-08-05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シートおよび感温性粘着テープ
JP6564695B2 (ja) * 2015-11-27 2019-08-2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粘着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80029739A (ko) * 2016-09-13 2018-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341A1 (ja) * 2017-05-31 2018-12-06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18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643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54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0640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935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063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550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3551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29062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82482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542732B1 (ko)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375401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52804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09532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76489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364578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102426947B1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2020013224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KR20200136157A (ko)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