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99B1 -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699B1
KR102542699B1 KR1020210128096A KR20210128096A KR102542699B1 KR 102542699 B1 KR102542699 B1 KR 102542699B1 KR 1020210128096 A KR1020210128096 A KR 1020210128096A KR 20210128096 A KR20210128096 A KR 20210128096A KR 102542699 B1 KR102542699 B1 KR 10254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ressure
housing
rai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355A (ko
Inventor
홍승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화피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화피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화피에스시
Priority to KR102021012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61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industrial machines or actu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Abstract

계측기와 브러시와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조건하에서 각 브러시에 대해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 매거진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정압 스프링의 압력 측정을 위한 계측기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하우징에 설치된 계측기를 브러시 매거진을 따라 각 정압 스프링 위치로 이동시켜 정압 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의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PRESSURE OF GENERATOR BRUSH SPRING}
본 개시내용은 발전기용 브러시의 스프링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는 발전기가 구비되어 수력이나 화력, 원자력 등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발전기는 회전자와 고정자로 구성되고, 회전자의 일단에는 정류를 위한 슬립링(콜렉터링)이 설치된다. 슬립링에는 고정자의 브러시가 접촉되어 슬립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브러시는 설비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된 매거진 구조로 되어 있다. 매거진 내에는 원형으로 말린 판 스프링 구조의 정압 스프링이 마련되어 각 브러시를 일정한 압력으로 슬립링에 가압 밀착한다. 브러시의 가압력이 적정한 상태를 유지해야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브러시의 압력이 큰 경우에는, 브러시나 슬립링의 마모율이 증가하고, 브러시의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아크(ark)를 발생시켜 설비의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브러시 간의 압력이 상이한 경우에는 전류가 고르게 분배되지 않고 압력이 큰 쪽의 브러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가 흘러 과열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브러시의 압력을 절적하게 유지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발전기 정비시에 정압 스프링에 의한 브러시의 압력을 매번 측정함으로써, 브러시를 관리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측정 방식은 측정시마다 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계측값이 상이하여 정확한 계측이 어렵고, 측정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브러시에 대해 계측기를 이동시키면서 측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과제는 계측기와 브러시와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조건하에서 각 브러시에 대해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계측 과정이나 이동 과정에서 계측기의 유동을 억제하고 각 브러시에 대해 정확한 간격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복수의 브러시에 대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브러시홀더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도록 된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측정 장치는, 복수개의 브러시와 각 브러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 각 브러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정압 스프링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브러시가 구비된 브러시매거진에 있어서, 각 브러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정압 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 매거진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정압 스프링의 압력 측정을 위한 계측기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하우징에 설치된 계측기를 브러시 매거진을 따라 각 정압 스프링 위치로 이동시켜 정압 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계측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 구조이고, 브러시유닛을 향하는 전면에는 상기 계측기의 검측용 로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홈이 절단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계측기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에 구비되어 계측기를 전면쪽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는 가압판, 후면에 나사체결되고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대해 가압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대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작업대에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에는 상기 볼트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매개로 작업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장공은 상기 볼트에 대해 유동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에 대한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고정대 사이 간격을 맞춰 평행하게 배치하기 위한 기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계측기가 정확히 브러시 매거진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동될 수 있어, 브러시 매거진에 구비된 각 정압 스프링에 대한 측정 신뢰도를 높여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계측기가 설정된 이동 라인을 따라 움직이며 측정이 이루어져, 브러시 매거진에 구비된 복수의 정압 스프링에 대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측정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량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시 매거진에 따라 고정대에 대한 지지대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대와의 사이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브러시 매거진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x축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을 폭방향이라 한다.
브러시 매거진(100)은 복수개의 브러시(110)를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한 구조로, 복수개의 브러시(110)와 각 브러시(1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120), 각 브러시(1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정압 스프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는, 복수개의 브러시(110)가 구비된 브러시(110)매거진(100)에 있어서, 각 브러시(1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정압 스프링(130)의 압력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는 6개의 브러시(110)가 결합된 브러시 매거진(100)에 대한 측정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브러시(110)의 개수나 브러시(110)매거진(10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측정장치(10)는, 작업대(20) 상에 설치되어 브러시 매거진(100)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30), 작업대(20) 상에 설치되고 고정대(30)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대(40), 지지대(40)에 설치되고 고정대(3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대(3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50), 레일(5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52), 이동블럭(52)에 설치되고 정압 스프링(130)의 압력 측정을 위한 계측기(140)가 장착되는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하우징(60)에 고정된 계측기(140)가 레일(50)을 따라 브러시 매거진(100)의 각 정압 스프링(130) 위치로 이동하여 각 정압 스프링(130)에 대해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브러시 매거진(100)이 고정된 고정대(30)와 레일(50)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레일(50)을 따라 이동하는 계측기(140)와 브러시 매거진(100) 사이 간격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계측기(140)는 브러시 매거진(100)의 각 정압 스프링(130)에 대한 간격을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브러시 매거진(100)의 각 정압 스프링(130)에 대한 압력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작업대(20)는 각 구성부를 지지한다. 작업대(20)에 구비된 다리 하단에는 바퀴(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위치로 작업대(20)를 용이하게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대(2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고정대(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브러시 매거진(1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 작업대(2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대(30)의 상부에 브러시 매거진(10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 매거진(100)은 고정대(30)에 장착됨에 따라, 복수의 브러시(110)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브러시 매거진(100)은 예를 들어, 브러시 매거진(100)에 장착되는 전용 지그(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대(30)에 탈착시킬 수 있다.
지지대(40)는 길게 연장된 프레임 구조물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작업대(2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대(40)는 고정대(3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대(3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40)의 양 선단에는 외측으로 플랜지(42)가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42)에는 장공(44)이 형성된다. 이에, 장공(44)을 지나 작업대(20)의 볼트체결홀에 장착되는 볼트(46)를 매개로 지지대(40)는 작업대(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4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50)이 고정 설치된다. 이에, 레일(50)은 고정대(3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50)을 따라 계측기(140)가 이동하였을 때, 계측기(140)와 고정대(30)에 설치된 브러시 매거진(100) 간의 간격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동블럭(52)은 레일(50)에 결합되어 레일(50)을 따라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블럭(52)은 레일(5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폭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는 유동은 최소화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동블럭(52)이 레일(50)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며 레일(50)에 결합되며, 레일(50)은 양 측면에 안쪽으로 홈부(54)가 함몰 형성되고, 레일(50)의 측면에 접하는 이동블럭(52)의 측면 내측에는 홈부(54)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홈부(54)에 맞물리는 돌기부(56)가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이동블럭(52)은 내측으로 함몰된 레일(50)의 홈부(54)에 돌기부(56)가 맞물린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블럭(52)은 돌기부(56)가 홈부(54)에 걸려 있어 레일(50)에 대해 상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홈부(54)와 돌기부(56)에 의해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레일(50)에 대한 이동블럭(52)의 유동이 보다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 매거진(100)의 각 정압 스프링(130) 측정 과정에서 이동블럭(52)에 결합되는 계측기(140)의 유동을 방지하여, 각 정압 스프링(130)에 대한 보다 정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계측기(140)는 브러시 매거진(100)의 각 정압스프링(130)에 의한 가압력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계측기(140)는 외측으로 돌출된 압력 검측용 로드(142)에 정압 스프링(130)의 탄성력을 받는 브러시(110)를 접촉시켜 정압 스프링(130)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계측기(140)의 형태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계측기(140)는 하우징(60)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이동블럭(52)에 결합된다.
이동블럭(52) 상에 계측기(140) 장착을 위한 하우징(60)이 고정 설치된다. 계측기(140)는 하우징(60)을 매개로 이동블럭(52)에 결합되어 이동블럭(5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60)은 계측기(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0)의 외측에는 손잡이(6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손잡이(62)를 이용하여 레일(50)을 따라 하우징(60)을 밀어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60)은 폭방향을 따라 브러시 매거진(100)을 향하는 전면에 홈(64)이 절단 형성된다. 하우징(60) 내부에 계측기(140)를 장착하였을 때, 계측기(140)에 구비된 압력 검측용 로드(142)가 홈(64)을 통해 하우징(6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60)의 후면에는 계측기(140)를 하우징(6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된다.
이에, 계측기(140)는 하우징(6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앞쪽의 로드(142)가 홈(64)을 통해 하우징(60) 외측으로 돌출되어 브러시(110)에 대한 압력 검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는, 하우징(60)의 후면 내측에 구비되어 계측기(140)를 전면쪽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는 가압판(66), 후면에 나사체결되고 가압판(66)에 연결되어 하우징(60)의 후면에 대해 가압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볼트(6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66)은 플레이트 구조물로, 가압판은 하우징(60)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판(66)의 후면에 이송볼트(6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송볼트(68)는 하우징(60)의 후면에 나사체결되어 하우징(60)의 후면에 대해 조여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가압판(6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이송볼트(68)가 조여짐에 따라 가압판(66)이 이동하면서 계측기(140)를 밀어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계측기(140)는 가압판과 하우징(60)의 전면 사이에 가압되어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브러시 매거진(100)이 장착되는 고정대(30)와 레일(50) 사이 간격이 일정하고, 레일(50) 상에 설치된 하우징(60) 전면에 계측기(140)가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60)이 레일(50)을 따라 이동되더라도 계측기(140)와 브러시 매거진(100) 사이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각 정압 스프링(130)에 대한 측정 신뢰도를 높여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는, 지지대(40)가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브러시 매거진(1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40)의 플랜지(42)에 형성된 장공(44)은 볼트(46)에 대해 유동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작업대(20)의 볼트체결홀에 결합된 볼트(46)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공(44)이 폭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어, 지지대(40)의 고정 위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대(2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대(30)에 대해 지지대(40)가 상대적으로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대(30)와 지지대(4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대(30)에 대한 지지대(40)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볼트(46)를 조여줌에 따라 지지대(40)를 작업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40)의 위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고정대(30)에 대한 지지대(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 매거진(100)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지지대(40)에 설치된 계측기(140)와 고정대(30)에 설치된 브러시 매거진(100) 사이 간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0)와 고정대(30) 사이에는, 간격을 맞춰 지지대(40)를 고정대(30)에 평행하게 배치하기 위한 기준플레이트(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기준플레이트(7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폭방향 양 측단은 평행한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기준플레이트(70)는 폭방향 길이를 달리하여 여러 개가 구비되어, 작업자는 적절한 크기의 기준플레이트(7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기준플레이트(70)를 지지대(40)와 고정대(30) 사이에 끼워 보다 간편하게 지지대(40)를 고정대(30)와 정확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플레이트(70)는 폭방향 길이가 전체적으로 일정하여, 고정대(30)에 대해 지지대(40)를 정확하게 평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대(30)에 기준플레이트(70)를 밀착시키고 반대쪽에서 지지대(40)를 기준플레이트(70)에 밀착시킴으로써, 지지대(40)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60)에는 계측기(140)가 장착되고, 고정대(30)에는 피 측정 대상인 브러시 매거진(100)이 고정된다.
브러시 매거진(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간단하게 레일(50)을 따라 하우징(60)을 이동시키면서 각 브러시 매거진(100)에 마련된 각 정압 스프링(130)에 대한 압력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일(50)은 브러시 매거진(100)이 장착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레일(50)을 따라 하우징(60)을 이동시켜 브러시 매거진(100)의 각 브러시(110) 위치로 계측기(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60)을 밀어주게 되면 하우징(60)에 설치된 이동블럭(52)이 레일(50)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하우징(60)에 설치된 계측기(140)가 각 브러시(110)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레일(50)을 따라 계측기(140)를 보다 용이하게 해당 브러시(110) 위치로 이동시켜 브러시(110)를 계측기(140)에 접촉시킴으로써, 해당 브러시(110)에 결합되어 있는 정압 스프링(130)에 대한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 매거진(100)에 마련된 복스의 정압 스프링(130)에 대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측정장치 20 : 작업대
30 : 고정대 40 : 지지대
42 : 플랜지 44 : 장공
46 : 볼트 50 : 레일
52 : 이동블럭 54 : 홈부
56 : 돌기부 60 : 하우징
62 : 손잡이 64 : 홈
66 : 가압판 68 : 이송볼트
70 : 기준플레이트

Claims (3)

  1. 복수개의 브러시와, 각 브러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 각 브러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정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러시 매거진에 구비된 각 정압 스프링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로,
    상기 측정 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 매거진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정압 스프링의 압력 측정을 위한 계측기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하우징에 설치된 계측기를 브러시 매거진을 따라 각 정압 스프링 위치로 이동시켜 정압 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계측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 구조이고, 브러시유닛을 향하는 전면에는 상기 계측기의 검측용 로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홈이 절단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계측기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에 구비되어 계측기를 전면쪽으로 밀어 가압 고정하는 가압판, 후면에 나사체결되고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대해 가압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볼트를 포함하는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에는 상기 볼트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매개로 작업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장공은 상기 볼트에 대해 유동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대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의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KR1020210128096A 2021-09-28 2021-09-28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KR10254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96A KR102542699B1 (ko) 2021-09-28 2021-09-28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96A KR102542699B1 (ko) 2021-09-28 2021-09-28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355A KR20230045355A (ko) 2023-04-04
KR102542699B1 true KR102542699B1 (ko) 2023-06-14

Family

ID=8592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096A KR102542699B1 (ko) 2021-09-28 2021-09-28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6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03Y1 (ko) 2007-04-30 2008-06-26 박철규 계량기박스 조립체
KR101464170B1 (ko) 2014-08-28 2014-11-2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측량시 거리측정기 휴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82Y1 (ko) * 2014-05-29 2015-12-2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기 브러시를 가압하는 스프링 장력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03Y1 (ko) 2007-04-30 2008-06-26 박철규 계량기박스 조립체
KR101464170B1 (ko) 2014-08-28 2014-11-2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측량시 거리측정기 휴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355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6598B2 (ja) 鋼鉄製品の溶接制御装置
JP2013154408A (ja) レベル調整治具及びそのレベル調整治具を備える板材保持装置と板材の配置調整方法
KR102542699B1 (ko) 발전기용 브러시 스프링 압력 측정 장치
CN218298435U (zh) 一种能够进行焊接精度检测的电路板工装
JPH11300562A (ja) ワークバイス及びワークバイスの丸棒用ワーク受台
CN220730250U (zh) 一种放大器电气性能测试装置
US72617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machine tool
CN213615149U (zh) 一种汽车用快速接头自动化装配设备的输送结构
CN211741377U (zh) 一种新型晶圆探针台
CN211568336U (zh) 一种桨叶气动性能调整装置
CN217384165U (zh) 一种电池尺寸测量机构
CN214470647U (zh) 一种用于测量平面度和厚度的机构
CN219198606U (zh) 一种固定探测器的可调节三点挂架及辐射监测车
CN217965173U (zh) 一种用于滑轨加工的线切割夹具
CN211305963U (zh) 汽轮机叶片磨削叶根微调工作台
CN210412999U (zh) 螺柱焊接精确定位装置
CN219212898U (zh) 一种新型简易转子数据检测托架
CN217749876U (zh) 一种玻璃圆管容积刻度自动打标机
CN109539935A (zh) 可提高加工效率的中位偏差测定仪
CN216595349U (zh) 一种静态便携式受电弓碳滑条异常检测装置
CN214445733U (zh) 一种冶具固定用卡箍工装夹具
CN109709457B (zh) 一种绝缘检测和热保护器复位测试装置
CN219805600U (zh) 定位装置
CN216359439U (zh) 定位组件、装夹组件及定位装置
CN217179462U (zh) 一种汽车零部件紧密尺寸检测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