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23B1 -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623B1
KR102542623B1 KR1020210121611A KR20210121611A KR102542623B1 KR 102542623 B1 KR102542623 B1 KR 102542623B1 KR 1020210121611 A KR1020210121611 A KR 1020210121611A KR 20210121611 A KR20210121611 A KR 20210121611A KR 102542623 B1 KR102542623 B1 KR 10254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door
push
opening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923A (ko
Inventor
당유상
임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영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영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영엠텍
Priority to KR102021012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23B1/ko
Priority to KR1020230027927A priority patent/KR10254580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콘인증을 통하여 얼굴인증모듈을 웨이크 업(Wake-up) 작동시키면서 1차인증을 수행하고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되고 이와 같은 1,2차 인증후에 3차로 개폐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과정을 통하여 비접촉으로 작동되며, 개폐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되어 비대면 상태에서도 물건을 현관으로 들여 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이 닫히게 되는 비대면 작동을 통하여 물건의 수취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냉장배달이 가능한 서비스의 실현도 가능하게 되는 비대면으로 작동되며, 키패드 디밍과 소형 메인 작동기를 사용하여 저전력, 저단가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능하게 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Push-pull door lock for non-contact, non-face-to-face automatic entry and exit IoT control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콘인증을 통하여 얼굴인증모듈을 웨이크 업(Wake-up) 작동시키면서 1차인증을 수행하고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되고 이와 같은 1,2차 인증후에 3차로 개폐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과정을 통하여 비접촉으로 작동되며, 개폐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되어 비대면 상태에서도 물건을 현관으로 들여 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이 닫히게 되는 비대면 작동을 통하여 물건의 수취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냉장배달이 가능한 서비스의 실현도 가능하게 되는 비대면으로 작동되며, 키패드 디밍과 소형 메인 작동기를 사용하여 저전력, 저단가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능하게 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집과 사무실에 디지털 개폐문락이 보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개폐문락을 해제하는 방식에서 IC 카드를 이용하여 개폐문락을 해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비밀번호 방식의 디지털 개폐문락은 사용자가 그 번호를 잊어버릴 수 있으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데 시간이 걸리게 되고 사용중에서 싫증을 느끼며 특히 술이 취해서 의식이 몽롱한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제대로 입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비밀번호가 정당한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 도용되어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이 발생될 문제점이 있었다.
IC 카드는 비밀번호 입력방식보다 간단하고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지만, 분실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해결책이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오늘날 생체인식 기술을 출입통제 분야에서 적용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다. 생체인식 기술을 잘 구현할 수 있다면 종래의 디지털 개폐문락의 문제점을 제대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생체인식을 기반으로 한 출입통제 기술은 대체로 사무실 환경에서 적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에 적용되었다. 일반 주택 개폐문에 설치된 개폐문락 하우징에 직접 생체인식모듈이 내장된 장치는 좀처럼 산업화되지 못했으며, 그 이유는 안전성, 신뢰도, 신속성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예컨대, 개폐문락 장치에 안면인식 모듈을 설치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안면인식 모듈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면 사용자에게 즉시 불편함이 초래될 것이다. 밤에 출입하려는 환경, 즉 어두운 곳에서는 얼굴인식이 제대로 안되기 때문에 가정의 개폐문락 장치에 안면인식 모듈이 원활하게 설치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안면인식 기반의 개폐문락 장치가 산업화되기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현재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스윙문에 대하여는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어려워 가정에서는 IoT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의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LCD 모듈을 이용한 개폐문록 시스템에는 안면인식 기능을 위해서는 센서부, 카메라, 안면인식부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개폐문록의 내부에서도 동일하게 센서부, 카메라, 안면인식부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크게 되고 무거워지므로 가격이 높아지고 사용이 불편하여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현재는 개폐문록 시스템을 통하여 택배를 수취하거나 할 경우에는 문을 개방하고 받거나 현관앞에 물건을 놓고 가는 형태로 수취하게 되므로 배달된 물건의 분실의 우려가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661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콘인증을 통하여 얼굴인증모듈을 웨이크 업(Wake-up) 작동시키면서 1차인증을 수행하고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되고 이와 같은 1,2차 인증후에 3차로 개폐문가 자동으로 열리는 과정을 통하여 비접촉으로 작동되며, 스윙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되어 비대면 상태에서도 물건을 현관으로 들여 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이 닫히게 되는 비대면 작동을 통하여 물건의 수취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냉장배달이 가능한 서비스의 실현도 가능하게 되는 비대면으로 작동되며, 키패드 디밍과 소형 메인 작동기를 사용하여 저전력, 저단가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개폐문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개폐시키며 일측에는 실외에서 작동되는 실외측 핸들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을 작동시키는 실내측 핸들본체를 갖는 푸시풀 개폐문락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핸들본체상에는 IR 송수신을 하여 접근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와, 안면인식이나 얼굴인증모듈을 실행하기 위하여 얼굴이 촬영되는 카메라와, 안면인식과 IoT 구동을 실행하며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작동기와, 디밍이 가능한 키패드가 설치되고, 개폐문의 일측에는 스윙개폐기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출입을 원하는 자(이하 '출입자'라 함)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출입자의 비콘인증을 통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는 1차 인증단계와,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는 단계와, 2차 인증이 종료되며 락을 해제하고 3차로 문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출입자가 접근하며 출입자가 인지되는 단계와, 상기 출입자가 일정시간을 머무르면 월패드에 이벤트 신호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월패드에서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개폐문락에 등록된 출입자가 인지되는 단계와, 상기 출입자가 인지되면 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개방된 후에 문이 닫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은,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출입자의 비콘인증을 통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는 1차 인증단계와,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는 단계와, 2차 인증이 종료되며 락을 해제하고 3차로 문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개폐문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개폐시키며 일측에는 실외에서 작동되는 실외측 핸들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을 작동시키는 실내측 핸들본체를 갖는 푸시풀 개폐문락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핸들본체상에는 IR 송수신을 하여 접근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와, 안면인식이나 얼굴인증모듈을 실행하기 위하여 얼굴이 촬영되는 카메라와, 안면인식과 IoT 구동을 실행하며 개폐문을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작동기와, 디밍이 가능한 키패드가 설치되어, 비콘인증을 통하여 얼굴인증모듈을 웨이크 업(Wake-up) 작동시키면서 1차인증을 수행하고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되고 이와 같은 1,2차 인증후에 3차로 개폐문가 자동으로 열리는 과정을 통하여 비접촉으로 작동되며, 키패드 디밍과 소형 메인 작동기를 사용하여 저전력, 저단가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비대면 접촉을 통하여도 스윙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되어 비대면 상태에서도 물건을 현관으로 들여 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이 닫히게 되는 비대면 작동을 통하여 물건의 수취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냉장배달이 가능한 서비스의 실현도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설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의 실외측 핸들본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의 실외측 핸들본체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의 실외측 핸들본체의 메인 작동기와 제어부분들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의 실외측 핸들본체의 키패드의 디밍작동이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이 설치된 가정의 설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
도 8a, 8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비접촉 3차 인증을 수행하는 공정도 및 비콘인증이 되지 않은 출입자의 영상녹화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비대면 과정을 수행하는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에 의하여 비콘을 통해 재실모드 또는 외출모드에 대한 개략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D)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개폐시키며 일측에는 실외에서 작동되는 실외측 핸들본체(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1)와, 상기 지지부(1)의 실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의 래치볼트를 가동시키는 모티스가동축(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키는 실내측 핸들본체(3)와, 상기 개폐문(D)상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문(D)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스윙개폐기(4)를 포함한다. 상기 모티스(M)는 공지된 구성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M1)와 데드볼트(M2)가 설치되며, 실내외측 핸들본체(2,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 핸들본체(2)상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 송수신을 하여 접근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21)와, 안면인식이나 얼굴인증모듈을 실행하기 위하여 얼굴이 촬영되는 카메라(22)와, 안면인식과 IoT 구동을 실행하며 개폐문(D)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작동기(23)와, 디밍이 가능한 키패드(24)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작동기(23)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작동이 되도록 상기 개폐문(D)의 일측에는 스윙개폐기(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지부(21)는 IR 송신부(21a)와 IR 수신부(21b)가 설치되어 출입자의 접근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상기 메인 작동기(23)에 송신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게 한다.
상기 카메라(22)는 안면인식이나 얼굴인증모듈을 실행하기 위하여 얼굴이 촬영되고, 보다 정확한 촬영을 위하여 상기 디밍이 가능한 키패드(24)에서 올바른 위치를 잡도록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키패드(24)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종래의 LCD 에 비하여 저전력, 저단가, 소형화를 갖게 제조된 것으로서, 종래의 LCD 모듈을 이용한 개폐문록 시스템에는 안면인식 기능을 위해서는 센서부, 카메라, 안면인식부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안면인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저전력의 구동이 가능하고 가정에 설치된 월패드(W)와 연동하여 IoT 구동까지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안면인식이 되면 스윙개폐기(4)에 일정시간의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스윙개폐기(4)는 일정시간 개폐문(D)을 개방하고 시간이 경과되면 바로 닫아서 열린 개폐문(D)을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 카메라(22) 및 키패드(24)와 송수신하며 개폐문(D)을 개폐작동하게 제어하는 MCU(23a)가 설치되고, 상기 MCU(23a)는 상기 개폐문(D)을 작동시키는 스윙개폐기(4)를 가동시키는 개폐문구동부(23b)와, 개폐문(D)의 잠금 및 개방을 시키는 래치볼트회동부(23c)와, 상기 키패드(24)의 디밍을 제어하는 키패드디밍제어부(23d)와, 안면인식, 지문인식, 지정맥인식 등의 출입자의 신분을 인증하는 출입자인증모듈(23e)와, 수신부(21), 카메라(22) 및 키패드(24)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3f)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23g)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출입자의 출입자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고 락을 해제하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스위개폐기(4)를 가동시켜 개폐문(D)의 개폐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키패드(24)는 상기 키패드(24)의 각 문자, 예컨데, 1,2,3의 아라비아 숫자간마다 조도가 서로 다르게 표현되도록 각 문자별로 디밍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카메라(22)의 촛점의 좌측에 위치될 경우에는 문자 '4'가 밝게 표시되어 좌측에 있음을 표시하여 출입자는 약간 우측으로 이동하여 문자 '5'가 밝게 표시되어 중앙에 위치되어 안면인식이 정확하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출입자가 카메라(22)의 촛점의 우측에 위치될 경우에는 문자 '6'가 밝게 표시되어 우측에 있음을 표시하여 출입자는 약간 좌측으로 이동하여 문자 '5'가 밝게 표시되어 중앙에 위치되어 정확한 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출입자인증모듈(23e)에 의하여 출입자인증이 정확하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되므로 정확한 안면인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내측 핸들본체(3)에는 무선으로 자동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수신부(31)가 설치되어 상기 푸시풀 개폐문락(A)이 무선으로 자동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풀 개폐문락(A)의 내부에 건전지를 설치할 공간이 줄어들어 소형화가 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상태로 전원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윙개폐기(4)는 상시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윙개폐기(4)는 상기 무선충전수신부(31)로 전원을 무선송신하는 무선충전송신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푸시풀 개폐문락(A)의 상기 메인 작동기(23)와 연동되게 설치된 실내측 핸들본체(3)에는 인증모듈교환부(32)가 설치되어 각기 개별적 구성인 안면인식모듈 또는 지문인식모듈 또는 지정맥인식모듈을 교환시켜 끼우게 되면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인증모듈교환부(32)는 다른 위치, 예를 들면, 실외측 핸들본체(2)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인지부(21)의 IR 송신부(21a)와 IR 수신부(21b)가 설치되어 출입자의 접근정보를 인지하고, 미리미터웨이브센서(도시되지 않음)에서 얼굴인증에 대한 활성화를 진행하고, 이를 상기 메인 작동기(23)에 송신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게 하고,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안면인식이 되면 스윙개폐기(4)에 일정시간의 개방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스윙개폐기(4)는 일정시간 개폐문(D)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입자가 개폐문(D)앞에 접근하면 상기 실외측 핸들본체(2)의 인지부(21)에서 출입자가 인지되고, 상기 출입자가 일정시간을 머무르면 가정내에 설치된 월패드(W)에 이벤트 신호를 보내고, 상기 월패드(W)에서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카메라(22)를 켜라는 신호를 보내서 월패드(W)에서 영상을 저장하여 블랙박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제어 방법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출입자의 비콘인증을 통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는 1차 인증단계와,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는 단계와, 2차 인증이 종료되며 락을 해제하고 3차로 개폐문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콘인증이 되지 않은 출입자는 1차의 웨이크-업(Wake-up) 작동이 개시되지 않으므로 출입자는 얼굴인증을 할 수가 없게 되어 원천적인 출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제어 방법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인증이 되지 않은 출입자가 접근하면 출입자가 인지되는 단계와, 상기 출입자가 일정시간을 머무르면 월패드에 이벤트 신호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월패드에서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제어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원과 같은 출입이 허락된 특정직원의 인증키가 입력되는 단계와, 도어락에 등록된 특정직원 출입자가 인지되는 단계와, 상기 출입자가 인지되고 얼굴인증이 완료되면 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개방된 후에 문이 닫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비접촉 자동출입과 비접촉 콜에 대한 설명을 한다.
비접촉 자동출입은, 식구들이 출입을 하는 경우에,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출입자의 비콘인증을 통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는 1차 인증단계와,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는 단계와, 2차 인증이 종료되며 락을 해제하고 3차로 개폐문이 개방되는 단계로 작동되어,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A)에 접촉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택배기사들이 출입하는 경우에, 등록된 택배기사들의 단말기가 등록이 되고 얼굴인식이 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등록고객임을 판단하고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되면 개폐문이 개방되어 개방된 개폐문의 사이로 택배물품을 배달하기에 충분한 일정시간 동안 유지후 다시 개폐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되어,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A)에 접촉되지 않고도 택배기사들이 택배물품을 실내에 안전하게 배달되게 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배달은 영상을 통하여 저장되어 추후에 확인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방된 개폐문의 개방시간이 더욱 연장될 경우에는 냉장고에 수납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냉장을 요하는 제품들의 배달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경로와 유사한 다른 서비스도 비접촉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택배의 확인은 월패드(W)에서도 확인이 가능하고, 도어락(A)의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23g)에서 확인이 가능하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비접촉 통화(Call)의 경우를 설명하면, 일정한 시간동안 누르지 않고 근접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4)의 벨버튼과 간격을 유지하면, 실내의 월패드(W)와 통화가 연결되어 통화를 하게 되므로 비접촉으로 통화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대면 접촉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대면 자동출입은, 식구들이 출입을 하는 경우에,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출입자의 비콘인증을 통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는 1차 인증단계와,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는 단계와, 2차 인증이 종료되며 락을 해제하고 3차로 개폐문이 개방되는 단계로 작동되어, 별도로 대면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택배기사들이 출입하는 경우에, 등록된 택배기사들의 단말기가 등록이 되고 얼굴인식이 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등록고객임을 판단하고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되면 개폐문이 개방되어 개방된 개폐문의 사이로 택배물품을 배달하기에 충분한 일정시간 동안 유지후 다시 개폐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되어,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A)에 접촉되지 않고도 택배기사들이 택배물품을 실내에 안전하게 배달되게 출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배달은 영상을 통하여 저장되어 추후에 확인가능하게 되므로, 택배기사들과 대면하지 않고도 택배물품을 받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에서는 개인 맞춤 서비스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A)에 특정인에 대한 필요한 인증키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설명하면, 1인가구가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A)에 특정인에 대한 필요한 인증키, 예를 들면, '홍길동'은 실내의 온도가 25℃, 음악은 '방탄소년단노래', 조명은 '침실(B) 간접조명을 이용하여 낮은 조도를 유지 색상은 오렌지색 계열로 150룩스이하, 거실은 은은한 분위기의 벽조명' 과 같은 특정 조건을 입력시키면, 상기 푸시풀 도어락(A)에 특정인이 인지되면 상기 메인 작동기(23)에서 입력된 인증키를 월패드(W)로 송신하면, 월패드(W)에서는 상기 특정 조건에 따라 재실모드로 들어가면서 집안의 온도와 음악과 조명을 그 조건에 맞게 가동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특정인은 원하는 특정 조건에 맞는 실내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은 특정인이 실내에서 외출하는 외출모드일 경우에는 월패드(W)에서는 집안의 집안의 온도는 낮게 하고 음악은 끄고 조명은 끄거나 어두운 간접조명으로 외출모드에 맞게 변경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도 10에 도시됨). 이러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제어 방법은, 특정인에 대한 필요한 인증키에 대하여 실내온도, 좋아하는 음악, 조명의 특정 조건을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푸시풀 도어락(A)에 인증키를 입력한 특정인이 인지되면 재실모드로 변환되게 상기 메인 작동기(23)에서 입력된 인증키를 월패드(W)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월패드(W)에서는 상기 특정 조건에 따라 재실모드로 들어가면서 집안의 온도와 음악과 조명을 그 조건에 맞게 가동시키게 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인이 실내에서 외출하는 외출모드일 경우에는 월패드(W)에서는 실내를 외출모드에 맞게 변경시킬 수가 있게 되어, 특정인에 대한 필요한 인증키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설정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은, 출입자가 개폐문에 근접하면 출입자의 비콘인증을 통하여 웨이크-업(Wake-up) 작동을 개시하는 1차 인증단계와,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는 단계와, 2차 인증이 종료되며 락을 해제하고 3차로 문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개폐문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회전에 의하여 개폐시키며 일측에는 실외에서 작동되는 실외측 핸들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가동축을 작동시키는 실내측 핸들본체를 갖는 푸시풀 개폐문락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핸들본체상에는 IR 송수신을 하여 접근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와, 안면인식이나 얼굴인증모듈을 실행하기 위하여 얼굴이 촬영되는 카메라와, 안면인식과 IoT 구동을 실행하며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작동기와, 디밍이 가능한 키패드가 설치되어, 비콘인증을 통하여 얼굴인증모듈을 웨이크 업(Wake-up) 작동시키면서 1차인증을 수행하고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되고 이와 같은 1,2차 인증후에 3차로 개폐문가 자동으로 열리는 과정을 통하여 비접촉으로 작동되며, 키패드 디밍과 소형 메인 작동기를 사용하여 저전력, 저단가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비대면 접촉을 통하여도 스윙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되어 비대면 상태에서도 물건을 현관으로 들여 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문이 닫히게 되는 비대면 작동을 통하여 물건의 수취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냉장배달이 가능한 서비스의 실현도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은, 도어락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 푸시풀 도어락 D : 개폐문
1 : 지지부 2 : 핸들본체
3 : 핸들본체 4 : 스윙개폐기
21 : 수신부 22 : 카메라
23 : 메인 작동기 23a : MCU
23b : 개폐문구동부 24 : 키패드
31 : 무선충전수신부 41 : 무선충전송신부

Claims (9)

  1.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A)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A)은, 개폐문(D)에 설치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문(D)을 개폐시키며 일측에는 실외에서 작동되는 실외측 핸들본체(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1)와, 상기 지지부(1)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티스의 모티스가동축을 작동시키는 실내측 핸들본체(3)와, 상기 개폐문(D)상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문(D)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스윙개폐기(4)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핸들본체(2)상에는, IR 송수신을 하여 접근정보를 인지하는 인지부(21)와,
    안면인식이나 얼굴인증모듈을 실행하기 위하여 얼굴이 촬영되는 카메라(22)와,
    안면인식과 IoT 구동을 실행하며 상기 개폐문(D)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작동기(23)와,
    디밍이 가능한 키패드(24)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작동기(23)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작동이 되도록 상기 개폐문(D)의 일측에는 스윙개폐기(4)가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24)는 출입자의 정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24)의 각 문자마다 조도가 서로 다르게 표현되도록 각 문자별로 디밍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수신부(21), 카메라(22) 및 키패드(24)와 송수신하며 개폐문(D)을 개폐작동하게 제어하는 MCU(23a)가 설치되고,
    상기 MCU(23a)는 상기 개폐문(D)을 작동시키는 스윙개폐기(4)를 가동시키는 개폐문구동부(23b)와,
    개폐문(D)의 잠금 및 개방을 시키는 래치볼트회동부(23c)와,
    상기 키패드(24)의 디밍을 제어하는 키패드디밍제어부(23d)와,
    안면인식, 지문인식 등의 출입자의 신분을 인증하는 출입자인증모듈(23e)와,
    수신부(21), 카메라(22) 및 키패드(24)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3f)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23g)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작동기(23)는 출입자의 얼굴인증을 통하여 2차로 인증하고 상기 개폐문(D)을 개폐작동을 담당하고 상기 스윙개폐기(4)를 가동시켜 개폐문(D)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핸들본체(3)에는 무선으로 자동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수신부(31)가 설치되어 상기 푸시풀 도어락(A)이 무선으로 자동으로 충전되고,
    상기 스윙개폐기(4)는 상시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윙개폐기(4)는 상기 무선충전수신부(31)로 전원을 무선송신하는 무선충전송신부(4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도어락(A)에 각기 개별적 구성인 안면인식모듈 또는 지문인식모듈 또는 지정맥인식모듈을 교환시켜 끼우게 되면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도어락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21611A 2021-09-13 2021-09-13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11A KR102542623B1 (ko) 2021-09-13 2021-09-13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27927A KR102545806B1 (ko) 2021-09-13 2023-03-02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11A KR102542623B1 (ko) 2021-09-13 2021-09-13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927A Division KR102545806B1 (ko) 2021-09-13 2023-03-02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23A KR20230038923A (ko) 2023-03-21
KR102542623B1 true KR102542623B1 (ko) 2023-06-14

Family

ID=858010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11A KR102542623B1 (ko) 2021-09-13 2021-09-13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27927A KR102545806B1 (ko) 2021-09-13 2023-03-02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927A KR102545806B1 (ko) 2021-09-13 2023-03-02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2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34734B1 (ko) * 2015-07-21 2016-07-08 이디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495A (zh) * 2012-12-18 2019-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家庭网络系统中远程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设备
US9424700B2 (en) * 2014-03-25 2016-08-23 Spectrum Brands, Inc. Electronic lock having usage and wear leveling of a touch surface through randomized code entry
KR101874075B1 (ko) * 2015-10-30 2018-07-03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KR20170071869A (ko) * 2015-12-16 2017-06-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899864B1 (ko) * 2016-08-08 2018-09-19 주식회사 엔텍스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KR102033057B1 (ko) * 2018-01-25 2019-10-16 주식회사 오션아이 사각지대 객체 감지를 이용하여 상황을 인지하는 방법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2066185B1 (ko) 2018-02-23 2020-01-14 주식회사 온페이스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KR101916250B1 (ko) * 2018-07-23 2018-1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70B1 (ko)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34734B1 (ko) * 2015-07-21 2016-07-08 이디스 주식회사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313A (ko) 2023-03-22
KR102545806B1 (ko) 2023-06-22
KR20230038923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936B2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8947530B1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9426432B2 (en) Remote interactive identity verification of lodging guests
US10204467B2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20060007005A1 (en) Communication device
US8354914B2 (en) Reduced power electronic lock system
US20190304227A1 (en) Wireless door lock device and biometric door lock controlling system having the wireless door lock device
US20170088099A1 (en) Vehicle Key Apparatus
KR101115885B1 (ko) 비디오 도어폰과 연동된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20080171579A1 (en) Cellular phone with signal learning capability
US200801942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operating keyless entry systems
KR1017674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2623B1 (ko)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3773U (ko) 사무실용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20240071156A1 (en)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CN206115526U (zh) 一种面部识别智能锁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200477007Y1 (ko)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
KR200448963Y1 (ko) 독서실 출입관리용 도어락 장치
KR20090087862A (ko) 사무실용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2003074256A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KR20090020796A (ko)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14241636A (zh) 一种带摄像头的智能锁
KR20140018759A (ko) 도어 손잡이 구조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