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408B1 -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408B1
KR102542408B1 KR1020220166582A KR20220166582A KR102542408B1 KR 102542408 B1 KR102542408 B1 KR 102542408B1 KR 1020220166582 A KR1020220166582 A KR 1020220166582A KR 20220166582 A KR20220166582 A KR 20220166582A KR 102542408 B1 KR102542408 B1 KR 10254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reflection
film
bead particles
refl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격
김현태
이용정
두세현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반사 필름은 비드 입자의 입자 분포도가 조절되어, 저반사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ANTI GLARE FILM COMPRISING ANTI GLARE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는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최근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 또는 액정 표시 소자(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olyimide, CPI) 필름을 디스플레이 분야에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제품의 벤더블, 플렉서블 기능이 중시되면서, 전광선 투과율, 저반사 특성 및 물리적 특성 등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광의 산란 또는 광학 간섭 등을 이용해 상의 비침이나 반사 등을 줄이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적층 필름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저반사(Anti-glare, AG) 특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필름의 표면이 표면 처리 전후로 평평하여 표면에 투과되는 빛의 많은 양이 눈에 도달하여 눈이 부시게 된다. 이와 같이 평평한 표면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에 저반사(Anti-glare, AG) 코팅을 하여 표면에 요철을 줌으로써, 눈에 도달하는 빛의 확산(산란)을 유도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저반사 코팅층은 표면에 돌출된 미립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가짐에 따라, 광 반사 등을 제어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2740호에서는 경질코팅층과 저굴절율층의 표면조도를 낮게 조절하여 종래의 저반사 필름보다 표면경도, 긁힘 방지성 및 지문 제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반사 필름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저반사 필름은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고굴절율 경질코팅층과 저굴절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기 저굴절율층의 표면은 미세한 요철을 갖고, 상기 요철의 산술평균조도(Ra)가 0.0001㎛~ 0.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저굴절율층은 바인더 수지 100중량 대비 3 내지 15중량부의 중공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기술의 경우,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불량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며, 오히려 저반사 코팅층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광 반사를 제어하는 저반사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그 부위에서 상이 일그러져 상선명성도 저하가 생기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274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저반사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 필름; 및 비드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비드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인더 수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반사 코팅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비드 입자의 입자 분포도는 60% 이상이며, 상기 입자 분포도는 상기 바인더 수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의 정면 면적 분포를 나타내는 것인, 저반사 필름을 제공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저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비드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여 저반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저반사 필름은 비드 입자의 입자 분포도가 조절되어, 저반사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반사 필름을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반사 필름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반사 필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광투과성 기재 필름(10); 및 비드 입자(20) 및 바인더 수지(30)를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10) 상에 형성되는 저반사 코팅층(40);을 포함하며, 상기 비드 입자(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인더 수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반사 코팅층(4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비드 입자(20)의 입자 분포도는 60% 이상이며, 상기 입자 분포도는 상기 바인더 수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20)의 정면 면적 분포를 나타내는 것인, 저반사 필름을 제공한다.
비드 입자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고 또한 바인더 수지에 과도하게 침식될 경우 산란에 의한 렌즈 효과가 발생하며, 이러한 렌즈 효과가 발생할 경우, “번쩍거림(glittering)”, “어른거림(flickering)”,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또는 “스파클링(sparkling)” 등이라 불리는 현상, 즉 화면에 비춰지는 영상이 울긋불긋한 작은 도트사이즈의 점들이 전면에 나타나는 현상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드 입자(20)가 균일하게 분포되고, 동시에 바인더 수지에 적절하게 침식될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다는 것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광투과성 기재 필름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10)은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편광자 보호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재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10)의 예로는 불소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기재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 필름, 사이클로올레핀계(COP) 기재 필름 또는 폴리아크릴계 기재 필름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기재 필름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기재 필름을 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10) 및 상기 저반사 코팅층(40)의 사이에는 부착 증진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착 증진층이 포함됨으로써, 고경도, 고투명도, 및 고내찰상도를 구비하고, 박형화가 가능하면서도,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10) 및 상기 저반사 코팅층(40)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신 공정에서 고분자 재배열 들의 이유로 부착성이 감소한 바인더 수지(30)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비드 입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반사 필름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상기 비드 입자(20)의 입자 분포도는 상기 바인더 수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20)의 정면 면적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자 분포도는 비드 입자(20)의 노출 면적의 총합(Σ입자 면적)을 의미하며, 이는 정면으로 저반사 필름의 표면을 봤을 때 돌출된 비드 입자(20)의 모든 면적을 합한 값(ΣA)의 분포(ΣA/B)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드 입자(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인더 수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반사 코팅층(4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를 통하여 눈에 도달하는 빛의 확산(산란)을 유도하여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드 입자(20)는 실리카 입자, 폴리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드 입자(20)는 구형(spherical)일 수 있다. 상기 비드 입자(20)가 구형인 특성으로 인해, 봉형 또는 무정형과 달리 표면 요철이 고르게 형성되어 우수한 명암비, 상선명도 및 저반사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드 입자(20)의 평균 직경은 2 ㎛ 내지 4 ㎛이다. 상기 비드 입자(20)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일 경우 방지 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비드 입자(20)의 평균 직경이 상기 상한을 초과할 경우 스파클링을 낮추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드 입자(20)의 평균 직경은 2 ㎛ 이상, 2.1 ㎛ 이상, 2.2 ㎛ 이상, 2.3 ㎛ 이상, 2.4 ㎛ 이상, 2.5 ㎛ 이상, 2.6 ㎛ 이상, 2.7 ㎛ 이상, 2.8 ㎛ 이상, 2.9 ㎛ 이상, 3 ㎛ 이상; 4 ㎛ 이하, 3.9 ㎛ 이하, 3.8 ㎛ 이하, 3.7 ㎛ 이하, 3.6 ㎛ 이하, 3.5 ㎛ 이하, 3.4 ㎛ 이하, 3.3 ㎛ 이하, 3.2 ㎛ 이하, 3.1 ㎛ 이하, 3 ㎛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평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드 입자(20)를 통해 스파클링 현상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평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비드 입자(20)를 통해 반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이 서로 다른 비드 입자(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드 입자(20)의 입자 분포도는 60% 내지 7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드 입자(20)의 입자 분포도는 60% 이상, 61% 이상, 62% 이상, 63% 이상, 64% 이상, 65% 이상; 70% 이하, 69% 이하, 68% 이하, 67% 이하, 66% 이하, 65%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층(40)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비드 입자(20)의 요철 높이는 200 nm 내지 300 nm이다. 상기 비드 입자(20)의 요철 높이는 상기 바인더 수지(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20)의 측면 노출 높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 높이는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이 경화 내지 건조되어 상기 저반사 코팅층(40) 중 바인더 수지(30)의 두께가 2 ㎛ 내지 4 ㎛로 된 후,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20)의 측면 노출 높이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반사 코팅층(40)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비드 입자(20)의 요철 높이는 200 nm 이상, 210 nm 이상, 220 nm 이상, 230 nm 이상, 240 nm 이상, 250 nm 이상; 300 nm 이하, 290 nm 이하, 280 nm 이하, 270 nm 이하, 260 nm 이하, 250 n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인더 수지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층(40) 중 바인더 수지(30)의 두께는 2 ㎛ 내지 4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반사 코팅층(40) 중 바인더 수지(30)의 두께는 2 ㎛ 이상, 2.1 ㎛ 이상, 2.2 ㎛ 이상, 2.3 ㎛ 이상, 2.4 ㎛ 이상, 2.5 ㎛ 이상, 2.6 ㎛ 이상, 2.7 ㎛ 이상, 2.8 ㎛ 이상, 2.9 ㎛ 이상, 3 ㎛ 이상; 4 ㎛ 이하, 3.9 ㎛ 이하, 3.8 ㎛ 이하, 3.7 ㎛ 이하, 3.6 ㎛ 이하, 3.5 ㎛ 이하, 3.4 ㎛ 이하, 3.3 ㎛ 이하, 3.2 ㎛ 이하, 3.1 ㎛ 이하, 3 ㎛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반사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은 10 ㎛ 내지 20 ㎛의 두께로 코팅된다. 이어서, 경화 내지 건조함으로써 고형분의 함량이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30 중량%가 되면, 상기 저반사 코팅층(40) 중 바인더 수지(30)의 두께는 2 ㎛ 내지 4 ㎛이 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30)는 비닐계 고분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및 에폭시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비닐계 고분자는 비닐계 단량체 및/또는 비닐계 올리고머로부터 제조된 화합물을 의미하며, 비닐계 단량체 및/또는 비닐계 올리고머의 예로는 디비닐벤젠, 스티렌 또는 파라메틸스티렌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부터 제조된 화합물을 의미하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고분자는 우레탄계 단량체 및/또는 우레탄계 올리고머로부터 제조된 화합물을 의미하며, 우레탄계 단량체 및/또는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도 한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서 합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벤질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알킬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m-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1-메틸-2,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2,6-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1,6-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다이머산의 카르복실기를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전화한 다이머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고분자는 에폭시계 단량체 및/또는 에폭시계 올리고머로부터 제조된 화합물을 의미하며, 에폭시계 단량체 및/또는 에폭시계 올리고머의 예로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트리글리시딜아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또는 사이클로옥타디엔디에폭사이드를 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30)는 광경화성 화합물 또는 열경화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이란 빛이 조사되면, 예를 들어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되면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열경화성 화합물이란 가열에 의해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통상 180℃ 이상의 가열에서 경화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바인더 수지(30)을 경화하는 경우, 자외선의 조사량은, 20 mJ/cm2 내지 약 600 mJ/cm2일 수 있다. 자외선 조사의 광원으로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블랙 라이트(black light) 형광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반사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반사 필름은 89% 이상의 광투과율 및 30% 이하의 헤이즈(Haze) 값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반사 필름의 광투과율은 89%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이다.
상기 저반사 필름의 헤이즈(Haze) 값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29741316-pat00001
상기 저반사 필름의 헤이즈(Haze) 값은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반사 필름의 헤이즈(Haze) 값은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19% 이상, 20% 이상; 30% 이하, 29% 이하, 28% 이하, 27% 이하, 26% 이하,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상기 저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저반사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저반사 필름 사이에 접착제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이른바 OCA(Optically Clear Adhesive)로 지칭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또는 스트레처블 특성 확보가 용이한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저반사 필름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비드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여 저반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순차적 또는 연속적임을 명시하거나 다른 특별한 급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하나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계와 다른 단계가 명세서 상에 기술된 순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조 방법의 구성 단계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에 부수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은 비드 입자(20), 바인더 수지(30) 및 용제를 혼합하여 준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은 10 ㎛ 내지 20 ㎛의 두께로 코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이 코팅되는 두께는 10 ㎛ 이상, 11 ㎛ 이상, 12 ㎛ 이상, 13 ㎛ 이상, 14 ㎛ 이상, 15 ㎛ 이상; 20 ㎛ 이하, 19 ㎛ 이하, 18 ㎛ 이하, 17 ㎛ 이하, 16 ㎛ 이하, 15 ㎛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된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경화 내지 건조함으로써 고형분의 함량이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30 중량%가 되면, 상기 저반사 코팅층(40) 중 바인더 수지(30)의 두께는 2 ㎛ 내지 4 ㎛이 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경화된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된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형분이란 용제를 제거한 성분의 합계량을 의미하며, 액상의 화합물 등도 고형분에 포함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경화된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내지 25 중량%의 바인더 수지(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된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30)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의 예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아밀케톤, 디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및 2-헵타논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시클로헥실, 락트산에틸, 석신산디메틸 및 텍사놀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이소- 또는 n-프로판올, 이소- 또는 n-부탄올 및 아밀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PGM),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PGMEA),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및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테르에스테르계 용제;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BTX계 용제; 헥산, 헵탄, 옥탄 및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탄화수소계 용제; 테레빈유, D-리모넨 및 피넨 등의 테르펜계 탄화수소유; 미네랄 스피릿, 스와졸 #310(이상, 코스모 마쓰야마 세키유 제품); 및 솔벳소 #100(이상, 엑손 가가쿠 제품); 등의 파라핀계 용제;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염화메틸렌 및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지방족탄화수소계 용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방향족탄화수소계 용제; 카르비톨계 용제, 아닐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이황화탄소,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및 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방법으로 딥코팅, 플로우 코팅, 그라비아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슬롯다이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및 닥터나이프 코팅 등의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저반사 필름의 제조
PM(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 상에 바인더 수지(UV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레진), 실리카 입자를 혼합하여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광투과성 기재 필름으로서 범용의 광학용 PET 필름(100 um PET, 50 um PET 또는 60 um TAC을 각각 적용하였고, 아래 실험예에서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에 상기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메이어 바(Mayer bar)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이어서, 90초 동안 90℃의 조건으로 건조 시킨 뒤, 광량 약 150mJ/cm2 이상의 UV-A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경화를 수행하였다. 경화를 수행한 후의 저반사 필름의 조성한 하기의 표 1과 같다.
구분 바인더 수지의 두께 (㎛) 비드 입자의 평균 직경 (㎛) 비드 입자의 입자 분포도 (%) 비드 입자의 요철 높이 (nm)
제조예 1 1 2.5 65 250
제조예 2 2.5 2.5 65 250
제조예 3 5 2.5 65 250
제조예 4 2.5 2.5 65 250
제조예 5 2.5 5 65 250
제조예 6 2.5 8 65 250
제조예 7 2.5 2.5 50 250
제조예 8 2.5 2.5 65 250
제조예 9 2.5 2.5 80 250
제조예 10 2.5 2.5 65 100
제조예 11 2.5 2.5 65 250
제조예 12 2.5 2.5 65 400
<실험예 1> 저반사 필름의 물성 평가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저반사 필름에 대하여, 스파클링 정도, 헤이즈, 광투과율 및 연필 경도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스파클링 정도는 저반사 필름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흰색 이미지를 표시한 후, 30cm 이격된 거리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직(0도)방향에서 스파클링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강: 스파클링이 명백하게 관찰됨, 중: 스파클링이 조금 관찰됨, 약: 스파클링이 관찰되지 않음). 헤이즈 및 광투과율은 헤이즈미터(Haze gardner, Gardner BY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필 경도는 연필 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표준 JIS K5400에 따라 500g의 하중으로 5회 왕복한 후 흠집이 없는 연필 경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스파클링 정도 헤이즈 (%) 광투과율 (%) 연필 경도
제조예 1 38 88 2H
제조예 2 25 89 2H
제조예 3 21 89 2H
제조예 4 25 89 2H
제조예 5 30 88 2H
제조예 6 42 86 2H
제조예 7 23 89 2H
제조예 8 25 89 2H
제조예 9 57 85 2H
제조예 10 20 90 2H
제조예 11 25 89 2H
제조예 12 31 87 2H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 범위의 저반사 필름의 경우, 스파클링 정도, 헤이즈, 광투과율 및 연필 경도의 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
1: 저반사 필름 2: 저반사 필름
10: 광투과성 기재 필름 20: 비드 입자
30: 바인더 수지 40: 저반사 코팅층

Claims (11)

  1. 광투과성 기재 필름; 및
    비드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비드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인더 수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저반사 코팅층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비드 입자의 입자 분포도는 60% 이상이며,
    상기 입자 분포도는 상기 바인더 수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의 정면 면적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저반사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비드 입자의 요철 높이는 200 nm 내지 300 nm이며,
    상기 비드 입자의 요철 높이는 외부로 노출된 비드 입자의 측면 노출 높이를 나타내는 것인, 저반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입자는 실리카 입자, 폴리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입자의 평균 직경은 2 ㎛ 내지 4 ㎛인, 저반사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코팅층 중 바인더 수지의 두께는 2 ㎛ 내지 4 ㎛인, 저반사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입자의 입자 분포도는 60% 내지 70%인, 저반사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고분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및 에폭시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필름은 89% 이상의 광투과율 및 30% 이하의 헤이즈(Haze) 값을 갖는, 저반사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저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광투과성 기재 필름 상에,
    비드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여 저반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저반사 필름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저반사 코팅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제조 방법.
  11. 삭제
KR1020220166582A 2022-12-02 2022-12-02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582A KR102542408B1 (ko) 2022-12-02 2022-12-02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582A KR102542408B1 (ko) 2022-12-02 2022-12-02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408B1 true KR102542408B1 (ko) 2023-06-14

Family

ID=8674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582A KR102542408B1 (ko) 2022-12-02 2022-12-02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4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801A (ko)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KR20100112740A (ko) 2009-04-10 2010-10-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저반사 필름
KR20120024211A (ko) * 2010-09-06 2012-03-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8189975A (ja) * 2018-07-10 2018-11-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253371B1 (ko) * 2016-08-15 2021-05-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필름, 반사 방지 물품,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모듈, 터치 패널 부착 액정 표시 장치, 및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20122285A (ko) * 2021-02-26 2022-09-02 율촌화학 주식회사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801A (ko)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KR20100112740A (ko) 2009-04-10 2010-10-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저반사 필름
KR20120024211A (ko) * 2010-09-06 2012-03-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253371B1 (ko) * 2016-08-15 2021-05-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필름, 반사 방지 물품,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모듈, 터치 패널 부착 액정 표시 장치, 및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8189975A (ja) * 2018-07-10 2018-11-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20122285A (ko) * 2021-02-26 2022-09-02 율촌화학 주식회사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823B2 (en)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70291367A1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20120141736A1 (en) Antiglare hard coat film
KR20080056642A (ko)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편광판 및화상 표시 장치
JP2007322779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058204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8088309A (ja) 硬化皮膜、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4144702A (zh) 防眩性硬涂薄膜、防眩性硬涂薄膜的制造方法、光学构件和图像显示装置
US20200363561A1 (en) Anti-glare film and polarizer with the same
JP2008184515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硬化膜、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542408B1 (ko)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11176A1 (ja) 防眩性フィルム、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129140A (ja) 防眩フィルム
KR20150079052A (ko) 유기 입자의 표면 특성을 갖춘 방현 필름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102561539B1 (ko)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7393875B2 (ja) 防眩性フィルム、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10057519A (ko)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방현 필름
KR20170080092A (ko) 표면 요철 제어가 가능한 반사방지 필름
KR20170090679A (ko) 투과선명도가 우수한 저헤이즈 반사방지필름
KR20170080089A (ko) 표면 요철 제어가 가능한 반사방지 필름
KR20170097365A (ko) 시인성 및 광특성이 우수한 모니터용 반사방지 필름
KR20170090852A (ko)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Carboxy Methyl Cellulose, CMC)를 적용한 TV용 저 헤이즈 반사방지 필름
CN116893454A (zh) 防眩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