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57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57B1
KR102542057B1 KR1020200090745A KR20200090745A KR102542057B1 KR 102542057 B1 KR102542057 B1 KR 102542057B1 KR 1020200090745 A KR1020200090745 A KR 1020200090745A KR 20200090745 A KR20200090745 A KR 20200090745A KR 102542057 B1 KR102542057 B1 KR 10254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fer
molding
nurungji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1910A (en
Inventor
김석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to KR102020009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57B1/en
Publication of KR2022001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전기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누룽지 성형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의 순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레인; 상기 이송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판을 서로 다른 이송레인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동일 이송레인 상에서 상기 성형판을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transfer); 상기 성형판에 누룽지 원료를 정량 공급하기 위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가 상기 성형판에 공급되면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spreader); 상기 성형판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분리된 누룽지를 이송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을 브러싱(brushing)하기 위한 브러셔(brush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누룽지 제조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frame provided with an electric burner; A scorched rice molded plate disposed above the electric burner and compos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ransfer lanes provided on the base frame and arranged side by side to enable circulation of the molding plate; transfe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lane to sw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 plate to different transfer lanes and to transfer the mold plate on the same transfer lane; a raw material input unit for quantitatively supplying raw materials for nurungji to the molding plate; a spreader for spreading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when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is supplied to the molding plate by the raw material input unit; A scraper for separating the nurungji prepared from the molded plate; a discharge unit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the nurungji separated by the scraper; and a brusher for brushing the molding plate from which the scorched rice is separated by the scrap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fer for circularly moving the molded plate of Nurungji on a plurality of moving lanes, and the transf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lane to push the molde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ransfer the molded plate on the same moving lane. And, when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to different moving lanes, by pushing the molded plate horizontally to switch the moving direction, we propose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and simplify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molded plate to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Description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burne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기 버너에 의해 성형판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fer for circularly moving the molded plate of Nurungji on a plurality of moving lanes, and the transf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lane to push the molde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transporting the molded plate on the same moving lane. , When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to different moving lanes, by pushing the molded plate horizontally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molded plate can be easily and simplified to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molded plate can be increased by the electric burner. It relates to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apable of controlling.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밥솥의 온도차이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맛이 고소하고 독특하며, 밥을 대신하여 아침에 간편식이나, 간식 대용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In general, nurungji is cre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ce cooker when cooking rice, and the taste is savory and unique, and it is widely used as a convenience food in the morning or as a snack instead of rice.

이러한 종래의 누룽지 성형장치로는 쌀과 밥을 모두 누룽지 재료로 사용하고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쳐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용 성형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누룽지 재료가 공급되는 하판과, 하판을 덮는 상판으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동되면서 가열되는 성형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성형판의 하판에 공급된 누룽지 재료를 다양한 두께로 펼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펼침장치를 갖는 펼침부;를 포함하고, 성형판에 구비되는 누룽지 재료에 따라 가열되는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누룽지를 성형하는 반전부를 더 포함하며, 반전부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어 오는 성형판을 잡는 그립퍼; 그립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승강실린더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nurungji forming apparatus is a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nurungji, which uses both rice and rice as a nurungji material and spreads the nurungji material to various thicknesses to produce nurungji. A base frame equipped with at least one burner; A molding plate provided as a lower plate to which ingredients for scorched rice are supplied and an upper plate covering the lower plate and heated while being moved in the base frame; And a spreading unit having at least one spreading device provid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spreading the nurungji material supplied to the lower plate of the molding plate to various thicknesses; a molding plate heated according to the nurungji material provided on the molding plate It further includes a reversal unit for selectively inverting the to form the nurungji, and the inversion unit includes a gripper for holding the molding plate being transported from the base frame; a lifting block on which a gripper is rotatably provided; an elevating cylinde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block up and down; and a moving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ifting cylinder.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쌀이나 밥의 누룽지 재료를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두께로 펼쳐 줌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누룽지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it is possible to form nurungji of various thicknesses by spreading rice or rice-based nurungji material to various thicknesses desired by consumers.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누룽지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판을 순환 회전시켜 버너에 의하여 누룽지를 성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순환 라인의 양단에서 이송레인을 전환하기 위한 반전부에 의하여 누룽지 재료에 따라 성형판을 선택적으로 반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지 않더라도 성형판을 한쪽 레인에서 다른 쪽 레인으로 성형판을 승강 및 하강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in order to form Nurungji, the molding plate is circularly rotated and the Nurungji is formed by the burner. It is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the molding plate from one lane to the other lane with or without inversion.

즉 종래기술은 레인의 전환 시, 성형판을 회전시켜 반전시키지 않더라도 성형판을 승강하여 다른 쪽 레인으로 이동 후, 하강시켜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at is, in the prior art, when switching lanes, even if the molding plate is not rotated and reversed, the molding plate must be raised and moved to the other lane, and then lowered and put down.

또한 이러한 이송작업은 시간이 많이 들고, 성형판이 레인상에서 순간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므로 이송효율 또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is transfer operation takes a lot of time, and since the molded plate must be instantly separated from the lane, the transfer efficiency is also reduced.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926545호(2018.12.03.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26545 (2018.12.03. Regist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A transfer is provided for circularly moving the Nurungji molding plate on a plurality of moving lanes, and the transf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lane to push the molding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ransfer the molding plate on the same moving lane, as well as different When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to the moving lane side, one object is to increas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device by easily and simplifying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molded plate by pushing the molde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본 발명은 누룽지의 공급 및 배출 시, 성형판의 상판을 열고 닫기 위해 가이드 수단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가이더가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성형판의 이송만으로 상판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과 공정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lying and discharging scorched rice, a guide means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late of the molded plate, and the first to third guiders constituting the guide means are configured in a series of processes so that the upper plate can be moved only by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Another purpose i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rocess efficiency by allowing it to be opened and closed.

또한 본 발명은 성형판의 온도를 제어하여 일정한 품질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molded plate to produce nurungji of constant quality.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는 전기 버너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누룽지 성형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의 순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레인; 상기 이송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판을 서로 다른 이송레인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동일 이송레인 상에서 상기 성형판을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transfer); 상기 성형판에 누룽지 원료를 정량 공급하기 위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가 상기 성형판에 공급되면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spreader); 상기 성형판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분리된 누룽지를 이송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을 브러싱(brushing)하기 위한 브러셔(brush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provided with an electric burner; A scorched rice molded plate disposed above the burner and compos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ransfer lanes provided on the base frame and arranged side by side to enable circulation of the molding plate; transfe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lane to sw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 plate to different transfer lanes and to transfer the mold plate on the same transfer lane; a raw material input unit for quantitatively supplying raw materials for nurungji to the molding plate; a spreader for spreading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when the raw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is supplied to the molding plate by the raw material input unit; A scraper for separating the nurungji prepared from the molded plate; a discharge unit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the nurungji separated by the scraper; and a brusher for brushing the molding plate from which the scorched rice is separated by the scrap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트랜스퍼는 서로 다른 이송레인으로 상기 성형판을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1 푸셔와, 상기 제 1 푸셔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판을 동일 이송레인 상에서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2 푸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usher for pushing and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in different transfer lanes, and a second pusher for pushing and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transferred by the first pusher on the same transfer lane, characterized by being mad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트랜스퍼는 상기 제 1 푸셔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이 상기 제 2 푸셔의 위치로 이동전에 상기 성형판의 상판과 하판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제 3 푸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third pusher for align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molding plate before the molding plate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usher by the first push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판의 상판 일측부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판의 상판과 하판은 타측부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of the molded plate, and a hing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molded pl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성형판의 상판을 승강시켜 하판으로부터 열고, 상기 스크레이퍼에서 상기 스프레더까지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스프레더 이후에는 상판을 하강시켜 하판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of the molding plate is lifted and opened from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is maintain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from the scraper to the spreader, and after the spreader, the upper plate is lowered to cover the lower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means to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성형판이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스크레이퍼에 진입되기 전까지 상기 상판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타고 진입하여 상기 상판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 1 가이더와, 상기 제 1 가이더와 이어지고, 상기 스크레이퍼에서 상기 스프레더까지 상기 제 1 가이더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판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 지지되는 제 2 가이더와, 상기 제 2 가이더와 이어지고, 상기 스프레더를 지나는 상기 상판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의 이송방향으로 따라 하강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타고 하강하면서The guid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ncline that rise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olded plate to lift the upper plate until the molded plate enters the scraper from the discharge part,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upper plate rides and enters the upper plate. A first guider that allows the upper plate to be moved up and down, and a second guider connected to the first guider and guided and supported by inserting a guide protrusion of the upper plate to maintain the upper plate vertically erected by the first guider from the scraper to the spread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r, in order to lower the top plate passing through the spreader, it is composed of a slope descending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olded plate, while the guide protrusion of the top plate rides and descends

상기 상판이 하판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제 3 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includes a third guider to cover the lower pl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료유입부는 상기 성형판을 향해 형성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누룽지 원료가 투입되는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 내부에 배치되어 누룽지 원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로부터 교반된 누룽지 원료를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급스크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w material in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med toward the molding plate, a supply hopper into which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is introduced, a stirrer disposed inside the supply hopper for stirring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and the stirred from the stirr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screw for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through the inle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레더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구동축이 구비된 제 1구동모터와,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종동축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구비되고,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풀리와, 상기 제 1 구동추과 상기 종동축의 하단에 연결되고, 회전구동하여 상기 원료튜입부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성형판의 누룽지 원료를 펼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frame, a first driving motor equipped with a first driving shaf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and exposed to the outside by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ounting frame, and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ounting frame. A plurality of driven shaft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driving shaft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frame and a pulley provided on the driven shaft and connected by a belt, and the first driving weight and the lower end of the driven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ade that is connected and rotationally driven to spread the raw material of the molded plate supplied by the raw material inj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장착프레임의 승하강시키 위한 승하강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가 상기 장착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실린더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mounting frame, the elevating means is mounted on the base frame, and a lifting cylinder having a piston ro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guide rods mounted on the base fram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cylind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분리용 실린더와, 상기 분리용 실린더의 분리용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면서 상기 성형판의 상판에 붙은 누룽지를 긁어내기 위한 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ng cylinder mounted on the base frame, and a chisel plate for scraping the scorched paper attached to the upper plate of the molding plate while moving up and down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ng piston rod of the separating cyl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러셔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제 2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성형판의 상판에 잔존하는 누룽지 잔여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형 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rive motor mounted on the base frame, and a cylindrical brush connected to a second drive shaft of the second drive motor to separate scorched rice residue remaining on the upper plate of the mold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by.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복수의 이동레인 상에서 누룽지 성형판을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랜스퍼가 구비되고, 이 트랜스퍼는 이동레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동일 이동레인 상에서의 성형판의 이송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이동레인 측으로 성형판의 이송 시, 성형판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성형판의 순환 이동을 쉽고 간소화하여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fer for circularly moving the Nurungji molded plate on a plurality of moving lanes, and the transf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lane to push the molde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molded plate on the same moving lane. In addition to the transfer of the molded plate, when the molded plate is transferred to different moving lanes, by pushing the molde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molded plate can be easily and simplified to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본 발명은 누룽지의 공급 및 배출 시, 성형판의 상판을 열고 닫기 위해 가이드 수단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가이더가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성형판의 이송만으로 상판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과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lying and discharging scorched rice, a guide means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late of the molded plate, and the first to third guiders constituting the guide means are configured in a series of processes so that the upper plate can be moved only by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By allowing it to be opened and closed, work efficiency and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장치가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완전한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series of processes, thereby realizing complete automation,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thereby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트랜스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원료투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스프레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스크레이프 및 브러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w material input unit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eader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aper and a brush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means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b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s it.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누룽지 성형판(20)과, 복수의 이송레인(30)과, 성형판(20) 이송을 위한 트랜스퍼(40)와, 누룽지 원료 정량 공급을 위한 원료투입부(50)와, 누룽지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60)와, 제조된 누룽지를 성형판(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70)와, 누룽지를 이송 배출을 위한 배출부(80) 및 성형판(20)의 브러싱을 위한 브러셔(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11, the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the base frame 10, the nurungji molding plate 20, a plurality of transfer lanes 30, and the molding plate 20 A transfer 40, a raw material input unit 50 for quantitative supply of raw materials for scorched rice, a spreader 60 for spreading scorched paper, a scraper 70 for separating manufactured scorched paper from the molding plate 20, and scorched paper It comprises a brush 90 for brushing of the discharging unit 80 and the molding plate 20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먼저 본 명세서상에서 성형판(20)의 이송방향으로 개략적으로 정하면, 성형판(20)은 도 1의 지면을 기준으로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에서 좌측단부로 이동하고,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 2 이송레인(33)의 좌측단부로 이송된다. 이렇게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이송된 성형판(20)은 제 2 이송레인(33)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에 도착된 성형판(20)은 하부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로 이송되고,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에는 배출부(80)가 구비되어 제조된 누룽지는 배출부(80)를 통하여 출하되며,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20)은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송된다.First, if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s rough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molding plate 20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based on the ground of FIG. 1, and the first transfer lane It is transferred to the lef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by changing the direction upward at the left end of (31). The molding plate 20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moves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 The molding plate 20 arriving at the righ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is turned downward and transferred to the righ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is transferred to the righ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80, and the prepared fried rice is shipp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80, and the molded plate 20 from which the fried rice is separated is transferred in the left direction along the first transfer lane 31.

따라서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좌측단부를 ‘제 1 전환측’이라 하고,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우측단부를 ‘제 2 전환측’이라 한다. 또한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의 이동, 즉 제 1 이송레인(31)을 따른 이동방향을 ‘제 1 이송방향’이라 한다.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이동, 즉 제 2 이송레인(33)을 따른 이동방향을 ‘제 2 이송방향’이라 한다.Therefore, the left end w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s switched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is referred to as the 'first switching side', and the molding plate 20 is the second transfer lane. The right end where the moving direction is switched from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is referred to as a 'second switching side'.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molding plate 20 along the first transfer lane 31 from the right direction to the lef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movement along the first transfer lane 31 is referred to as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The movement of the molding plate 20 along the second transfer lane 33 from the left direction to the right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movement along the second transfer lane 33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또한 도 1의 도시에서 성형판(2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성형판(20)의 좌측을‘일측’이라 하고, 성형판(20)의 우측을 ‘타측’이라 한다. 아울러 도 1의 지면을 기준으로 성형판(20)의 좌측을 전면이라 하고, 우측을 후면이라 한다.1, the left side of the molding plate 20 is referred to as 'one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molding plate 20 is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n addition, the left side of the molding plate 20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right side is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of the molding plate 20 based on the paper of FIG. 1 .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일정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누룽지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품이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base 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height, and components for forming scorched rice are disposed on the top.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누룽지 원료가 투입된 성형판(20)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버너(미도시)가 구비되고, 가열 코일로 이루어지는 전기 버너는 하나의 성형판 또는 복수 개의 성형판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여러 개가 배치되면, 이송레인을 따라 이동하는 성형판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lectric burn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10 to heat the molded plate 20 into which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added, and the electric burner made of a heating coil simultaneously heats one molded plate or a plurality of molded plates. If several of them can be heated, the temperature of the molding plate moving along the transfer lane can be more precisely managed.

각 성형판의 온도는 일정 구간마다 설치된 적외선 온도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온도센서 등에 의해 측정되어, 측정값이 전기 버너에 전달되어 가열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온도 제어는 온도센서와 전기 버너와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temperature of each molding plate is measured by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such as an infrare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t each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an electric burner to determine whether to heat it. Temperature control is achieved by a controller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nsor and an electric burner.

이에 따라 계절적인 요인, 지속적인 생산에 따른 요인에 따라 성형판의 온도를 일정하게 관리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여 성형판의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균일한 품질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molded plate by solving the problem of constantly manag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ed plate according to seasonal factors and factors caused by continuous production,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nurungji of uniform quality.

전기 버너는 가스 버너에 비해 성형판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기에 유리하다. An electric burner is advantageous in more precis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molding plate than a gas burner.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레인(3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성형판(20)의 순환이송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나란히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1, 2, and 4 to 6, the transfer lane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0 to enable circulation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in multiple side by side. are placed

즉 이송레인(30)은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이 나란히 배치된다. That is, in the transfer lane 30,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re arranged side by side.

이 경우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는 성형판(20)이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는 성형판(20)이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molding plate 20 moves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on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mold plate 20 moves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on the second transfer lane 33.

이를 위해 각각의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에는 이송롤러(미도시)가 양측으로 배치되어 성형판(20)이 얹히게 되고,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이송롤러의 상부를 타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transfer rollers (not shown)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so that the molding plate 20 is placed on top of it, and the molding plate 20 is moved by the transfer roller It is possible to move by riding on the upper part of the .

각 이송레인(30)의 양단에는 트랜스퍼(40)가 구비되어 있고, 트랜스퍼(40)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 즉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는 성형판(20)을 동일 이송레인(30)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 1 이송레인(31)에서는 제 1 이송방향으로, 제 2 이송레인(33)에서는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 transfer 4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transfer lane 30, and the transfer 40 transfers the molding plate 20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that is, on the same transfer lane 30. It enables the transfer to the lane 30, that is, it moves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in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in the second transfer lane 33.

이송레인(30)의 양단에서는 성형판(20)을 서로 다른 레인으로의 전환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전환이송이라 함은 제 1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에서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을 이송하거나, 제 1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우측단부에서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성형판(20)을 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성형판(20)이 이송레인(30) 상에서 이송은 트랜스퍼(40)에 의하여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트랜스퍼(40)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t both ends of the transfer lane 30, it is possible to switch and transfer the molding plate 20 to different lanes. Here, the conversion transfer refers to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t the lef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that is,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to the first transfer lane 30, or That is, it means that the molding plate 20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at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 However, since the transfer of the molded plate 20 on the transfer lane 30 is implemented by the transfer 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section describing the transfer 40.

또한 이송레인(30)에는 성형판(20)의 이송을 위해 이송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송레인(30)의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는 성형판(20)의 이송을 위한 평판 형태의 지지판(3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판(37)은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성형판(20)은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으로 이송롤러에 의한 성형판(2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형태이므로 성형판(20)의 방향 전환 시, 이송롤러 대신 성형판(20)을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lane 30 is provided with a transfer roller for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but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sides of the transfer lane 30 have flat plates for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A support plate 37 is provided. The supporting plate 37 is a part w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s switched on the first switching side and the second switching side, and is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by the transfer roller. ), it serves to support the molding plate 20 instead of the transfer roller.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20)은 누룽지 원료가 투입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전기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누룽지 원료가 눌려 누룽지가 제조된다.As shown in FIGS. 1 to 9, the molding plat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with raw materials for scorched rice, heated by an electric burner disposed at the bottom, and pressed to produce scorched paper.

이를 위해 성형판(20)은 상판(21)과 하판(23)으로 구성되고, 상판(21)과 하판(23)의 일측은 힌지결합부(25)가 구비되어 상판(21)을 하판(23)으로부터 선회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상판(21)의 타측에는 가이드돌기(2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돌기(21a)는 후술한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을 하판(23)으로부터 열거나, 상판(21)으로 하판(23)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molded plate 20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21 and a lower plate 23, and one side of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is provided with a hinged portion 25 so that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 to open and close. 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21a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op plate 21, and the guide protrusion 21a opens the top plate 21 from the bottom plate 23 by the guide means 100 described later, or the top plate 21 ) is configured to cover the lower plate 23.

또한 성형판(20)은 대략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경우 성형판(20)의 가이드돌기(21a)는 도 1의 지면상에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으로 기준으로 좌측(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힌지결합부(25)는 우측(일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molding plate 20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21a of the molding plate 20 is on the left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on the ground in FIG. Arranged, the hinge coupling portion 25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ne sid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는 이송레인(30)의 양단에 구비되어 성형판(20)을 이송레인(30) 상에서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상에서 각각 제 1 이송방향 및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제 1 전환측에서는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시키고, 제 2 전환측에서는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transf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lane 30 to move the molding plate 20 on the transfer lane 30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first transport direction and the second transport direction,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on the first shifting side, the molding plate 20 moves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nd on the second shifting side, the molding plate 20 moves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3.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to the transfer lane 31.

이를 위한 트랜스퍼(40)는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성형판(20)을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1 푸셔(41)와,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판(20)을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2 푸셔(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트랜스퍼(40)는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제 2 푸셔(43)의 위치로 이동전에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제 3 푸셔(45)가 더 구비된다.The transfer 40 for this purpose is the same as the first pusher 41 for pushing and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20 to different transfer lanes 30 and the molded plate 20 transferred by the first pusher 41. It includes a second pusher 43 for pushing and transferring on the transfer lane 30 . In addition, the transfer 40 aligns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before the molding plate 2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usher 43 by the first pusher 41. A third pusher 45 is further provided.

먼저 제 1 푸셔(41)는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 일측과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실린더(41a)와, 제 1 실린더(41a)에 구비된 제 1 피스톤 로드(41b)와, 이 제 1 피스톤로드(41b)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밀판(41c)으로 구성된다.First, the first pusher 41 is provided on the first cylinder 41a and the first cylinder 41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f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other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It is composed of a first piston rod 41b that has been formed, and a first push plate 41c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piston rod 41b.

이 경우 제 1 실린더(41a)의 작동으로 상기 피스톤로드와 밀판은 이송레인(30)의 내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성형판(20)을 밀게 되고, 이때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부터 이송된 성형판(20)은 각각 제 2 이송레인(33)과 제 1 이송레인(31)로 이송되어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즉 제 1 푸셔(41)는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성형판(20)을 밀어 이송함으로써 성형판(2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ylinder 41a, the piston rod and the push plate are pulled out toward the inside of the transfer lane 30 to push the molding plate 20, and at this time,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second transfer lane The molding plate 20 transferred from (33)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nd the first transfer lane 31, respectively, and the moving direction is changed. That is, the first pusher 41 shif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by pushing and transporting the molding plate 20 to different transfer lanes 30 on the first switching side and the second switching side.

따라서 제 1 푸셔(41)는 서로 다른 이송레인(30), 즉 제 1 전환측에서는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에서 제 1 이송레인(31)부터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을 밀어 제 1 이송방향에서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아울러 제 2 전환측에서는 이송레인(30)의 우측단에서 제 2 이송레인(33)부터 제 1 이송레인(31)로 성형판(20)을 밀어 제 2 이송방향에서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pusher 41 moves the molding plate 20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t the lef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on the different transfer lanes 30, that is, on the first switching side. ) to switch the movement direction from the first transport direction to the second transport direction. In addition, on the second shifting side, the molded plate 20 is pushed from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move from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to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will switch

이 경우 제 1 푸셔(41)의 제 1 실린더(41a)는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가이드블록(47)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가이드블록(47)에는 제 1 피스톤로드(41b)의 인입출시, 제 1 밀판(41c)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47a)가 제 1 밀판(41c)에 결합되어 있다. 이 가이드바(47a)는 가이드블록(47)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하여 제 1 피스톤로드(41b)와 함께 인입출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cylinder 41a of the first pusher 41 is mounted and fixed to the guide block 47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and the first piston rod 41b is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47. A plurality of guide bars 47a for stably supporting the first push plate 41c are coupled to the first push plate 41c. The guide bar 47a is pulled in and out together with the first piston rod 41b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guide block 47.

다음으로 제 2 푸셔(43)는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와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에 배치되는 제 2 실린더(43a)와, 제 2 실린더(43a)에 구비된 제 2 피스톤로드(43b)와, 제 2 피스톤로드(4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밀판(43c)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 1 실린더(41a)의 작동으로 제 2 피스톤로드(43b)와 제 2 밀판(43c)은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에서는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성형판(20)을 제 2 이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게 된다. 아울러 이송레인(30)의 우측단부에서는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 성형파Next, the second pusher 43 is provided on the second cylinder 43a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righ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nd the second cylinder 43a. It is composed of a second piston rod 43b and a second push plate 43c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piston rod 43b. In this cas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ylinder 41a, the second piston rod 43b and the second push plate 43c remove the molding plate 20 on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t the lef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2 It is transported by pushing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addition, at the righ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the shaped wave on the first transfer lane 31

는 제 1 이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게 된다.is pushed and transferred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이 경우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의 배치되는 다수의 성형판(20)은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와 제 2 이송레인(33)의 좌측단부에 배치된 성형판(20)을 제 2 푸셔(43)가 밀게 되면 각 이송레인(30) 상에 배치되는 성형판(20)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이송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molding plates 20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are molded plate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lef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 20) is pushed by the second pusher 43, the molding plates 20 disposed on each transfer lane 30 are pushed and moved 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direc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각각 제 1 이송방향과 제 2 이송방향, 즉 각 이송레인(30) 상에서의 성형판(20)의 이송은 제 2 푸셔(43)에 의하여 구현된다.In the transf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o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and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that is, on each transfer lane 30, is carried out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It is implemented by the pusher 43.

이렇게 제 2 푸셔(43)에 의하여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한 단계씩 이송된 성형판(20)은 제 2 푸셔(43)에 의하여 좌측단부에서 제 1 이송레인(31)부터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되고, 우측단부에서는 제 2 이송레인(33)부터 제 1 이송레인(31)로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lding plate 20 transferred step by step on the same transfer lane 30 by the second pusher 43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at the left end by the second pusher 43.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s switched to (33),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can be switched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at the right end.

따라서 트랜스퍼(40)의 제 1 및 제 2 푸셔(43)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0)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순환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circular transfer is possible along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ase frame 10 by the first and second pushers 43 of the transfer 40 .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에는 제 3 푸셔(45)가 구비되는데, 제 3 푸셔(45)는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각각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과 동일 라인 상에 배치는 제 3 실린더(45a)와, 제 3 실린더(45a)에 구비된 제 3 피스톤로드(45b)와, 제 3 피스톤로드(45b)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3 밀판(45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3 푸셔(45)는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제 2 푸셔(43)의 위치로 이동전에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정렬을 맞추게 된다.Furthermore, the transf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hird pusher 45, the third pusher 45 is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second transfer lane on the first shifting side and the second shifting sid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33 is a third cylinder 45a, a third piston rod 45b provided in the third cylinder 45a, and a thir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hird piston rod 45b. It is composed of a push plate 45c. The third pusher 4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before the molding plate 2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usher 43 by the first pusher 41 . ) to align.

이는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성형판(20)이 제 1 전환측에서 제 1 이송레인(31)부터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전과, 제 2 전환측에서 제 2 이송레인(33)부터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전에 제 3 푸셔(45)의 실린더가 작동하여 제 3 피스톤로드(45b)와 제 3 밀판(45c)이 제 1 이송방향과 제 2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인출된 제 3밀판(45c)은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와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에서 이동방향을 전환을 대기 중인 성형판(20)을 받치게 되면 서로 비틀어져 있거나, 또는 어긋나있는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이 접촉되면서 정확하게 포개질 수 있다. 따라서 제 3 푸셔(45)는 성형판(20)이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비틀어지거나, 서로 어긋나 있는 상판(21)과 하판(23)을 받쳐 서로 정확하게 포개져 정렬이 이루어지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is before the molding plate 20 is moved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on the first shifting side by the first pusher 41, and before the second transfer lane 33 on the second shifting side. ) before moving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the cylinder of the third pusher 45 operates so that the third piston rod 45b and the third push plate 45c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and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is withdrawn as The third push plate 45c pulled out in this way is twisted to each other when the lef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right end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support the molding plate 20 waiting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which are present or misaligned, may be accurately overlapped while contacting each other. Therefore, the third pusher 45 can support the top plate 21 and the bottom plate 23 that are twisted or shifted before the molding plate 20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so that they are accurately overlapped and align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트랜스퍼(40)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er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먼저 도 4 내지 도 6의 도시는 제 1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 측에서의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전환측, 즉 이송레인(30)의 우측단부 측에서의 성형판(20)의 이동방향 전환 과정은 좌측단부 측과 달리 제 1 푸셔(41)와 제 2 푸셔(43)는 제 2 이송레인(33)의 우측단부 측에 설치되고, 제 3 푸셔(45)는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전환측과 제 2 전환측에서 제 1 푸셔(41) 내지 제 3 푸셔(45)는 제 1 및 제 2 이송레인(33)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이송되는 성형판(20)을 순환이송하기 위해 이송레인(30)의 양단에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배열위치와 상관없이 그 기능과 작용은 동일하다.First, the drawings of FIGS. 4 to 6 show a process of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on the first switching side, that is, on the left end side of the transfer lane 30 . 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at the second switching side, that is, at the right end side of the transfer lane 30, unlike the left end side, the first pusher 41 and the second pusher ( 43) is installed on the right end side of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nd the third pusher 45 is formed on the right end side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In this case, the first pushers 41 to the third pushers 45 circulate the molding plates 20 transport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anes 33 on the first shifting side and the second shifting side.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position, the function and action are the same in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must be chang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lane 30 to transfer.

먼저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 2 전환측에서 제 3 푸셔(45)에 의하여 제 1 이송레인(31)의 성형판(20)이 제 1 이동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 1 전환측에서 제 1 푸셔(41)에 성형판(20)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제 3 푸셔(45)의 제 3 피스톤로드(45b)가 인출되어 성형판(20)의 일면을 지지하여 받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molding plate 20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is pushed and moved in the first moving direction by the third pusher 45 on the second switching side, as shown in FIG. The molding plate 20 is arrange|positioned to the 1st pusher 41 on the 1 switching side. In this case, the third piston rod 45b of the third pusher 45 is drawn out to support and support one surface of the molding plate 20 .

다음으로 도 5의 도시의 도시와 같이 제 1 전환측에서 제 1 푸셔(41)의 제 1 피스톤로드(41b)가 인출되면서 제 1 밀판(41c)이 성형판(20)을 밀어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푸셔(41)의 제 1 피스톤로드(41b)가 인출되기 전에 제 3 푸셔(45)의 제 3 피스톤로드(45b)는 인입된 상태가 된다.Next, as shown in FIG. 5, as the first piston rod 41b of the first pusher 41 is pulled out from the first shifting side, the first push plate 41c pushes the molding plate 20 to the second transfer lane. In (33),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lding plate 20 is switched. In this case, before the first piston rod 41b of the first pusher 41 is drawn out, the third piston rod 45b of the third pusher 45 is drawn in.

이와 같이 제 1 전환측에서 성형판(20)의 이동방향으로 전환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 2 푸셔(43)의 제 2 피스톤로드(43b)가 인출되어 제 2 밀판(43c)이 성형판(20)을 밀면 성형판(20)은 제 2 이송방향으로 이송된다.In this way,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ed plate 20 is switched on the first shifting side, the second piston rod 43b of the second pusher 43 is drawn out as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push plate 43c moves the molded plate When 20 is pushed, the molding plate 20 is transported in the second transport direction.

이 경우 제 2 전환측에서는 제 1 푸셔(41)와 제 2 푸셔(43)는 각각 제 2 이송레인(33)과 제 1 이송레인(31)에 배치되어 제 1 전환측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작동된다.In this case, on the second shifting side, the first pusher 41 and the second pusher 43 are disposed on the second transfer lane 33 and the first transfer lane 31, respectively, and operate in the same way as on the first shifting sid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는 성형판(20)을 제 1 이송레인(31)과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순환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성형판(20)의 이송거리는 하나의 성형판(20)의 이송을 통해 전체 성형판(20)이 밀리면서 이동하므로 성형판(20)의 폭 길이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the transf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ircular transfer of the molding plate 20 along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second transfer lane 33. In this case,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molding plate 20 may be equal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molding plate 20 because the entire molding plate 20 moves while being pushed through the transportation of one molding plate 20 .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40)의 제 1 푸셔(41) 및 제 2 푸셔(43)는 성형판(20)을 밀어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제 1 푸셔(41)의 경우에는 성형판(20)의 일측를 밀고, 제 2 푸셔(43)의 경우에는 좌측단부에서는 성형판(20)의 전면을 밀고, 우측단부에는 성형판(20)의 후면을 밀게 된다.The first pusher 41 and the second pusher 43 of the transf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sh and move the molding plate 20.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first pusher 41, the molding plate 20 One side is push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pusher 43, the front side of the molding plate 20 is pushed at the left end, and the rear side of the molding plate 20 is pushed at the right end.

특히 제 1 전환측, 즉 제 1 이송레인(31)의 좌측단부에 성형판(20)을 제 2 이송레인(33)로 미는 경우 제 1 푸셔(41)의 밀판은 성형판(20)의 상판(21) 일측을 밀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molding plate 20 is pushed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on the first shifting side, that is,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the push plate of the first pusher 41 is the upper plate of the mold plate 20. (21) One side is pushed.

이 경우 성형판(20)의 상판(21) 일측부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어 제 1 푸셔(41)의 제 1 밀판(41c)과 접촉되기 때문에 정확한 지점, 즉 제 1 밀판(41c)의 중심부에 가이드돌기(21a)가 접촉되지 않는 경우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로 이송되면서 비틀어지거나, 또는 이동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판(41c)에는 가이드돌기(21a)와 길이가 동일한 접촉돌기(41d)를 형성하여 성형판(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밀리게 함으로써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로 이동 시, 비틀어지거나, 또는 이동위치를 벗어In this case, since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and contacts the first push plate 41c of the first pusher 41, it is placed at an exact point,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first push plate 41c. If the guide protrusion 21a does not come into contact, the molding plate 20 may be twisted while being transported 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or it may deviate from the moving position. Therefore, contact protrusions 41d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guide protrusions 21a are formed on the first push plate 41c to mak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olded plate 20 and push the molded plate 20 to the second transfer lane ( When moving to 33), it is twisted or out of the moving position.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you can make sure it doesn't come off.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료투입부(50)는 성형판As shown in Figures 2 and 7,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ed plate

(20)에 누룽지 원료를 투입하게 되는데, 누룽지 원료는 불린 쌀이나 밥을 교반하여 공급하게 된다.In (20),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added, and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supplied by stirring soaked rice or rice.

이를 위해 원료투입부(50)는 성형판(20)을 향해 형성되는 투입구(55)가 구비된 공급호퍼(51)와, 공급호퍼(51) 내부에 배치되는 누룽지 원료를 잘 섞어 주기 위한 교반기(53)와, 교반기(53)로부터 교반된 누룽지 원료를 투입구(55)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급스크루(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includes a supply hopper 51 equipped with an input port 55 formed toward the molding plate 20 and a stirrer for mixing well the raw materials for scorched rice disposed inside the supply hopper 51 ( 53), and a supply screw 57 for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from the stirrer 53 through the inlet 55.

즉 원료투입부(50)는 공급호퍼(51)로 공급된 누룽지 원료를 교반기(53)로 교반하여 회전하는 공급스크루(57)에 의하여 투입구(55)를 통해 누룽지 원료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성형판(20)은 후술할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이 개방된 상태로 이동하고, 투입구(55)로부터 배출되는 누룽지 원료는 하판(23)에 공급된다.That is,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stirs the raw material for raw materials supplied to the supply hopper 51 with the stirrer 53 and discharges the raw materials for raw materials through the input port 55 by the rotating supply screw 57. At this time, the molding plate 20 moves with the upper plate 21 open by means of a guide means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raw materials for scorched rice discharged from the inlet 55 are supplied to the lower plate 23.

이 경우 원료투입부(50)는 정량의 누룽지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스크루(57)의 회전속도와 공급 시간을 등을 제어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and supply time of the supply screw 57 in order to supply a quantity of scorched rice raw material.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더(60)는 원료투입부(50)로 공급된 누룽지 원료를 고르게 펼치기 위한 구성이다.As shown in FIGS. 1, 2 and 8, the spreade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venly spread the raw material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이를 위해 스프레더(60)는 장착프레임(61)이 구비되고, 장착프레임(61)은 좌우측면에 개방된 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장착프레임(61)의 상부에는 제 1 구동모터(6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 1 구동모터(62)의 제 1 구동축(63)은 장착프레임(61)의 내부로 배치되어 그 단부에 풀리(65)가 연결된다. 또한 장착프레임(61)의 내부에는 풀리(65)가 연결되는 종동축(64)이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풀리(65)에는 벨트(66)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 시, 종동축(64) 역시 동시에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the spreader 6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frame 61, and the mounting frame 61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open to left and right sides. A first driving motor 62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frame 61, and a first driving shaft 63 of the first driving motor 62 is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frame 61 and has a pulley at its end. (65) is connec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driven shafts 64 to which the pulleys 65 are connected are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frame 61, and each pulley 65 is connected by a belt 66, and when the driving motor operates, the driven shaft ( 64) also enables simultaneous rotational drive.

또한 제 1 구동축(63)과 종동축(64)은 장착프레임(61)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 1 구동축(63)과 종동축(64)이 노출된 단부에는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블레이드(67)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drive shaft 63 and the driven shaft 64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61, and the first drive shaft 63 and the driven shaft 64 are exposed to the exposed end of the blade for spreading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 67) are connected.

따라서 원료투입부(50)에 의하여 성형판(20)의 하판(23)에 공급되는 누룽지 원료는 스프레더(60)의 제 1 구동모터(62)가 작동되고, 제 1 구동축(63)과 종동축(64)에 구비된 블레이드(67)가 회전하여 누룽지 원료를 균일한 두께로 펼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drive motor 62 of the spreader 60 operates, and the first drive shaft 63 and the driven shaft for the raw material supplied to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by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The blade 67 provided at 64 rotates to spread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to a uniform thickness.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레더(60)는 승하강을 위한 승하강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승하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장착되는 승하강실린더(68)와, 승하강실린더(68)의 피스톤로드(68a) 단부는 장착프레임(61)의 상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승하강실린더(68)가 작동하면 피스톤로드(68a)의 인입출에 따라 장착프레임(61)이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The spreader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This elevating means includes an elevating cylinder 68 fixed to the base frame 10 and a piston of the elevating cylinder 68. Rod (68a) end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mounting frame (61). Therefore,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68 operates, the mounting frame 61 may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piston rod 68a.

따라서 누룽지 원료가 공급된 성형판(20)이 이송되어 스프레더(60)의 하부에 배치되면 승강되어 있던 장착프레임(61)이 승하강실린더(68)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68a)가 인출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프레더(60)의 블레이드(67)도 하강하여 누룽지 원료를 펼치고, 누룽지 원룡의 펼침 작업이 종료되면 승하강실린더(68)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68a)가 인입되면 장착프레임(61)은 승강하고, 이 상태로 다음 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lding plate 20 supplied with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transported and placed under the spreader 60, the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68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68 operates the mounting frame 61 and the piston rod 68a is pulled out and lowered. will do At this time, the blade 67 of the spreader 60 also descends to spread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and when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scorched rice wonryong is completed, the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68 is operated and the piston rod 68a is drawn in, and the mounting frame 61 is moved up and down and waits for the next task in this state.

이 경우 스프레더(60)의 장착프레임(61)에는 승하강실린더(68) 양측으로 가이드봉(68b)이 구비되어 장착프레임(61)의 승하강 동작 시, 안정적인 지지구조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ounting frame 61 of the spreader 60 is provided with guide rods 68b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cylinder 68 so that a stable support structure can be achieved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unting frame 61. desirable.

스프레더(60)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가 성형판(20)의 하판(23)에서 고르게 펼쳐지면 성형판(20)은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후술할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성형판(20)의 상판(21)은 하판(23)을 덮어 닫게 된다.When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evenly spread on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by the spreader 60, the molding plate 20 moves in the first transport direction, and in this process, by the guide means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covers and closes the lower plate 23 .

이후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성형판(20)은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전환측에서는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제 1 이송레인(31)에서 제 2 이송레인(33)로 성형판(20)이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이렇게 이동방향이 전환된 성형판(20)은 제 2 이송레인(33)을 따라 제 2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던 성형판(20)은 제 2 전환측에서 트랜스퍼(40)에 의하여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방향으로 전환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방향이 전환된 성형판(20)은 후술한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이 개방되어 세워지게 된다. 이때 스크레이퍼(70)는 상판(21)에 붙어 있는 제조된 누룽지를 긁어 분리하게 되고, 분리된 누룽지는 배출부(80)를 통하여 출하된다.Thereafter, by the transfer 40, the molding plate 20 moves along the first transfer lane 31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and in the first shifting side, by the transfer 40, the molded plate 20 moves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to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s changed to the transfer lane 33 . The molding plate 20 whose moving direction is switched in this way moves along the second transfer lane 33 in the second transfer direction. The molding plate 20, which has been moving in this way, is switched in the moving direction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by the transfer 40 on the second switching side, and the molding plate 20 whose moving direction is switched in this way The plate 20 is erected when the upper plate 21 is opened by the guide means 100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the scraper 70 scrapes and separates the prepared nurungji attached to the top plate 21, and the separated nurungji is shipp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80.

이하에서 완정된 누룽지를 성형판(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70)와 이렇게 분리된 누룽지를 출하하기 위한 배출부(8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craper 70 for separating the completed fried rice from the molding plate 20 and the discharge unit 80 for shipping the separated fried ric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70)는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하판(23)으로부터 상판(21)이 열리면 제조된 누룽지는 하판(23)에 붙어 있거나 또는 상판(21)에 붙어 있을 수 있다. 만약 하판(23)에 누룽지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배출부(80)에 의하여 배출이 가능하나, 상판(21)에 누룽지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상판(21)에 붙어 있는 누룽지를 긁어 낼 필요가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9, the scrap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plate 21 is opened from the lower plate 23 by the guide means 100, the prepared nurungji i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23 or the upper plate (21) can be attached. If the scorched rice i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23,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80, but if the scorched paper is attached to the upper plate 21, it is necessary to artificially scrape the scorched paper attached to the upper plate 21. there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상판(21)에 붙은 누룽지를 긁어내 상판(21)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스크레이퍼(70)는 베이스프레임(10)이 장착되는 분리용 실린더(71)와, 이 실린더에 구비되는 분리용 피스톤로드(73)와, 분리용 피스톤로드(73) 단부에 구비되는 끌판(7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리용 실린더(71)가 작동되어 분리용 피스톤로드(73)가 인출되어 하강하게 되면 끌판(75)이 상판(21)에 붙어 있는 누룽지를 긁어내 하판(23)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 경우 끌판(75)은 누룽지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도록 상판(2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누룽지의 분리가Therefore, by the scrap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ched rice is scraped off the top plate 21 and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21. For this purpose, the scraper 70 is a separating cylinder 71 to which the base frame 10 is mounted. ), a separation piston rod 73 provided in the cylinder, and a chisel plate 75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paration piston rod 73. Therefore, when the cylinder 71 for separation is operated and the piston rod 73 for separation is drawn out and descends, the chisel plate 75 scrapes the nurungji attached to the upper plate 21 and drops it to the lower plate 23. In this case, the chisel plate 75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plate 21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fried rice is easier.

쉽고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make it easy and convenient.

다음으로 전술한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성형판(20)으로부터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0)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Next, the discharge unit 80 for discharging the nurungji separated from the molding plate 20 by the above-described scraper 7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2 and 10.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80)는 제 1 이송레인(31)의 우측단부 측에서 베이스프레임(10)의 외측에 수직하게 세워진 가이드판(81)이 제 1 이송레인(31)을 따라 설치되고, 가이드판(81)의 좌측단부는 제 1 이송레인(31)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가이드판(81)의 우측단부에서 이격되어 제 1 이송레인(31)의 외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 1 배출가이드(82)가 구비되고, 제 1 배출가이드(82)는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상판(21)으로부터 분리되어 하판(23)에 낙하된 누룽지를 제 1 이송레인(31)의 외측방향, 즉 배출 측으로 안내하여 이송하게 된다.That is, in the discharge uni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late 81 erected vertically on the outside of the base frame 10 at the right end side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is installed along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left end of the guide plate 81 is bent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 first discharge guide 82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ight end of the guide plate 81 and form an inclined surfac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he first discharge guide 82 is attached to the scraper 70. As a result, the nurungji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21 and dropped on the lower plate 23 is guided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lane 31, that is, to the discharge side and transported.

이렇게 제 1 배출가이드(82)에 의하여 배출 측으로 이송되는 누룽지는 제 1 컨베이어(83)를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고, 제 1 컨베이어(83) 상단부분에는 제 2 배출가이드(84)가 구비되어 이송레인(30) 상부에 배치되는 배출챔버(86)로 누룽지를 안내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배출챔버(86) 내부에는 제 2 컨베이어(85)가 구비되어 누룽지를 이송레인(30)의 좌측단부 쪽으로 이송하고, 배출챔버(86)의 좌측단부 측에서는 누룽지의 출하를 위해 하방으로 누룽지가 이송될 수 있도록 미끄럼판(87)이 구비된다. 이 미끄럼판(87)을 타고 이송되는 누룽지는 수거용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출하될 수 있다.Nurungji, which is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side by the first discharge guide 82, is transported upward through the first conveyor 83,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84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conveyor 83 to transfer the lane. (30) Guide the fried rice to the discharge chamber 86 disposed at the top so that it is transferred. A second conveyor 85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chamber 86 to transfer the fried rice toward the left end of the transfer lane 30, and the fried rice is transported downward at the left end of the discharge chamber 86 for shipment of the fried rice. A sliding plate 87 is provided so that The fried rice that is transported along the sliding plate 87 can be transported and shipped through a conveyor for collection.

한편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20)은 가이드수단(100)에 의하여 상판(21)이 개방된 상태로 제 1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레이퍼(70)의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상판(21)에는 누룽지 잔여물이 남아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molded plate 20 from which the fried rice is separated by the scraper 70 is moved in the first moving direction with the top plate 21 open by the guide means 100. Residues of scorched rice may remain on the upper plate 21 from which the is separated.

이러한 잔여물은 이미 제조된 누룽지의 잔여물로 전기 버너에 의하여 재가열하게 되면 잔여물을 탈 수 있고, 이렇게 잔여물이 타는 경우 누룽지에서 씁쓸한 맛이 낼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다.These residues are the residues of already-manufactured scorched rice, and when reheated by an electric burner, the residues can be burned. .

따라서 이러한 누룽지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브러셔(90)를 도입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se scorched rice residues, it is necessary to prevent product quality from deteriorating, and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brush 90.

본 발명에 따른 브러셔(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장착되는 제 2 구동모터(91)와, 제 2 구동모터(91)에 연결되는 제 2 구동축(93)과, 이 제 2 구동축(93)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브러쉬(9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brush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rive motor 91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and a second drive shaft 93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motor 91. , 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rush 95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93.

따라서 브러셔(90)는 제 2 구동모터(91)가 구동되면 브러쉬(95)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브러쉬(95)에 의하여 성평판의 상판(21)에 붙어 있는 누룽지의 잔여물을 제거함으로써 성형판(20)을 세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brush 90,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91 is driven, the brush 95 rotates, and by removing the residue of the fried rice attached to the top plate 21 of the castle plate by the rotating brush 95, An effect of washing the molding plate 20 can be obtained.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배출부(80),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 구간에서는 성형판(20)의 상판(21)은 작업의 특성상 개방되어야 하고, 스프레더(60)에 의한 누룽지 원료의 펼침작업이 종료되면 상판(21)을 덮어야 성형판(20)이 이송되면서 전기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어 누룽지가 완성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must be opened in the section of the discharge unit 80, the scraper 70, the brusher 90, and the spreader 60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spreader 60 When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finished, the upper plate 21 must be covered so that the molding plate 20 is transferred and heated by an electric burner to complete the scorched rice.

본 발명에서는 배출부(80),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 구간에서 성형판(20)의 상판(21)을 개방하고, 덮을 수 있도록 하되, 트랜스퍼(40)에 의한 성형판(20)의 이송만으로 성형판(20)의 상판(21)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가이드수단(100)을 도입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is opened and covered in the section of the discharge unit 80, the scraper 70, the brusher 90 and the spreader 60, but by the transfer 40 A guide means 10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only by transporting the molding plate 20 is introduced.

먼저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80)와 스크레이퍼(70)에 의한 가공공정에서는 누룽지를 긁어내어 배출하여야 하는 구간으로 상판(21)이 승강하여 열리는 승강구간이다. 아울러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에 의한 가공공정에서는 상판(21)이 세워진 채로 이송되어야 하므로 작업 가능한 구간으로 승강된 상태가 계속되는 유지구간이다. 또한 스프레더(60)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의 펼침작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판(21)을 하강시켜 하판(23)을 덮고, 전기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구간으로 스프레더(60)에 의한 작업 이후부터는 상판(21)이 하강하는 하강구간이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11, in the processing process by the discharge unit 80 and the scraper 70, it is an elevation section in which the top plate 21 is elevated and opened as a section in which scorched rice should be scraped and discharged. In addition, in the processing process by the scraper 70, the brusher 90, and the spreader 60, since the upper plate 21 must be transported while standing upright, it is a maintenance section in which the elevated state continues to the workable section. In addition, after the spreader 60 completes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scorched rice raw material, the upper plate 21 is lowered to cover the lower plate 23, and is heated by an electric burner. After the spreader 60, the upper plate ( 21) is the descending section.

다음으로 이들 구간에서 상판(21)을 승강, 유지 및 하강시키기 위한 가이드수단(100)은 승강구간에서는 배출부(80)에서 스크레이퍼(70)에 성형판(20)이 진입하기 전까지 제 1 이송방향을 따라 점층적으로 상승하는 경사를 갖는 제 1 가이더(101)가 구비된다. 유지구간에서는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 작업 구간까지 제 1 이송방향을 따라 상판(21)이 승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 2 가이더(103)가 구비된다. 하강구간에서는 스프레더(60) 이후부터 상판(21)이 하강하도록 제 1 이송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 제 3 가이더(105)가 구비된다.Next, the guide means 100 for lifting, maintaining, and lowering the top plate 21 in these sections is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until the molding plate 20 enters the scraper 70 in the discharge section 80 in the lifting section. A first guider 101 having an inclination that gradually rises along is provided. In the maintenance section, the scraper 70, the brusher 90, and the spreader 60 are provided with a second guider 103 for maintaining an elevated state of the upper plate 21 along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In the descending section, a third guider 105 having an inclination descending along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top plate 21 descends from the spreader 60 onwards.

가이드수단(100)의 제 1 가이더(101)에서는 제 2 전환측에서 성형판(20) 제 2 이송레인(33)에서 제 1 이송레인(31)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상판(21)에서 분리된 누룽지가 배출부(80)로 이송되기 위해서는 상판(21)이 하판(23)으로부터 승강하여 세워져야 한다. 이때 제 1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판(21)의 가이드돌기(21a)는 제 1 가이더(101)를 타고 상승하면서 상판(21)이 승강하여 제 1 가이더(101)의 종단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렇게 상판(21)이 세워져 이송되면 수직방향을 세워진 상판(21)이 그대로 유지되어야 스크레이퍼(70), 브러셔(90) 및 스프레더(60)에 의하여 각각 공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first guider 101 of the guide means 100,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ing plate 20 is switched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on the second switching side and moves in the first transfer direction will do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fried rice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21 by the scraper 70 to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unit 80, the upper plate 21 must be raised and lowered from the lower plate 23.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21a of the top plate 21 moving in the first transport direction rises along the first guider 101, and the top plate 21 moves up and down so that the first guider 101 is erected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r 101 do. This is because when the top plate 21 is erected and transported,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scraper 70, the brusher 90, and the spreader 60 only when the top plate 21 is mainta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를 위해 제 2 가이더(103)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판(21)의 가이드돌부가 홈 부분이 삽입홈(103a)에 삽입되어 상판(21)이 세워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 2 가이더(103)에 의하여 상판(21)이 세워진 상태로 이송된 성형판(20)은 스프레더(60)에 의하여 누룽지 원료의 펼침작업이 종료되면 하강하여야 하므로 제 2 가이더(103)를 종단을 지난 성형판(20)의 상판(21)은 그 가이드돌기(21a)가 제 3 가이더(105)를 타고 하강하게 된다. 제 3 가이더(105)의 종단에서는 상판(21)은 완전히 하강하여 하판(23)을 덮게 되고, 이후 상판(21)과 하판(23)은 포개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전기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어 누룽지가 제조된다.To this end, the second guider 103 is composed of a '∩'-shaped frame,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top plate 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3a to keep the top plate 21 upright. . In this way, the molded plate 20 transported with the upper plate 21 erected by the second guider 103 must descend when the spreading operation of the raw material for scorched rice is completed by the spreader 60, so the second guider 103 is terminated The guide protrusion 21a of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guider 105 descends. At the end of the third guider 105, the upper plate 21 completely descends to cover the lower plate 23, and then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are transported in an overlapping state and heated by an electric burner to make fried rice. are manufactured

이 경우 제 1 가이더(101)에는 제 2 가이더(103)의 삽입홈(103a)으로 상판(21)의 가이드돌기(21a)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제 1 가이더(101)의 종단과 이격되도록 제 2 가이더(103)에 연결되는 진입유도부(101a)가 구비된다. 이 진입유도부(101a)는 제 1 가이더(101)에 의하여 세워지는 상판(21)의 가이드돌기(21a)가 제 2 거이더의 삽입홈(103a)으로 쉽게 진입하는 것을 돕게 된다. 또한 제 1 가이더(101)와 진입유도부(101a)는 ‘∩’형태의 연결부재(101b)로 이어져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guider 101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first guider 101 in order to induce the guide protrusion 21a of the top plate 21 to enter the insertion groove 103a of the second guider 103 An entry guide part 101a connected to the two guiders 103 is provided. The entry guide part 101a helps the guide protrusion 21a of the top plate 21 erected by the first guider 101 to easily enter the insertion groove 103a of the second guid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r 101 and the entry guide part 101a are connected to a '∩' shaped connection member 101b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can be maintained consta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수단(100)은 상판(21)을 승강시켜 세우고, 하강시켜 하판(23)을 덮는 과정에서 트랜스퍼(40)에 의한 성형판(20)의 이송만으로 상판(21)을 하판(23)으로부터 열고 닫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수단(100)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있다는 점에서 설비 비용의 절감은 물론이고,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In this way, the guide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and lowers the upper plate 21 and lowers the upper plate 21 only by transferring the molding plate 20 by the transfer 40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lower plate 23.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lower plate 23. In addition, it is effective in terms of saving equipment as well as energy saving in that a separate driving device is not used for driving the guide means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베이스프레임
20 : 성형판
21 : 상판 21a : 가이드돌기
23 : 하판 25 : 힌지결합부
30 : 이송레인
31 : 제 1 이송레인 33 : 제 2 이송레인
37 : 지지판
40 : 트랜스퍼
41 : 제 1 푸셔 41a : 제 1 실린더
41b : 제 1 피스톤로드 41c : 제 1 밀판
41d : 접촉돌기
43 : 제 2 푸셔 43a : 제 1 실린더
43b : 제 2 피스톤로드 43c : 제 2 밀판
45 : 제 3 푸셔 45a : 제 3 실린더
45b : 제 3 피스톤로드 45c : 제 3 밀판
47 : 가이드블록 47a : 가이드바
50 : 원료투입부
51 : 공급호퍼 53 : 교반기
55 : 투입구 57 : 공급스크루
60 : 스프레더
61 : 장착프레임 62 : 제 1 구동모터
63 : 제 1 구동축 64 : 종동축
65 : 풀리 66 : 벨트
67 : 블레이드 68 : 승하강실린더
68a : 피스톤로드 68b : 가이드봉
70 : 스크레이퍼
71 : 분리용 실린더 73 : 분리용 피스톤로드
75 : 끌판
80 : 배출부
81 : 가이드판 82 : 제 1 배출가이드
83 : 제 1 컨베이어 84 : 제 2 배출가이드
85 : 제 2 컨베이어 86 : 배출챔버
87 : 미끄럼판
90 : 브러셔
91 : 제 2 구동모터 93 : 제 2 구동축
95 : 브러쉬
100 : 가이드수단
101 : 제 1 가이더 101a : 진입유도부
101b : 연결부재 103 : 제 2 가이더
28
103a : 삽입홈 105 : 제 3 가이더
110 : 건조수단
29
10: base frame
20: molding plate
21: top plate 21a: guide protrusion
23: lower plate 25: hinge joint
30: transfer lane
31: 1st transfer lane 33: 2nd transfer lane
37: support plate
40 : transfer
41: first pusher 41a: first cylinder
41b: first piston rod 41c: first push plate
41d: contact protrusion
43: second pusher 43a: first cylinder
43b: second piston rod 43c: second push plate
45: third pusher 45a: third cylinder
45b: third piston rod 45c: third push plate
47: guide block 47a: guide bar
50: raw material input unit
51: supply hopper 53: agitator
55: inlet 57: supply screw
60: spreader
61: mounting frame 62: first drive motor
63: first drive shaft 64: driven shaft
65: pulley 66: belt
67: blade 68: lifting cylinder
68a: piston rod 68b: guide rod
70: scraper
71: cylinder for separation 73: piston rod for separation
75 : chisel plate
80: discharge unit
81: guide plate 82: first discharge guide
83: first conveyor 84: second discharge guide
85: second conveyor 86: discharge chamber
87: sliding plate
90 : brusher
91: second drive motor 93: second drive shaft
95: brush
100: guide means
101: first guider 101a: entry guidance unit
101b: connecting member 103: second guider
28
103a: insertion groove 105: third guider
110: drying means
29

Claims (13)

전기 버너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전기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판(21)과 하판(23)을 포함하는 성형판(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20)을 순환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레인(30);
상기 이송레인(3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판(20)을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상기 성형판(20)을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40);
상기 성형판(20)에 누룽지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원료투입부(50);
상기 원료투입부(50)에 의해 상기 성형판(20)에 공급된 상기 누룽지 원료를 펼치기 위한 스프레더(60)(spreader);
상기 성형판(20)에서 제조된 누룽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70)(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누룽지를 이송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80);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40)는
상기 이송레인(30)의 일측에 대응되는 제 1 트랜스퍼(40); 및
상기 이송레인(30)의 타측에 대응되는 제 2 트랜스퍼(4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레인(30)은
상기 성형판(20)을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이송레인(31); 및
상기 제 1 이송레인(31)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성형판(20)을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레인(33);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스퍼(40) 및 상기 제 2 트랜스퍼(40)는 각각
서로 다른 이송레인(30)으로 상기 성형판(20)을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1 푸셔(41);
상기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판(20)을 동일 이송레인(30) 상에서 밀어 이송하기 위한 제 2 푸셔(43); 및
상기 제 1 푸셔(41)에 의하여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제 2 푸셔(43)의 위치로 이동전에 상기 성형판(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정렬을 맞추기 위한 제 3 푸셔(45);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푸셔(41)는
제 1 실린더(41a);
상기 제 1 실린더(41a)에 구비된 제 1 피스톤 로드(41b);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b)의 끝단에 연결된 제 1 밀판(41c);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실린더(41a)가 고정되는 가이드블록(47); 및
상기 제 1 밀판(41c)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b)의 인입출 시 상기 제 1 밀판(41c)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47a);
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바(47a)는 상기 가이드블록(47)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피스톤로드(41b)와 함께 인입출되고,
상기 제 2 푸셔(43)는
제 2 실린더(43a);
상기 제 2 실린더(43a)에 구비된 제 2 피스톤 로드(43b); 및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의 끝단에 연결된 제 2 밀판(43c);
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푸셔(45)는
제 3 실린더(45a);
상기 제 3 실린더(45a)에 구비된 제 3 피스톤 로드(45b); 및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의 끝단에 연결된 제 3 밀판(45c);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상기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 1 모드(First Mode)에서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 및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는 인출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a) 및 복수의 상기 가이드바(47a)는 인입되고,
상기 성형판(20)이 제 1 이송레인(31) 상에서 상기 제 2 이송레인(33) 상으로 이송되거나 상기 성형판(20)이 제 2 이송레인(33) 상에서 상기 제 1 이송레인(31) 상으로 이송되는 제 2 모드(Second Mode)에서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 및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는 인입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로드(41a) 및 복수의 상기 가이드바(47a)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Base frame 10 including an electric burner;
a molding plate 20 disposed above the electric burner and including an upper plate 21 and a lower plate 23;
Transfer lanes 30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 and for circularly moving the molding plate 20;
Transf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lane 30 to sw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ld plate 20 to different transfer lanes 30 and to transfer the mold plate 20 on the same transfer lane 30 (40);
A raw material input unit 50 for supplying raw materials for scorched rice to the molding plate 20;
A spreader 60 for spreading the nurungji raw material supplied to the molding plate 20 by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A scraper 70 (scraper) for separating the nurungji prepared in the molding plate 20;
a discharge unit 80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the nurungji separated by the scraper 70;
including,
The transfer 40 is
A first transfer 4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transfer lane 30; and
a second transf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lane 30;
including,
The transfer lane 30 is
a first transfer lane 31 for transferring the molding plate 20 in a first direction among horizontal directions; and
a second transfer lane 33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and transferring the molding plate 20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transfer 40 and the second transfer 40 are respectively
a first pusher 41 for pushing and transferring the molding plate 20 to different transfer lanes 30;
a second pusher 43 for pushing and transferring the molded plate 20 transferred by the first pusher 41 on the same transfer lane 30; and
An agent for aligning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before the molding plate 2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usher 43 by the first pusher 41 3 pusher (45);
including,
The first pusher 41 is
a first cylinder 41a;
a first piston rod (41b) provided in the first cylinder (41a);
a first push plate 41c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piston rod 41b;
a guide block 47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and to which the first cylinder 41a is fixed; and
a plurality of guide bars 47a coupled to the first push plate 41c and supporting the first push plate 41c when the first piston rod 41b is pulled in and out;
including,
The plurality of guide bars 47a are drawn in and out together with the first piston rod 41b through through-holes formed in the guide block 47,
The second pusher 43 is
a second cylinder (43a);
a second piston rod (43b) provided in the second cylinder (43a); and
a second push plate 43c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piston rod 43b;
including,
The third pusher 45 is
a third cylinder 45a;
a third piston rod (45b) provided in the third cylinder (45a); and
a third push plate 45c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ird piston rod 45b;
including,
A first mode in which the molding plate 2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transfer lane 31 or the molding plate 20 is transported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second transfer lane 33 ( First Mode), the second piston rod 43b and the third piston rod 45b are drawn out and the first piston rod 41a and the plurality of guide bars 47a are drawn in,
The molding plate 20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lane 31 onto the second transfer lane 33 or the molded plate 20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transfer lane 33 to the first transfer lane 31 In the second mode (Second Mode), the second piston rod 43b and the third piston rod 45b are retracted, and the first piston rod 41a and the plurality of guide bars 47a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withdra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47)은 상기 수평방향과 수직하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부분중첩(Partially Overlap)되고,
상기 가이드블록(47)은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하는 제 3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보다 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block 47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base frame 10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guide block 47 includes a portion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base frame 10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mong the horizontal direction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
The third direction is a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2 피스톤 로드(43b)의 인출길이가 상기 제 3 피스톤 로드(45b)의 인출길이보다 더 긴 상태를 갖는 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de includes a period in which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second piston rod (43b) is longer than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third piston rod (45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 일측부에는 가이드돌기(21a)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과 상기 하판(23)은 타측부에는 힌지결합부(2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protrusion 21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of the molding plate 20 ar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upling part 25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80)에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을 승강시켜 상기 하판(23)으로부터 열고, 상기 스크레이퍼(70)에서 상기 스프레더(60)까지 상기 상판(21)을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스프레더(60) 이후에는 상기 상판(21)을 하강시켜 상기 하판(23)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is lifted and opened from the lower plate 23 in the discharge part 80, and the upper plate 21 is moved from the scraper 70 to the spreader 60 in a vertical direction. Maintaining the standing state, and after the spreader 60, the upper plate 21 is lowered to cover the lower plate 23.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means 100 Nurungji manufactur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100)은
상기 성형판(20)이 상기 배출부(80)에서 상기 스크레이퍼(70)에 진입되기 전까지 상기 상판(21)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21)의 상기 가이드돌기(21a)가 타고 진입하여 상기 상판(21)이 승강되도록 하는 제 1 가이더(101)와, 상기 제 1 가이더(101)와 이어지고, 상기 스크레이퍼(70)에서 상기 스프레더(60)까지 상기 제 1 가이더(101)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상판(21)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21)의 상기 가이드돌기(21a)가 삽입되어 안내 지지되는 제 2 가이더(103)와, 상기 제 2 가이더(103)와 이어지고, 상기 스프레더(60)를 지나는 상기 상판(21)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판(20)의 이송방향으로 따라 하강하는 경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21)의 상기 가이드돌기(21a)가 타고 하강하면서 상기 상판(21)이 하판(23)을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제 3 가이더(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guide means 100 is
The upper plate ( The first guider 101 that allows the guide protrusion 21a of 21 to ride and enter to lift the top plate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r 101, and the spreader 60 in the scraper 70 ) In order to maintain the top plate 21 erected vertically by the first guider 101 until the second guider 103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21a of the top plate 21 is inserted and guided and supporte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top plate 21 ( 21a)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guider 105 that allows the upper plate 21 to cover the lower plate 23 while riding and descen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부(50)는
상기 성형판(20)을 향해 형성되는 투입구(55)가 구비되고, 상기 누룽지 원료가 투입되는 공급호퍼(51)와, 상기 공급호퍼(5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룽지 원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53)와, 상기 교반기(53)로부터 교반된 상기 누룽지 원료를 상기 투입구(55)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급스크루(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A supply hopper 51 having an inlet 55 formed toward the molded plate 20 and into which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is introduced, and a stirrer disposed inside the supply hopper 51 to stir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 53) and a supply screw 57 for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for nurungji stirred by the agitator 53 through the inlet 5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60)는
장착프레임(61)과, 상기 장착프레임(6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61)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구동축(63)이 구비된 제 1 구동모터(62)와, 상기 장착프레임(61)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종동축(64)과, 상기 장착프레임(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구동축(63)과 상기 종동축(64)에 구비되고, 벨트(66)에 의하여 연결되는 풀리(65)와, 상기 제 1 구동축(63)과 상기 종동축(64)의 하단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하여 상기 원료투입부(50)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누룽지 원료를 펼치는 블레이드(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preader 60 is
A first drive motor 62 equipped with a mounting frame 61 and a first drive shaft 63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61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mounting frame 61; , A plurality of driven shafts 64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mounting frame 61, and the first driving shaft 63 and the driven shaft 64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frame 61 It is provided in, and is connected to a pulley 65 connected by a belt 66, an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driving shaft 63 and the driven shaft 64, and driven to rotate, by the raw material input unit 50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ade 67 for spreading the Nurungji raw material of the supplied molded plate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60)는 상기 장착프레임(61)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가 상기 장착프레임(61)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실린더(68)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실린더(68)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봉(6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spreader 6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the mounting frame 61,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An elevating cylinder 68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and having a piston ro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61, and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cylinder 68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rod (68b) to 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7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분리용 실린더(71); 및
상기 분리용 실린더(71)의 분리용 피스톤로드(73)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면서 상기 성형판(20)의 상기 상판(21)에 붙은 누룽지를 긁어내기 위한 끌판(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craper 70 is
a separating cylinder 71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and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ng piston rod 73 of the separating cylinder 71 and includes a chisel plate 75 for scraping off the scorched paper attached to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while moving up and down.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너는 각각의 상기 성형판(20) 또는 일정구간의 성형판(20)들을 가열하도록 설치된 전기 버너이며, 상기 성형판(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계측된 값을 바탕으로 상기 성형판(20)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burner is an electric burner installed to heat each of the molding plates 20 or the molding plates 20 in a certain section, based on th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ing plate 20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ding plate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70)에 의하여 누룽지가 분리된 성형판(20)을 브러싱(brushing)하기 위한 브러셔(90)(brush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usher (90) (brusher) for brushing (brushing) the molding plate (20) from which the nurungji is separated by the scraper (7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셔(9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제 2 구동모터(91)와,
상기 제 2 구동모터(91)의 제 2 구동축(93)에 연결되어 상기 성형판(20)의 상판(21)에 잔존하는 누룽지 잔여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형 브러쉬(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너를 이용한 누룽지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brush 90 is
A second drive motor 91 mounted on the base frame 10;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shaft 93 of the second driving motor 91 and includes a cylindrical brush 95 for separating the scorched rice residue remaining on the upper plate 21 of the molding plate 20.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n electric burner to
KR1020200090745A 2020-07-22 2020-07-22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KR102542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45A KR102542057B1 (en) 2020-07-22 2020-07-22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45A KR102542057B1 (en) 2020-07-22 2020-07-22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10A KR20220011910A (en) 2022-02-03
KR102542057B1 true KR102542057B1 (en) 2023-06-12

Family

ID=8026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45A KR102542057B1 (en) 2020-07-22 2020-07-22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28B1 (en) * 2023-04-26 2024-03-07 주식회사 에이치씨티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en) * 2012-03-05 2012-09-11 조성미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2108195B1 (en) * 2019-11-19 2020-05-07 염상훈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266B1 (en) * 1996-10-09 1999-06-15 이광수 Preparation of cooked browning rice and its apparatus
KR20100004822A (en) * 2008-07-04 2010-01-13 서정일 Heating plate for making crust of overcooked r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26545B1 (en) 2016-11-15 2018-12-11 (주)향천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en) * 2012-03-05 2012-09-11 조성미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2108195B1 (en) * 2019-11-19 2020-05-07 염상훈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10A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23B1 (en) scorched ric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54205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KR102282797B1 (en) Mixing device of seasoning liquid for continuous rice production system
US6178878B1 (en) Baking oven for producing thin-walled shaped products with baking forms each consisting of two form halves which open and close
KR102005480B1 (en) Microwave cooker of vending machine of instant ramen
KR102542056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0868348B1 (en) Dryer
KR100943734B1 (en) Apparatus for skewered food
CN110522055B (en) Hot pepper baking oven
CN111567641A (en) Zero-fall stir-frying fresh tea leaf de-enzyming process
US4574495A (en) Method and drying plant for drying a material in batch operation
KR20110073901A (en) A transfer device of the cooking pan
KR101573291B1 (en) Apparatus for making scorched rice
KR102038288B1 (en) Vessel conveying device of food vending machine
CN112167686A (en) Rice crust making devices
CN111567640A (en) Automatic continuous material intelligent high-efficiency tea leaf enzyme deactivating machine
JP3888206B2 (en) Stir fry production equipment
KR101810866B1 (en) An apparatus for drying steamed-grain with dried-grain collecting mechanism and the steamed-grain dry system using the same
RU2175427C1 (en) Continuous conveyer-type drying plant
US761088A (en) Drying-kiln.
KR960003889B1 (en) Automatic cooker
JPH06104093B2 (en) Individual meal continuous stirrer
KR20120121226A (en) Apparatus for fried food
KR100938952B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JPH05160244A (en) Preheater for semiconducto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