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35B1 -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35B1
KR102542035B1 KR1020200125444A KR20200125444A KR102542035B1 KR 102542035 B1 KR102542035 B1 KR 102542035B1 KR 1020200125444 A KR1020200125444 A KR 1020200125444A KR 20200125444 A KR20200125444 A KR 20200125444A KR 102542035 B1 KR102542035 B1 KR 10254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value
technology
product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533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20012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허기술 평가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허에 대한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를 포함하는 제1 평가 요소에 대한 제1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신기술에 대한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2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 자료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제품에 대한 기술성 및 품질성을 포함하는 제2 평가 요소에 대한 제3 평가를 수행하거나, 제품이 소프트웨어인 경우 제품에 대한 기능성/편리성, 신뢰성/보안성, 유지성/이식성 및 효율성을 포함하는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제4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1 평가, 제2 평가 및 제3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을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출원 특허 및 등록 특허의 수, 특허기술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값, 및 제품의 국내외 시장규모 비교값에 기반하여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들의 벡터값에 기반하여 특허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PATENT-TECHNOLOGY CERTIF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YSTEM}
본 발명은 특허기술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기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값에 기반하여 특허기술을 인증하는 전산화된 특허기술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소기업 대상의 기술 기반의 금융지원, 우수 제품에 대한 관리 등과 같은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신기술이 보유한 특허에 대한 평가, 해당 신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관련 제품에 대한 평가 등에 대하여 각기 다른 방향성으로 생성된 많은 평가 방법들이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관공서 등에서 통일화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고 있으나, 통일적 기준이 미흡한 상태이며 각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 요소가 커 일관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평가들은 복수의 평가자들에 의한 수기로 이루어지며, 결과 보고서로만 최종 평가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때문에 각 평가 지표에 대한 오차 범위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서로 다른 기관에서의 평가 결과가 상이할 수 있어 결과 보고서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일관성 있는 객관적 지표가 요구되는 실정이며,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전산화된 평가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보다 종합적이고 세부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특허기술을 평가하고 그 결과값에 기반하여 특허기술을 인증하는 전산화된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허기술 평가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허에 대한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를 포함하는 제1 평가 요소에 대한 제1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신기술에 대한 상기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2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 자료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기술성 및 품질성을 포함하는 제2 평가 요소에 대한 제3 평가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품이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품에 대한 기능성/편리성, 신뢰성/보안성, 유지성/이식성 및 효율성을 포함하는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제4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평가, 상기 제2 평가 및 상기 제3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을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평가 요소는 하부 평가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평가 요소들은 가중치에 기반한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가 및 상기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출원 특허 및 등록 특허의 수, 상기 특허기술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값, 및 상기 제품의 국내외 시장규모 비교값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평가 및 상기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들의 벡터값에 기반하여 상기 특허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상기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 상기 제1 내지 제3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 및 상기 평가 항목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은 복수의 전문가 단말로 중복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평가값은 상기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의 신성장 산업 관련성, 국산화 및 외국산 대체 관련성,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관련성, 녹생기술 인증 관련성 및 경제성(LCC) 효과 관련성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가산점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가 및 상기 제2 평가의 결과값의 차이가 기 결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평가 및 상기 제2 평가를 재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3 평가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을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특허기술에 대한 특허, 기술 및 제품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산화된 시스템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기술인증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기술인증 평가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기술인증 평가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1) 및 전문가 단말(12)과 통신하는 통신부(110),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특허기술에 대한 인증이 의뢰됨에 따라 특허기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평가부(120) 및 평가 결과를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도출하는 결과 생성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평가 관련 자료, 중간 평가 자료 및 그 결과값을 저장하는 평가자료 DB(database)(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1) 및 전문가 단말(12)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특허기술에 대한 평가 의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는 휴대폰,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1)을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웹 사이트(web sit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에 접속하여 상기 시스템(10)에 평가를 의뢰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기술을 나타내는 기술 명칭, 기술에 대응하는 특허의 특허번호,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카테고리 및 명칭, 해당 제품에 관련된 자료(도면, 설명자료, 사진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자료들은 평가자료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평가부(120)는 수신된 기술 명칭, 특허번호, 제품의 카테고리 및 명칭 및 관련 자료 등을 기초로 해당 특허기술을 특정하고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평가부(120)는 특허에 대한 제1 평가, 신기술에 대한 제2 평가 및 제품에 대한 제3 평가(일반 제품) 또는 제4 평가(소프트웨어 제품)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제품화되지 않은 기술인 경우 제3 또는 제4 평가는 생략될 수 있다.
평가부(120)는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허에 대한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을 포함하는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1 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평가부(120)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수신된 특허번호를 기초로, 외부 또는 내부의 특허 DB(미도시됨)로부터 등록 및/또는 공개된 특허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20)는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신기술에 대한 상기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2 평가를 수행한다. 즉, 제1 평가 및 제2 평가는 특허와 기술이라는 평가 대상에서 차이가 있을 뿐 공통적인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평가될 수 있다.
하기의 <표1> 내지 <표 3>은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 평가 요소 각각에 대한 하부 평가 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먼저, <표 1>은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기술성(TE) 평가 요소에 대한 하부 평가 요소 및 평가 기준을 나타내며, 각 하부 평가 요소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으로 산출된다. 이때, 기술성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2>는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경제성(EE) 평가 요소에 대한 하부 평가 요소 및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나타내며, 각 하부 평가 요소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으로 산출된다. 경제성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은 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3>은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경영성(ME) 평가 요소에 대한 하부 평가 요소 및 평가 기준을 나타내며, 각 하부 평가 요소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으로 산출된다. 이때, 경영성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은 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요소(최대평가값) 평가 기준(최대평가값)
기술(20) - 세계적인 선진기술에 해당함(20)
- 세계적인 선진기술과 큰 차이 없음(17)
- 국내의 우수한 기술에 해당함(14)
- 국내의 유사기술과 큰 차이 없음(11)
- 국내의 유사기술보다 미흡함(8)
성능(20) - 적용제품의 중요한 성능을 크게 향상/개선시킨 핵심기술임(20)
- 적용제품의 중요한 성능을 다소 개선시킨 핵심기술임(17)
- 적용제품의 일부 성능을 개선시킨 주변기술임(11)
- 적용제품의 성능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주변기술임(8)
재현(20) - 추가개발 없이 성능을 재현할 수 있는 완성도가 높은 기술임(20)
- 기술의 완성도는 약간 부족하나 성능을 재현할 수 있는 기술임(17)
- 기술적 완성도는 부족하나 적용제품 판매 전 성능재현 가능한 기술임(14)
-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하여 기술적 보완이 있어야 성능재현 가능한 기술임(11)
-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하며 적용제품 판매 전 성능재현 가능성도 희박함(8)
성장(20) - 향후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이 큰 유망한 기술임(20)
- 향후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이 다소 있는 기술임(17)
- 향후 제한적이나마 발전가능성이 큰 기술임(14)
- 향후 제한적이나마 발전가능성이 다소 있는 기술임(11)
- 대체기술개발에 의해 더 이상 발전하기 어려운 기술임(8)
파급(20) - 핵심기술로 산업전반에 적용가능한 응용성이 큰 기술임(20)
- 전문기술로 해당 산업부분에 적용가능한 응용성이 다소 있는 기술임(17)
- 전문기술로 적용범위가 한정되어 응용성이 적은 기술임(14)
- 단순개량기술로 적용제품이외에 응용성이 제한적인 기술임(11)
- 아이디어기술로 파급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기술임(8)
평가 요소(최대평가값) 평가 기준(최대평가값)
성능비교(20) 매우 우수(20), 우수(17), 중간(14), 보통(11), 미흡(8)
가격경쟁력(20) 매우 우수(20), 우수(17), 중간(14), 보통(11), 미흡(8)
시장규모(10) - 신규시장 개척이 가능하고 잠재 시장성 매출규모가 크게 예상됨(10)
- 국내에 시장규모가 형성되고 있음(7)
- 특정분야에만 사용가능(시장규모 협소)(5)
평가 요소(최대평가값) 평가 기준(최대평가값)
기술개발능력(15) 상등급(15), 중등급(10), 하등급(5))
품질경영체계(10) 상등급(10), 중등급(7), 하등급(5))
지원효과 등(10) 상등급(15), 중등급(10), 하등급(5))
기타(10) 추가점수 부여사유 기재 필수
평가부(120)는 특허 또는 신기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하부 평가 요소(또는 평가 요소) 및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12)로 전송하고, 해당 하부 평가 요소(또는 평가 요소)에 대한 평가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특허 또는 신기술에 대한 모든 제1 평가 요소 및 이에 대한 평가 기준을 복수의 전문가 단말(12)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평가 요소(또는 평가 요소) 및 평가 기준을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12)로 전송함으로서, 일 전문가에 의해 전체 점수가 결정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특허 또는 신기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하부 평가 요소(또는 평가 요소)를 복수의 전문가 단말(12)로 중복하여 전송함으로써, 오차 범위를 산출하고, 수신된 평가값들의 평균값으로 해당 평가 항목의 평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오차 범위가 큰 값들은 최종 결과물에 기입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는, 평가부(120)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제공받은 자료 및/또는 추가 검색된 자료를 기초로 각 하부 평가 요소(또는 평가 요소)에 대한 평가값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가부(120)는 신기술의 상기 기술성에 대하여, 특허 및 논문 검색 결과를 기초로, 해당 특허기술이 세계적인 선진기술에 대한 것인지, 국내 한정 기술인지, 유사 기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기술 평가 요소에 대한 평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평가부(120)는 기계 학습된 신경망(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각 하부 평가 요소(또는 평가 요소)에 대한 평가값을 출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전문가 단말(12)로부터 수신된 제1 평가 및 제2 평가의 평가값 및 검색된 자료 등은 상기 시스템(10)의 평가자료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평가부(120)는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제품 평가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이 존재하는 경우, 평가부(120)는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특허기술 평가 의뢰 시에 해당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 또는 관련 자료가 수신된 경우, 평가부(120)는 제품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제공받은 자료를 기초로 제품 평가가 어려울 경우, 평가부(120)는 추가 자료를 사용자 단말(11)로 요청하거나 현장 평가가 요구된다는 결과값을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평가부(120)는 특허기술에 매칭되는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12)로 현장 평가를 요청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 평가가 수행되는 경우, 평가부(120)는 제품에 대한 기술성 및 품질성을 포함하는 제2 평가 요소에 대한 제3 평가를 수행하거나, 제품이 소프트웨어인 경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능성, 편리성, 신뢰성, 보안성, 유지성, 이식성 및 효율성을 포함하는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제4 평가를 수행한다. <표 4>는 제2 평가 요소의 하부 평가 요소 및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나타내며, <표 5>는 제3 평가 요소의 하부 평가 요소 및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이때, 제2 평가 요소의 각 하부 평가 요소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을 가지며, 제2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평가 요소의 하부 평가 요소는 각각 적절 또는 부적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3 평가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부적절할 경우 제4 평가 결과는 부적절로 평가될 수 있다.
평가 요소
(최대평가값)
하부 평가 요소 (최대평가값) 평가 기준 (최대평가값)
기술성(50) 기술개발 필요성 및 난이도(10) 매우탁월(9~10), 탁월(7~8), 보통(4~6), 미흡(2~3), 매우미흡(0~1)
기술의 혁신성(10) 매우탁월(9~10), 탁월(7~8), 보통(4~6), 미흡(2~3), 매우미흡(0~1)
기술관련성(30) 매우탁월(26~30), 탁월(21~25), 보통(15~20), 미흡(10~14), 매우미흡(0~9)
품질성(50) 효과(30) 매우탁월(26~30), 탁월(21~25), 보통(15~20), 미흡(10~14), 매우미흡(0~9)
조달 물자로서의 품질/성능 신뢰성(20) 매우탁월(18~20), 탁월(14~17), 보통(10~13), 미흡(5~9), 매우미흡(0~4)
하기의 <표 5>에서 기능성/편리성 평가 요소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목적에 따라 적합, 정확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 조건, 인터페이스, 메뉴 구성 등의 제어 환경을 쉽고 편하게 제공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신뢰성/보안성 평가 요소는 결함이나 문제 발생 시 지정된 수준의 성능을 유지하고 데이터를 복수하며, 인가되지 않은 사람이나 시스템의 액세스를 방지하여 정보 및 데이터를 보호하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지성/이식성 평가 요소는 환경과 요구 사항에 따라 용이한 소프트웨어의 수정, 개선을 제공하며, 특정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적응, 이식, 설치, 대체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효율성 평가 요소는 시간 효율성(예컨대, 응답시간, 반환시간, 처리시간 등) 및 자원 효율성(예컨대, I/O 자원, 메모리 자원, 프로세서 자원 사용 효율성)을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평가 요소 평가 기준 (적절/부적절)
기능성/편리성
신뢰성/보안성
유지성/이식성
효율성
평가부(120)는 앞서 제1 및 제2 평가에서와 마찬가지로, 전문가 단말(12)로 제3 또는 제4 평가의 제2 또는 제3 평가 요소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하거나, 수신된 자료 및/또는 추가 검색된 자료를 기초로 자동으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문가 단말(12)로부터 수신된 제3 또는 제4 평가의 평가값 및 추가 검색된 자료 등은 상기 시스템(10)의 평가자료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20)는 제3 평가의 결과값에 기술품질 기반의 가점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부(120)는 제품의 신성장 산업 관련성, 국산화 및 외국산 대체 관련성,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관련성, 녹생기술 인증 관련성 및 경제성(LCC) 효과 관련성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가산점을 부가할 수 있다. 이때, 가산점은 최대 5점 이하로 부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 생성부(130)는 제1 평가, 제2 평가 및 제3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에 기반하여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한다. 이때, 제1 평가의 결과값은 제1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 이하의 정수로 산출되며, 제2 평가의 결과값은 제1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 이하의 정수로 산출된다. 제3 평가의 결과값은 제2 평가 요소의 최대평가값 이하의 정수로 산출되며, 제4 평가의 결과값은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적절/부적절로 산출된다.
결과 생성부(130)는 제1 평가 및 제2 평가의 결과값의 차이가 기 결정된 값(예컨대, 5)보다 큰 경우, 제1 평가 및 제2 평가를 재진행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특허기술에서 특허가 기술하는 내용과 기술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제1 평가와 제2 평가의 결과값의 차이는 5이하일 수 있다.
결과 생성부(130)는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 해당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출원 특허 및 등록 특허의 수, 해당 특허기술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값 및 해당 제품의 국내외 시장규모 비교값에 기반하여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한다. 즉, 인증 유효기간은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를 종합하여 판단될 수 있다. 특히 평가부(120)는 제1 평가 및 제2 평가의 평균값, 최대값 및 최소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 평가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허기술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며 일관적인 평가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하기의 <표 6>은 평가부(120)가 앞서 설명한 요소들을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하는 기준을 나타낸다. 각 열은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하기 위한 평가 요소들을 나타내며, 각 행은 평가 기준 및 해당 평가 기준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나타낸다. 평가부(120)는 각 평가 요소의 평균값으로 인증 유효기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특허기술의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어느 하나의 결과값(즉, 기준 평가값)이 80점이고, 출원 특허 1건을 가지고 있으며, 수입대체가 가능한 기술이고, 국내에 어느 정도의 시장규모가 형성되어 있다면, 인증 유효기간은 2년(즉, (2+2+2+2)/4)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정량적 요소 정성적 요소 평가값
제1 평가/제2 평가 결과값 출원/등록
특허개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제품의 국내외 시장규모
80 이상 국내외 등록 특허 1건 이상 -선진기술/전면 국산화 가능
-기술 수출 가능
-성능시험결과 등 우수
-수출 및 신규 시장 개척 가능
-잠재 시장규모 상당
3
75~80 이상 국내외 출원 특허 1건 이상 -수입대체 일부 가능 기술
-성능시험결과 등 우수
-국내 어느 정도 시장규모 형성되어 있음 2
75 미만 국내외 출원/등록 특허 없음 -선진기술과 격차
-국내우수 수준
-성능시험결과 등 양호
-일부 특정 분야 사용가능
-시장 규모 협소
1
또한, 결과 생성부(130)는 상기 인증 유효기간에 제3 평가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평가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이 기 결정된 범위(예컨대, 60점 이하 또는 부적절)인 경우, 인증 유효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과 생성부(130)는 상기 제3 평가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에 기반하여 해당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이 우수한 제품인지 여부를 별개로 평가할 수도 있다.
또한, 결과 생성부(130)는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값에 기반하여 특허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결과 생성부(130)는 제1 평가 및 제2 평가의 기술성(TE) 평가 요소의 결과값(x), 경제성(EE) 평가 요소의 결과값(y) 및 경영성(ME) 평가 요소의 결과값(z)의 벡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값에 대응하는 벡터 공간은 4개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각의 공간은 서로 다른 기업 가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201)은 회생이 어려운 기업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공간은 기술적 가치가 있으나 경제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는 기업으로 기술경영 지원이 필요한 기업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공간은 기술적 가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기업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4 공간은 기업 가치가 높은 기업을 의미할 수 있다. 결과 생성부(130)는 상기 벡터값의 일단이 위치하는 공간에 기반하여 해당 기업의 기업 가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벡터값의 크기가 클수록 기술적, 경제적, 경영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결과 생성부(130)는 전술한 제1 평가, 제2 평가, 제3 또는 제4 평가의 평가값과,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기입하여 자동으로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보고서는 사용자 단말(11)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평가부(110), 평가부(120) 및 결과 생성부(130)는 상기 시스템(10)에 구비된 RAM(Random Access Memory)(미도시), ROM(Read-Only Memory)(미도시), CPU(미도시), GPU(Graphic Processing Unit)(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순서도는 도 1 및 도2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연관된다. 따라서,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도 1 및 도 2를 통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내용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1)로부터 특허기술 평가 의뢰를 수신한다(s310).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특허의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를 포함하는 제1 평가 요소에 대한 제1 평가를 수행하며(s320),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신기술에 대한 상기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2 평가를 수행한다(s330). 여기서 제1 평가 요소는 각각 하부 평가 요소들과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포함하며, 각 하부 평가 요소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표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 자료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기술성 및 품질성을 포함하는 제2 평가 요소에 대한 제3 평가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품이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품에 대한 기능성/편리성, 신뢰성/보안성, 유지성/이식성 및 효율성을 포함하는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제4 평가를 수행한다(s340). 일반 제품에 대한 제2 평가 요소는, 제1 평가 요소와 마찬가지로, 각각 하부 평가 요소들과 이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을 포함하며, 각 하부 평가 요소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표 4>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제3 평가 요소는 적절 또는 부적절로 평가되며, 평가 요소들 중 하나라도 부적절하다고 평가되는 경우 제4 평가는 부적절로 최종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표 5>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1 평가, 제2 평가 및 제3 또는 제4 평가는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3 또는 제4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현장 평가가 필요한 경우, 상기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로 현장 평가가 요구된다는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스템(10)은 해당 특허기술에 매칭되는 전문가 단말(12)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은 제1 평가, 제2 평가 및 제3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에 기반하여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한다(s350). 이때, 상기 시스템(10)은 제1 평가 및 제2 평가의 중간값,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이용하여 기준 평가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특허기술에 대한 특허와 신기술에 동일한 평가 요소들을 적용함으로써, 특허와 기술 중 어느 하나의 가치에 치우치지 않은 종합적이고 일관적인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템(10)은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 해당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출원 특허 및 등록 특허의 수, 해당 특허기술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값 및 해당 제품의 국내외 시장규모 비교값에 기반하여 해당 특허기술에 대한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한다. 이에 대해서는 <표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제1 평가 및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값에 기반하여 특허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한다. 이때, 기업 가치 평가값은 벡터값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벡터값의 일단이 위치하는 공간 및 상기 벡터값의 크기로 기업 가치가 평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다양한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허기술 평가 의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허에 대한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를 포함하는 제1 평가 요소에 대한 제1 평가를 수행하는 기능,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신기술에 대한 상기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2 평가를 수행하는 기능,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 자료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기술성 및 품질성을 포함하는 제2 평가 요소에 대한 제3 평가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품이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품에 대한 기능성/편리성, 신뢰성/보안성, 유지성/이식성 및 효율성을 포함하는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제4 평가를 수행하는 기능, 상기 제1 평가, 상기 제2 평가 및 상기 제3 또는 제4 평가의 결과값을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나 이와 동등한 수준의 디지털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혹은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
12: 전문가 단말

Claims (1)

  1.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허기술 평가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허에 대한 기술성, 경제성 및 경영성을 포함하는 제1 평가 요소에 대한 제1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신기술에 대한 상기 제1 평가 요소에 기반하여 제2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제품 자료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기술성 및 품질성을 포함하는 제2 평가 요소에 대한 제3 평가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품이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품에 대한 기능성/편리성 평가 요소, 신뢰성/보안성 평가 요소, 유지성/이식성 평가 요소 및 효율성 평가 요소를 포함하는 제3 평가 요소에 대한 제4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평가, 상기 제2 평가 및 상기 제3 평가 또는 상기 제1 평가, 상기 제2 평가 및 상기 제4 평가의 결과값을 기초로 인증 유효기간 및 기업 가치 평가값을 포함하는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평가 요소 및 제2 평가 요소는 하부 평가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평가 요소들은 가중치에 기반한 서로 다른 최대평가값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가 및 상기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 상기 특허기술에 대응하는 출원 특허 및 등록 특허의 수, 상기 특허기술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값, 및 상기 제품의 국내외 시장규모 비교값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유효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가 및 상기 제2 평가 중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들의 벡터값에 기반하여 상기 특허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상기 기업 가치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평가, 상기 제2 평가 및 상기 제3 평가 또는 상기 제1 평가, 상기 제2 평가 및 상기 제4 평가의 결과값, 상기 인증 유효기간 및 상기 기업 가치 평가값이 기입된 상기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125444A 2020-09-28 2020-09-28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54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44A KR102542035B1 (ko) 2020-09-28 2020-09-28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44A KR102542035B1 (ko) 2020-09-28 2020-09-28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33A KR20220042533A (ko) 2022-04-05
KR102542035B1 true KR102542035B1 (ko) 2023-06-12

Family

ID=8118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44A KR102542035B1 (ko) 2020-09-28 2020-09-28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027A (ja) 2004-03-31 2005-10-20 Sumitomo Mitsui Banking Corp 評価対象の評価方法及び評価システム
JP2005326897A (ja) 2003-10-21 2005-11-24 Ipb:Kk 技術・知財評価装置及び技術・知財評価方法
KR101364925B1 (ko) 2013-02-28 2014-02-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94B1 (ko) * 2011-07-25 2013-12-1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 과제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853555B1 (ko) * 2016-09-01 2018-04-30 박상욱 Sw 시장 정보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897A (ja) 2003-10-21 2005-11-24 Ipb:Kk 技術・知財評価装置及び技術・知財評価方法
JP2005293027A (ja) 2004-03-31 2005-10-20 Sumitomo Mitsui Banking Corp 評価対象の評価方法及び評価システム
KR101364925B1 (ko) 2013-02-28 2014-02-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33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The role of outsourcing management process i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ogistics outsourcing
Apte et al. IS outsourcing practices in the USA, Japan and Finland: a comparative study
Wahba How do institutional shareholders manipulate corporate environmental strategy to protect their equity value? A study of the adoption of ISO 14001 by Egyptian firms
Power et al. The e-integration dilemma: The linkages between Internet technology application, trading partner relationships and structural change
Yu et al. Distribution channel network and relational performance: The intervening mechanism of adaptive distribution flexibility
US20030225652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and projecting the future investment value of a business organization
Sealy et al.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s in global business organizations
Oukil et al. A hybrid multi‐attribute decision‐making procedure for ranking project proposals: A historical data perspective
Gao et al. Research on Cloud Service Security Measurement Based on Information Entropy.
CN111061792B (zh) 一种金融服务管理系统
CN104021439A (zh) 数据中心服务成熟度评价方法和系统
KR102542035B1 (ko)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EP2880601A2 (en) Asymmetrical multilateral decision support system
Omrani et al. A consistent approach for performance measurement of electricity distribution companies
Lee Does the success of information systems really matters to firm performance?
Branch et al. Do socially responsible index investors incur an opportunity cost?
Mirzaei et al. Investigating challenges to SME deployment of operational business intelligence: a case study in the New Zealand retail sector
JP2004021411A (ja) アクセス権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権管理プログラム
Jiang et al. Evaluation metho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efficiency of chain retail enterprises based on distributed database
CN114493132A (zh) 资源分配方法、装置和电子设备
Zhang et al. A simulation‐based 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 for stochastic parallel machine scheduling with operational considerations
Brynjolfsson et al. Markets, hierarchies and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CN113377683A (zh) 软件测试用例的生成方法、系统、设备、终端、介质及应用
Phusavat et al. Developing model for integrating sustainability into enterprise operations
CN11129111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农畜产品追溯系统的服务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