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925B1 -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925B1
KR101364925B1 KR1020130021828A KR20130021828A KR101364925B1 KR 101364925 B1 KR101364925 B1 KR 101364925B1 KR 1020130021828 A KR1020130021828 A KR 1020130021828A KR 20130021828 A KR20130021828 A KR 20130021828A KR 101364925 B1 KR101364925 B1 KR 10136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ditional
evaluation
authentication
certification
traditional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연
우신구
김영
김동호
권도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사회의 쇠퇴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원 도심의 쇠퇴로 영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이전이 되는 등의 문제를 겪는 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인증을 통해 문화와 예술이 하나 되며, 전통과 시대의 조화를 통해 전통 산업의 활성화를 구현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전통명가, 전통명인, 전통명소에 대한 인증을 전산화하여 인증기준의 객관성을 담보하고, 원도심에 상존하는 전통업체들의 인증을 통한 도시차원의 지원을 통해 원도심의 쇠퇴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은 전통있는 상권의 활성화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Evaluation system of tradition-master and th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역사회의 쇠퇴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원 도심의 쇠퇴로 영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이전이 되는 등의 문제를 겪는 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인증을 통해 문화와 예술이 하나 되며, 전통과 시대의 조화를 통해 전통 산업의 활성화를 구현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통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또는 서비스업에 대한 인증을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 대상과 사후관리가 가능하여 지속적인 인증 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 도심의 쇠퇴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계획하고 있는 전통문화에 기반한 서비스업이나 명가들이 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새로운 문화컨텐츠를 인증을 통해 활성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명가의 전통과 시대의 조화를 모색하여 도시재생을 이루는 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시재생이란, 산업구조변화 및 신도시 위주의 도시확장으로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시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정비와 함께 사회, 경제적인 여건을 재활성화시키는 전반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쇠퇴도시와 이러한 쇠퇴도시의 개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일단, 철거 재개발위주의 주거지 정비사업으로 지역 커뮤니티 해체 및 주거 빈곤 개선의 효과가 미진하며, 개발이익의 사유화가 정비사업의 주된 동기가 됨으로써, 가등적 개발문화를 조성하게 된다. 나아가 민간자본에 의한 개발로 도시의 생활 문화 공간 및 시설이 빈약하게 된다.
나아가, 단독 주택지구와 다세대 다가구 밀집 지역의 물리적 환경이 악화되며, 영구 임대단지 및 영세 연립 주택지의 슬럼화가 우려되며, 공공 공간 및 편익시설의 확보가 미흡하며, 공공 투자에 의한 기반시설의 상대적인 부족 및 관리 미흡으로 인한 노후화가 지속되며, 주변 공간 조직과 유리된 개별사업 지구별 과밀개발로 도시환경의 질 개선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쇠퇴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대한 장기 비전 없이 단기 수익성이 높은 고밀 주거, 주상복합에 치중하게 되며, 도시 사회문화 환경 쇄신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시 재생에 대한 접근의 관점은 도시의 전반적 쇠퇴를 가속시키게 되며, 이는 지역 산업의 쇠락에 따른 일자리 급감, 인구 누출, 민간 투자 기피에 따른 재생동력의 상실로 순차적인 문제가 가속되게 된다.
이러한 도심의 쇠퇴와 함께 사라져 가는 전통 명가들을 주축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문화컨텐츠로서의 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인증을 통해 문화와 예술이 하나 되며, 전통과 시대의 조화를 통해 전통 산업의 활성화를 구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전통명가, 전통명인, 전통명소에 대한 인증을 전산화하여 인증기준의 객관성을 담보하고, 원도심에 상존하는 전통업체들의 인증을 통한 도시차원의 지원을 통해 원도심의 쇠퇴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은 전통있는 상권의 활성화를 구현하는 데 있다.
나아가, 전통명가 인증제를 도입하여 웹사이트나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영업지원 및 지역특성에 맞는 전통명가, 명소, 명인의 제공 상품 서비스에 대한 현대화를 통해 관광상품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통 명가 지정을 통해 우수한 매장환경,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표적인 전통명가지역으로 인식을 확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전통 명가, 명인 등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여, 객관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에 대한 사후 관리 역시 온라인 상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특히, 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인증을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함으로서, 효율적인 평가시스템으로 구추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까지, 전통명가의 인증 제도를 추진하는 계획은 다음과 같은 오프라인(off-line) 상의 작업으로 수행되고 있다.
{표 1}
Figure 112013018073175-pat00001
상술한 표 1은 창원시에 존재하는 전통명가의 인증을 위한 오파라인 상의 인증 제도의 추진 상황을 예시한 것이다.
이 인증 제도의 기본 방식은 총체적인 인증보다는 제품인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형 인증제도에서 벗어나, 인증을 위한 객관적 지표를 확충하고 인증 이후 사후 관리를 통해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인증 로고의 발급을 통해 홈페이지나 각종 유인물에 인증 기관 내 마케팅을 위해 사용하게 하여 전통명가 인증으로서의 상품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전통명가 지정을 통해 우수한 매장환경, 상품의 품질 개선, 친절한 상가로 거듭나며, 한국ㅇ르 대표하는 전통명가 지역으로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좋은 물건 및 좋은 문화적 특성의 가로, 인력을 확보하여 경제적 활성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표 1}의 세부 추진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전통명가 평가 인증 위원회를 구축하여, 위원회를 중심으로 전통명가를 선정함에 있어, 각 명가별 평가지표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전통명가 기초조사 및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는 지역 미디어에 축적된 지역의 상점 및 거리에 대한 기존 자료를 조사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전통 명가 발굴을 위한 기초조사 및 주민과 시민이 참여하는 맛집과 멋집을 발굴하는 등의 행사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도록 한다.
이후, 전통명가 인증기준과 육성방안, 인증 후 인센티브의 마련을 위해 전통명가 평가 인증위원회와 전통명가 서포터스를 발굴하여, 전통명가(家/街)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컨텐츠를 제작하는 등의 활동이 아울러 병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전통명가 인증 및 서포터즈 인증을 통해 홍보 및 인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상가지도 등과 연계하여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소셜 미디어 스토리텔링 사업과 연계하고, 이에 대한 서포터즈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통명가에 대한 평가 및 평가 기준의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함과 아울러, 홍보를 담당하는 서포토즈의 평가 및 신규 회원을 추가하며, 전통명가의 연례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통명가(家)의 발굴방안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전통명가(家)의 발굴방안
전통명가(家)란 원도심에서 전통을 가지는 서비스 업종에 대한 인증으로, 원도심 전통 명가 인증제도는 지자체에서 인증해 주는 공신력 있는 인증제도로 확고히 하기 위해, 엄정한 서류 심사와 관련 전문가 및 평가단의 철저한 현상 심사를 거쳐 합격점을 얻은 상가 만이 인증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인증 신청일 기준으로 최소 30년, 40년, 50년 이상의 영업을 지속하고 있는 업소를 대상으로, 영업과 적합한 사업허가증, 위생업 허가증을 발급받은 업소, 주 5일 이상을 정상영업하며 개점 시간과 폐점 시간을 명시하고 있는 업소, 희소가치를 가지는 지역 자영업소가 그 대상이 된다.
이러한 전통명가(家)의 형으로는, 한국 전통음식에서부터 지역적 특색을 내포한 식당(전문식당)이나, 분식, 중국집, 일반식당, 기사식당 등 대중적인 음식이지만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는 식당(대중식당), 손수 제작한 막걸리나 혹은 특색있는 술을 판매하는 식당(주점), 판매하는 물건이 우수한 질을 담보하거나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지역의 특색을 포함하는 상점(문화상점), 지역적 상징성, 전승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평가 받은 품질 인증 받은 제품(우수 공예 문화 상품), 기타 이러한 유형에는 속하지 않으나 전통명가의 특성 및 희소성을 내포한 상점 등이 있다.
일예로 상술한 전통명가(家)의 선정 기준으로는 오프라인상의 검증 과정을 거치되, i) 해당 지역 경력 50년 이상의 영업을 수행하고, 일반 시민 30인 이상의 추천을 받은 곳 ⅱ) 해당 지역 경력 40년 이상의 영업을 수행하고, 일반 시민 30인 이상의 추천을 받은 곳, ⅲ)해당 지역 경력 30년 이상의 영업을 수행하고, 일반 시민 30인 이상의 추천을 받은 곳을 선정하여 "전통명가(家)"의 위계를 수여한다.
위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테면, 해당 지역 경력 20년 이상 영업, 일반시민 30인 이상 추천을 받은 곳은 "예비명가(家)"의 위계를 수여할 수 있다.(예비명가의 경우 20년을 지속하며 일반시민의 추천을 받은 곳으로 30년 경력이 채우지 않더라도 5년 동안 지속적인 추천을 받을 경우 "전통명가"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표 2}
Figure 112013018073175-pat00002
연령별 10명 이상의 추천을 통하여 30명 이상의 추천을 받을 곳을 평가에 반영하며, 타 지역에서 인증 혹은 맛 집 등으로 소개된 적이 있는 명家의 경우 증빙서류 (블로그 혹은 신문 게재일) 제출 시 과거의 기록을 인정하며, 타지역의 사람 및 가게의 유입 유발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에 명가 혹은 원조명가 등으로 인정받은 경우 별도의 평가 없이 인정할 수 있다.
(나) 전통명가(街) 발굴 방안
상술한 전통적 서비스업, 식품 등에 대한 인증외에도, 전통과 가로(街路)의 개념을 통한 전통 명가의 개념을 도출하여, 원도심에 포함되어 있는 전통 가로를 통해 도시의 보존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시개발에 있어 오랜 전통을 갖고 있는 많은 장소가 전통성을 상실하여 시간적 연속성을 찾아 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실제로는 지역 내 전통성이 유지되어 온 문화거리는 곧 전통 문화거리이며 옛 문화와 현재의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주목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도심 내부의 전통가로 공간의 특성과 가로변 건축물의 특성을 조사하여 전통적 요소를 함유하고 있는 보존적 가로의 방향의 정립과 도시계획의 개선한다.
① 전통명가街의 유형
-역사 속 전통가로 : 일반적으로 개발과 번성을 겪은 지역일수록 전통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듦, 단 옛 가로의 형태를 보전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고지도 속의 가로를 발견, 역사적 가로와 현재의 가로를 매치하며 전통가로의 특성을 부여
-문학 속 전통가로 : 근대와 현대사이의 단절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시기에 연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몇 개의 수단이 존재함, 대중 소설 및 가요 등에 언급되는 가로는 또 다른 문화유산, 역사를 가진 가로를 발굴 혹은 보존하면서 지역 내의 장소성 부여
② 전통명가街의 위계
-가로(Street)+파사드(Facade)형 : 가로는 인접한 건축물의 특성에 의해 가로의 성격이 달라짐, 건축물의 파사드와 함께 가로의 성격이 부여된 경우 ex) 아구찜 거리와 같이 특정 브랜드화 된 가로
-가로(Street)형 : 상점가 혹은 빈 점포가 밀집되어 있는 가로지만 ‘가로’에 역사성 혹은 장소성이 강한 경우 ex) 개항당시 외국인의 상점 밀집 가로
(다) 전통명인(人) 발굴 방안
상술한 제품,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외에도, 사람에 대한 인증을 하여 전통 명인으로서 인증하는 방안도 제공되고 있다. 현재, 명인은 현재 국악, 공예, 인문, 음식 등 4개 분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분과에는 여러 분야가 있으며 한 분야에 한분의 명인을 추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는, 원도심 인근에서 문화를 계승하거나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명인을 추대할 수 있도록 해, 전통명인의 발굴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간극을 좁히며 전통만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새로운 어울림을 만들어 내어 진정한 전통의 계승 및 문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국악, 공예, 음식, 인문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추후로는 더욱 다변화시켜 사람을 통한 문화를 활성화 하고자 한다.
① 전통명인(人)의 유형
-공예 : 전통, 백자, 얼레빗, 소목, 전통창호, 태극선, 합죽선, 유기조각, 서예, 색실누비공예, 하회탈, 한선, 소반, 전통먹거리, 전각, 방짜유기, 한지, 제와, 접선, 전통토기, 두석, 가죽공예, 전통찻장, 전통소반, 한복, 양복, 의류, 염색 등
-인문 : 연구관련분야, 역사관련분야, 대체의학분야, 전통무예분야 등
-음식 : 궁중음식, 약선요리, 이외의 음식 분야
-국악 : 국악은 ○○○류· ○○제로 세분화하여 응모할 수 있음
② 전통명인(人) 위계
-공통사항 : 덕과 인품을 갖춘 사람, 자신의 일에 대한 자부심과 자긍심이 있는 사람, 자신이 하고 있는 분야의 맥을 지키고 전승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지도자로서 거듭나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
-전통명인 : 20년 이상 자신의 분야에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 현재 그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
-예비명인 : 10년 이상 자신의 분야에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 현재 그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
-타 지역에서 인증 혹은 명인협회에 의해 명인으로 등록된 적이 있는 명人의 경우 증빙서류(명인 등록증) 제출 시 과거의 기록을 인정 별도의 평가 없이 인정
상술한 다양한 전통에 대한 명가, 명인 등에 대한 인증은 전통명가(家)/가(街) 및 인(人)평가위원회를 구축하여, 원도심 내의 인증지표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 풀 구성, 인증 신청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전문가를 평가 위원회로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각 분야에서 전문 인력풀 확보하여 전문 위원을 구성하며, 각 분야의 전문가, 이를 테면 음식전문가, 역사전문가, 지역전문가, 공예전문가, 문화전문가, 도시전문가, 건축전문가, 인문학전문가 등을 선멸하여, 서류 및 실사를 통해 전통명가를 인증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선정된 전통명가의 예시는 마산시를 예로 들면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3018073175-pat00003
이상의 절차는 전문위원의 선정, 데이터의 오프라인 구조로의 조사, 현장 실사 등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는바, 선정 기간 이나 관리 등에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통 명가 등의 인증을 인증 카테고리별로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안으로서, 본 발명은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전통명가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명세(WDS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를 통해 전통명가인증정보 테스트 파일을 전통명가인증모듈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모듈;과 상기 전통명가인증정보 테스트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여 파일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 전통명가 인증 카테고리를 분류하며, 평가기준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전통명가인증모듈; 및 전통명가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품질 및 선호도를 평가하여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의 평가지수에 반영하는 전통명가사후평가모듈;을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의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웹서비스명세의 정보를 전송받고, 파일형식적합성을 인증하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 가중치 등급을 선정하는 적합성평가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성 정보를 바탕으로 전통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전통등급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바탕으로 시장성 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시장성등급산출부; 및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사용자의 평가를 평가지수로 구현하는 사후평가등급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지수산출부에서 산출된 평가등급에 대하여,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로 평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등급을 토대로 최종 전통명가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최종인증등급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에서 인증의 대상이 되는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는, 지역적 특색을 포함하는 식당, 주점, 상점, 공예문화품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통명가(名家)분류,와 역사적인 거리 또는 문학속의 전통가로에 언급되는 가로(street)를 포함하는 전통명가(名街)분류, 및 국악, 공예, 인문, 음식 중 어느 하나의 분야에 대한 장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통명인(名人)를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부여부에서 부여하는 가중치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의 가중치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에서 산출되는 사후평가에 대한 지수를 전송하는 단말에 자격요건을 인증하는 평가단말인증모듈;을 더 포함하여 평가단의 자격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서버에 유, 무선으로 접속하는 모바일장치이며, 평가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평가지수를 상기 사후평가등급산출부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은, 사전에 호스트서버에 등록된 등록단말 또는 회원가입을 통해 등록된 평가단의 단말을 통해,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평가지수로 산출하는 제품품질지수 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평가지수로 산출하는 비용만족도지수 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의 활용도에 대한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컨텐츠 활용지수 산출부; 및 상기 제품품질지수, 비용만족도지수, 컨텐츠활용지수에 대한 평가지수를 토대로 최종 선호도지수를 산출하는 최종 선호도지수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최종인증등급산출부를 통해 평가된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명가로서의 디지털인증마크를 형성하는 디지털인증마크 형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마크 형성부는, 상기 디지털인증마크에 위변조방지표지를 삽입하는 변조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전통명가, 전통명인, 전통명소에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하는 기준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제품, 서비스와 관련한 저작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저작물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제품, 서비스와 관련한 지식재산권 정보를 제공하는 지재권정보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에 대해 전통명가 인증의 유효기간을 산출하고 유효기간의 일정기간 이전에 갱신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인증유효기간 산출부;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등급산출부의 산출의 인증기준을 갱신하는 인증기준갱신부; 상기 가중치부여부의 가중치 기준을 변경하는 가중치 기준 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전통 명가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모듈에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전통명가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명세(WDS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를 통해 전통명가인증정보 테스트 파일을 전통명가인증모듈로 전송하는 1단계;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에서 파일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전통명가 인증 카테고리를 분류하며, 평가기준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2단계; 및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에서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로 전통명가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품질 및 선호도를 평가하여 사후평가지수를 전송하여 최종 인증등급에 반영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단계는, 상기 파일의 적합성을 통과한 테스트 파일의 정보를 바탕으로,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로 평가 가중치를 부여하고, 전통명가인증모듈의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지수산출부에서 인증을 위한 평가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등급을 토대로 최종 전통명가 최종 인증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단계의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는, 지역적 특색을 포함하는 식당, 주점, 상점, 공예문화품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통명가(名家)분류와 역사적인 거리 또는 문학속의 전통가로에 언급되는 가로(street)를 포함하는 전통명가(名街)분류 및 국악, 공예, 인문, 음식 중 어느 하나의 분야에 대한 장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통명인(名人)를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부여부에서 부여하는 가중치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의 가중치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3단계 이후에, 최종인증등급산출을 통해 평가된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명가로서의 디지털인증마크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모듈로 전송하는 4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전통명가, 전통명인, 전통명소에 대한 인증을 전산화하여 인증기준의 객관성을 담보하고, 원도심에 상존하는 전통업체들의 인증을 통한 도시차원의 지원을 통해 원도심의 쇠퇴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은 전통있는 상권의 활성화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인증을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인증할 수 있도록 객관적 지표를 데이터화하되, 인증 대상별로 평가 가중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한 신청파일을 통해서 3종류의 인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평가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나아가, 전통명가 인증제를 도입하여 웹사이트나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영업지원 및 지역특성에 맞는 전통명가, 명소, 명인의 제공 상품 서비스에 대한 현대화를 통해 관광상품화를 구현할 ㅅ 있으며, 전통 명가 지정을 통해 우수한 매장환경,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표적인 전통명가지역으로 인식을 확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등급산출부의 평가 기준이 되는 평가요소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일련의 평가 지표,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을 통해 획득한 점수를 지수화하여 각 평가 등급항목별 지수를 최상, 상, 중, 하, 등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각 등급별로 점수를 부여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전통등급 또는 시장성 등급에 대한 평가 지표를 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서비스 명세 상에서 입력되는 정보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을 통해 인증되어 최종 명가(名家)로 평가된 경우, 디지털인증마크 형성부에서 인증 마크를 형성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최종 명가(名家) 또는 명인(名人)으로 평가된 경우, 수여되는 인증패를 예시한 이미지이며, 도 11 및 도 12는 상술한 지도정보매칭부에서 명가(名家) 또는 명인(名人)으로 평가된 곳의 위치를 지도 및 소개의 글과 더불어 호스트 서버나 상가 서버, 포탈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인증 시스템(이하, '전통명가 인증시스템'이라 한다.)]의 기술구성으로 설명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구성에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시스템은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전통명가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명세(WDS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를 통해 전통명가인증정보 테스트 파일을 전통명가인증모듈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모듈(100)과 상기 전통명가인증정보 테스트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여 파일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 전통명가 인증 카테고리를 분류하며, 평가기준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전통명가인증모듈(200) 및 전통명가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품질 및 선호도를 평가하여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의 평가지수에 반영하는 전통명가사후평가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모듈(100)은 기본적으로, 전통명가 인증을 받고자 하는 대상(이하, '인증 대상')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모듈이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단말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인증 대상을 평가받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모듈(100)을 통해, 평가 서버인 호스트 서버에 구비되는 전통명가 인증모듈(200)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명세(WDS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파일을 다운로드 한 후, 서비스의 인터페이스에 맞게 SOAP(Simple object acess protocol)을 이용하여 테스트파일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전통명가 인증모듈(200)에서는 상기 테스트 파일의 형식 적합성을 검증한 후, 내재된 평가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다양한 평가결과를 산출하고 제공(Bind)하게 된다. 여기에서 SOAP(Simple object acess protocol)란 원격 프로시저 호출(Romote object acess protocol)로 부터 시작된 프로토콜로 XML 메시지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표준을 의미한다.
인증 대상이 되는 테스트 파일인 웹서비스명세서는 상기 전통명가 인증모듈(200)에서 제공되는 항목에 부합하는 영역을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기입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1) 인증카테고리(전통명가(傳通名家)), 전통명가(傳通名街), 전통명인(傳通名人)에 대한 분류) 2) 인증 대상에 대한 상세 정보(인적, 물적, 평가 기준의 세부 요소의 항목별 기입) 3) 기인증정보(기존 명인등록증, 수상이력, 인증이력) 4) 인증 대상에 대한 저작권 등록이나 지식재산권(특허, 디자인, 상표 등)의 등록정보 등 평가 항목에 대한 세부 항목을 기입하도록 한다.
상기 전통평가인증모듈(20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모듈(100)에서 전송하는 테스트 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전통명가인증정보 테스트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여 파일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 전통명가 인증 카테고리를 분류하며, 평가기준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중치란, 인증 대상이 식품, 제품인지, 명인(사람)에 대한 것인지 등에 따라 평가 지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분류 카테고리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하나의 시스템에서 모든 인증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부가 된다. 상기 전통평가인증모듈(200) 역시 구체적으로는 전송되는 테스트파일 등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송수신,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후술할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장치, 송수신장치,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통평가인증모듈(200)은 상기 사용자단말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웹서비스명세의 정보를 전송받고, 파일형식적합성을 인증하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 가중치 등급을 선정하는 적합성평가부(210),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성 정보를 바탕으로 전통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전통등급산출부(220),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바탕으로 시장성 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시장성등급산출부(230) 및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사용자의 평가를 평가지수로 구현하는 사후평가등급산출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지수산출부에서 산출된 평가등급에 대하여,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로 평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부(250)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등급을 토대로 최종 전통명가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최종인증등급산출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합성평가부(210)는 상기 사용자단말모듈(100)의 피시험단말이나 피시험서버와 상호 호출하는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며, 테스트 파일로 전송되는 정보에 포함되는 인증대상에 대한 전체적인 인증 로그인 정보, 인증결과, 인증데이터에 대한 추후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전송되는 테스트 파일의 정보의 파일의 형식적합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테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스트 서버인 전통평가 인증모듈(200)에서 제공하는 저장할 엔티티(entity)의 종류, 수, 제약 조건을 포함하는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모듈(100)에서 상기 조건에 따라 형성된 테스트파일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200)의 파서가 테스트파일정보의 파일형식과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증하여 적합성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테스트파일의 송, 수신 및 업무처리를 위해 정의한 WSDL 명세의 기능을 제대로 구현했는지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단말시스템의 피시험 서버는 도시재생인증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리고 피시험 단말은 호스트서버인 전통명가 인증모듈를 통해 상호 호출의 이상 유무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합성평가부(210)에서 파일의 형식적합성을 통과한 파일 정보는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는, 지역적 특색을 포함하는 식당, 주점, 상점, 공예문화품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통명가(名家)분류와 역사적인 거리 또는 문학속의 전통가로에 언급되는 가로(street)를 포함하는 전통명가(名街)분류 및 국악, 공예, 인문, 음식 중 어느 하나의 분야에 대한 장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통명인(名人) 분류로 구분되어, 각 분류별로 부여되는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인증 대상의 특성에 따라 중요시 여겨지는 부분이 서로 상이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인증 대상이 수요자의 기호와는 약간 거리가 있는 명인(개인의 역량에 따른 보존가치가 높은 경우)의 경우에는 전통등급의 가중치를 더 형성하는 방식(도 5 참조) 등으로, 상기 가중치부여부에서 부여하는 가중치는 상기 카테고리별로,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의 가중치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적합성 평가부(210)에서 파일의 형식적합성을 통과한 테스트 파일 정보는,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성 정보를 바탕으로 전통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전통등급산출부(220)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바탕으로 시장성 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시장성등급산출부(230) 및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사용자의 평가를 평가지수로 구현하는 사후평가등급산출부(240)에 의해 각 항목별로 평가 지수가 산출되며,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중치부여부(250)에서 부여하는 가중치가 상기 카테고리별로,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에 상이하게 적용되어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등급산출부의 평가 기준이 되는 평가요소를 예시한 것이다. 각 평가 요소는 요소별 점수를 산정하게 되며, 해당 점수는 취합되어 최종 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평가 등급은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으로 분류된다(물론, 추후 평가 등급의 기준은 전통평가 인증모듈에 갱신을 통해 부가, 추가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전통등급의 인증 기준
상기 전통등급 산출부(220)의 경우, 전통등급의 인증기준은 서비스 영업기간, 경영자의 기술숙련도, 지역문화부합성, 계승자 구비정도, 자체개발 상품보유도, 인증실적도, 모방의 난이도 등급 등 다양한 인증 기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중분류의 세부 기준으로 소분류 항목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평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서비스업 영업기간의 경우, 상술한 오프라인 상에서 인증 평가 대상이 되는 기준을 반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A: 해당 지역 해당 서비스업의 경력 50년 이상 영업
B: 해당 지역 해당 서비스업의 경력 40년 이상의 영업
C: 해당 지역 해당 서비스업의 경력 30년 이상의 영업
D: 일반 시만의 30인 이상의 추천인정 5년 이상의 유지
의 기준을 형성하여, 각 기준에 해당하는 항목 별로 점수를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상의 기준은 예시적인 것이며, 전통 명인에 대한 인증 기준의 변화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경영자의 기술숙련도 부분은 명인이나 전통명가의 주방장 등 제품이나 음식 등을 제조하는 인적 구성에 대한 가산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A: 해당 서비스, 제품의 국가 공인 인증 자격 보유여부
B: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국가 공인 인증 자격 보유 후 영업기간 10년 이상
C: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국가 공인 인증 자격 보유 후 영업기간 5년 이상
D: 해당 서비스, 제품의 국가 공인 인증 자격 보유 인 3인 이상
E: 영업과 적합한 사업허가증, 위생업 허가증 등의 보유여부
와 같은 기준을 설정하여, 각 항목에 해당하는 지표 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카운팅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전통등급의 경우, 지역문화와의 부합성 역시 중요 고려요소가 되는바, A: 한국 전통음식, 제품 등의 지역적 특색을 내포하는 지 여부, B: 지역 특산물과의 관련성을 구비하는 지 여부, C: 문화, 문학, 근대사 등 지역문화컨텐츠와 관련성을 구비하는 지 여부, D: 지역적 상징성, 전승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지 여부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전통등급의 경우,계승자의 구비 정도 역시 전통등급의 주요 고려요소가 될 수 있는바, 이는 후술하는 인증 대상이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한지에 대한 유효한 평가 지표로 기능하게 되는바, A: 인증 대상 서비스, 제품에 대한 계승자가 있는지 여부, B: 인증 대상 서비스, 제품에 대한 문화컨텐츠(수업, 강의)의 시행여부, C: 인증 대상 서비스, 제품에 대한 교육기관과의 연계 여부, D: 인증 대상 서비스, 제품에 대한 지역 외의 계승 인원 등을 평가 지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통등급의 경우, 자체개발 상품이 있는지 여부가 주요한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모방상품이나 기존 대중화된 기호 상품이 아닌, 특색있는 지역 특화된 제품을 구비하는 대상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기준의 항목으로는 A: 인증 대상 서비스, 제품의 특화된 컨텐츠가 존재하는 지 여부, B: 해당 서비스, 제품과 관련한 자체 개발 상품이 존재 하는지, C: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외부 심사이력이나 수요자 만족도를 입증할 자료, D: 해당 서비스, 제품와 관련한 연구 시험이 지속되는지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통등급에 대한 법적, 제도적 공인 인증 이력도 평가의 기준으로 설정하여, A: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국가 공인 인증 실적 여부(명인등록증, 명장, 인간문화재 등), B: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국가 공인 인증여부(신기술인증여부, 지식재산권(특허) 등), C: 기타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인증관련 이력 등을 평가의 주요 요소로 삼을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 제품의 모방이 용이성여부에 따른 차등을 두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시장성 등급의 평가 기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은 단순한 전통 명인만을 선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재생을 위한 방안과 연계하여 지역상권을 활성화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하는바, 인증 대상에 대한 시장성을 고려하여 가산 지표로 삼을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시장성을 좌우하는 요소로서, 인증 대상 제품이 시장에 대량 공급이 가능한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있는지가 평가 요소가 될 수 있으며, 1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 특화 사업으로 구현이 가능한지를 가산 요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으로는, 생산시설의 확충여부에 대한 기준으로,
A: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자체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있는 지 여부
B: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생산 설비가 수공인 경우, 투여 인력의 수
C: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생산 설비의 자동화 시설의 접목 비율
D: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외부 하청 의뢰 정도
E: 재료 부품 조달의 용이성 정도
등을 평가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인증 대상제품의 유사제품 대비의 비교우위도를 평가 기준으로 하여, 인증 대상에 대한 질적 만족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한 기준으로서, A: 해당 서비스, 제품과 유사제품 대비 외관상의 특이성 확보 여부, B: 해당 서비스, 제품의 유사제품 대비 품질상의 특수성 구비 여부, C: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수요자 기호도 조사 등의 자료 고려, D: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품질 평가의 입증 자료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기타 고려 요소로는 매출실적에 따른 평가 요소를 고려하여, A: 해당 서비스, 제품에 의한 최근 5년 매출실적의 평균, B: 해당 서비스, 제품에 의한 최근 5년 매출실적의 증가 비율, C: 해당 서비스, 제품에 의한 최근 5년 매출실적 중 순이익의 비율등이 고려될 수 있다.
자체 마케팅 영업의 일안으로 프랜차이즈 형성 여부등도 고려 되상이 될 수 있으며, 이는 A: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프랜차이즈화 여부, B: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지역 내 점포 수, C: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전국 점포 수, D: 해당 서비스, 제품에 대한 점포 확장 준비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시장 구조를 반영하여, A: 동일 산업 내 경쟁상황, B: 해당 제품 서비스의 성장성, 시장진입의 용이여부, C: 해당 제품 서비스의 법규제 등, 제약 요인의 존재 여부와, 광고 기획력을 반영하여 A: 해당 제품 서비스에 대한 광고 선전의 정도, B: 해당 제품 서비스의 수요자 인지도, C: 해당 제품 서비스의 컨텐츠화 정도, D: 해당 제품 서비스의 유, 무선 마케팅망의 확충 정도를 평가의 요소로 삼을 수 있다.
3) 사후평가등급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에서의 전통명가로서의 인증은 일회성 인증이 아니라 시간을 두고 지속적인 품질과 수요자의 기호도를 고려해야 하는바, 지속적인 수요자 평가를 통해 인증 유효기간(5년, 3년 등) 중이나 그 이후에 갱신시에 수시로 반영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증대상인 제품품질지수로서, 일반 수요자나 자격이 검증된 특정 평가단을 통해 수집되는 평가 기준의 항목으로, A: 해당 제품, 서비스의 품질의 유지 등급이 5년 이상 유지, B: 해당 제품, 서비스의 품질의 유지 등급이 3년 이상 유지, C: 해당 제품, 서비스의 품질의 유지 등급이 2년 이상 유지, D: 해당 제품, 서비스의 품질의 유지 등급이 1년 이상 유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비용만족도 지수 항목을 설정하여, A: 해당 제품, 서비스의 비용의 소비자 만족도 등급이 5년 이상 유지, B: 해당 제품, 서비스의 비용의 소비자 만족도 등급이 3년 이상 유지, C: 해당 제품, 서비스의 비용의 소비자 만족도 등급이 2년 이상 유지, D: 해당 제품, 서비스의 비용의 소비자 만족도 등급이 1년 이상 유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전통 명가에서 제공되는 문화상품이나 컨텐츠를 디지털화하여 온라인 상에서 유포, 판매, 광고를 통해 다양한 수익원을 창출하거나 광고효과를 구현하는 지에 대한 가산 지표를 다음과 같이 마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컨텐츠 활용 지수로서, A: 해당 제품, 서비스의 컨텐츠화 정도-수요자 인지도 평가, B: 해당 제품, 서비스의 컨텐츠의 무선 통신망에서의 노출빈도, C: 해당 제품, 서비스의 컨텐츠의 무선 통신망에서의 판매정도, D: 해당 제품, 서비스의 컨텐츠의 추천(일반 수요자) 정도를 평가 요소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세부 항목별 사후 평가도 개별적으로 사후 평가에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는 달리, 이를 종합하여 선호도 지수를 설정하여,
A: 해당 제품, 서비스에 대한 일반 수요자의 종합적인 선호도 지수(상)
B: 해당 제품, 서비스에 대한 일반 수요자의 종합적인 선호도 지수(중)
C: 해당 제품, 서비스에 대한 일반 수요자의 종합적인 선호도 지수(하)
로 사후 평가 지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일련의 평가 지표,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을 통해 획득한 점수를 지수화하여 각 평가 등급항목별 지수를 최상, 상, 중, 하, 등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최종 인증 등급은 상술한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의 합산 결과를 통해 산출된다.
특히, 이 경우 각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에는 서로 상이한 가중치를 형성하여 인증 대상별 특이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전통명가(傳通名家)의 인증의 경우, 전통 음식점이나 대중식당 등의 서비스업이 일가를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일반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점, 매출이 중요한 요소로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전통등급의 가중치(20%)보다 시장성등급의 가중치(50%)와 사후평가등급의 가중치(30%)를 높게 형성하여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전통명인(傳通名人)의 인증의 경우에는, 인적 구성요소로서 개개인 장인의 노하우와 예술성이 중요한바, 시장성등급이나 사후평가등급의 가중치보다, 전통등급의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객관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통명가(傳通名街)의 인증의 경우도, 전통적인 도로의 문화거리화를 구현하는 점에서 사후평가등급을 다른 평가등급보다 높게 가중치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최종 평가등급(인증등급)으로, 최상이나 상급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통명가로서 5년의 유효기간의 인증등급을 부여하고, 중급의 평가 점수인 경우에는 예비명가로서 3년의 평가등급을 부여하며, 이후 갱신을 통해 평가 기준이나 인증 대상의 승급을 심사하여 재 부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에서의 각 등급별로 점수를 부여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평가 기준의 세부 점수별 간격은 도시된 것과는 달리 더욱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평가등급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한 시스템 안에서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전통 명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발명의 요지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전통등급 또는 시장성 등급에 대한 평가 지표를 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서비스 명세 상에서 입력되는 정보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 1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테스트 파일로 형성되는 정보는 각 항목별로 도 7 및 도 8과 같은 활성창을 형성하거나 하나의 활성창에 입력자가 선택(클릭)하여 자동 기입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모듈(200)에서는 평가 대상에 대한 카테고리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며, 사후 평가를 평가에 반영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모듈(200)은 전통명가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품질 및 선호도를 평가하여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의 평가지수에 반영하는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300)은 사전에 호스트서버에 등록된 등록단말 또는 회원가입을 통해 등록된 평가단의 단말을 통해,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평가지수로 산출하는 제품품질지수 산출부(310)과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평가지수로 산출하는 비용만족도지수 산출부(320),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의 활용도에 대한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컨텐츠 활용지수 산출부(330) 및 상기 제품품질지수, 비용만족도지수, 컨텐츠활용지수에 대한 평가지수를 토대로 최종 선호도지수를 산출하는 최종 선호도지수 산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산출부의 기준이 되는 기준은 도 4의 인증 항목을 예시하여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300)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200)과 연동하여 인증 대상의 평가시, 사후평가등급산출부(240)에 평가 지수를 반영하여 평가를 하거나, 추후 인증 대상의 갱신이나 인증 유효기간 중에 관리 평가 등에 반영하여 등급을 재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300)에서 산출되는 사후평가에 대한 지수를 전송하는 단말에 자격요건을 인증하는 평가단말인증모듈(270)을 더 포함하여 보다 전문적이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이나, 일반 수요자 중에서도 객관성이 담보된 수요자 만이 사후 평가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서버에 유, 무선으로 접속하는 모바일장치이며, 평가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평가지수를 상기 사후평가등급산출부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200)은, 최종인증등급산출부(260)를 통해 평가된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명가로서의 디지털인증마크를 형성하는 디지털인증마크 형성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마크 형성부는, 상기 디지털인증마크에 위변조방지표지를 삽입하는 변조방지부로서, 위조방지표시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200)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전통명가, 전통명인, 전통명소에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하는 기준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500)는 본 시스템을 통해 기 인증된 인증 대상에 대한 정보 및 기존의 명인, 명가, 명소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명인정보 DB(510), 명가정보DB(520), 명소정보DB(530)을 구비하여 평가 기준이나 대상에 대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제품, 서비스와 관련한 저작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저작물정보데이터베이스(540)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제품, 서비스와 관련한 지식재산권 정보를 제공하는 지재권정보데이터베이스(550)를 더 포함하여 권리 저촉관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200)은, 평가지표갱신모듈(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평가지표갱신모듈(400)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에 대해 전통명가 인증의 유효기간을 산출하고 유효기간의 일정기간 이전에 갱신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인증유효기간 산출부(410)와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등급산출부의 산출의 인증기준을 갱신하는 인증기준갱신부(420), 상기 가중치부여부의 가중치 기준을 변경하는 가중치 기준 변경부(4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최종 명가 인증이 된 식당이나 명인의 업소의 위치를 지도정보에 표시하는 지도정보매칭부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디스플레이부(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을 통해 인증되어 최종 명가(名家)로 평가된 경우, 디지털인증마크 형성부에서 인증 마크를 형성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는 위변조를 방지한 위변조 방지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온라인 상에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최종 명가(名家) 또는 명인(名人)으로 평가된 경우, 수여되는 인증패를 예시한 이미지이며, 도 12 및 도 13은 상술한 지도정보매칭부에서 명가(名家) 또는 명인(名人)으로 평가된 곳의 위치를 지도 및 소개의 글과 더불어 호스트 서버나 상가 서버, 포탈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단말모듈
200: 전통명가 인증모듈
210: 적합성 평가부
220: 전통등급 산출부
230: 시장성등급 산출부
240: 사후평가등급 산출부
250: 가중치 부여부
260: 최종 인증등급 산출부
270: 평가단말인증모듈
280: 디지털인증마크형성부
290: 인증정보 디스플레이부
300: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
310: 제품품질지수 산출부
320: 비용 만족도 지수 산출부
330: 컨텐츠 활용지수 산출부
340: 최종 선호도지수 산출부
400: 평가지표 갱신모듈
500: 기준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사용자 단말모듈, 전통명가인증모듈, 및 전통명가사후평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모듈은,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서버에서 인터넷망을 통하여 웹서비스명세(WDS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를 제공받고,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모듈에서 상기 웹서비스명세의 정보를 전송받고, 파일형식적합성을 인증하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 가중치 등급을 선정하는 적합성평가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성 정보를 바탕으로 전통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전통등급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시장성 정보를 바탕으로 시장성 등급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시장성등급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사후적인 사용자의 평가를 평가지수로 구현하는 사후평가등급산출부;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지수산출부에서 산출된 평가등급에 대하여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별로 평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부;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등급을 토대로 최종 전통명가 인증등급을 산출하는 최종인증등급산출부; 및
    상기 전통명가 사후평가모듈에서 산출되는 사후평가에 대한 지수를 전송하는 단말에 자격요건을 인증하는 평가단말인증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전통명가사후평가모듈은,
    사전에 상기 호스트서버에 등록된 등록단말 또는 회원가입을 통해 등록된 평가단의 단말을 통해,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평가지수로 산출하는 제품품질지수 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평가지수로 산출하는 비용만족도지수 산출부;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의 활용도에 대한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컨텐츠 활용지수 산출부; 및
    상기 제품품질지수, 비용만족도지수, 컨텐츠활용지수에 대한 평가지수를 토대로 최종 선호도지수를 산출하는 최종 선호도지수 산출부;을 포함하여 상기 평가지수를 상기 사후평가등급산출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통명가 인증 대상의 카테고리는,
    지역적 특색을 포함하는 식당, 주점, 상점, 공예문화품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통명가(名家)분류,와
    역사적인 거리 또는 문학속의 전통가로에 언급되는 가로(street)를 포함하는 전통명가(名街)분류, 및
    국악, 공예, 인문, 음식 중 어느 하나의 분야에 대한 장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통명인(名人)를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부여부에서 부여하는 가중치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전통등급, 시장성등급, 사후평가등급의 가중치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최종인증등급산출부를 통해 평가된 전통명가 인증 대상에 대한 전통명가로서의 디지털인증마크를 형성하는 디지털인증마크 형성부;
    를 더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인증마크 형성부는,
    상기 디지털인증마크에 위변조방지표지를 삽입하는 변조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전통명가, 전통명인, 전통명소에 대한 기준정보를 구비하는 기준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준인증정보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제품, 서비스와 관련한 저작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저작물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이 되는 제품, 서비스와 관련한 지식재산권 정보를 제공하는 지재권정보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통명가인증모듈은,
    상기 전통명가 인증대상에 대해 전통명가 인증의 유효기간을 산출하고 유효기간의 일정기간 이전에 갱신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인증유효기간 산출부;
    상기 전통등급산출부, 시장성등급산출부, 사후평가등급산출부의 산출의 인증기준을 갱신하는 인증기준갱신부;
    상기 가중치부여부의 가중치 기준을 변경하는 가중치 기준 변경부;
    를 포함하는 전통명가 인증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21828A 2013-02-28 2013-02-28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KR10136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28A KR101364925B1 (ko) 2013-02-28 2013-02-28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28A KR101364925B1 (ko) 2013-02-28 2013-02-28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925B1 true KR101364925B1 (ko) 2014-02-27

Family

ID=5027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828A KR101364925B1 (ko) 2013-02-28 2013-02-28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332B1 (ko) * 2019-02-01 2019-12-31 김보언 전문가 플랫폼의 전문가 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2533A (ko) * 2020-09-28 2022-04-05 김경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86A (ko) * 2000-03-18 2001-10-23 안수열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업인증시스템과 이를 이용한기업인증정보 제공시스템
KR100713546B1 (ko) * 2005-12-22 2007-04-30 기술신용보증기금 기술평가방법
KR20090003442A (ko) * 2007-06-11 2009-01-12 (주)티유애드 전자상거래에 대한 판매자 평가정보 제공 및 판매신용 인증방법
KR20110046902A (ko) * 2009-10-29 2011-05-06 권오석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가치 분석방법 및 이를 위한 메인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86A (ko) * 2000-03-18 2001-10-23 안수열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업인증시스템과 이를 이용한기업인증정보 제공시스템
KR100713546B1 (ko) * 2005-12-22 2007-04-30 기술신용보증기금 기술평가방법
KR20090003442A (ko) * 2007-06-11 2009-01-12 (주)티유애드 전자상거래에 대한 판매자 평가정보 제공 및 판매신용 인증방법
KR20110046902A (ko) * 2009-10-29 2011-05-06 권오석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가치 분석방법 및 이를 위한 메인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332B1 (ko) * 2019-02-01 2019-12-31 김보언 전문가 플랫폼의 전문가 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2533A (ko) * 2020-09-28 2022-04-05 김경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542035B1 (ko) 2020-09-28 2023-06-12 김경호 특허기술 인증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singer et al. Destination competitiveness from a tourist perspective: A case of the United Arab Emirates
Reeves Measuring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the arts: a review
Law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in hospitality and tourism: a review of publications from 2005 to 2007
Ma et al. Enhancing customer civility in the peer-to-peer economy: empirical evidence from the hospitality sector
Evans et al. Cultural mapping and sustainable communities: planning for the arts revisited
Edwards et al. Corporate property management: aligning real estate with business strategy
Wongtada Street vending phenomena: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Cinderby et al. Exploring the co‐benefits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improvements for businesses and workers’ wellbeing
Sheng et al. Evaluating the tourism potential of public museums in Hangzhou: A supply-side perspective
Guarino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of cultural institutions: a statistical analysis of Italian and Campania GLAMs
Cohen et al. Valuing creative placemaking: Development of a toolkit for public and private stakeholders
Schlager et al. Institutional design for a complex commons: Variations in the design of credible commitments and the provision of public goods
Kakooza et al. Business choice, location decision and succes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Uganda
KR101364925B1 (ko) 전통명가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통명가 인증 방법
Jones et al. Student accommodation: The facts
Zha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Pioneer Entry Decisions in the U nited S tates and C hina
Lee et al. Co-produc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Who, why, when, and how?
Domingos Online Consumer Behaviour: How to Create and Maintain E-Loyalty
Rina et al. The Arrangement of Street Vendors In Bandung, Indonesia
Bodenmann Location choice of firms with special emphasis on spatial accessibility
Hallsworth et al. Markets matter
Ziguras et al. Enhancing the design quality of purpose-built student accommodation
Battistoni et al. Monitoring Urban Happiness through Interactive Chorems. Sustainability 2023, 15, 8733
Murithi Determinants of growth in housing projects in the real estate sector in Nkubu Town, Meru County, Kenya
Taylor et al. Retail Market Futures: Retail Geographies from and for the Marg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