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84B1 -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 Google Patents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84B1
KR102541784B1 KR1020160004992A KR20160004992A KR102541784B1 KR 102541784 B1 KR102541784 B1 KR 102541784B1 KR 1020160004992 A KR1020160004992 A KR 1020160004992A KR 20160004992 A KR20160004992 A KR 20160004992A KR 102541784 B1 KR102541784 B1 KR 10254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etainer
housing
conduit
base
condu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778A (ko
Inventor
칼 존스
니콜라스 워드
더글라스 팬슬러
브라이언 이그낙자크
Original Assignee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8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관로 커넥터는 주 및 부 래치 리테이너를 갖는 하우징을 보유한다. 주 래치 리테이너는 베이스, 바이어싱 부재 및 관로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관로 수용부재는 타원형 구멍을 정의하는 동시에 양 말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부 래치 리테이너는 베이스, 확인 메커니즘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확인 메커니즘은 한쌍의 레그 및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잠금위치에서 관로의 확대된 환형부는 하우징에 진입하면서 레그들을 밖으로 펼쳐 유지 부재가 하우징 안으로 축을 향해 진입하도록 한다.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는 하우징을 지나 돌출하여 잠금상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본 특허출원은 2016년 1월 11일자로 출원한 미국 특허출원 제14/992,386호 및 2015년 1월 14일자로 출원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103,117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위의 출원들의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본 실시예는 신속 커넥터(quick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 및 보조 래치(latch)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진 신속 관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신속 커넥터 또는 스냅 커넥터는 다양한 응용 범위에서, 특히 자동차 및 산업 응용분야에서 유체 운반 관로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리테이너가 커넥터의 암형(female) 부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수형(male) 꼭지(spigot)는 하우징에 삽입되고 리테이너에 의해 래칭(잠금)된다. 수형 꼭지의 보지(保持)력을 높이기 위해 보조 리테이너가 설치된다. 또한 여러 유형의 밀봉(seal) 및 밀봉 리테이너가 암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수형 꼭지 마개를 밀봉 상태로 유지한다.
주 및 보조 고정 래치를 가진 다양한 형태의 신속 커넥터가 있다. 이러한 신속 커넥터는 만족스러운 연결을 제공하지만, 당업자는 항상 개선에 힘쓰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신속 커넥터는 확고한 래칭이 발생하였다는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식자(indicator)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식자들은 대체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주 및 부 래치가 적절히 잠금 상태에 있게 되면 커넥터의 암수 부분이 단단히 체결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킨다.
본 발명은 시각적 표식자가 있는 주 및 부 래치 리테이너를 가진 신속 커넥터를 제시한다. 시각적 표식자는 수형 관로가 안전하게 암형 하우징 내에 잠겨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서로 맞물려 연결체의 수형 꼭지에 있는 업셋(upset)을 둘러싸도록 된 주 및 부 래치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 래치 리테이너의 푸시 버튼 릴리스에 인접한 부 래치 리테이너에 시각적 표식자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표식자를 누름으로써 수형 꼭지를 암형 하우징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을 움직일 필요 없이 거의 같은 자리에서의 푸시 버튼 해제가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속 관로 커넥터는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을 갖는 하우징과 꼭지를 포함한다. 중앙 관통 보어는 축을 정의하며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다. 주 래치 리테이너는 하우징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에 위치된다. 주 래치 리테이너(primary latch retainer)는 푸시 버튼 베이스, 바이어싱 부재 및 관로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관로 수용부재는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한쌍의 아암은 타원형 구멍을 정의하는 동시에 양 말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바이어싱 부재는 주 래치 리테이너와 하우징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을 고정한다. 부 래치 리테이너(secondary latch retainer)는 하우징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내에 위치된다. 부 래치 리테이너는 베이스, 확인 메커니즘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확인 메커니즘은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한쌍의 레그 및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부재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어 하우징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안으로 수형(male) 관로를 통과시키도록 된다. 해제위치에서 한쌍의 레그는 하우징에 의해 차단되어 유지 부재가 중앙 관통 보어의 축을 향해 진입하지 못하도록 된다. 잠금위치에서는 관로의 확대된 환형부가 하우징에 진입하면서 레그들을 밖으로 펼쳐 부 래치 리테이너의 유지 부재가 하우징 안으로 축을 향해 진입하도록 한다.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는 하우징을 지나 돌출하여 잠금상태를 표시한다. 부 래치 리테이너의 유지 부재는 잠금위치에서 주 래치 리테이너의 아암들 사이의 간극 안으로 삽입된다. 주 래치 리테이너의 아암들은 상기 관통 보어의 축에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형 관로의 꼭지가 주 래치 리테이너와 체결고정 될 수 있도록 된다. 부 래치 리테이너의 슬라이드 부재는 하우징의 채널 내에 위치된다. 주 래치 리테이너의 아암들에 테이퍼 면이 형성된다. 주 래치 리테이너의 베이스는 수형 관로의 꼭지를 잠금위치에서 해제하는 푸시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주 래치 리테이너의 바이어싱 부재는 하우징의 채널로 유도된다. 채널은 테이퍼 면을 포함하고 있어 접촉시, 바이어싱 부재를 가압(bias) 한다. 그 힘이 제거되면 테이퍼 면들은 주 래치 리테이너를 그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는 하우징 방향으로 강제되어 부 래치 리테이너의 잠금을 해제한다. 주 래치 리테이너의 푸시 버튼 베이스는 부 래치 리테이너 중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에 인접하여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신속 관로 커넥터는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을 갖는 하우징과 꼭지를 포함한다. 중앙 관통 보어는 축을 정의하며 하우징 전체를 통해 연장한다. 주 래치 리테이너는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내에 위치한다. 주 래치 리테이너는 푸시 버튼 베이스, 바이어싱 부재 및 관로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관로 수용부재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한 쌍의 아암은 타원형 구멍을 정의하는 동시에 양 말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바이어싱 부재는 주 래치 리테이너와 하우징의 관로 수용부재를 고정한다. 부 래치 리테이너는 베이스, 확인 메커니즘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확인 메커니즘은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시각적 표식자를 포함한다. 해제위치에서 시각적 표식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잠금위치에서 시각적 표식자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다. 시각적 표식자는 주 래치 리테이너 푸시 버튼 베이스에 인접 위치한다. 따라서, 수형 관로 커넥터를 하우징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시각적 표식자에 그리고 푸시 버튼 베이스에 같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시각적 표식자와 푸시 버튼 베이스는 해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된다. 시각적 표식자 및 푸시 버튼 베이스는 하우징의 동일 측에 있다. 시각적 표식자는 푸시 버튼 베이스에 접해 있다. 사용자는 시각적 표식자를 해제위치로 복귀시킨 직후 푸시 버튼을 눌러 관로 꼭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손을 재배치할 필요 없이 하우징에서 수형 관로를 방출시킬 수 있다. 하우징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은 중앙 관통 보어에 의해 분리되는 한쌍의 대향 벽을 포함한다. 한 쌍의 대향 벽 사이에 단부 쪽으로 위치한 구멍이 있다. 시각적 표식자와 푸시 버튼 베이스는 이 구멍 안에 위치된다.
다른 적용 분야는 본원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특정 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면은 단지 선택된 실시예들의 예시를 목적으로 하고 모든 가능한 구현을 제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 관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주 래치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부 래치 리테이너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잠금 해제 지정위치에 있는 신속 관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같고 잠금 지정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화살표 7-7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 8-8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화살표 9-9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화살표 10-10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화살표 11-11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화살표 12-12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속 관로 커넥터 조립체가 도시되고 참조 부호(100)로 지정된다. 조립체는 관로(104) 및 수형 관로(106)와 연결되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수형 관로(106)는 수형 꼭지 단부(108)와 업셋(upset, 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과 관로(104)와 결합되는 꼭지(114)를 포함한다. 꼭지(114)는 관로(104)와의 결합을 돕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수의 환형 릿지(ridge) 또는 바브(barb, 116)를 포함한다. 또한, 밀봉(118)은 꼭지(114)와 관로(104) 사이의 밀봉 강화하기 위해 꼭지(114) 상에 그리고 환형 리세스(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호스 클램프(도시 안됨)가 관로(104)와 꼭지(114) 위에 놓여 그 둘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은 주 래치 리테이너(122)와 부 래치 리테이너(124)를 수용한다. 하우징(102)은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과 꼭지(114)를 포함하면서 중앙 관통 보어(126)를 정의한다. 중앙 관통 보어(126)는 하우징(102)을 통해 뻗고 종축(128)을 정의한다.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은 한 쌍의 대향 벽(130, 132)을 포함한다. 격벽(134)은 대향 벽(130, 132) 사이에서 연장된다. 격벽(134)은 중앙 관통 보어(126)을 따라 정렬된 구멍을 포함한다. 대향 벽(130, 132)에는 후방 벽(16)이 있어서 대향 벽(130, 132)을 서로 그리고 꼭지(114)를 연결하는 웨브(web) 역할을 한다. 후방 벽(136)에는 수형 꼭지 단부(108)가 후방 벽(136)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정의하기도 한다. 확장된 원통부(138)는 후방 벽(136)과 연결되고 꼭지(114)로 이어진다. 원통부(138)는 밀봉(140, 142), 스페이서(144)와 탑햇(top hat, 146)을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한다. 이들 요소는 하우징(102) 내에서 수형 꼭지 단부(108)를 밀봉 유지한다.
대향 벽(130, 132)의 자유 단부는 안쪽으로 기울어진 테이퍼 플랜지(148, 150)를 포함한다. 채널(152, 154)은 플랜지(148, 150)와 격벽(134) 사이에 형성된다. 채널(152, 154)은 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 및 부 래치 리테이너(122, 124)를 수용한다. 대향 벽(130, 132)의 반대쪽 단부에는 대향 벽 사이에 구멍(156, 158)이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부(156, 158)는 서로 대향한다.
채널 (152, 154)은 테이퍼 벽(160, 162)을 포함한다. 후방 벽(136)은 디텐트(detent, 164, 166, 168, 170)를 포함한다. 디텐트(164, 166, 168, 170)는 곡면(172)과 웨지(wedge, 174)를 포함한다. 제 2 채널(176)은 격벽(134)과 후방 벽(136)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또는 주 래치 리테이너(122)는 바이어싱 부재(182)와 결합된 푸시 버튼 베이스(180)와 관로 수용부재(184)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부재(182)는 푸시 버튼 베이스(18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바이어싱 부재(182)는 대체로 말굽 형상을 갖는다. 바이어싱 부재(182)는 한쌍의 레그(186, 188)와 그 레그의 자유 단부에 바브(190)를 포함한다. 바브(190)의 외측 곡면(192)은 만곡된 테이퍼 벽(160, 162)과 접촉한다. 곡면(192)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테이퍼 벽(160)을 따라 뻗는다.
관로 수용부재(184)는 푸시 버튼 베이스(180)의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94, 196)을 포함한다. 이 아암들은 그 자유 선단에 간극(198)을 포함한다. 아암(194, 196)는 백킹 플레이트(200)에 의해 그 말단부에서 연결된다. 간극(198)은 백킹 플레이트(200)와 아암 표면(202, 204)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아암(194)과 아암(196) 사이에 개방 채널이 형성된다.
아암(194, 196)은 테이퍼 면(206, 208)을 포함한다. 테이퍼 면(206, 208)은 수형 꼭지 단부(108)를 하우징(102) 안으로 가압한다. 아암(194, 196)은 수형 꼭지 단부(108)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타원형 구멍(210)을 정의한다. 스페이서 부(185)는 후방 벽(136)에 인접한다. 수형 꼭지 단부(108)가 관로 수용부재(184)에 진입하는 동안, 테이퍼 면(206, 208)은 확대된 환형 업셋(110)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주 래치 리테이너(122) 및 푸시 버튼 베이스(180)는 제 1 방향으로 축(128)과 벽(130, 132)의 단부 구멍 중 하나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것이 발생할 때, 바브(190)와 바브(190) 사이에 바이어싱이 일어나고, 바이어싱 부재(182)는 만곡된 테이퍼 면(160, 162)에 대항하여 움직인다. 업셋(110)이 관로 수용부재(184)를 통과한 후, 주 래치 리테이너(122)는 축(128)으로부터 멀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테이퍼 벽(160, 162)이 스프링 레그(186, 188)를 반대 방향으로 강제하는 힘에 기인한다. 또한, 바브(190)는, 채널(152, 154)에 형성된 돌기(ledge, 212, 214)로 인해, 주 래치 리테이너(122)를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내에 유지한다. 주 래치 리테이너의 관로 수용부재(184)는 격벽(134)과 후방 벽(136) 사이의 제 2 채널에 위치된다. 또한, 격벽(134)은 구멍 근처의 테이퍼 면(216)을 포함하고 있어 업셋(110)과 수형 꼭지 단부(108)가 하우징(102) 안으로 그리고 주 래치 리테이너(122)를 통해 더 잘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차 또는 부 래치 리테이너(124)는 베이스(250), 확인 메커니즘(252) 및 유지 부재(254)를 포함한다. 베이스(250)는 잠금 위치에서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연속적인 외관을 제공하도록 만곡된 외측 아치형 표면을 갖는다. 확인 메커니즘(252)은 한 쌍의 레그(256, 258)와 슬라이드 부재(260)를 포함한다. 레그(256, 258)에는 디텐트(262, 264, 266, 268)가 있다. 이 디텐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에 부 래치 리테이너(124)를 유지하도록 디텐트(164, 166, 168, 170)와 맞물린다. 또한, 레그(256, 258)의 자유 단부에는 테이퍼 면(270)이 있어서 수형 꼭지 단부(108)의 업셋(110)이 도 9에 나타낸 유지 위치에 더 잘 들어가도록 한다.
슬라이드 부재(260)에는 타원형 구멍(280)과 시각적 표식자(282)가 있다. 타원형 구멍(280)은 수형 꼭지 단부(108)가 슬라이드(260)를 통해 지나갈 수 있게 한다. 슬라이드 부재(260)는 하우징(102)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에서 채널(152, 154)에 들어 맞는다. 레그(256, 258)는 후방 벽(136), 주 리테이너 래치(122)의 관로 수용부재(184) 그리고 그 스페이서 부(185) 사이에서 제 2 채널에 들어 맞는다.
커넥터 조립체는 래치에서 해제된 위치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관로(106)를 하우징(102)과 래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일어난다. 관로(106)는 수형 꼭지 단부(108)를 가지고 슬라이드 부재 구멍(280)에 진입한다. 관로의 수형 꼭지 단부(108)는 격벽(134) 구멍을 통하여 더 들어가 바이어싱 부재(182)를 통과해서 주 래치 리테이너의 관로 수용부재(184)를 향하여 전진한다. 업셋(110)은 격벽(134)의 테이퍼 면에 접촉하여 그것을 축 방향으로 중심에 위치시킨다. 업셋(110)은 하우징(102) 안으로 계속 꼭지(114)를 향해 나아가고 주 래치 리테이너 관로 수용부재(184)와 접촉한다. 이것이 발생할 때, 관로 수용부재(184)의 테이퍼 면(206, 208)은 업셋(110)과 접촉한다. 수형 관로(106)는 하우징(102) 안으로 계속 밀려 들어간다. 관로 수용부재(184)는 종축(128)으로부터 멀리 제 1 방향으로 이동한다. 백킹 플레이트(200)가 아암(194, 196)을 함께 고정하는 것 때문에, 아암(194, 196)에는 어떠한 측면 운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로써 주 래치 리테이너(122)는 축(128)으로부터 멀리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업셋(110)은 관로 수용부재(184)를 통과하고, 관로 수용부재(184)와 후방 벽(136) 사이에 주 래치 리테이너(122)의 스페이서 부(185)에 의해 정의된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이 발생할 때, 업셋(110)은 부 래치 리테이너(124)의 레그(256, 258)와 접촉한다. 테이퍼 면(270)은 레그(256, 258)가 서로 멀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디텐트(262,264,266,268)는 디텐트(164,166,168,170)와의 접촉으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레그(256, 258)은 업셋(110)의 둘레 면을 따라 위치된다. 부 래치 리테이너(124)는 이제 하우징(102)의 축(128)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할 때, 유지 부재(254)는 아암(194, 196)의 연장 단부의 표면(202)과 표면(204) 사이의 간극(198) 안에 위치된다. 부 래치 리테이너 유지 부재(254)는, 주 래치 리테이너 관로 수용부재(184)와 마찬가지로, 수형 관로(106)의 작은 직경부에 인접 위치되어 업셋(110)이 하우징(10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막는다. 또한, 이것이 발생할 때, 시각적 표식자(282)는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112)의 표면을 넘어 돌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주 및 부 래치 리테이너(122, 124)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로(106)를 하우징(10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축(128)에 대해 횡방향으로 시각적 표식자(282)에 힘을 가한다. 푸시 버튼 베이스(180)에 바로 인접한 시각적 표식자(282)는 하우징(102)의 축(128) 향해 이동한다. 일단 시각적 표식자(282)의 단부가 푸시 버튼 베이스(180)와 같은 수준이 되고 외형 상 하우징의 대향 벽(130, 132)과 연속적이 되면, 푸시 버튼 베이스(180)는 하우징(102)의 축(128)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이 타원형 구멍(210)을 축(128)과 정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서 수형 관로(106)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관로 수용부재(184)의 구멍은 업셋(110)이 타원형 구멍(210)을 통해 주 래치 리테이너(122)에서 인출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크게 한다. 또한, 이것이 발생할 때 바이어싱 부재(182)와 바브(190)는 아치형 테이퍼 벽(160, 162)과 접촉한다. 테이퍼 벽들에 의해서 바이어싱 부재는 주 래치 리테이너(122)와 마찬가지로 복귀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들어간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발명을 총망라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 요소 또는 구성상 특징은 일반적으로 그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별히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은 경우에도, 교체 사용 가능하며 선택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많은 방법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100: 신속 관로 커넥터 102: 하우징
104: 관로 106: 수형 관로
108: 수형 꼭지 단부 110: 업셋
112: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114: 꼭지
116: 바브 118: 밀봉
120: 환형 리세스 122: 주 래치 리테이너
124: 부 래치 리테이너 126: 중앙 관통 보어
128: 종축 130, 132: 대향 벽
134: 격벽 136: 후방 벽
138: 원통부 140, 142: 밀봉
144: 스페이서 146: 탑햇
148, 150: 테이퍼 플랜지 148, 150: 플랜지
152, 154: 채널 156, 158: 구멍
160, 162: 테이퍼 벽 164,166,168,170: 디텐트
172: 곡면 174: 웨지
176: 제 2 채널 180: 푸시 버튼 베이스
182: 바이어싱 부재 184: 관로 수용부재
185: 스페이서 부 186,188: 레그
190: 바브 192: 외측 곡면
194,196: 아암 198: 간극
200: 백킹 플레이트 202,204: 아암 표면
206,208: 테이퍼 면 210: 타원형 구멍
212,214: 돌기 216: 테이퍼 면
250: 베이스 252: 확인 메커니즘
254: 유지 부재 256,258: 레그
260: 슬라이드 부재 262,264,266,268: 디텐트
270: 테이퍼 면 280: 타원형 구멍
282: 시각적 표식자

Claims (15)

  1. 관로 커넥터에 있어서,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과 꼭지(spigot) 및 중앙 관통 보어를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중앙 관통 보어는 축을 정의하며 상기 하우징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내에 위치되고, 베이스, 바이어싱 부재 및 관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주 래치 리테이너(primary latch retainer)로서, 상기 관로 수용부재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하여 타원형 구멍을 정의하는 동시에 양 말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을 고정하는 주 래치 리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내에 위치되고,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와 잠금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확인 메커니즘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부 래치 리테이너(secondary latch retainer)로서, 상기 확인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한쌍의 레그 및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어 해제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안으로 수형(male) 관로를 통과시키도록 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한쌍의 레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중앙 관통 보어의 상기 축을 향해 진입하지 못하도록 되고, 잠금위치에서 관로의 확대된 환형부가 상기 하우징에 진입하면서 상기 레그들과 접하고 상기 레그들을 밖으로 펼쳐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 안으로 상기 축을 향해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을 지나 돌출하여 잠금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부 래치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아암들 사이의 간극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관로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아암들은 상기 중앙 관통 보어의 상기 축에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로가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와 체결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채널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관로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아암들에 테이퍼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관로를 잠금위치에서 해제하는 푸시 버튼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채널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관로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테이퍼 면을 포함하고 있어 접촉시, 상기 베이스에 부과되는 힘에 따라 상기 바이어싱 부재를 가압(bias) 하고, 상기 힘이 제거되면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를 그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강제되어 상기 부 래치 리테이너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부 래치 리테이너 중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에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11. 관로 커넥터에 있어서,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과 꼭지(spigot) 및 중앙 관통 보어를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중앙 관통 보어는 축을 정의하며 상기 하우징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 내에 위치되고, 푸시 버튼 베이스, 바이어싱 부재 및 관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주 래치 리테이너(primary latch retainer)로서, 상기 관로 수용부재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하여 타원형 구멍을 정의하는 동시에 양 말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로 수용부재를 고정하는 주 래치 리테이너; 및
    베이스, 확인 메커니즘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와 잠금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 래치 리테이너(secondary latch retainer)로서, 상기 확인 메커니즘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시각적 표식자를 포함하며, 해제위치에서 상기 시각적 표식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잠금위치에서 상기 시각적 표식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주 래치 리테이너의 상기 푸시 버튼 베이스에 인접 위치하고, 상기 관로 커넥터를 잠금위치에서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시각적 표식자에 그리고 상기 푸시 버튼 베이스에는 같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는 부 래치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식자와 상기 푸시 버튼 베이스는 상기 해제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식자 및 상기 푸시 버튼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식자는 상기 푸시 버튼 베이스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래치 리테이너 수용단은 상기 중앙 관통 보어에 의해 분리되는 한쌍의 대향 벽, 및 상기 한쌍의 대향 벽 사이에 단부 쪽으로 위치한 구멍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시각적 표식자와 상기 푸시 버튼 베이스는 상기 구멍 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넥터.
KR1020160004992A 2015-01-14 2016-01-14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KR102541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03117P 2015-01-14 2015-01-14
US62/103,117 2015-01-14
US14/992,386 US10422459B2 (en) 2015-01-14 2016-01-11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US14/992,386 2016-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78A KR20160087778A (ko) 2016-07-22
KR102541784B1 true KR102541784B1 (ko) 2023-06-08

Family

ID=5512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92A KR102541784B1 (ko) 2015-01-14 2016-01-14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22459B2 (ko)
EP (1) EP3054206B1 (ko)
JP (1) JP6816956B2 (ko)
KR (1) KR102541784B1 (ko)
CN (1) CN105782616A (ko)
BR (1) BR102016000876B1 (ko)
CA (1) CA2917540A1 (ko)
MX (1) MX20160005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686B1 (fr) * 2014-02-14 2016-09-30 Sartorius Stedim Fmt Sas Connecteur fluidique avec coulisse de verrouillage.
USD754303S1 (en) * 2014-07-03 2016-04-19 Bridgeport Fittings, Inc. Side load conduit connector
CN107076340B (zh) 2014-10-09 2019-08-16 可得制品公司 具有固位夹子构件的联接组件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US10550982B2 (en) * 2016-06-17 2020-02-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N106090491B (zh) * 2016-07-19 2018-03-02 浙江工业大学 一种可拆式快插接头
US10627032B2 (en) * 2016-07-22 2020-04-21 Ppi Xiamen Industry Co., Ltd. Quick connection structure of faucet outlet pipe
CN106090490B (zh) * 2016-07-28 2018-03-02 浙江工业大学 一种快速接头
CN106122644B (zh) * 2016-08-11 2017-12-29 浙江工业大学 一种具有防尘功能的按钮式快速接头
EP3301295B1 (en) * 2016-09-29 2020-11-18 Vitesco Technologies GmbH A fuel injection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2018210219B2 (en) * 2017-01-17 2023-02-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imited Syringe adapter with lock mechanism
CN106641533B (zh) * 2017-02-17 2018-08-28 香河瑞和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具备二次锁紧机构的汽车管路塑料快插接头
US10816121B2 (en) *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KR102355288B1 (ko) * 2017-08-14 2022-02-08 외티커 엔와이, 인크. 표시기 탭을 갖는 퀵 커넥트
USD859618S1 (en)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CN110220056B (zh) * 2018-03-02 2021-04-27 A.雷蒙德公司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US11821556B2 (en) 2018-05-31 2023-11-21 Hanil Tube Corporation Quick connector
US10584819B2 (en) * 2018-06-13 2020-03-10 Ginsey Industries, Inc. Quick-connect adapter for removably connecting components in a fluid system
CN112585391B (zh) * 2018-07-30 2023-04-11 可得制品公司 具有闩锁的流体处理联接件主体
FR3086721B1 (fr) * 2018-09-28 2020-11-20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pour un circuit de fluide d'un vehicule automobile
CN113302376B (zh) * 2018-11-06 2024-02-23 坎里格机器人技术有限公司 具有某些钳口的独立关节式运动的用于升降各种尺寸管状件的升降机
EP3736481B1 (en) 2019-05-07 2022-01-1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tab
US11378211B2 (en) 2019-10-08 2022-07-05 Dayco Ip Holdings, Llc Quick connector with a replaceable restriction orifice
US11262008B2 (en) * 2020-03-12 2022-03-0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Transmitter for quick connector
DE102020203433A1 (de) 2020-03-18 2021-09-23 Conti Tech Techno-Chemie Gmbh Fluidleitungskupplung
US11898676B2 (en) 2020-05-13 2024-02-13 Mercury Plastics Llc Quick-connect fitting
US20220099122A1 (en) * 2020-09-04 2022-03-31 Marcos Antonio Gomez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508A (en) 1980-10-29 1998-07-21 Proprietary Technologies,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869534A (en) 1988-09-26 1989-09-26 Huron Products Corporation Swivelable quick connector
US5395140A (en)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US5401063A (en)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US5730481A (en) 1994-11-04 1998-03-24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RU2084747C1 (ru) 1994-11-28 1997-07-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ТЦ АВТОВАЗ"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5586792A (en)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5628531A (en)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US5683117A (en) 1995-12-14 1997-11-04 Flex Technologies, Inc.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US5782502A (en) 1995-12-29 1998-07-21 Itt Automotive, Inc.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US6155612A (en) 1997-11-17 2000-12-0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ybrid quick connector
DE19822574C1 (de) 1998-05-20 1999-10-14 Raymond A & Cie Lösbare Schnellkupplung mit automatischer Montageanzeige
US6062607A (en) 1998-07-17 2000-05-16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confirming feature
JP4462671B2 (ja) 1998-09-17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RU2169865C2 (ru) 1998-10-13 2001-06-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зан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ертолеты-МИ" Соединитель быстроразъемный
US6293596B1 (en) 1999-01-06 2001-09-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after incident indicator clip
US6231089B1 (en) 1999-03-10 2001-05-15 Colder Products Company Two piece molded female coupling
DE19946260C1 (de) 1999-09-27 2001-01-11 Itt Mfg Enterprises Inc Schnellkupplung für Schläuche oder Rohrleitungen in Kraftfahrzeugen
GB0011317D0 (en) 2000-05-10 2000-06-28 John Guest International Limit Tube couplings
US6520546B2 (en) 2000-12-27 2003-02-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JP3871885B2 (ja) 2001-01-09 2007-01-24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KR20040014526A (ko) 2001-05-21 2004-02-14 콜더 프로덕츠 컴패니 유체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연결하는방법
FR2827364B1 (fr) 2001-07-12 2007-04-20 Legris Sa Connecteur rapide
US20050179257A1 (en) 2001-10-10 2005-08-18 Flex Technologies, Inc.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30067162A1 (en) 2001-10-10 2003-04-10 Welsh Thomas 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637779B2 (en) 2001-10-18 2003-10-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grooved endform
US20030092324A1 (en) 2001-11-12 2003-05-15 Walker Daniel H. Electrical contact for fluid quick connectors
US6805383B2 (en) 2001-11-12 2004-10-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secure electrical contact
US6755675B2 (en) 2001-11-12 2004-06-2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secure electrical ground contact
JP3988180B2 (ja) 2002-02-28 2007-10-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US8113547B2 (en) 2002-03-22 2012-02-14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nap mount fluid quick connector
US6905143B2 (en) 2002-03-22 2005-06-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conduit quick connector and stuffer pack
US6634679B1 (en) 2002-04-17 2003-10-2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retention clip for flangeless endforms
US6802491B1 (en) 2002-04-30 2004-10-1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shut off valve cartridge with quick connection
DE50204467D1 (de) 2002-05-04 2006-02-16 Ti Automotive Fuldabrueck Gmbh Rohrkupplung für Rohrleitungen
JP4211486B2 (ja) 2002-05-23 2009-01-2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085362B2 (ja) 2002-05-23 2008-05-1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US6866303B2 (en) 2002-10-16 2005-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JP4198487B2 (ja) 2003-02-20 2008-12-17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の防塵キャップ
FR2855590B1 (fr) 2003-05-27 2006-10-20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JP4271516B2 (ja) 2003-07-10 2009-06-03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ー
US6832785B1 (en) 2003-07-21 2004-12-2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pin welded fluid coupling
JP4041457B2 (ja)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055869B2 (en) 2004-01-27 2006-06-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alse insertion protection top hat for fluid quick connectors
JP4131409B2 (ja) 2004-03-30 2008-08-1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390025B2 (en) *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DE102004020505B4 (de) 2004-04-22 2009-05-28 A. Raymond Et Cie Kupplung für ein Fluidleitungssystem
US7314209B2 (en) 2004-08-06 2008-01-01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tub out fluid quick connector with shut off valve interface
DE102004038913B3 (de) 2004-08-11 2005-06-02 A. Raymond & Cie Kupplung
DE102004038912B3 (de) 2004-08-11 2005-06-02 A. Raymond & Cie Kupplung
US7121592B2 (en) 2004-09-10 2006-10-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 with adjustable flow control valve
JP4011575B2 (ja)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20060082145A1 (en) 2004-10-15 2006-04-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disk retention retainer
DE102004054467A1 (de) 2004-11-11 2006-05-24 A. Raymond & Cie Sicherungsteil für eine Schnellkupplung
US7128347B2 (en) 2004-11-18 2006-10-3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DE102004062887B3 (de) 2004-12-27 2005-10-13 A. Raymond & Cie Kupplung
US7967342B2 (en) 2005-03-01 2011-06-2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Anti-rotation quick connector
FR2883607A1 (fr) 2005-03-25 2006-09-29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elements
US7484774B2 (en)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JP4623371B2 (ja) 2005-05-13 2011-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497477B2 (en) 2005-06-15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ull tab verifier assembly for quick connectors
DE102005055549B4 (de) 2005-11-18 2010-05-12 A. Raymond & Cie Kupplung
EP1959182A4 (en) 2005-12-06 2014-03-12 Tokai Rubber Ind Ltd QUICK CONNECTION AND CONTROLLER
BRPI0505733A (pt) 2005-12-19 2007-09-25 Click Automotiva Ind Ltda conector compacto
US7497480B2 (en) 2006-04-07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Hybrid quick connector
US20070241560A1 (en) 2006-04-18 2007-10-18 Malone David S Coaxial quick connector
DE102006019257B4 (de) 2006-04-26 2010-08-05 A. Raymond Et Cie Fluidleitungskupplung
US7866711B2 (en) 2006-08-22 2011-01-1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conductive path
DE102006047267B4 (de) * 2006-10-04 2010-02-04 A. Raymond Et Cie Kupplungsteil für eine Fluidleitungskupplung
US7731245B2 (en) 2006-10-06 2010-06-0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FR2908494B1 (fr) 2006-11-15 2008-12-26 Legris Sa Connecteur rapide
FR2919372B1 (fr) 2007-07-25 2013-05-10 Legris Sa Raccord a temoin.
EP2321566A1 (en) 2008-07-25 2011-05-18 Colder Products Company Coupling with low friction material
US8240716B2 (en)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US20100052315A1 (en) 2008-08-28 2010-03-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lateral stabilization
RU80212U1 (ru) 2008-09-11 2009-0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олиамидные Системы"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US8282139B2 (en) 2009-03-02 2012-10-09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FR2945100A1 (fr) *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JP5438463B2 (ja) 2009-10-28 2014-03-1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MY159166A (en) 2009-12-23 2016-12-30 Nordson Corp Fluid connector latches with profile lead-ins
US20110174838A1 (en) 2010-01-15 2011-07-21 Schroeder A A Jud Retainer clip and fitting assembly for secure engagement with a fluid bearing device
WO2012043024A1 (ja) 2010-09-30 2012-04-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10048107A1 (de) 2010-10-09 2012-04-12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Fluidverbindung
US20120153615A1 (en) 2010-12-10 2012-06-21 Rehder Randall J Coupling assembly
CA2826829A1 (en) 2011-02-11 2012-08-16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US8297659B2 (en) 2011-02-22 2012-10-30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CN103518093B (zh) 2011-03-18 2016-10-05 A·雷蒙德公司 快速接头
FR2983556B1 (fr) 2011-12-06 2013-12-13 Hutchinson Organe de verrouillage d'un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transfert de fluide, ce dispositif et son procede de verrouillage.
US8764068B2 (en) 2012-05-10 2014-07-01 Moen Incorporated Quick connect coupling with retention feature
RU135066U1 (ru) 2013-06-24 2013-1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Технопроект" Соединитель трубный
US20150069753A1 (en) 2013-09-10 2015-03-12 Maroko Limited Advancements in mechanical sea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0582A (ja) 2016-07-21
BR102016000876B1 (pt) 2021-06-29
CN105782616A (zh) 2016-07-20
US20160201835A1 (en) 2016-07-14
EP3054206A2 (en) 2016-08-10
BR102016000876A2 (pt) 2017-08-15
EP3054206A3 (en) 2016-11-16
KR20160087778A (ko) 2016-07-22
US10422459B2 (en) 2019-09-24
EP3054206B1 (en) 2020-03-04
JP6816956B2 (ja) 2021-01-20
MX2016000522A (es) 2016-07-13
CA2917540A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784B1 (ko)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US7390025B2 (en)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7128347B2 (en)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US6866303B2 (en)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US6520546B2 (en)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US7464970B2 (en) Pipe joint
US6612622B2 (en) Rotatable quick connector
US5586792A (e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JP2005291497A5 (ko)
EP1351007A1 (en) Pipe joint
US7029036B2 (en)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ion
US20040093708A1 (en) Rotatable quick connector stuffer pin
US10627032B2 (en) Quick connection structure of faucet outlet pipe
CZ20022368A3 (cs) Uvolnitelná rychlospojka s pojistnou sponou
US20050236833A1 (en) Tube lock quick connector
CN111102411A (zh) 快速连接器、滑动锁及套接部件
JP5132992B2 (ja) 管継手
RU2697280C2 (ru) Соединитель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US12000513B2 (en) Quick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lines with positive assurance feature
US20210372550A1 (en) Quick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lines with positive assurance feature
JP6300688B2 (ja) 雌型管継手部材
EP1724511B1 (en) Quick connector with a retainer
KR200497939Y1 (ko) 검증기 기구를 갖는 퀵 커넥터
CN118110856A (zh) 母接头以及接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