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54B1 -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54B1
KR102541754B1 KR1020220147937A KR20220147937A KR102541754B1 KR 102541754 B1 KR102541754 B1 KR 102541754B1 KR 1020220147937 A KR1020220147937 A KR 1020220147937A KR 20220147937 A KR20220147937 A KR 20220147937A KR 102541754 B1 KR102541754 B1 KR 10254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ler
inner diameter
lower side
slee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덕
Original Assignee
(주) 대전통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전통일 filed Critical (주) 대전통일
Priority to KR102022014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에 설치되는 다양한 엘보우 부재에 배관을 연결할 때 슬리브 부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슬리브 부재에 내화충전제가 설치되어 화재시 연기 등의 이동을 차단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층 건축물의 슬라브를 관통하는 슬리브 부재의 하측에 연결된 엘보우 부재에 배관이 연결되며 내경에 내화충전제가 설치되고, 슬리브 본체의 상측에는 배관 연결관이 돌출되고 내경에 충전제 설치홈이 형성되어 내화충전제가 설치되며, 상기 충전제 설치홈의 내경에 내경 배관 연결구가 형성되어 엘보우 연결배관이 연결된 후 하측 선단의 외경에 바닥날개가 돌출된 후 안쪽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충전제의 하측을 감싸 고정하는 가이드대의 내부에 충전제 바닥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대의 양쪽으로 내화충전제의 외측과 상측 및 내경을 감싸는 충전제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대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슬리브 본체의 하측 선단을 감싸며 상측으로 절곡되어 체결구멍에 결합하는 벌림고리가 형성되는 충전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엘보우 부재의 티 연결구 상측과 하측에는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티 연결구에 엘보우를 통하여 배관 고정홈에 결합된 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는 내경에 배관턱이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관의 하측에서 지름이 커지게 확관이 이루어지는 슬리브 몸체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간격에 슬리브 보강대가 형성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바닥날개가 돌출되어 슬리브 몸체와의 연결부분에 체결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후 상기 슬리브 몸체의 내경에 형성된 충전제 설치홈의 내경에 배관턱의 하측으로 내경 배관 연결구가 형성되어 외경 방방으로 충전제 설치홈 보다 하측에서 부터 더 깊은곳에 배관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SLEEVE MEMBER-TYPE FIREPROOF FILLER CONNECTION DEVICE OF}
본 발명은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에 설치되는 다양한 엘보우 부재에 배관을 연결할 때 슬리브 부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슬리브 부재에 내화충전제가 설치되어 화재시 연기 등의 이동을 차단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나 건축물에서 층층마다에 용도별 물(오수, 우수, 생활하수)이 운반되도록 수직의 입상 배관 설비를 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설비를 하려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층층의 바닥(파이프 덕트)이 건축될 때 입상 배관이 관통되도록 구멍을 뚫어 천공된 관통부를 미리 시공하게 된다.
이때 관통부의 직경은 배관되는 관의 직경보다 크게 천공되도록 시공되어야 관통부에 관이 자유롭게 출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건축 구조에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00호에 따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에 의하면,
내화충전구조라 함은 방화구획의 수평 수직 설비 관통부 조인트 및 커튼월과 바닥사이 등의 틈새를 통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것으로 방화구획에 틈이 생긴 때에는 내화충전성능을 가진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메울 것 이라고 고시하여 건축물의 피난 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과 설치기준으로 시공하도록 법제화하였다.
상기에 따라 현재 공지되어 시공하는 바닥 관통부 내주와 입상관 외주간 틈새를 메우는 내화충전구조는 내화 난연 성능이 있으며, 폭과 두께의 고체로 긴 막대 형상을 한 공지된 충전재(발포체)를 사용 관을 감싸도록 둘둘말아 관통부에 삽입시켜 충전 시공한 후,
화재 발생이 되면 화염에 의해 충전재가 열을 받아 발포되어서 관통부의 틈새를 막아 화염, 연기, 가스가 확산되지 못하게 하는 내화충전구조 방식으로 시공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재에 의한 내화충전구조는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재료로 되어있어, 화재발생시 충전재가 팽창하여 틈새를 막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화염의 확산을 지속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유연성이 적은 막대 형태의 충전재로 관을 감싸 시공하여 관통부에 메울 때, 관과 관통부의 둘레면을 충실히 접촉하지 못하면서 관통부에 틈새가 남게 되는데, 특히 직경이 적은 관에서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하게 되는데, 이것은 층간 방화구획 하자 판정기준(국토교통부 2013-930호)에서 내화충전구조 시공시 화재확산방지는 물론 소음, 악취 등의 전달방지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관통부 마감 불량시공의 하자에 해당되고, 배관되는 관의 규격과 관통부 규격간 틈새의 크고 적음에 따라 또는 관통부 내에 배관된 관의 편심정도에 따라서 규격화된 충전재의 두께 맞춤이 용이하지 않아서 정밀시공이 어렵고 시공품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다층건물 구조의 슬라브에는 생활하수, 오수, 우수와 다양한 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화재예방을 위한 방화충전제를 설치해 연기 또는 열기의 이동을 차단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732316호(2017. 04. 25.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79400호(2016. 01. 18.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69369호(2013. 10. 01.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823918호(2018. 01. 15. 등록) [문헌 5] 특허등록번호 제2398398호(2022. 05. 11.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다층 건축물의 슬라브에 매립되는 엘보우 부재에 배관이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 부재에 내화구조 또는 내화채움구조를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배관이 연결되는 슬리브 부재의 하측에 내화충전제를 설치하는 공간을 두고, 충전제 고정부재를 통하여 내화충전제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층 건축물의 슬라브를 관통하는 슬리브 부재의 하측에 연결된 엘보우 부재에 배관이 연결되며 내경에 내화충전제가 설치되고, 슬리브 본체의 상측에는 배관 연결관이 돌출되고 내경에 충전제 설치홈이 형성되어 내화충전제가 설치되며, 상기 충전제 설치홈의 내경에 내경 배관 연결구가 형성되어 엘보우 연결배관이 연결된 후 하측 선단의 외경에 바닥날개가 돌출된 후 안쪽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충전제의 하측을 감싸 고정하는 가이드대의 내부에 충전제 바닥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대의 양쪽으로 내화충전제의 외측과 상측 및 내경을 감싸는 충전제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대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슬리브 본체의 하측 선단을 감싸며 상측으로 절곡되어 체결구멍에 결합하는 벌림고리가 형성되는 충전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엘보우 부재의 티 연결구 상측과 하측에는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티 연결구에 엘보우를 통하여 배관 고정홈에 결합된 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는 내경에 배관턱이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관의 하측에서 지름이 커지게 확관이 이루어지는 슬리브 몸체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간격에 슬리브 보강대가 형성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바닥날개가 돌출되어 슬리브 몸체와의 연결부분에 체결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후 상기 슬리브 몸체의 내경에 형성된 충전제 설치홈의 내경에 배관턱의 하측으로 내경 배관 연결구가 형성되어 외경 방방으로 충전제 설치홈 보다 하측에서 부터 더 깊은곳에 배관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는 내경에 배관턱이 형성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연결관을 확관한 슬리브 몸체의 하측으로 바닥날개가 형성되어 안쪽으로 체결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몸체의 내경에 형성된 충전제 설치홈의 내경에 배관턱의 하측에 위치하는 배관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내경 배관 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층 건축물의 슬라브에 매립되는 슬리브 부재의 하측을 확관하여 내화구조 또는 내화채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내화충전제의 설치가 편리하고, 화재시 정확한 배관 차단작용을 통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이 연결되는 슬리브 부재의 하측에 내경 배관 연결구와 내화충전제를 설치하는 공간을 두어 충전제 고정부재를 통하여 내화충전제를 감싸며 화재시 쉽게 노출되어 배관의 차단작용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일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내화충전제와 충전제 고정부재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슬라브와 벽체를 관통하는 슬리브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배관의 설치상태에서 화재시 내화충전제가 발포되어 배관을 차단하고, 각 층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해 누수가 방지되도록 설치하는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과제해결 원리가 적용되는 다양한 내화구조 또는 내화채움구조를 적용하는 장치와 방법을 포함하는 등 여러 구성들과 이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 적용의 경우 균등론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화충전제와 충전제 고정부재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리브 부재에 대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에 의해 성형되는 슬라브(S)에 대부분 매립되는 상태를 이루는 슬리브 부재(20)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엘보우 부재(10)는 실내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 오수, 우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배관(50, 60)이 연결되는 엘보우(12)가 설치되고, 상기 엘보우(12)는 티 연결구(11)를 통하여 상측과 하측으로 관통되도록 하며, 상기 티 연결구(11)의 상측에는 윗층에 연결되는 배관(50a)이 설치되고, 상기 티 연결구(11)의 하측에는 아랫층으로 배관(50b)이 연결되는 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엘보우(12)에는 배관(50)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슬리브 부재(20)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내화충전제(30)를 설치해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엘보우 부재(10)는 배관(50, 50a, 50b)가 연결되는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모든 배관 연결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엘보우 부재(10)의 엘보우(12) 상측에 연결되는 슬리브 부재(20)는 배관 연결관(21)이 형성되어 내경으로 배관(5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관 연결관(21)의 내경 안쪽에는 배관턱(22)이 형성되어 배관(50)의 선단이 걸리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 부재(20)는 슬라브(S)에 대부분 매립되고 배관 연결관(21)의 하측에서 지름이 커지는 확관이 이루어지는 슬리브 몸체(23)가 형성되어 하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간격에 슬리브 보강대(27)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바닥날개(28)가 돌출되어 슬리브 몸체(23)와의 연결부분에 체결구멍(29)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 몸체(23)의 내경에는 충전제 설치홈(24)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턱(22)의 하측으로 내경 배관 연결구(26)가 형성되어 외경 방향으로 충전제 설치홈(24)보다 하측에서부터 더 깊은곳에 배관 고정홈(25)이 형성되어 엘보우 연결배관(60)이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충전제 설치홈(24)에 결합하는 내화충전제(30)는 한 부분에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말려 설치되는 것이며, 화재발생시 열원으로 인해 발포되어 슬리브 부재(20)의 내경을 차단해 연기 및 열원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재화충전제(30)를 고정하는 충전제 고정부재(40)는, 반원이 조금 못되게 호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대(41)의 내부에는 충전제 바닥홈(42)이 형성되어 내화충전제(30)의 하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대(41)의 외측 양쪽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며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는 충전제 고리(43)는 내화충전제(30)의 외측과 상측 및 내경을 감싸도록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대(41)의 선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바닥 걸림홈(44)은 외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 후 상측에서 외측으로 벌림고리(45)가 형성되어 체결구멍(29)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슬라브의 타설시 주방과 화장실 및 베란다 등에서 유입되는 하수와 오수 및 생활하수를 각각의 배관(50)을 통하여 건물 외부로 배수시키는 과정에서 아래층과 윗층의 배관(50, 50a, 50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아래층과 윗층에서 화재의 발생시 배관(50, 50a, 50b)으로 유독가스 등이 이동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내화충전제(3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화충전제(30)는 슬리브 부재(20)의 충전제 설치홈(24)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의 발생시 열로 인하여 녹아 발포되어 내경을 차단함으로써 유독가스와 열기 등 공기의 이동을 차단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화충전제(30)는 절개부(31)를 기준으로 절단을 통하여 원형이 되도록 말아서 설치하되, 충전제 고정부재(40)의 반원이 안되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대(41)의 충전제 바닥홈(42)에서 하측이 원주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충전제 고리(43)가 외측의 전체면과 상측면 및 내경의 상측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한 후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바닥 걸림홈(44)이 슬리브 몸체(23)의 하측을 감싸고 상측으로 절곡되어 바닥날개(28)에 형성된 체결구멍(29)을 관통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벌림고리(45)를 통하여 충전제 설치홈(24)에 안정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제 고정부재(40)는 하나 또는 두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내화충전제(3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내경 배관 연결구(26)의 외경에는 엘보우 연결배관(60)이 끼워져 배관 고정홈(25)에 이르도록 결합된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배관(50)을 통하여 엘보우(12)로 공급되는 생활하수, 오수, 우수 등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냄새 등이 누출되는 현상이 발행하지 않도록 안정된 배관의 연결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 부재(20)는 배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우수드레인, 일반 배수관, 입상관과 같이 건축물의 윗층과 아랫층에서 다양한 방법과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엘보우 부재의 상측으로 슬리브 부재를 결합하고 배관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측과 하측에서 배관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하측의 충전제 설치홈에 내화충전제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되고 간편하게 설치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엘보우 부재 11 : 티 연결구
12 : 엘보우 20 : 슬리브 부재
21 : 배관 연결관 22 : 배관턱
23 : 슬리브 몸체 24 : 충전제 설치홈
25 : 배관 고정홈 26 : 내경 배관 연결구
27 : 슬리브 보강대 28 : 바닥날개
29 : 체결구멍 30 : 내화충전제
31 : 절개부 40 : 충전제 고정부재
41 : 가이드대 42 : 충전제 바닥홈
43 : 충전제 고리 44 : 바닥 걸림홈
45 : 벌림고리 50, 40a, 50b : 배관
60 : 엘보우 연결배관

Claims (3)

  1. 다층 건축물의 슬라브를 관통하는 슬리브 부재(20)의 하측에 연결된 엘보우 부재(10)에 배관(50, 50a, 50b)이 연결되며 내경에 내화충전제(30)가 설치되고, 슬리브 본체(23)의 상측에는 배관 연결관(21)이 돌출되고 내경에 충전제 설치홈(24)이 형성되어 내화충전제(30)가 설치되며, 상기 충전제 설치홈(24)의 내경에 내경 배관 연결구(26)가 형성되어 엘보우 연결배관(60)이 연결된 후 하측 선단의 외경에 바닥날개(28)가 돌출된 후 안쪽에 체결구멍(29)이 형성되는 슬리브 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충전제(30)의 하측을 감싸 고정하는 가이드대(41)의 내부에 충전제 바닥홈(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대(41)의 양쪽으로 내화충전제(30)의 외측과 상측 및 내경을 감싸는 충전제 고리(4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대(41)의 양쪽 선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슬리브 본체(23)의 하측 선단을 감싸며 상측으로 절곡되어 체결구멍(29)에 결합하는 벌림고리(55)가 형성되는 충전제 고정부재(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엘보우 부재(10)의 티 연결구(11) 상측과 하측에는 배관(50a, 50b)이 연결되고 상기 티 연결구(11)에 엘보우(12)를 통하여 배관 고정홈(25)에 결합된 배관(60)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20)는 내경에 배관턱(22)이 형성되어 배관(50)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관(21)의 하측에서 지름이 커지게 확관이 이루어지는 슬리브 몸체(23)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간격에 슬리브 보강대(27)가 형성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바닥날개(28)가 돌출되어 슬리브 몸체(23)와의 연결부분에 체결구멍(29)이 다수개 형성된 후 상기 슬리브 몸체(23)의 내경에 형성된 충전제 설치홈(24)의 내경에 배관턱(22)의 하측으로 내경 배관 연결구(26)가 형성되어 외경 방방으로 충전제 설치홈(24) 보다 하측에서 부터 더 깊은곳에 배관 고정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20)는 내경에 배관턱(22)이 형성되어 배관(50)이 연결되는 배관 연결관(21)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연결관(21)을 확관한 슬리브 몸체(23)의 하측으로 바닥날개(28)가 형성되어 안쪽으로 체결구멍(29)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몸체(23)의 내경에 형성된 충전제 설치홈(24)의 내경에 배관턱(22)의 하측에 위치하는 배관 고정홈(25)이 형성되도록 내경 배관 연결구(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3. 삭제
KR1020220147937A 2022-11-08 2022-11-08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Active KR10254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37A KR102541754B1 (ko) 2022-11-08 2022-11-08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37A KR102541754B1 (ko) 2022-11-08 2022-11-08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754B1 true KR102541754B1 (ko) 2023-06-13

Family

ID=8676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937A Active KR102541754B1 (ko) 2022-11-08 2022-11-08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69B1 (ko) 2002-05-02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캐패시터 스위칭 유닛
KR100479400B1 (ko) 2002-04-17 2005-03-2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냅 파스너가 달린 테이프
KR101732316B1 (ko) 2016-07-22 2017-05-02 강철 입상관 고정과 병행한 관통부 내화충전구조
KR101823918B1 (ko) 2017-03-02 2018-01-31 유시웅 입상배관 시공구조
KR102032740B1 (ko) * 2019-02-26 2019-10-16 ㈜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KR20200058970A (ko) * 2018-11-20 2020-05-28 김대현 방화용 배수관 연결구
KR102398398B1 (ko) 2022-02-09 2022-05-18 (주) 대전통일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00B1 (ko) 2002-04-17 2005-03-2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냅 파스너가 달린 테이프
KR100469369B1 (ko) 2002-05-02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캐패시터 스위칭 유닛
KR101732316B1 (ko) 2016-07-22 2017-05-02 강철 입상관 고정과 병행한 관통부 내화충전구조
KR101823918B1 (ko) 2017-03-02 2018-01-31 유시웅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200058970A (ko) * 2018-11-20 2020-05-28 김대현 방화용 배수관 연결구
KR102032740B1 (ko) * 2019-02-26 2019-10-16 ㈜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KR102398398B1 (ko) 2022-02-09 2022-05-18 (주) 대전통일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398B1 (ko) 내화충전제 부착형 입상관 시공장치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2190167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732316B1 (ko) 입상관 고정과 병행한 관통부 내화충전구조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JP4994886B2 (ja) 排水配管構造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102541754B1 (ko) 슬라브의 슬리브 부재형 내화충전제 연결장치
KR102553228B1 (ko) 슬리브용 내화충전제 낙하 방지를 위한 배관 연결장치
KR102541775B1 (ko) 슬리브용 내화충전제 설치와 낙하 방지를 위한 배관 연결장치
KR102571553B1 (ko) 내화충전제 낙하 방지를 위한 언더컷 연결장치
KR102036122B1 (ko) 방화충전재가 구비되는 건식 에어덕트 고정슬리브 및 시공방법
KR20220023065A (ko) 방화 배수 드레인
CN215060119U (zh) 楼体内排水管道的防火圈结构
KR102683762B1 (ko) 내화충전재 설치형 배수관 연결장치
KR102627468B1 (ko) 내화팽창재가 구비된 배수트랩
KR101458519B1 (ko)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GB2108614A (en) Fire-seal for pipe or duct extending through wall, floor or ceiling
KR102541758B1 (ko) 슬리브용 내화충전제 설치와 낙하 방지를 위한 배수장치
JP2955446B2 (ja) 配管貫通部の防火処置工法および防火装置
JP2007270439A (ja) 排水集合管
KR200496747Y1 (ko)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GB2463070A (en) Device for reinforcing a joist
CN105908829A (zh) 一种民用住宅给水管道加气砼砌块隔墙和预留管沟方法
KR102812689B1 (ko) 벽체용 가변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