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00B1 -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00B1
KR102541700B1 KR1020210053070A KR20210053070A KR102541700B1 KR 102541700 B1 KR102541700 B1 KR 102541700B1 KR 1020210053070 A KR1020210053070 A KR 1020210053070A KR 20210053070 A KR20210053070 A KR 20210053070A KR 102541700 B1 KR102541700 B1 KR 10254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inge
finishing material
edg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740A (ko
Inventor
최수진
Original Assignee
최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진 filed Critical 최수진
Priority to KR102021005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740A/ko
Priority to KR1020230072006A priority patent/KR2023008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52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47B2230/0022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with tigh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1Mortise and tenon type joints with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jo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도어용 패널에 있어서, 힌지경첩의 체결에 의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경첩이 체결되는 위치에 가구용도어 패널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구도어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도어용 패널은 중간패널(11) ; 및 상기 중간패널(11)의 양면에 접착된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중간패널(11)의 테두리는, 겔(GEL)마감재로 스프레이 도포되어 일체로 테두리마감층(14)이 형성되되, 상기 겔마감재는, 아크릴수지 베이스에 커피분말, 커피은피분말과 코르크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A PANEL FOR FUNITURE DOOR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가구도어용 패널에 있어서, 힌지경첩의 체결에 의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경첩이 체결되는 위치에 가구용도어 패널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구도어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및 건축 인테리어에는 목재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나무결이 살아 있고 친환경적이지만 적절한 처리가 없으면 수축팽창으로 변형이 발생하기도 하고 비싼 가격으로 사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원목 대신에 PB 또는 MDF를 이용한 가구용 패널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PB는 나무 부스러기에 접착제를 섞어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 것이며, MDF는 PB보다 더 고운 나무입자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함께 압축한 것으로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축하기 때문에 수축 팽창이 거의 없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MDF와 PB는 겉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내구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겉표면의 양면에 별도의 마감재를 붙여줘야 하고, 또한 이때 압축시에 사용되는 접착제 성분에 따라서 발암물질이 방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테두리 마감을 위하여 테두리 부분에 플라스틱 재질의 띠 형태의 에지밴드를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발포우레탄으로 마감하는 방법이 있으나, 에지밴드를 사용하는 경우 테두리 에지와 목재 사이에 틈이 있어 이물질 또는 수분이 침투하기 쉬워 에지의 박리현상이 많이 발생되고, 발포우레탄으로 마감을 하는 경우 테두리 형상 및 컬러를 미려하게 하는 것이 어렵고, 무엇보다 재질이 친환경적이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도 1과 같은 가구의 도어를 제작하는 경우, 패널이 MDF 와 PB 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힌지경첩이 결합되는 가구도어용 패널의 가장자리가 파손되기 쉬워 내구성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업사이클링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내구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성형성이 좋아 외관이 미려한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착안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특허 제10-1239173호(2013. 2. 26.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특허 제10-1052813호(2011. 7. 25.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경첩 힌지가 결합되는 부위의 가구도어용 패널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 부위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구도어용 패널은,
중간패널(11) ; 및 상기 중간패널(11)의 양면에 접착된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중간패널(11)의 테두리는, 겔(GEL)마감재로 스프레이 도포되어 일체로 테두리마감층(14)이 형성되되, 상기 겔마감재는,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우레아수지 베이스에 커피분말, 커피은피분말과 코르크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가구도어용 패널은, 상기 중간패널(11)은 MDF합성목재, PB합성목재, 무기질보드, 또는 하니콤보드 중에서 선택되고 힌지가 고정되는 상시 중간패널의 테두리부에는 힌지강화부속이 결합되도록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에 강화플라스틱 또는 복합금속으로 된 힌지강화부속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리세스 상하부에는 상기 힌지강화부속의 상하 플랜지가 안착되도록 안착리세스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힌지경첩이 결합되는 부위의 가구용 패널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힌지경첩이 결합되는 가구도어용 패널의 가장자리 위치에 보강홈을 형성하고 보강홈 내부에 액상 또는 겔상의 보강재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게 되므로, 힌지경첩에 의해서 PB 또는 MDF 재질의 가구용 도어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구용 패널(10)은 중간패널(11)과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패널(11)에 의해서 형성되는 테두리부분을 겔의 테두리마감재로 스프레이 도포하기 때문에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 그리고 중간패널(11)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고, 마지막 트림공정을 통해서 가구용 패널(10)의 테두리가 미려하게 마감된다.
본 발명의 가구용 패널(10)은 아크릴수지베이스에 천연소재인 폐기물 커피박 분말 또는 코르크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됨으로 인해서 친환경소재의 업사이클링 효과에 더하여 내연성 및 내염성이 향상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구도어용 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 형성공정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제1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가구도어용 패널의 제조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에 힌지경첩을 위한 보강부를 설치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에 힌지경첩을 위한 보강부를 설치한 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통상 가구용 도어패널은 도 1과 같이, 일측에 힌지경첩이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통상적으로 힌지경첩의 일측은 가구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고, 힌지경첩의 타측은 도어패널의 가장자리 부위에 나사로 고정된다.
본원 발명은 1차적으로 가구도어용 패널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 패널의 테두리를 강화시키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를 강화시키는 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 상기 중간패널의 양면에 상면마감재와 하면마감재를 배치하고 사이에 접착제로 접착한다(S1).
상기 중간패널은 MDF패널, PB패널, 무기질보드, 합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상기 중간패널의 힌지경첩이 체결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강화복합소재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공정(S1-1)을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중간패널이 하니콤보드인 경우에는 별도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힌지경첩이 체결되는 부위에 위치한 하니콤에 강화복합소재를 주입할 수 있다. 하니콤보드의 가장자리는 하니콤이 부분적으로 절단된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는 먼저 하니콤보드의 테두리를 감싸는 누출방지테이프를 붙임으로써 절단 개방된 하니콤에 강화복합소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니콤보드의 하니콤에 강화복합소재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공정은 하니콤보드의 하면에 하면마감재를 접착한 이후에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후에 상면마감재를 접착하도록 한다.
- 상기 중간패널(11)의 테두리를 따라서 내부공간이 더 확장되는 단면형상을 구비하도록 내측으로 그루브(11a)를 형성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S1공정과 S2공정은 그 순서가 뒤바뀌어도 상관없다.
- 상기 중간패널의 양면에 상면마감재와 하면마감재를 접착한 후에 테두리를 탄화한다(S3). 탄화는 토치가열 또는 히팅롤러방식으로 수행한다. 목재압축패널은 목재칩을 접착제와 함께 압축하여 만들기 때문에 테두리를 통해서 접착제성분이 노출되고 테두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지만, 이들의 테두리 부분을 탄화함으로써, 목재칩을 압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접착제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중간패널의 탄화된 테두리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오랜 사용으로 테두리마감층(14)이 분리되더라도 탄화된 중간패널(11)의 테두리가 중간패널(11)의 볼품없는 외관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탄화된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에 겔상마감재를 스프레이하여 도포한다(S4). 상기 겔상마감재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상기 탄화된 테두리를 트리밍 가공한다(S5).
본원 발명의 가구도어용 패널은,
중간패널(11) ; 및 상기 중간패널(11)의 양면에 접착된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중간패널(11)의 테두리는, 겔(GEL)마감재로 스프레이 도포되어 일체로 테두리마감층(14)이 형성되되, 상기 겔마감재는,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우레아수지 베이스에 커피분말, 커피은피분말과 코르크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겔마감재는 건조후에 연질, 반연질, 경질로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선택된 테두리의 성질에 따라서 안전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가구도어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중간패널(11)과 상면마감재(12), 하면마감재(13)는 모두 동일한 크기로 접착되어 테두리가 고른 것이다. 또한 도 4는 제2실시예의 가구도어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서, 중간패널(11)이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의 크기보다 작아서 테두리가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중간패널(11)에 의해서 형성된 홈 부위에 겔상마감재를 충진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도포된 겔상마감재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더욱 강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제3실시예의 가구도어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중간패널(11)의 테두리에 홈을 형성하되 오목한 형태의 홈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중간패널(11) 테두리의 오목한 홈에 겔상마감재가 충진되므로 굳어 고형화된 후에는 더욱 견고한 형태의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도 3 내지 5의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도 2의 순서에 따른 것이지만, 가구도어용 패널의 테두리 단면 형상에 따라서 결합력이 보강된 테두리를 구비하게 된다.
특히,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패널(11)은 테두리를 따라서 내측으로 그루브(11a)가 형성되되, 내부공간이 더 확장되는 단면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겔마감재에 의해서 도포됨으로써 돌기와 홈의 형태로 중간패널(11)과 결합됨으로써 테두리마감층(14)이 형성됨으로써 테두리마감층의 접촉면적을 높이고, 중간패널(11)과 테두리마감층(14)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가구도어용 패널에 체결되는 힌지경첩으로 인해서 체결되는 분위의 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널의 가장자리부를 보강할 수 있는 기술수단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힌지경첩이 체결되는 가구용도어패널의 테두리부위에 액상 또는 반고체상태(겔상)의 강화복합소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요홈(15)을 형성한다.
상기 요홈(15)은 테두리부위에서 안쪽으로 요홈(15)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도 6A 참고) 또는 테두리근처에서 판넬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소정깊이의 요홈(15)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6B 참고). 상기 요홈(15)의 깊이는 힌지경첩이 밀착되어 나사가 체결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때, 여기에 사용되는 중간패널(11)은,
MDF합성목재, PB합성목재, 무기질보드, 또는 하니콤보드 중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가구용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힌지경첩은 가구용패널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서 힌지경첩이 설치되는 패널의 테두리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액상 또는 젤상의 강화복합소재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것이되, 상기 강화복합소재는 레진, 강화제, 충진제, 첨가제와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레진은 열경화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베이스원액과, 상기 베이스원액에 강화제가 부가되되 상기 강화제는 수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유리섬유, 카본섬유, 실리카와 석분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원액에 충진제가 부가되되, 상기 충진제는 커피박, 커피은피, 폐한지, 폐지폐, 폐지, 탈크,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원액을 경화시키는 경화제가 부가된다.
상기 액상 또는 젤상의 강화복합소재는 상기 중간패널에 구비된 홈에 주입되되, 하니콤보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힌지경첩이 설치되는 위치의 하니콤에 주입된다. 하니콤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밖에 항균제, 난연제, 탈취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가구도어용 패널은 중간부재와 양면의 마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15)은 중간부재에만 형성되고 양면의 마감부재로 덮이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마감부재를 관통하여서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패널 가장자리 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과 같이, 힌지경첩이 체결되는 가구용도어패널의 테두리부위에 강화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강화부속을 삽입할 수 있도록 리세스(16)를 형성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상기 중간패널(11)은, MDF합성목재, PB합성목재, 무기질보드, 또는 하니콤보드 중에서 선택되고 힌지가 고정되는 상시 중간패널의 테두리부에는 리세스(16)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16)에 강화플라스틱 또는 복합금속으로 된 강화부속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리세스(16)는 상하가 더 넓도록 고안된 강화부속의 플랜지(110,210)가 안착되도록 중심부보다 넓게 확장된 안착리세스(16a)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리세스(16)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강화부속은 강화플라스틱, 또는 복합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패널 가장자리부에서는 상하로 관통하는 리세스(16)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16)를 통하여 암부재(100)와 수부재(200)가 상호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암부재(100)과 상기 수부재(200)는 각각 상기 리세스(16)의 안착리세스(16a)에 안착되는 플랜지(100,210)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리세스(16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암부재(100)와 상기 수부재(200)가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부재(100)와 수부재(200)의 내외측에 결합돌기(130)와와 결합홈(230)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볼트로 체결되기 이전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중심부에 구비된 볼트공(120,220)을 통해서 볼트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암부재(100)와 수부재(200)가 체결된다.
도 9에는 다양한 형태의 강화부속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중간패널(11)에 구비된 리세스도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도 9(B) 도 9(C)는 각각 ㅌ 자형 강화부속, ㅕ자형 강화부속, ㅓ 자형 강화부속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대응하도록 중간패널의 측면에 리세스를 형성한 것이다.
10 : 가구도어용 패널
11 : 중간패널, 11a : 그루브, 12 : 상면마감재, 13 : 하면마감재
14 : 테두리마감층, 15 : 요홈, 16 : 리세스, 16a : 안착리세스
100 : 암부재, 110 : 플랜지, 120 : 볼트공, 130 : 결합돌기
200 : 수부재, 210 : 플랜지, 220 : 볼트공, 230 : 결합공

Claims (8)

  1. 중간패널(11) ; 및
    상기 중간패널(11)의 양면에 접착된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마감재(12)와 하면마감재(13),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중간패널(11)의 테두리는, 겔(GEL)마감재로 스프레이 도포되어 일체로 테두리마감층(14)이 형성되되,
    상기 겔마감재는,
    아크릴수지 베이스 또는 폴리우레아수지 베이스에 커피분말, 커피은피분말과 코르크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중간패널(11)은
    MDF합성목재, PB합성목재, 무기질보드, 또는 하니콤보드 중에서 선택되고 힌지경첩이 고정되는 상시 중간패널(11)의 테두리부에는 요홈(15)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15)에 액상 또는 젤상의 강화복합소재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것이되,
    상기 강화복합소재는 레진, 강화제, 충진제, 첨가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레진은 열경화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강화제는 유리섬유, 카본섬유, 실리카와 석분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며,
    상기 충진제는 커피박, 커피은피, 폐한지, 폐지폐, 폐지, 탈크,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패널(11)은 테두리를 따라서 내측으로 그루브(11a)가 형성되되, 내부공간이 더 확장되는 단면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겔마감재에 의해서 도포됨으로써 돌기와 홈의 형태로 중간패널(11)과 결합됨으로써 테두리마감층(14)이 형성됨으로써 테두리마감층의 접촉면적을 높이고, 중간패널(11)과 테두리마감층(14)의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패널(11)은
    MDF합성목재, PB합성목재, 무기질보드, 또는 하니콤보드 중에서 선택되고 힌지가 고정되는 상기 중간패널(11)의 테두리부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리세스(16)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16)에 강화플라스틱 또는 복합금속으로 된 힌지강화부속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리세스(16)는 상기 힌지강화부속의 플랜지가 안착되도록 중심부보다 상면과 하면에 넓게 형성된 안착리세스(16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강화부속은
    상기 리세스(16)의 일단의 안착리세스(16a)에 안착되는 플랜지(110)를 구비하고 중심부에 볼트공(120)이 형성된 결합리세스가 구비된 암부재(100);
    상기 리세스(16)의 타단의 안착리세스(16a)에 안착되는 플랜지(210)를 구비하고 중심부는 볼트공(220)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수부재(200);
    상기 암부재(100)과 수부재(200)에는 각각 결합홈(230)과 결합돌기(130)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고정되고, 또한 상기 볼트공(120,220)에 의해서 상호 체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53070A 2021-04-23 2021-04-23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KR10254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070A KR102541700B1 (ko) 2021-04-23 2021-04-23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KR1020230072006A KR20230087424A (ko) 2021-04-23 2023-06-04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용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070A KR102541700B1 (ko) 2021-04-23 2021-04-23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006A Division KR20230087424A (ko) 2021-04-23 2023-06-04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용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40A KR20220146740A (ko) 2022-11-02
KR102541700B1 true KR102541700B1 (ko) 2023-06-13

Family

ID=840844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070A KR102541700B1 (ko) 2021-04-23 2021-04-23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KR1020230072006A KR20230087424A (ko) 2021-04-23 2023-06-04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용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006A KR20230087424A (ko) 2021-04-23 2023-06-04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용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17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100Y1 (ko) 2003-07-11 2003-09-26 장재옥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CN2587984Y (zh) * 2002-11-25 2003-11-26 张国胜 碳边地板块
KR101239173B1 (ko) * 2012-10-30 2013-03-05 주식회사 쏘피체 엣지면에 마감부재가 부착된 목재패널,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구
JP2013052527A (ja) * 2011-09-01 2013-03-21 Honda Motor Co Ltd 樹脂部材、複合部材及び複合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0236A (ja) * 1995-05-17 1996-11-26 Nippon Puraimetaru Kogyo Kk 車両のドア、車両のリヤードア、車両のサイドドア、車両のドア補強方法、車両のリヤードアヒンジ金具止め部材用連通孔の形成方法及び車両のサイドドアヒンジ金具止め部材用連通孔の形成方法
KR101052813B1 (ko) 2009-08-03 2011-07-29 (주)캠퍼스라인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복합패널
KR101916521B1 (ko) * 2016-09-23 2019-01-30 최수진 디자인과 기능성이 우수한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87984Y (zh) * 2002-11-25 2003-11-26 张国胜 碳边地板块
KR200328100Y1 (ko) 2003-07-11 2003-09-26 장재옥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JP2013052527A (ja) * 2011-09-01 2013-03-21 Honda Motor Co Ltd 樹脂部材、複合部材及び複合部材の製造方法
KR101239173B1 (ko) * 2012-10-30 2013-03-05 주식회사 쏘피체 엣지면에 마감부재가 부착된 목재패널,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40A (ko) 2022-11-02
KR20230087424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512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loorboard
US20210078305A1 (en) Floor, wall, or ceiling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U2471619C2 (ru) Плита,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ит и панель, содержащая материал такой плиты
EP3092124B1 (en) A method of producing a veneered element
US9296123B2 (en) Door, deep draw molded door facing and methods of forming door and facing
KR101011104B1 (ko) 마룻바닥용 마루판
US20160083965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WO2006091249A1 (en) Improved hardwood flooring board
RU2618247C2 (ru) Сердцевина, заготовка панели, полов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90195005A1 (en) Door and door skin
US20150258761A1 (en) Moisture resistant wooden do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097234A1 (en) Composite capped stile, door and method
US74819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door skin
WO2018007932A2 (en) Floor panel
KR102541700B1 (ko)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도어용 패널
GB2278140A (en) Doors,windows and frames
CA3081504A1 (en) Exterior door and methods for forming exterior doors
US822678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door
KR101192006B1 (ko)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핸들프리도어
JP3068374B2 (ja) 床材用基板および床材
JP2592077Y2 (ja) 複合化粧床材
FI121536B (fi) Menetelmä puupinnan käsittelemiseksi, menetelmän käyttö puupinnan käsittelemiseksi ja menetelmällä saatu puupinta
US20140322460A1 (en) Raised panels of poplar bark
KR102407290B1 (ko) 내구성이 향상된 가구용 패널, 이를 위한 테두리 가공방법
JP2605530Y2 (ja) 複合化粧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