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542B1 -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542B1
KR102541542B1 KR1020237009536A KR20237009536A KR102541542B1 KR 102541542 B1 KR102541542 B1 KR 102541542B1 KR 1020237009536 A KR1020237009536 A KR 1020237009536A KR 20237009536 A KR20237009536 A KR 20237009536A KR 102541542 B1 KR102541542 B1 KR 10254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hub
user
watch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415A (ko
Inventor
조에 브리트
신 마츠무라
하우만 포루드
스코트 짐머만
필립 마일즈
신 자위키
다이스케 쿠타미
저스틴 리
조엘 블랙
Original Assignee
어페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550,667 external-priority patent/US949757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550,775 external-priority patent/US20160150021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550,735 external-priority patent/US9641400B2/en
Application filed by 어페로, 인크. filed Critical 어페로,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4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사물 인터넷 시스템 및 방법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WAN을 통해 IoT 서비스에 IoT 허브를 커플링시키기 위한 WAN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IoT 디바이스들에 IoT 허브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시키기 위한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IoT 허브;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프로그램 코드는,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임의의 IoT 디바이스를 구현하도록 개발자에 의해 사용가능한 기본 빌딩 블록들을 포함한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기본 빌딩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IoT 허브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 스택을 포함하며,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코드는 마이크로제어기에 대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로 개발자에게 제공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INTERNET OF THINGS PLATFORMS, APPARATUSES, AND METHO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IoT)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인터넷 인프라구조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가능한 임베딩된 디바이스들의 상호연결을 지칭한다. 궁극적으로, IoT는, 사실상 임의의 타입의 물리적인 물건이 그 자체 또는 그의 주변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새로운 광범위한 타입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초래하도록 예상된다.
IoT 개발 및 채택은 연결성, 전력, 및 표준화의 부족에 관련된 이슈들로 인해 느려졌다. 예를 들어, IoT 개발 및 채택에 대한 하나의 장애물은, 개발자들이 새로운 IoT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을 설계 및 제공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어떠한 표준 플랫폼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IoT 시장으로 진입하기 위해, 개발자는, 원하는 IoT 구현을 지원하는데 요구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들 및 인프라구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들을 포함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IoT 플랫폼을 설계해야 한다. 결과로서,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제공자는 IoT 디바이스들을 설계하고 연결하기 위한 독점적인 기법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타입들의 IoT 디바이스들의 채택을 최종 사용자들에게 부담이 되게 한다. IoT 채택에 대한 다른 장애물은 IoT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고 전력공급하는 것과 연관된 어려움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들, 차고 문 개폐기들, 환경 센서들, 집 보안 센서들/제어기들 등과 같은 기기들을 연결시키는 것은, 각각의 연결된 IoT 디바이스에 전력공급하기 위한 전기 소스를 요구하고, 그러한 전기 소스는 종종 편리하게 로케이팅되어 있지 않다.
다음의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가 획득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IoT 시스템 아키텍처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허브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최종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a는 시계(clock) 및 정보 디바이스로서 구현되는 IoT 허브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b는 통합된 스피커들을 갖는 프레임에 커플링된 IoT 시계 허브/정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c 내지 도 5f는 IoT 시계 허브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6은 사용자의 집에서 특정한 제품들이 보충될 필요가 있는 때를 검출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들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다음의 명세서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아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한 세부사항들 중 일부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본 원리들을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새로운 IoT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설계 및 구축하도록 개발자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플랫폼을 포함한다. 특히, 일 실시예는, IoT 디바이스들이 인터넷에 커플링되는 미리 정의된 네트워킹 프로토콜 스택 및 IoT 허브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기본적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는, IoT 허브들 및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및 관리될 수 있는 IoT 서비스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IoT 플랫폼의 일 실시예는 IoT 서비스, 허브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액세스하고 그들을 구성하기 위한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IoT 앱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기존의 온라인 소매상들 및 다른 웹사이트 오퍼레이터들은, 고유한 IoT 기능을 기존의 사용자 기지(base)들에 용이하게 제공하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IoT 플랫폼을 레버리징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아키텍처 플랫폼의 개요를 예시한다. 특히, 예시된 실시예는 중앙 IoT 허브(110)에 로컬 통신 채널들(130)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을 포함하며, 그 중앙 IoT 허브(110) 그 자체는 인터넷(220)을 통해 IoT 서비스(12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 IoT 디바이스(101 내지 105) 각각은 로컬 통신 채널들(130) 각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아래에 설명되는 페어링 기법들을 사용하여) IoT 허브(110)로 초기에 페어링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에는 그들 및 그들의 주변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IoT 허브(110)를 통해 IoT 서비스(120), 사용자 디바이스들(135) 및/또는 외부 웹사이트들(130)에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타입들의 센서들이 탑재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중 일부는, IoT 허브(110)를 통해 전송된 제어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특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제어 커맨드들의 다양한 특정 예들이 아래에서 제공된다. 아래에 설명된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선택들을 기록하고 사용자 선택들을 IoT 서비스(120) 및/또는 웹사이트에 전송하도록 설계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IoT 허브(110)는, 4G(예를 들어, 모바일 WiMax, LTE) 또는 5G 셀룰러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셀룰러 서비스(115)를 통해 인터넷(220)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셀룰러 라디오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IoT 허브(110)는,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IoT 허브(110)를 인터넷에 커플링시키는 WiFi 액세스 포인트 또는 라우터(116)를 통해 WiFi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WiFi 라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통신 채널 또는 프로토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은 배터리 전력에 대해 연장된 시간 기간들(예를 들어, 수년(years)) 동안 동작할 수 있는 초 저전력 디바이스들이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로컬 통신 채널들(130)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LE)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각각 및 IoT 허브(110)에는 블루투스 LE 라디오들 및 프로토콜 스택들이 탑재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IoT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IoT 허브(110), 및/또는 IoT 서비스(120)에 액세스하고 그들을 구성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들(135) 상에서 실행되는 IoT 앱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앱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은 IoT 기능을 그의 사용자 기지에 제공하도록 웹사이트(130)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웹사이트는 각각의 사용자에 관련된 계정 기록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1)를 보유할 수 있다.
도 1b는 복수의 IoT 허브들(110 및 111, 190)에 대한 부가적인 연결 옵션들을 예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일 사용자는 단일 사용자 구내(premises)(180)(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 또는 회사)에 현장으로 설치된 다수의 허브들(110 및 111)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모두를 연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무선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행해질 수 있다.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수의 허브들(110, 111)을 가지면, 그 허브들은 로컬 통신 채널(예를 들어, WiFi, 이더넷, 전력 라인 네트워킹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허브들(110 및 111) 각각은 (도 1b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셀룰러(115) 또는 WiFi(116) 연결을 통해 IoT 서비스(120)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IoT 허브(110)와 같은 IoT 허브들 중 하나는, (IoT 허브(110) 및 IoT 허브(111)를 연결시키는 점선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IoT 허브(111)와 같이, 사용자 구내(180) 상의 다른 IoT 허브들 모두에 연결 및/또는 로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마스터" 허브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IoT 허브(110)는 IoT 서비스(120)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유일한 IoT 허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서비스(120)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가 "마스터" IoT 허브(110)에만 탑재된다. 그러므로, IoT 서비스(120)와 다른 IoT 허브들(111) 사이의 모든 통신은 마스터 IoT 허브(110)를 통해 흐를 것이다. 이러한 역할에서, 마스터 IoT 허브(110)는, 다른 IoT 허브들(111)과 (예를 들어, 가능한 경우 로컬적으로 일부 데이터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IoT 서비스(120)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IoT 허브들(110 및 111)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계없이, 일 실시예에서, IoT 서비스(120)는, 설치된 앱(135)을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단일의 포괄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브라우저-기반 인터페이스) 하에서 허브들을 사용자와 논리적으로 연관시키고, 부착된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모두를 결합시킬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스터 IoT 허브(110)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IoT 허브들(111)은, WiFi 네트워크(116), 이더넷 네트워크, 및/또는 사용중인 전력-라인 통신(PLC) 네트워킹일 수 있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여기서, 네트워크의 모두 또는 일부들은 사용자의 전력 라인들을 통해 구동됨). 부가적으로, IoT 허브들(110 및 111)에 대해,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각각은 몇몇 예를 들자면, WiFi, 이더넷, PLC 또는 블루투스 LE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로컬 네트워크 채널을 사용하여 IoT 허브들(110 및 111)과 상호연결될 수 있다.
도 1b는 또한, 제 2 사용자 구내(181)에 설치된 IoT 허브(190)를 도시한다. 사실상 제한되지 않은 수의 그러한 IoT 허브들(190)은, 전세계의 사용자 구내의 IoT 디바이스들(191 및 192)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치 및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사용자 구내(180 및 181)가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 구내(180)는 사용자의 주된 집일 수 있고, 다른 사용자 구내(181)는 사용자의 휴가용 집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IoT 서비스(120)는, 설치된 앱(135)을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단일의 포괄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브라우저-기반 인터페이스) 하에서 IoT 허브들(110 및 111, 190)을 사용자와 논리적으로 연관시키고, 부착된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191 및 192) 모두를 결합시킬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101)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201 내지 203)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0) 및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를 포함한다. 메모리(21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영속적인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는 런타임 시에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의 실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버스 또는 통신 패브릭(fabric)을 통해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임의의 특정한 구현의 메모리(210)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는, IoT 디바이스(201)에 의해 수행될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특정 세트를 정의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203), 및 IoT 디바이스(101)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빌딩(building) 블록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코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브러리 코드(202)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101)와 IoT 허브(11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201)과 같이 IoT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기본 기능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토콜 스택(201)은 블루투스 LE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LE 라디오 및 안테나(207)는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임의의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또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을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에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들 또는 센서들(210)을 포함하며, 그 마이크로제어기는 애플리케이션 코드(203) 및 라이브러리 코드(202)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프로세싱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들 각각은 최종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LED(209)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예시된 실시예는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0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충전가능 코인 셀 배터리가 사용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통합된 재충전가능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를 AC 전력 공급부(미도시)에 연결시킴으로써 충전가능함).
오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205)가 또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99)는 스피커(205) 상에서 오디오를 생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MPEG-4/어드밴스드 오디오 코딩(AAC) 스트림과 같은) 압축된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딩 로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데이터(203)는, 사용자가 입력 디바이스들(210)을 통해 선택들을 입력할 때 언어 피드백을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의 디지털적으로 샘플링된 단편(snippe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대안적인 I/O 디바이스들 또는 센서들(250)은, IoT 디바이스(101)가 설계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101)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센서는 온도, 압력, 습도 등을 측정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보안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면, 보안 센서 및/또는 도어록 개폐기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들 예들은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서만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IoT 디바이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 라이브러리 코드(202)가 탑재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의 매우 프로그래밍가능한 속성을 가정하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사실상 임의의 타입의 IoT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코드(203) 및 새로운 I/O 디바이스들(250)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는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 및 연관된 텍스트 참조)에 의해 사용되는 암호화 키들을 저장하기 위한 보안키 저장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키들은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IM)에 안전하게 보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수신기(207)는, IoT 디바이스가 사실상 어떠한 전력도 소비하고 있지 않은 초 저전력 상태로부터 그 IoT 디바이스를 웨이크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수신기(20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허브(110) 상에 구성된 웨이크업 송신기(307)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101)로 하여금 이러한 저전력 상태를 빠져나가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307) 및 수신기(207)는, 테슬라 코일과 같은 전기 공진 변압기 회로를 함께 형성한다. 동작에서, 허브(110)가 매우 낮은 전력 상태로부터 IoT 디바이스(101)를 웨이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통해 송신기(307)로부터 수신기(207)로 에너지가 송신된다. 에너지 전달 때문에, IoT 디바이스(101)는,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 신호를 통해 어웨이크되도록 허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에 대한 경우와 같이) 그 디바이스가 허브로부터의 신호를 계속 "청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디바이스가 자신의 저전력 상태에 있는 경우 사실상 어떠한 전력도 소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히려, IoT 디바이스(101)의 마이크로제어기(200)는, 송신기(307)로부터 수신기(207)에 전기적으로 송신된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파워 다운(power down)된 이후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IoT 허브(101)는 또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305)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17) 및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하드웨어 로직(301)을 포함한다. 광역 네트워크(WAN) 인터페이스(302) 및 안테나(310)는 IoT 허브(110)를 셀룰러 서비스(115)에 커플링시킨다. 대안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IoT 허브(110)는 또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WiFi 인터페이스(및 WiFi 안테나) 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로직(301)은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 및 연관된 텍스트 참조)에 의해 사용되는 암호화 키들을 저장하기 위한 보안키 저장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키들은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IM)에 안전하게 보유될 수 있다.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303) 및 안테나(311)는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각각과 로컬 통신 채널들을 설정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303)/안테나(311)는 블루투스 LE 표준을 구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과 로컬 통신 채널들을 설정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한 프로토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서 별개의 유닛들로서 예시되지만, WAN 인터페이스(302) 및/또는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303)는 하드웨어 로직(301)과 동일한 칩 내에 임베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303) 및 WAN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별개의 스택들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308)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IoT 허브가 새로운 IoT 디바이스들과 페어링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디바이스 페어링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306)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새로운 IoT 디바이스(101 내지 105)는, 페어링 프로세스 동안 IoT 허브(110)에 통신되는 고유한 코드를 할당받는다. 예를 들어, 고유한 코드는 IoT 디바이스 상의 바코드로 임베딩될 수 있으며, 바코드 판독기(106)에 의해 판독될 수 있거나 로컬 통신 채널(130)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고유한 ID 코드가 IoT 디바이스 상에 자기적으로 임베딩되며, IoT 허브는, IoT 디바이스(101)가 IoT 허브(110)의 수 인치 내로 이동되는 경우 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라디오 주파수 ID(RFID) 또는 근접장 통신(NFC) 센서와 같은 자기 센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일단 고유한 ID가 통신되면, IoT 허브(110)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질의(query)하고, 코드가 수용가능한지를 검증(verify)하기 위해 해시(hash)를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ID 코드를 승인(validate)하기 위해 IoT 서비스(120), 사용자 디바이스(135) 및/또는 웹사이트(130)와 통신함으로써 고유한 ID를 검증할 수 있다. 일단 승인되면, 일 실시예에서, IoT 허브(110)는 IoT 디바이스(101)를 페어링하고, (언급된 바와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317)에 페어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단 페어링이 완료되면, IoT 허브(11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IoT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10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서비스(120)를 구동하는 조직은 개발자들이 새로운 IoT 서비스들을 용이하게 설계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IoT 허브(1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IoT 허브(110)에 부가하여, 개발자들은 허브(110)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305)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제공받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IoT 디바이스들(101)에 대해, SDK는,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애플리케이션들(101)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IoT 하드웨어(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및 다른 컴포넌트들)에 대해 설계되는 광범위한 세트의 라이브러리 코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DK는, 개발자가 IoT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및 출력들만을 특정할 필요가 있는 그래픽 설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oT 디바이스(101)가 허브(110) 및 서비스(120)에 연결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스택(201)을 포함하는 네트워킹 코드 모두가 이미 개발자를 위해 적소에 존재한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SDK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아이폰 및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들)에 대한 앱들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코드 기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IoT 허브(110)는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과 IoT 서비스(120) 사이의 데이터의 연속적인 양방향 스트림을 관리한다.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로의/로부터의 업데이트들이 실시간으로 요구되는(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안 디바이스들 또는 환경 판독들의 현재 상태를 뷰잉(view)할 필요가 있는) 환경들에서, IoT 허브는 정기 업데이트들을 사용자 디바이스(135) 및/또는 외부 웹사이트들(130)에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TCP 소켓을 보유할 수 있다. 업데이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은 기본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들에 기초하여 미조정(tweak)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연속적인 양방향 스트림을 갖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간단한 요청/응답 프로토콜이 필요할 경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허브(110) 및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은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적으로 업그레이드가능하다. 특히, 새로운 업데이트가 IoT 허브(110)에 이용가능한 경우, IoT 허브는 IoT 서비스(120)로부터 업데이트를 자동적으로 다운로딩 및 설치할 수 있다. IoT 허브는 먼저 업데이트된 코드를 로컬 메모리에 복사하며, 구형 프로그램 코드를 교체하기 전에 업데이트를 구동 및 검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데이트들이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각각에 이용가능한 경우, 그 업데이트들은 초기에 IoT 허브(110)에 의해 다운로딩되고,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각각에 푸쉬 아웃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IoT 디바이스(101 내지 105)는 IoT 허브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하고, 업데이트의 결과들을 IoT 허브(110)에 다시 보고할 수 있다. 업데이트가 성공적이면, IoT 허브(110)는 자신의 메모리로부터 업데이트를 삭제하고, (예를 들어, IoT 허브가 각각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새로운 업데이트들을 계속 체크할 수 있도록) 각각의 IoT 디바이스 상에 설치된 코드의 최신 버전을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허브(110)는 A/C 전력을 통해 전력공급된다. 특히, IoT 허브(110)는, A/C 전력 코드를 통해 공급된 A/C 전압을 더 낮은 DC 전압으로 변압시키기 위한 변압기를 갖는 전력 유닛(390)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도 4a 및 도 4b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411 내지 415)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카드(410)를 수용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400)의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는 그 상에 프린팅된 바코드(420)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바코드는, 프린팅된 아이템들 각각을 식별하고 아이템들을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선택가능한 버튼들(401) 각각과 연관시키도록 IoT 디바이스(400)의 바코드 판독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일단 카드(410)가 디바이스(400) 상의 슬롯으로 삽입되면, 버튼(401)은 아이템(411)과 연관되고, 버튼(402)은 아이템(412)와 연관되고, 버튼(403)은 아이템(413)과 연관되고, 버튼(404)은 아이템(414)과 연관되며, 버튼(405)은 아이템(415)과 연관된다. 이러한 특정한 예에서, 아이템들(411 내지 415) 각각은 식료품 및 잡화 아이템들(예를 들어, 생수, 자두 쥬스, 쌀, 화장지, 및 참치통조림)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아이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자석들(430 내지 432)의 세트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전면에 IoT 디바이스(400)를 자기적으로 부착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400)의 후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시된 IoT 디바이스(400)는, 기술적으로 요령이 없는 (그리고/또는 완전한-기능(full-featured)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는) 노인 사용자들 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특히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서, 최종 사용자의 자녀 또는 다른 친척은,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 상에서 계정을 설정하고, 최종 사용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주문되는 식료품 및 잡화 아이템들에 기초하여, 최종 사용자를 대신하여 카드들(410)의 세트를 고유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130)는, IoT 서비스(120)가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130)를 대신하여 IoT 디바이스들(400) 및 카드들(410)을 관리하도록 IoT 서비스(120)와의 설정된 사업 약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아이템들이 카드들 각각에 대해 선택되면, IoT 서비스는 새로운 IoT 디바이스(400), (최종 사용자가 설치된 IoT 허브를 아직 갖지 않으면) IoT 허브(110), 및 카드들(410)의 세트를 최종 사용자(또는 사용자의 친척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400)는 IoT 서비스에 의해 알려진 고유한 ID가 임베딩되어 IoT 서비스(120)에 의해 사전 제공된다. 최종 사용자가 카드(410)를 슬롯에 삽입하고 카드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411 내지 415)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401 내지 405)을 선택하는 경우, 디바이스(400)와 연관된 고유한 ID 및 최종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가 셀룰러 서비스(115)(또는 WiFi)를 통해 IoT 서비스 및/또는 직접적으로는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130)로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는, 새로운 디바이스(400)를 제공한 이후 IoT 서비스(120)에 의해 식료품 및 잡화 서비스로 통신될 수 있는 최종 사용자의 계정과 디바이스 ID 사이의 맵핑을 보유한다. 따라서,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130)는 디바이스 ID를 이용하여 최종 사용자를 식별하고, 최종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에 대한 주문을 이행한다. 예를 들어, 식료품 및 잡화 서비스는, 최종 사용자의 계정과 사용자의 디바이스 ID와의 연관과 함께 최종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될 수 있는 최종 사용자의 집 주소로의 아이템들에 대한 배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IoT 서비스(120)는 임의의 사용자 계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할 필요가 없다(그에 의해, 최종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IoT 서비스의 구현을 간략화함). 오히려, IoT 서비스는 최종 사용자들에 제공된 IoT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 ID만을 추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그 버튼 내의 LED(209)는 선택을 반영하도록 조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이템의 다수의 인스턴스들을 주문하기 위해, 사용자는 특정한 버튼(401 내지 405)을 다수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LED들은 주문된 각각의 아이템의 수를 반영하기 위해 컬러들을 변경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버튼은 최종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의 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소형 LCD(또는, 다른 전자적인 시각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다수의 카드들(410)을 삽입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아이템들을 선택하고, 완료한 경우, 거래를 완료하는 완료 버튼(406)을 선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거래는,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 특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한 이후 자동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일단 거래가 완료되면, 일 실시예에서, 버튼(406) 내의 LED(또는 별도의 "배송 진행중(order on route)" LED)는, 주문된 아이템들이 배송중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배송이 행해질 때까지 조명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응답으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는 선택된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식별 데이터(및 선택된 수)와 함께 디바이스 ID를 IoT 허브(110)에 송신하고, IoT 허브는 사용자의 선택들을 IoT 서비스(120) 및/또는 직접적으로는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130)에 포워딩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소 및 다른 계정 정보는 최종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1) 내의 디바이스 ID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세부사항들의 수신 시에, 사용자의 계좌는 선택된 아이템들의 비용과 동일한 양만큼 인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집으로의 배송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배송 시에, IoT 디바이스(400)는, 어떠한 새로운 주문들도 현재 계류중이지 않다는 것을 반영하도록 리셋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된 아이템들 및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양들을 통신하기 위해 오디오 피드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카드들(410) 각각 상의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디지털 오디오 샘플들이 IoT 허브(410)를 통해 디바이스(400)로 송신될 수 있다. 그 후, 오디오 샘플들은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및 스피커(205) 내의 오디오 디코더를 사용하여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패키지의 생수(411)를 선택하는 경우,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203)는 (바코드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식별하고, 선택된 아이템과 연관된 디지털 오디오 샘플을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그 코드는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로 하여금, 주문된 수를 표시하는 디지털 오디오 샘플과 함께 스피커(205) 상에서 디지털 오디오 샘플을 랜더링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203)는 스피치 합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각각의 아이템의 텍스트 설명이 IoT 디바이스(4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IoT 디바이스는, 최종 사용자에 의한 각각의 아이템의 선택 시에 텍스트 설명을 구두로 스피치하기 위해 텍스트-투-스피치 합성을 수행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일단 사용자가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것을 완료하고 완료 버튼(406)을 누르면, 거래의 세부사항들이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시 가청적으로 판독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주문된 아이템들의 설명 및/또는 예상되는 배송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날짜 정보는, 주문 세부사항들이 식료품 및 잡화 웹사이트(130)에 의해 수신되고 평가된 이후 웹사이트에 의해 IoT 디바이스(400)로 송신된다.
식료품 및 잡화 애플리케이션의 맥락에서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IoT 디바이스(400)는, 옵션들의 세트 중에서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사실상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세트는 아파트 단지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아파트의 거주지들의 명칭들을 리스팅하는 카드들이 삽입될 수 있다. 선택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400)는 (잠재적으로는, 네트워크 카메라가 그 위치에서 이용가능하면 선택을 행했던 사용자의 화상과 함께) 통지를 IoT 서비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IoT 서비스(120)는 적절한 거주지의 도어벨을 울리고 그리고/또는 거주지의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135)에 텍스트 또는 음성 호(call)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IoT 허브를 통해 IoT 서비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다른 IoT 디바이스로서 구현된다.
다른 예로서, IoT 디바이스(400)는 완구 또는 교육용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타입들의 공룡들, 동물들, 또는 다른 대상들의 리스팅이 카드들 상에 프린팅될 수 있다.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대상의 설명이 최종 사용자에 대해 가청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옵션들의 세트로부터 선택하도록 요구되는 사실상 제한되지 않은 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가능하다.
도 5a에 예시된 일 실시예에서, IoT 허브(550)는 사용자의 집의 벽 상에 장착되거나 소형 탁자(end table)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스마트 시계/캘린더 디바이스로서 구현된다. 도 3에 도시된 아키텍처 컴포넌트들에 부가하여, 이러한 실시예는 현재 시간(551) 및 온도(552) 및 날짜에 대한 캘린더 이벤트들(560 내지 563)의 세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스크린을 포함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마이크로제어기(20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별도의 칩에 구현될 수 있다.
캘린더 이벤트들 각각이 발생하도록 스케줄링되며, 예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그래픽들이 상이한 타입들의 캘린더 이벤트들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의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 스케일(scale)(565)이 도시된다. 도 5a에 도시된 특정한 예에서, 사용자는 9am에 의사와의 약속(561), 정오에 점심 약속(563), 및 대략 2pm에 이동 이벤트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예보에서 눈이 3:30pm에 내리기 시작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날씨 이벤트(560)가 디스플레이된다. 표시된 바와 같이, 눈 또는 비와 같은 변하는 날씨 이벤트들이 그래픽 및/또는 애니메이션(예를 들어, 눈, 비, 바람 등을 표현하는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배경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약속이 있는 경우, 약속장소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소형 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약속장소 주소가 간단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맵/주소 디스플레이는 또한, IoT 시계 허브(550)의 위치로부터 약속장소로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현재의 시간의 양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정보 모두는 구글 맵™ 또는 맵퀘스트™와 같은 온라인 맵핑 서비스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진과 같은 주요 이벤트들의 표시들이 (이벤트의 위치와 같은) 관련 정보와 함께 IoT 시계 허브(550) 상에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위는 단지 예시적인 예들일 뿐이다.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정보가 타임라인(565)의 맥락 내에서 IoT 시계 허브(55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550)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킹 계정으로부터 최근에 포스팅된 화상들 및/또는 코멘트들을 다운로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연결할 것이다. 이들은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포스팅들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친구들 및/또는 가족 멤버들에 의해 행해진 포스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의 소정의 특정된 "친구들"에 의해서만 행해진 새로운 포스팅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IoT 시계 허브(550)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계 상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들은, IoT 서비스(120), 사용자가 계정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들(130), 및/또는 직접적으로는 사용자의 디바이스(135) 상의 앱으로부터 송신된다. 예를 들어, 캘린더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135) 상의 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캘린더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IoT 서비스(120) 또는 웹사이트(130) 상에서 구동하는) 캘린더를 보유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또는 클라우드-기반 서버와 같은 서버-측 캘린더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현재 시간 및 온도는, IoT 서비스(120)와 같은 네트워크 서버들에 의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IoT 시계 허브(550)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중 하나는 환경 센서일 수 있으며, 현재 온도, 압력, 습도 등을 IoT 시계 허브(5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계 허브(550)는 외부 서버 및/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오디오 재생목록을 재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IoT 시계 허브(550)는 사용자의 음악 라이브러리로부터 재생목록을 (예를 들어, 그 라이브러리에 공통적인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고, 그 후, 빌트인(built in) 오디오 디코더 및 스피커(205)를 사용하여 재생목록 내의 음악을 스트리밍 및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550)는, 그 허브가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35)와 직접적인 로컬 연결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그 허브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35)와 블루투스 LE 오디오 연결을 설정하고,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된 오디오 출력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550)의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그 허브는 시계 상에 직접적으로 새로운 엔트리들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IoT 시계 허브(550)는 네트워크 소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35) 상의 앱을 통해 엔트리들을 업데이트하는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지는 않는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IoT 시계 허브(550)에 빌트인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IoT 시계 허브(550) 그 자체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오디오에 부가하여, IoT 시계 허브(550)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35), IoT 서비스(120), 및/또는 사용자가 화상들을 저장한 하나 이상의 다른 외부 서버들(예를 들어, 웹사이트(1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될 화상들을 다운로딩할 수 있다. IoT 시계 허브(550) 상에 디스플레이될 특정한 화상들, 오디오 및 다른 콘텐츠는,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135) 상에 설치된 앱을 통해 액세스가능할 수 있는) IoT 서비스(120)를 통해 허브와 상호작용하고 그 허브를 구성하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550)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전자 메시지들을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허브는 이메일 메시지 주소 또는 텍스트 메시지 주소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시계 허브(550)가 사용자의 집에 매우 시각적인 위치에 있다면, 사용자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이메일 메시지를 IoT 시계 허브(550)에 전송함으로써 전체 가족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가 사진을 포함하면, IoT 시계 허브(550)는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서비스(120)는 IoT 허브(110)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상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될 콘텐츠에 대한 변환기로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35)로부터 송신된 사진들은, IoT 허브(110)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이 렌더링할 수 있는 포맷/해상도로 IoT 서비스(120)에 의해 변환된다. 유사하게, 오디오에 대해, IoT 서비스(120)는, IoT 허브(110)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이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잠재적으로는, 더 낮은 비트레이트 또는 상이한 타입의 압축의) 포맷으로 오디오를 변환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IoT 시계 허브(550)는, 그 허브가 사용자의 부엌과 같은 편리한 위치의 벽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브래킷 또는 구멍들로 설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5b에 예시된 일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550)는 상이한 타입들/스타일들의 예술적 프레임들(501)과 인터페이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석들(506)은 각각의 프레임(501) 내에 부착 또는 임베딩되어, 프레임을 IoT 시계 허브(550)에 자기적으로 부착하며, 그 시계 허브는 그 주위 주변에 대응하는 자석들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시계 허브(550)는, 자석들(506)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자석들에 인코딩된 ID 코드에 기초하여 부착되는 프레임의 모델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재료 내에 포함된 인코딩 또는 자석들의 포지션은 상이한 타입들의 프레임들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지문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자석들의 사용에 부가하여, IoT 시계 허브(550)는 프레임(501)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을 식별하는 ID 코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인터페이스는, 프레임이 스피커들(505)을 포함하는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대한 물리적인 오디오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 디스플레이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스타일은 부착된 프레임의 타입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적인" 스타일을 갖는 프레임이 부착되면, IoT 시계 허브(550)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컬러들/폰트들/그래픽 스타일들은 현대적인 프레임 스타일과 매칭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전통적인" 스타일을 갖는 프레임이 부착되면, IoT 시계 허브(550)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컬러들/폰트들/그래픽 스타일들은 전통적인 프레임 스타일과 매칭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프레임(501)의 일 실시예는 어린이의 방에서의 사용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예를 들어, 헬로우 키티 프레임 또는 뻐꾸기 시계가 설계될 수 있음). 응답으로, IoT 시계 허브(550)는 프레임 타입과 매칭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정시에 뻐꾸기 또는 헬로우 키티의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적절한 배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프레임이 도 5b에 도시되지만, 원형 또는 타원형 프레임들과 같은 다른 형상들이 또한 고려된다. 원형/타원형 프레임의 경우에서, IoT 시계 허브(550) 상의 디스플레이는 프레임 형상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레임에 의해 가려진 스크린의 영역들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음).
언급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501)에는 IoT 시계 허브(550)로부터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오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고품질 스피커들(505)의 세트가 탑재된다. 예를 들어, IoT 시계 허브(550)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오디오 재생목록을 다운로딩하고 재생목록에서 식별된 오디오를 스트리밍/디코딩하는 일 실시에에서, 오디오는 IoT 시계 허브(550)에 빌트인된 스피커(205)보다는 고품질 스피커들(505)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프레임들(501)이 다양한 상이한 I/O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IoT 허브(55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앱(135)으로부터 IoT 허브(550)에 전송된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화상들을 찍거나 비디오를 촬영하기 위해, 임베딩된 카메라를 갖는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501)은 사용자의 집에서 로컬 보안 카메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사용자 디바이스/앱을 통해 제어가능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기 위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TV 및 수신기와 같은 로컬 A/V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된 IR 블래스터(blaster)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501)에는 열 센서, 연기 센서, 및/또는 일산화탄소 검출기가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IoT 시계 허브(550)는, 센서들 중 임의의 센서가 수용가능한 임계치들 위의 레벨들을 표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허브는 또한, 집 모니터링 서비스 및/또는 로컬 소방서와 같은 서비스에 알람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T 시계 허브(550)를 벽 상에 장착하거나 IoT 시계 허브(550)를 책상(또는 다른 구조) 상에 놓기 위한 옵션들을 포함하는 IoT 시계 허브(550)의 다른 실시예가 도 5c 내지 도 5f에 예시된다. 먼저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IoT 시계 허브(550)는, IoT 시계 허브(550)의 후면 상에 형성된 원형 캐비티(513) 내에 자기적으로 붙여진 원형 플레이트(510)로 최종 사용자에게 운송될 수 있다. 도 5c는 캐비티(513) 내에 자기적으로 부착된 원형 플레이트(510)를 도시하고, 도 5d는 캐비티(513)로부터 제거된 원형 플레이트(510)를 도시한다. 원형 플레이트(510)는 자기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자기 재료는 플레이트(510)가 원형 캐비티(513)와 접촉하는 경우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원형 캐비티(513) 아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510)는 구멍들(512)을 포함하며, 그 구멍들을 통해 나사들은 원형 플레이트를 벽에 붙이도록 드릴링될 수 있다. 그 후, IoT 시계 허브(550)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시계 허브(550)를 벽에 붙이기 위해 원형 플레이트(510)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즉, 수평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임의의 배향으로 원형 플레이트(510)를 벽에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원형 플레이트(510)가 벽 장착에 특히 유익하다. 그 후, 사용자는, IoT 시계 허브(550)의 후면 상에서 원형 캐비티(513)와 원형 플레이트(510)를 자기적으로 맞물림시키고 정확한 수평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IoT 시계 허브(550)를 회전시킴으로써 IoT 시계 허브(550)를 벽에 자기적으로 붙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시계 허브(550)의 후면은, 사용자가 IoT 시계 허브(550)를 탁자 또는 책상(또는 다른 구조) 상에 놓도록 선택하면, 원형 플레이트(510)가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슬롯(5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f는 IoT 시계 허브(550)의 일 실시예의 삽입 슬롯(511)에 삽입된 원형 플레이트(510)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일단 삽입되면, IoT 시계 허브(550)는, 원형 플레이트(510)에 의해 제공되는 균형에 의존하여 약간 각진 배향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지지 엘리먼트, 즉 원형 플레이트(510)는 IoT 시계 허브(550)의 벽 탑재 그리고 탁자 또는 다른 표면 상에 IoT 시계 허브(550)를 지지하는 것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IoT 디바이스(101)가 생수 디스펜서(dispenser)(601)에 커플링되거나 그에 임베딩되고 다른 IoT 디바이스(102)가 쌀 디스펜서(602)에 임베딩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01)는, 디스펜서(601) 내의 현재 생수의 양이 특정된 임계양 미만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도 2에서 (250)으로 예시된)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250)는 디스펜서 내의 생수의 무게를 측정하고 현재의 무게를 저전력 마이크로제어기(200)에 보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203)에 기초하여, 무게가 특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101)는, 새로운 생수통이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는, 부가적인 생수에 대한 주문을 넣도록 IoT 허브(110)를 통해 IoT 서비스(120) 및/또는 외부 웹사이트(130)에 전달될 수 있다. 주문은, 사용자의 집 주소 및 비용청구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계정과 연관되는 IoT 디바이스(101)의 아이텐티티(고유한 ID 코드를 사용함)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새로운 생수통은 사용자의 집으로 자동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쌀 디스펜서(602) 내의 IoT 디바이스(102)는, 내부에 포함된 쌀의 무게가 특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IoT 디바이스(102)는, 무게가 특정된 임계치에 도달할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203)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센서들이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들(101 내지 105)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열 센서들을 갖는 IoT 디바이스들은, 스토브의 버너들이 온인 때를 검출하기 위해 스토브 상에 또는 그 근처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들은 또한, 사용자의 디바이스(135) 상의 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스토브를 제어(예를 들어, 스토브를 턴 온/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IoT 디바이스들은 가속도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취해진 걸음들의 수, 또는 사용자의 집 내의 소정의 물체들이 사용되는 빈도 등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자의 집 주변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사용자 그 자신에 커플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들은 사실상 제한되지 않은 수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맥락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은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로 하여금 그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머신-실행가능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단계들은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와이어드 로직을 포함하는 특정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또는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컴포넌트들과 맞춤형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명령들은, 소정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수록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들 또는 미리 결정된 기능을 갖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과 같은 하드웨어의 특정한 구성들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에 도시된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최종 스테이션, 네트워크 엘리먼트 등) 상에서 실행되고 저장된 데이터 및 코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전자 디바이스들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위상-변화 메모리) 및 일시적인 컴퓨터 머신-판독가능 통신 매체들(예를 들어, 전기적, 광학적, 음향적 또는 다른 형태의 전파된 신호들, 예컨대 반송파들, 적외선 신호들, 디지털 신호들 등)과 같은 컴퓨터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을 사용하여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그리고/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전자 디바이스들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비-일시적인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사용자 입력/출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 및 네트워크 연결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의 세트와 다른 컴포넌트들의 커플링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버스들 및 브릿지들(또한 버스 제어기들로 지칭됨)을 통한다. 저장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트래픽을 반송하는 신호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및 머신-판독가능 통신 매체들을 표현한다. 따라서, 주어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장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그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의 세트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상이한 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중 일부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소정의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기능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세밀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은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관점에서 판단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사물 인터넷(IoT) 시계 허브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
    WAN을 통해 IoT 서비스에 상기 IoT 시계 허브를 커플링시키기 위한 WAN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IoT 디바이스들에 상기 IoT 시계 허브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시키기 위한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
    현재 시간, 현재 온도, 및 사용자의 캘린더로부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캘린더 이벤트들을 표시하는 시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통합 디스플레이 ― 상기 하나 이상의 캘린더 이벤트들은 상기 W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oT 시계 허브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 이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캘린더 이벤트들은 상기 사용자의 약속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는 상기 약속의 위치, 상기 약속의 주소, 및 상기 IoT 시계 허브의 위치로부터 상기 약속으로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현재의 시간의 양을 표시하는 맵을 디스플레이함 ―; 및
    웨이크업 신호를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웨이크업 송신기 ―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로 전기적으로 송신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초 저전력 상태로부터 웨이크업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 이벤트들은 사용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측 캘린더로부터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IoT 시계 허브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AN을 통해 또는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oT 시계 허브에 스트리밍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가청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IoT 시계 허브 내에 또는 상기 IoT 시계 허브 상에 통합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는 상기 IoT 시계 허브로 재생목록을 다운로딩하는 사용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는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IoT 디바이스들과 블루투스 저에너지(LE)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블루투스 LE 라디오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시계 허브의 폭 및 높이에 따라 사이징(size)되고, 상기 IoT 시계 허브의 주위 주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9. 제8항에 있어서, 화상 프레임이 부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시계 허브의 마이크로제어기는 부착된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검출하고,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특성들을 업데이트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특성들은, 상기 화상 프레임과 매칭하도록 결정되는 그래픽 특성들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IoT 시계 허브로부터의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들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IoT 시계 허브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IoT 시계 허브의 오디오 출력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12. 사물 인터넷(IoT) 시계 허브 시스템으로서,
    IoT 시계 허브 ― 상기 IoT 시계 허브는:
    IoT 허브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IoT 허브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
    WAN을 통해 IoT 서비스에 IoT 시계 허브를 커플링시키기 위한 WAN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IoT 디바이스들에 상기 IoT 시계 허브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시키기 위한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
    현재 시간, 현재 온도, 및 사용자의 캘린더로부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캘린더 이벤트들을 표시하는 시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통합 디스플레이 ― 상기 하나 이상의 캘린더 이벤트들은 상기 W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oT 시계 허브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 이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캘린더 이벤트들은 상기 사용자의 약속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디스플레이는 상기 약속의 위치, 상기 약속의 주소, 및 상기 IoT 시계 허브의 위치로부터 상기 약속으로로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현재의 시간의 양을 표시하는 맵을 디스플레이함 ―
    를 포함함 ―;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 ―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임의의 IoT 디바이스를 구현하도록 개발자에 의해 사용가능한 기본 빌딩 블록들을 포함한 상기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빌딩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IoT 시계 허브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 스택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마이크로제어기에 대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로 상기 개발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SDK는 상기 개발자가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및 출력들을 특정하기만 하면 되는 그래픽 사용자 설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SDK는 상기 IoT 허브와 상기 IoT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통신 스택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SDK는 또한 상기 개발자로 하여금 IoT 허브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IoT 허브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IoT 허브 프로그램 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하고, 상기 IoT 허브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IoT 허브로 하여금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제1 통신 스택, 상기 IoT 허브로 하여금 상기 W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oT 서비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제2 통신 스택, 및 상기 IoT 허브로 하여금 상기 IoT 디바이스와 페어링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 이벤트들은 사용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측 캘린더로부터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IoT 시계 허브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WAN을 통해 또는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oT 시계 허브에 스트리밍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가청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IoT 시계 허브 내에 또는 상기 IoT 시계 허브 상에 통합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는 상기 IoT 시계 허브로 재생목록을 다운로딩하는 사용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는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IoT 디바이스들과 블루투스 저에너지(LE)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블루투스 LE 라디오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T 시계 허브의 폭 및 높이에 따라 사이징되고, 상기 IoT 시계 허브의 주위 주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화상 프레임이 부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시계 허브의 마이크로제어기는 부착된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검출하고,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특성들을 업데이트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픽 특성들은, 상기 화상 프레임과 매칭하도록 결정되는 그래픽 특성들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IoT 시계 허브로부터의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들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IoT 시계 허브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IoT 시계 허브의 오디오 출력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사물 인터넷 시계 허브 시스템.
KR1020237009536A 2014-11-21 2015-11-18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KR102541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50,667 2014-11-21
US14/550,735 2014-11-21
US14/550,667 US9497572B2 (en) 2014-11-21 2014-11-21 Internet of things platforms, apparatuses, and methods
US14/550,775 US20160150021A1 (en) 2014-11-21 2014-11-21 Internet of things clock hub device and method
US14/550,775 2014-11-21
US14/550,735 US9641400B2 (en) 2014-11-21 2014-11-21 Internet of things device for registering user selections
KR1020177016711A KR102592880B1 (ko) 2014-11-21 2015-11-18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PCT/US2015/061308 WO2016081582A1 (en) 2014-11-21 2015-11-18 Internet of things platforms, apparatuses, and metho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711A Division KR102592880B1 (ko) 2014-11-21 2015-11-18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415A KR20230042415A (ko) 2023-03-28
KR102541542B1 true KR102541542B1 (ko) 2023-06-08

Family

ID=560144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711A KR102592880B1 (ko) 2014-11-21 2015-11-18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KR1020237009536A KR102541542B1 (ko) 2014-11-21 2015-11-18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711A KR102592880B1 (ko) 2014-11-21 2015-11-18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07114B2 (ko)
KR (2) KR102592880B1 (ko)
CN (1) CN107251490B (ko)
HK (1) HK1245533A1 (ko)
WO (1) WO2016081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5787B2 (ja) * 2017-11-16 2021-03-24 Kddi株式会社 ログ分析システム
KR101876183B1 (ko) * 2017-11-20 2018-08-02 수상에스티(주) IoT 기반의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
KR101933638B1 (ko) * 2018-01-22 2019-03-15 정철오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시스템
TWI818019B (zh) * 2018-05-17 2023-10-11 日商日本碍子股份有限公司 硬幣型鋰二次電池及物聯網器件
FR3084759B1 (fr) * 2018-08-02 2021-04-16 Jean Christophe Lecosse Kit configurable pour objet connecte, objet connecte et procede associes
KR102116845B1 (ko) * 2018-08-29 2020-05-29 (주)피플인소프트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20200079081A (ko) * 2018-12-24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1375B1 (ko) * 2020-12-04 2023-02-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무인이동체 활용 임무서비스 지원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KR20220124589A (ko)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업링크 IoT 기기와 플랫폼 연결을 위한 SDK 생성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1787A1 (en) 2010-02-02 2011-08-04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nsor data from embedded device to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US20130085614A1 (en) * 2011-09-30 2013-04-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nergy use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energy budgets
US20130307702A1 (en) 2011-01-13 2013-11-21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nergy consumption by household appliances
US20140304381A1 (en) 2013-04-05 2014-10-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smart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2573B1 (en) * 1999-12-10 2002-08-27 Ceiva 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icture mail to a frame device community
US20020013784A1 (en) * 2000-07-31 2002-01-31 Swanson Raymond H. Audi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5101987A (ja) * 2003-09-25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集積無線idタグ
JP2009045139A (ja) * 2007-08-16 2009-03-05 Sony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フォトフレーム、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428830B (zh) * 2012-05-15 2016-12-07 深圳市华奥通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及方法
CN103781159A (zh) * 2012-10-17 2014-05-0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远程唤醒终端的方法、装置、指令发起终端和目的终端
US9900171B2 (en) * 2013-02-25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to discover, configure, and leverage relationships i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s
US9158534B2 (en) * 2013-03-15 2015-10-13 Wolters Kluwer United States Inc. Smart endpoint architecture
CN103685574A (zh) * 2014-01-02 2014-03-26 清华大学 面向服务的通用物联网资源分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1787A1 (en) 2010-02-02 2011-08-04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nsor data from embedded device to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US20130307702A1 (en) 2011-01-13 2013-11-21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nergy consumption by household appliances
US20130085614A1 (en) * 2011-09-30 2013-04-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nergy use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energy budgets
US20140304381A1 (en) 2013-04-05 2014-10-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smart objec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vaScript(Node.js)で色 なハㅡドウェアモジュㅡルが動くマイコンボㅡドTesselを手に入れたので詳しく調べてみた,2014.07.06.*
마츠모토 나오토, IoT時代を支えるプロトコル「MQTT」(後編),페이지 1, 2014.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1582A1 (en) 2016-05-26
HK1245533A1 (zh) 2018-08-24
JP6907114B2 (ja) 2021-07-21
KR20230042415A (ko) 2023-03-28
KR20170088904A (ko) 2017-08-02
JP2018507451A (ja) 2018-03-15
CN107251490A (zh) 2017-10-13
KR102592880B1 (ko) 2023-10-20
CN107251490B (zh)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7572B2 (en) Internet of things platforms, apparatuses, and methods
US9641400B2 (en) Internet of things device for registering user selections
US20160150021A1 (en) Internet of things clock hub device and method
KR102541542B1 (ko) 사물 인터넷 플랫폼들, 장치들, 및 방법들
US11562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hotel service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062232B2 (en) Entry control device
US1010250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Rowland et al. Designing connected products: UX for the consumer Internet of Things
US115706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function by causing elements of hardware to perform linkage operation
US98543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US1008881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controlling devices with sensor data and learning
US20160241660A1 (en) Sensors and systems for iot and ifttt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CN105765899B (zh) 在家庭网络系统中基于组来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装置
US202004107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electronic lockers
CN105809339A (zh) 用于实现酒店房间服务的方法与设备
CN102750433B (zh) 用于会议系统位置知晓和供应的技术
JP6391813B2 (ja) 情報提示の方法及び装置
CN106131718A (zh) 一种智能音箱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8515965A (ja) 中間デバイスデータ収集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9429102A (zh) 用于显示应用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JP2014050020A (ja) サーバー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0932603B2 (en) Electronic mezuzah system,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50688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비한 시스템
Vargic et al. Smart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