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52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525B1
KR102541525B1 KR1020160015164A KR20160015164A KR102541525B1 KR 102541525 B1 KR102541525 B1 KR 102541525B1 KR 1020160015164 A KR1020160015164 A KR 1020160015164A KR 20160015164 A KR20160015164 A KR 20160015164A KR 102541525 B1 KR102541525 B1 KR 10254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nner case
drain hose
drai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581A (ko
Inventor
심성현
박호상
윤권철
장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525B1/ko
Priority to EP16199675.6A priority patent/EP3203168B1/en
Priority to CN201611197589.4A priority patent/CN107044757B/zh
Priority to US15/424,722 priority patent/US10161668B2/en
Publication of KR2017009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2Removing frost by hot-fluid circulating system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드레인호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드레인호스를 내상의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상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상; 상기 내상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드레인호스 및 상기 드레인호스와 상기 내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내상은 후크 결합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드레인부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냉장고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과,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실을 포함한다.
냉동실 및 냉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매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순환팬을 통해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하여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증발기는 주변 공기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증발기 표면에는 주변 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응축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드레인 팬에 수집되어, 드레인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기계실로 이동하여 증발될 수 있다.
드레인부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내상의 일측에 장착되는 드레인팬 및 드레인팬에 연결되어 수집된 응축수를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부가 위치되는 내상의 외측에는 단열재가 발포될 수 있다. 단열재의 발포시, 드레인부가 내상의 외측에 조립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재의 발포시 드레인호스가 움직이지 않도록 드레인호스가 후크 구조에 의해 내상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상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상; 상기 내상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드레인호스; 및 상기 드레인호스와 상기 내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내상은 후크 결합된다.
상기 내상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홀은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된다.
상기 내상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절곡된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상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돌기면 및 상기 제1돌기면과 상기 내상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돌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면과 상기 내상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돌기면과 상기 내상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단열재가 발포된다.
상기 드레인호스가 상기 내상과 상기 외승 사이에 위치된 후, 상기 단열재가 발포된다.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는 증발기가 마련되고, 상기 내상에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드레인팬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호스는 상기 드레인팬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호스를 따라 이동하여 배수된다.
상기 드레인호스는 일측에 마련된 물받이통과 연결되고,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호스에 의해 상기 물받이통으로 배수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금형유닛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은, 상기 연결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절단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드레인호스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의 내부에 위치되고, 저장실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내상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및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드레인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의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드레인호스가 상기 내상에 결합된다.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호스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연장된다.
상기 드레인호스가 상기 내상에 결합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는 단열재가 발포된다.
상기 내상의 일측은 절곡된 제1면과 제2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측에는 상기 내상의 일측에 장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드레인호스를 내상의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호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드레인호스를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내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추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에 드레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과 드레인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부가 내상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이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에 드레인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측에 저장실(3,5)이 마련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3,5)이 형성되는 내상(20) 및 내상(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상(30)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내상(20)과 외상(30)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부공간(100)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공간(100)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내상(20)은 폴리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외상(30)은 미감과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상(20)과 외상(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공간(100)에는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는 발포 우레탄 폼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는 내상(20)과 외상(30)이 결합된 후 형성된 내부공간(100)에 우레탄 원액을 주입하고 발포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3, 5)은 격벽(4)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격벽(4)으로 구획된 저장실(3, 5)은, 음식물 등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3)과 저장물을 냉동 저장하는 냉동실(5)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3)과 냉동실(5)은 각각 사용자가 음식물 등을 투입 또는 인출하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있다.
도 1에는, 냉장실(3)이 냉동실(5)의 상부에 위치되는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나, 냉장실(3)이 냉동실(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3)이 냉동실(5)의 상부에 위치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저장실(3, 5)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는 도어(40,4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 42)는, 냉장실(3)과 냉동실(5)의 전면에 각각 마련되는 냉장실도어(40)와 냉동실도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도어(40) 및 냉동실도어(42)는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냉장실도어(40) 또는 냉동실도어(42)는 서랍과 같이 본체(10)로부터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냉장실도어(40)와 냉동실도어(4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1, 43)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물의 저장이 용이하도록 냉장실(3)과 냉동실(5)을 다단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47)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도어(40)의 내측에는 저장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포켓(45)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3, 5)의 일 측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4)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54)를 통해 들어온 냉기는 저장물과 열교환하여 저장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냉기를 대류시키기 위해 저장실(3, 5)의 일 측에는 순환팬(52)이 설치될 수 있다.
저장실(3, 5)의 일 측에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50)는 내상(20)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50)는 압축기(60) 등과 연결되어 냉매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압축기(60)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계실(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50)는 주변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주변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열교환과정에서 주변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증발기(50) 표면에 맺힐 수 있다. 냉장고(1)를 이러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드레인부(7)를 구비할 수 있다.
드레인부(7)는 내부공간(100)에 위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7)는 증발기(50)의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21) 및 드레인팬(21)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7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호스(72)는 일측이 드레인팬(21)이 구비되는 내상(20)에 연결되고, 타측이 기계실(6) 내부에 마련된 물받이통(6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팬(21)에는 증발기(5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고, 드레인팬(21)에 수집된 응축수는 드레인 호스(72)를 따라 이동하여 기계실(6) 내부에 위치되는 물받이통(62)에 수집될 수 있다. 물받이통(62)에 수집된 응축수는 압축기(60), 응축기(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드레인 호스(72)가 기계실(6) 내부의 물받이통(62)에 수집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드레인 호스(72)는 드레인팬(21)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1)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저장실(3,5)이 형성되는 내상(20)과 외상(30)이 마련되고, 내상(20)과 외상(30) 사이에는 내부공간(100)이 구비되도록 마련된다. 내상(20)의 일측에는 드레인호스(72)가 위치될 수 있다. 드레인호스(72)는 드레인팬(21)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드레인 호스(72)는 내부공간(100) 내에서 드레인팬(21)으로부터 기계실(6)에 구비되는 물받이 통(62)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드레인부(7)가 내상(20)의 외측에 장착되면, 내부공간(100)에 단열재를 발포한다. 내부공간(100)에 발포된 단열재에 의해 드레인호스(72)가 고정될 수 있다.
드레인호스(72)는 내부공간(100)에 발포된 단열재에 의해 고정되므로, 단열재가 발포되기 전에 드레인호스(72)는 내상(20)의 외측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완전히 체결될 필요는 없으나, 단열재가 발포될 때 주입되는 재료의 압력에 의해 드레인호스(72)가 움직이지 않도록 어느 정도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드레인호스(72)가 내상(20)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부가 내상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내상(20)에는 증발기(50)의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호스(7)가 장착될 수 있다. 드레인부(7)는 내상(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드레인팬(21) 및 드레인팬(21)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7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호스(72)는 연결부(71)에 의해 드레인팬(21)과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팬(21)은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팬(21)은 내상(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팬(21)에는 수집된 응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드레인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71)에는 연결홀(710)이 형성되고, 연결홀(710)은 드레인홀(210)과 연통될 수 있다. 드레인홀(210), 연결홀(710)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드레인 호스(72)를 따라 이동하여 물받이 통(62)에 배수될 수 있다.
연결부(71)는 후크 방식에 의해 내상(20)에 장착될 수 있다. 내상(20)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고정돌기(22,23)가 구비되고, 연결부(71)에는 고정돌기(22,23)가 삽입되는 고정홀(710,71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22,23) 및 고정홀(710,711)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내상(20)은 저장실(3,5)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1면(200) 및 제1면(200)으로부터 절곡된 제2면(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200)과 제2면(201)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면(201)의 일측에는 드레인팬(21)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22,23)는 제1면(200)과 제2면(20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면(200)에는 제1고정돌기(22)가 돌출형성되고, 제2면(201)에는 제2고정돌기(2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71)는 내상(20)의 제1면(200)과 제2면(2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71)는 제1면(200)에 대응되는 제1연결면(71a) 및 제2면(201)에 대응되는 제2연결면(71b)을 포함한다. 제1연결면(71a)에는 제1고정돌기(22)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710)이 형성되고, 제2연결면(71b)에는 제2고정돌기(23)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22), 제2고정돌기(23) 및 제1고정홀(710), 제2고정홀(711)은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고정돌기(22)는 제1면(200)에 2개가 돌출형성되고, 제2고정돌기(23)는 제2면(201)에 2개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홀(710)은 제1고정돌기(22)에 대응되도록 제1연결면(71a)에 2개가 형성되고, 제2고정홀(711)은 제2고정돌기(23)에 대응되도록 제2연결면(71b)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2,23), 고정홀(710,711)의 개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복수의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부(71)가 내상(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71)는 고정돌기(22,23)가 고정홀(710,711)에 삽입되어 내상(20)에 고정되고, 연결부(71)가 내상(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00)에 단열재가 발포될 수 있다. 연결부(71)가 내상(20)에 고정된 상태로 단열재가 발포되므로 드레인호스(72)가 유동하여 오조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내상(20)의 제1면(200)에 제1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제2면(201)에 제2고정돌기(23)가 형성되고, 연결부(71)의 제1연결면(71a)에 제1고정홀(710)이, 제2연결면(71b)에 제2고정홀(711)이 형성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돌기, 고정홀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내상(2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2,23)는 완만한 경사를 가진 제1고정돌기면(22a,23a)과 급격한 경사를 가진 제2고정돌기면(22b,23b)을 포함할 수 있다.제2고정돌기면(22b, 23b)은 각각 제1면(200), 제2면(201)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22)에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면(22a)과 제2고정돌기(23)에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면(23a)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22)에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면(22b)과 제2고정돌기(23)에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면(23b)은 연결부(71)에 형성되는 고정홀(710,711)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급격한 경사를 가진 제2고정돌기면(22b, 23b)에 의해 고정홀(710,711)의 내측면이 간섭됨으로써 고정돌기(22,23)가 고정홀(710,711)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다. 완만한 제1고정돌기면(22a, 23a)이 구비됨으로써 내상(20)의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내상(2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돌기(22,23)가 구비되는 내상(20)과 고정홀(710,711)이 형성되는 연결부(71)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71)는, 우선 대략 다면체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면체는 제1연결면(71a) 및 제2연결면(71b)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면(71a), 제2연결면(71b)에 대응되는 다면체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부(710a, 7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0a, 711a)를 포함한 다면체의 전체 면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0a, 711a)는 커팅 기구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 돌출부(710a, 711a)가 커팅된 위치에는 고정홀(710,7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면(71a), 제2연결면(71b)과 대향되는 다면체의 일측면은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이로서 연결부(71)의 형태가 완성될 수 있다. 다면체는 절곡된 형상의 블레이드에 의해 일면이 커팅될 수 있다. 일례로 블레이드는 'ㄷ'자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이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20)은 고열에 의해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내상(20)에는, 평면으로 구비되는 폴리머 소재의 패널에 열을 가해 고정돌기(710,711)의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내상(20)을 제조하는 금형(8)은 지지부(81), 지지부(81)에 장착되는 회전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82)는 지지부(81)와 회전부(82)를 관통하는 회전축(8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82)의 일측에는 내상(20)의 표면에 돌출된 고정돌기(710,711)의 형상의 돌출부(831,832)가 형성되는 금형유닛(83)이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831,832)는 고정돌기(710,7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완만한 경사를 가진 제1돌출면(831a, 832a)과 급격한 경사를 가진 제2돌출면(831b, 832b)이 구비될 수 있다.
금형유닛(83)은 회전축(834)에 의해 회전부(8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금형유닛(83)은 회전축(834)과 함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금형유닛(83)은 탄성부재(835)가 연결되어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금형유닛(83)이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835)의 탄성력에 의해 금형유닛(83)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탄성부재(835)는 회전축(834)에 장착되어 금형유닛(8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고정돌기(710)가 금형유닛(83)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금형유닛(83)에 의해 고정돌기(710,711)의 형상이 형성되면, 내상(20)은 상부로 들어올려 취출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돌기(710)는 내상(20)을 금형유닛(83)으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지만, 제2고정돌기(711)는 돌출부(832)에 의해 간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금형유닛(83)이 회전축(83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내상(20)의 취출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고정돌기(711)가 돌출부(832)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제1고정돌기(710) 및 제2고정돌기(711)는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돌출면(831b, 832b)을 슬라이딩하면서 취출될 수 있다.
이로써 금형유닛(83)에 의해 고정돌기(710,711)가 형성된 내상(20)이 금형(8)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드레인 호스(72)가 후크 방식에 의해 내상(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열재가 발포 경화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드레인 호스(72)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71)에 형성되는 고정홀(710,711), 내상(2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2,23)의 형상, 개수,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는 연결부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내상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연결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상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우, 드레인호스(72)가 별도의 체결부재, 접착부재 등에 의하지 않고 내상(20)에 장착됨으로써, 체결부재, 접착부재 등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체결부재, 접착부재 등에 의한 체결공정, 접착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 냉장고 3: 냉장실
4: 격벽 5: 냉동실
6: 기계실 7: 드레인부
8: 금형 10: 본체
20: 내상 21: 드레인팬
22: 제1고정돌기 23: 제2고정돌기
30: 외상 62: 물받이통
71: 연결부 72: 드레인호스
83: 금형유닛 100: 내부공간
710: 제1고정홀 711: 제2고정홀

Claims (20)

  1. 저장실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상의 외측에 위치되는 외상;
    상기 내상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드레인호스; 및
    상기 드레인호스와 상기 내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내상은 후크 결합되도록, 상기 내상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절곡된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상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돌기면 및 상기 제1돌기면과 상기 내상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돌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면과 상기 내상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돌기면과 상기 내상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 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상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내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발포되는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홀은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되는 냉장고.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가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위치된 후, 상기 단열재가 발포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는 증발기가 마련되고, 상기 내상에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드레인팬이 구비되는 냉장고.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는 상기 드레인팬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호스를 따라 이동하여 배수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는 일측에 마련된 물받이통과 연결되고,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호스에 의해 상기 물받이통으로 배수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금형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연결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드레인호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6.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의 내부에 위치되고, 저장실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내상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및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연장되는 드레인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의 일측은 절곡된 제1면과 제2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측에는 상기 내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드레인호스가 상기 내상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는,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1고정돌기면과, 급경한 경사를 가지는 제2고정돌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돌기면은 각각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호스가 상기 내상에 결합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발포되는 냉장고.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15164A 2016-02-05 2016-02-05 냉장고 KR10254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64A KR102541525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EP16199675.6A EP3203168B1 (en) 2016-02-05 2016-11-18 Refrigerator
CN201611197589.4A CN107044757B (zh) 2016-02-05 2016-12-22 冰箱
US15/424,722 US10161668B2 (en) 2016-02-05 2017-02-0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164A KR102541525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581A KR20170093581A (ko) 2017-08-16
KR102541525B1 true KR102541525B1 (ko) 2023-06-09

Family

ID=5734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164A KR102541525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1668B2 (ko)
EP (1) EP3203168B1 (ko)
KR (1) KR102541525B1 (ko)
CN (1) CN10704475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5231U1 (de) 1997-08-25 1998-12-24 Aeg Hausgeraete Gmbh Flüssigkeitsauslaßvorrichtung zur Ausleitung von an kühlen Flächen auskondensierendem Dampf, insbesondere Wasserdampf
JP2005233508A (ja) 2004-02-19 2005-09-02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管継手接続構造
WO2015165526A1 (en) * 2014-04-30 2015-11-05 Arcelik Anonim Sirketi Improved water drainage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740B2 (ja) * 1992-07-02 1998-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H1151549A (ja) * 1997-08-04 1999-02-26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排水装置
KR19990032741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냉장고
JP3679934B2 (ja) * 1998-09-30 2005-08-03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におけるホースの固定構造
KR20090062128A (ko) 2007-12-12 2009-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기의 응축수 배수장치
KR101502097B1 (ko) 2008-07-07 2015-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30017010A (ko)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KR101461527B1 (ko) 2013-04-09 2014-11-13 에이테크솔루션(주) 시트 유도용 구조물이 구비된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KR20150120178A (ko)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내상 제조방법
KR20150124111A (ko) * 2014-04-28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5231U1 (de) 1997-08-25 1998-12-24 Aeg Hausgeraete Gmbh Flüssigkeitsauslaßvorrichtung zur Ausleitung von an kühlen Flächen auskondensierendem Dampf, insbesondere Wasserdampf
JP2005233508A (ja) 2004-02-19 2005-09-02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管継手接続構造
WO2015165526A1 (en) * 2014-04-30 2015-11-05 Arcelik Anonim Sirketi Improved water drainage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3168A1 (en) 2017-08-09
CN107044757A (zh) 2017-08-15
US20170227277A1 (en) 2017-08-10
CN107044757B (zh) 2019-10-15
EP3203168B1 (en) 2019-10-02
US10161668B2 (en) 2018-12-25
KR20170093581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119B1 (ko) 냉장고
KR101669421B1 (ko) 냉장고
US9879896B2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US8973392B2 (en) Refrigerator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EP3497387B1 (en) Refrigerator
US20090145159A1 (en) Ice making tray for refrigerator
EP3864355B1 (en) Refrigerator
KR20140008597A (ko)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3106798B1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KR102541525B1 (ko) 냉장고
KR20220068124A (ko) 냉장고
KR100776422B1 (ko) 냉장고
JP5104339B2 (ja) 冷蔵庫
KR2015012411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US10180273B2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JP5228505B2 (ja) 冷蔵庫
JP2007064553A (ja) 冷蔵庫
CN218544960U (zh) 冰箱
US20090095011A1 (en) Can serv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302405Y1 (ko) 직냉 방식 김치저장고의 열교환기 구조
JP5098669B2 (ja) 冷蔵庫
WO2007015443A1 (ja) 冷蔵庫
KR19990041306U (ko) 냉장고의 드레인 히터 조립체
KR19990035962U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