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188B1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188B1
KR102541188B1 KR1020220112325A KR20220112325A KR102541188B1 KR 102541188 B1 KR102541188 B1 KR 102541188B1 KR 1020220112325 A KR1020220112325 A KR 1020220112325A KR 20220112325 A KR20220112325 A KR 20220112325A KR 102541188 B1 KR102541188 B1 KR 10254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ilter
air
s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505A (ko
Inventor
강형하
김재형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93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461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케비닛;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필터 모듈; 상기 처리 공간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된 공기 유로; 상기 공기 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상기 밸브 작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상기 필터부를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공기의 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춤으로써,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처리실 내에 의류가 걸리는 옷걸이봉을 구비하여, 의류가 매달린 상태에서 처리실 내로 스팀을 제공하거나 처리실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각 부품들의 기능과 다양한 공기 유로의 조합에 의한 더욱 다양한 기능 발휘의 가능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의류에 달라 붙은 초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 처리 장치가 더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효율적인 구조로 유로의 변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사용자가 쉽게 필터를 교환/세척할 수 있게 도와주고, 필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교환 가능한 필터를 쉽게 탈거가능하게 하면서도 평상시 보호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다양한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측에서 상기 처리 공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이너 토출구와, 상기 처리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이너 흡입구를 형성하는 유로 바디; 상기 유로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이너 토출구로 보내는 팬; 상기 이너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바디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상기 이너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우회하도록 형성되는 제 1입구를 개폐하는 제 1밸브; 상기 이너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제 2입구를 개폐하는 제 2밸브; 및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작동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 1입구와 상기 제 2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 모듈 삽입구로 삽입된다.
상기 제 1입구는, 상기 이너 토출구에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보다 근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입구는, 상기 이너 토출구에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보다 원거리에 배치된다.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 밸브 각각은,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 밸브 각각의 축부 양단에 배치된 밸브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1밸브의 축부와 상기 제 2밸브의 축부 사이로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 하측에 배치되고, 통과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바디부; 및 상기 필터 바디부가 상기 유로 바디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바디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모듈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흡입구를 통해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유로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조 필터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부와, 상기 보조 필터부를 지지하는 보조 바디부를 포함한다.
보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모듈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너 흡입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처리 공간의 바닥면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유로 바디는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처리 공간의 바닥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평면을 형성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받쳐주는 커버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서포터의 상단은 상기 커버부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커버 지지부에 접촉된다.
상기 처리 공간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스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HEPA 필터를 포함한다.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가 보다 다양하고 가변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링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공기가 상기 필터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서도, 필요시 처리 공간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의류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환기 유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 주변의 공기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팬 및 상기 열교환 모듈을 상기 공유 구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팬의 작동으로 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하나의 열교환 모듈로 유로 상의 공기의 가열 또는 냉각이 가능하다.
상기 스팀 모듈 및 상기 HEPA 필터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링 유로 및 상기 우회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HEPA 필터의 고성능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스팀 모듈을 통해 처리 공간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HEPA에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우회 모드에서 상기 처리 공간 내로 스팀이 분사되고 상기 우회 유로가 선택됨으로써, 상기 처리 공간에 공급되는 증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지 않게 하면서도, 상기 처리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공기에 별도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Ag1)이 상기 각(Ag2)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밸브 조절부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제 1밸브 연결부 및 상기 제 2밸브 연결부 중 회전하는 것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기어부 및 상기 제 2기어부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상기 주동 기어부를 통해 상기 제 1기어부 및 상기 제 2기어부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기어부 및 제 2기어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만큼 이격되게 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주동 기어부를 통해 상기 제 1기어부 및 상기 제 2기어부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를 구비함으로써, 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이너 흡입구 및 상기 향기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링 유로를 통하는 공기에 모두 효율적으로 향기를 첨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보조 필터로 상기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링 유로에 모두 보조 필터링 기능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15)가 열린 상태의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처리 공간(10s)의 일부가 보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1-S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2-S2'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기계실(18) 내에 배치된 유로 바디(26)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유로 바디(26)에 배치된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이 도시된다.
도 7은, 도 6a의 밸브 작동 모듈(80)의 내부 투영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a 및 도 6b의 유로 바디(26)에 배치된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의 동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좌측에는 유로 바디(26) 및 도어(15)를 상하로 자른 단면 개념도가 도시되고, 우측에는 밸브 작동 모듈(8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입면도가 도시된다. 도 8a는 우회 순환 유로(Pa)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b는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c는 환기 유로(Pc)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3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케비닛(10)에서 커버(25), 보조 필터(23) 및 필터 모듈(90)이 탈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a)는 케비닛(10)에서 커버(25)가 탈거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9(b)는 보조 필터(23)가 탈거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9(c)는 필터 모듈(90)이 탈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도 3 및 도 9의 커버(25), 보조 필터(23) 및 필터 모듈(9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3-S3'을 따라 수직하게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a 및 도 6b의 유로 바디(26)에 필터 모듈(90)이 인입 중 또는 인출 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류 및 하류'는 기설정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바닥에 놓이거나 외부의 벽에 고정되는 케비닛(10)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로(P)를 구비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0)을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 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기 유로(P)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70)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밸브(70)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 모듈(80)을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95)를 구비하는 필터 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필터 모듈(90)과 다른 성능을 가진 보조 필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케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한다. 케비닛(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패널(11)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2)과, 후측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3)를 포함한다. 케비닛(1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패널(12)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 1사이드 패널(12a)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 2사이드 패널(12b)을 포함할 수 있다.
케비닛(10)은,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비닛(10a)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비닛(10b)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처리 공간(10s)에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15)를 포함한다. 도어(15)는 처리 공간(10s)의 개구된 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처리 공간(10s)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5)가 닫히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와 격리되고, 도어(15)가 열리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어(15)는 닫힌 상태에서 후술할 외기 연결구(45)를 덮어줄 수 있다. 도어(15)는 닫힌 상태에서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를 덮어줄 수 있다.
내부 케비닛(10a)과 도어(15)의 내측면은 처리 공간(10s)을 정의한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에 공기(예를 들어, 열풍), 스팀, 방향제 및/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펼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에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수용된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순환 및 필터링을 통해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케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시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를 제습시키거나 의류의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비닛(10)은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기계실(18)을 구비한다. 기계실(18)은 처리 공간(10s)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유로 바디(26), 팬(50) 및 열교환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필터 모듈(9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로부터 필터 모듈(90)이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이 기계실(18)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터 모듈(90)을 덮어주는 커버(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25)와 필터 모듈(90) 사이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필터(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행거 모듈(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케비닛(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모듈(30)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31)를 포함한다. 일 예로, 행거 바디(31)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걸림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행거 바디(31)는 옷을 직접 걸수 있도록 후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행거 바디(31)는 행거 유동부(33)를 통해 케비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는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는 진동 방향(+X, -X)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의 상측면에 복수의 걸림 홈(미도시)이 진동 방향(+X, -X)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행거 바디(31)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행거 유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가 운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가 운동할 때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케비닛(10)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바디(31)에 고정된다. 행거 유동부(33)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39)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유닛(39)은 행거 바디(31)에 연결되어, 진동 유닛(39)의 진동을 행거 바디(31)에 전달한다. 진동 유닛(39)은 행거 바디(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거 바디(31)는 진동 방향(+X, -X)과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미도시)을 형성하고, 진동 유닛(39)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유닛(39)의 상기 돌기부는 행거 바디(31)의 상기 슬릿에 삽입된 채 상기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상기 슬릿에 대해 상대 운동함으로써, 행거 바디(31)에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만 전달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공기 유로(P)는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한다. 공기 유로(P)에는,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된다. 밸브 작동 모듈(80) 및 밸브(7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공기 유로(P)를 구획하는 유로 바디(26)를 포함한다. 유로 바디(26)는 기계실(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이너 흡입구(41)가 구비된다. 이너 흡입구(41)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내부 케비닛(10a)의 바닥면에 이너 흡입구(41)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와 내부 케비닛(10a)의 사이에 이너 흡입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공기 유로(P)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이너 토출구(44)가 구비된다. 이너 토출구(44)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내부 케비닛(10a)의 바닥면에 이너 토출구(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에 방사형 망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공기 유로(P) 내의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될 수 있다.
후술할 순환 유로(Pa, Pb)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부터 공기 유로(P)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 흡입구(41) 및 이너 토출구(44)는 각각 처리 공간(10s) 바닥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다.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 유입 구간(P4)이 구비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해 외부 공간(Ou)의 공기가 공기 유로(P)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후술할 환기 유로(Pc)의 상류 말단부를 구성한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환기 유로(Pc)가 선택된 상태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해 외부 공간(Ou)으로부터 공기 유로(P)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기 유출 구간(P5)이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을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처리 공간(10s)과 외부 공간(Ou)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처리 공간(10s)과 외부 공간(Ou)을 연결하는 유로를 구성한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과한 공기가 외기 연결구(45)를 거쳐 기계실(18)내로 유입된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의 배면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의 하류 말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외기 유입 구간(P4) 및 외기 연결구(4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유로 바디(26) 내부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외기 연결구(45)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 통과 구간(P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처리 공간(10s)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5)는 외기 연결구(45)를 덮어준다. 외기 연결구(45)는 기계실(18)의 도어(15)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기계실(18)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외기 연결구(45)는 노출될 수 있다.
도어(15)에 배치된 제 1아우터 흡입부(47a) 및 제 2아우터 흡입부(47b)에 대응하여,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는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는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를 사이에 두며 배치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외기 유입 구간(P4)을 형성하는 아우터 흡입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도어(15)에 대해 소정의 회전 방향(M1)으로 회전하여, 외기 유입 구간(P4)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도어(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아우터 흡입부(47a, 47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아우터 흡입부(47a) 및 제 2아우터 흡입부(47b)가 도어(15)의 양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아우터 흡입부(47a, 47b)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여,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정의하는 개폐부(47o)를 포함할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개폐부(47o)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개폐부(47o)는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어(15)의 외측에 외기 유입 구간(P4)에 대응하는 흡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의 화살표 Af를 참고하여, 개폐부(47o)가 회전하여 외기 유입 구간(P4)의 상류측 말단이 도어(15)의 상기 흡입 홀과 일치되면,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해 외부 공간(Ou)의 공기가 기계실(18)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배기 유출 구간(P5)을 형성하는 아우터 토출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도어(15)에 대해 소정의 회전 방향(M2)으로 회전하여, 배기 유출 구간(P5)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도어(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아우터 토출부(48a, 48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아우터 토출부(48a) 및 제 2아우터 토출부(48b)가 도어(15)의 양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아우터 토출부(48a, 48b)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아우터 흡입부(47)의 상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토출부(48) 및 아우터 흡입부(47)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여,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정의하는 개폐부(48o)를 포함할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개폐부(48o)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개폐부(48o)는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어(15)의 외측에 토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b)의 화살표 Af를 참고하여, 개폐부(48o)가 회전하여 배기 유출 구간(P5)의 하류측 말단이 도어(15)의 상기 토출 홀과 일치되면, 배기 유출 구간(P5)을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팬(50)은 공기 유로(P) 상의 공기에 압력을 가한다. 팬(50)은 공기 유로(P) 상에 배치된다. 팬(50)은 유로 바디(26) 내에 배치된다. 팬(50)은 후술할 공유 구간(P0)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팬(50)으로 공기 유로(P) 상의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팬(50)은 유로 바디(26)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50)은 이너 흡입구(41)보다 이너 토출구(4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전방에서 후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다가 상측으로 꺾여 이너 토출구(44)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팬(50)은 공유 구간의 상측으로 꺾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50)은 원심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열교환 모듈(60)은 공기 유로(P) 상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60)은 유로 바디(26) 내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60)은 후술할 공유 구간(P0)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60)로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은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 모듈은 증발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기(61) 및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은, 압축기(미도시) 및 팽창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및 상기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냉매 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는 먼저 제 1열교환기(61)를 거치며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고, 응축수 발생으로 열용량이 작아진 공기는 제 2열교환기(63)를 거치며 가열된다. 이에 따라, 제 1열교환기(61)를 거치기 전의 공기에 비해 제 2열교환기(63)를 거친 후의 공기가, 낮은 습도 및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열교환 모듈(60)은 처리된 공기가 처리 전 공기보다 냉각되게 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열교환 모듈(60)의 작동 여부는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팬(50)을 작동시켜, 공기 유로(P) 상을 흘러가며 별도의 가열 처리가 되지 않은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열교환 모듈(6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의 제 1열교환기(61)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부(28) 내로 수집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부(28)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응축수 저장부(28)는 정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스팀 모듈(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모듈(7)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미도시)와, 발생된 증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키는 스팀 분사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기는 기계실(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분사구(21)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팀 분사구(21)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의 후방에 배치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스팀 모듈(7)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공급수 저장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수 저장부(29) 내의 물은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하여 증기로 변화할 수 있다. 공급수 저장부(29)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공급수 저장부(29)는 정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는 키, 버튼, 다이얼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처리를 위한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처리 공간(10s) 내에 수용된 의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처리 공간(10s) 내부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공기 유로(P) 상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외부 공간(Ou)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공기의 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4)는 처리 공간(10s)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감지하는 의류 인식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는 습도 및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서버, 단말기 및/또는 충전대 등과 통신하게 구비된 통신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방향제를 공급하는 방향제 공급 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정전기 방지제를 공급하는 정전기 방지제 공급 모듈(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통신부(5)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 또는 통신부(5)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들(6, 7, 8, 9, 50, 60, 80, 47, 48)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센싱부(4)로부터 감지된 환경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센싱부(4)가 감지한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들(6, 7, 8, 9, 30, 50, 60, 80, 47, 48)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는, 외부 공간(Ou)의 공기의 습도가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의 습도보다 낮다는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할 환기 모드를 선택하도록 의류 처리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출력부(6)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방향제 공급 모듈(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정전기 방지제 공급 모듈(9)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팬(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열교환 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밸브 작동 모듈(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 참고) 제어부(2)는 밸브 작동 모듈(80)을 작동시켜,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킬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에 의해 밸브(70)가 동작되면,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선택 유로'가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 유로란, 제어부(2)에 의해 복수의 유로 중 현재의 모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우회 순환 유로이고, 도 8b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필터링 순환 유로이고, 도 8c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환기 유로이다.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 참고)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된 상기 공기 유로(P)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공기 흐름 방향(Af)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도시되며, 공기 유로(P)의 각 구간별로 화살표의 종류를 달리하여 도시된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순환 공급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외부 공간(Ou)의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쳐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내로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도 있다. 방향제 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첨가시킨 공기를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기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8a, 도 8b 및 도 8c에서 복수의 유로(Pa, Pb, P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나, 이에 제한될 필요없이 상기 복수의 유로는 2개로 기설정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에 의해서,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한 선택 유로에서 다른 한 선택 유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공기가 필터부(95)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회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Pb, P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95)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어느 한 필터부(95)를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이며, 추가로 구비된 별도의 필터부(예를 들어, 보조 필터부(23b))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무관하다. 즉, 공기가 필터부(95)를 우회한다는 것은, 공기가 상기 별도의 필터부(23b)를 통과하는 것까지 배제하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우회 유로(Pa)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게 구비된 우회 순환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Pb, Pc)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필터링 순환 유로(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Pb, Pc)는,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환기 유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의 순환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 유로(Pa, P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유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 유로(Pa, Pb)는, 상기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우회 순환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 유로(Pa, Pb)는,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필터링 순환 유로(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유로(Pc)는,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안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우회 순환 유로(Pa)는,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링 순환 유로(Pb)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처리 공간(10s)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기 유로(Pc)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공기 유로(P)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구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 유로(P)는, 상기 우회 유로(Pa)의 일부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 Pc)의 일부를 공통되게 구성하는 공유 구간(P0)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상기 순환 유로(Pa, Pb)의 일부와 상기 환기 유로(Pc)의 일부를 공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처리 공간(10s)으로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이너 유입 구간(P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게 안내하는 필터 통과 구간(P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는, 외부 공간(Ou)의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는, 상기 이너 유입 구간(P1),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1밸브(70a)가 열리고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제 1입구(42)는 열리고 제 2입구(43)는 닫힌다. 도 8a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 경우,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닫아주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닫아준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에서 이너 유입 구간(P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제 1입구(42)를 통해 이너 유입 구간(P1)에서 공유 구간(P0)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이 때, 외부 공간(Ou)과 처리 공간(10s) 사이에서 공기가 유출입되지 않는다.
도 8b를 참고하여,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는, 상기 이너 유입 구간(P1), 상기 필터 통과 구간(P2),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8b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1밸브(70a)가 닫히고 제 2밸브(70b)가 열린 상태에서, 제 1입구(42)는 닫히고 제 2입구(43)는 열린다. 도 8a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 경우,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닫아주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닫아준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에서 이너 유입 구간(P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제 2입구(43)를 통해 이너 유입 구간(P1)에서 필터 통과 구간(P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통과 구간(P2)에서 필터부(95)를 통과한 공기는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이 때, 외부 공간(Ou)과 처리 공간(10s) 사이에서 공기가 유출입되지 않는다.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환기 유로(Pc)는, 상기 외기 유입 구간(P4), 상기 필터 통과 구간(P2),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8c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모두 닫힌다. 도 8c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 경우,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열어주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열어준다. 외부 공간(Ou)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외기 연결구(45)를 통해 외기 유입 구간(P4)에서 필터 통과 구간(P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통과 구간(P2)에서 필터부(95)를 통과한 공기는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또한,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배기 유출 구간(P5)을 통해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8c 및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로(Pa, Pb, Pc)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유로에서 다른 하나의 선택 유로로 변경되게 구비된다. 상기 밸브(70)의 작동은 상기 밸브(70)의 개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우회 유로(Pa)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 Pc)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순환 유로(Pa, Pb) 및 상기 환기 유로(Pc)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 상기 필터링 유로(Pb, Pc) 및 상기 환기 유로(Pc)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의 하류측에 제 1입구(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이너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공유 구간(P0)의 상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필터부(95)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의 하류측에 제 2입구(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이너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필터 통과 구간(P2)의 상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필터부(95)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필터 모듈(9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 사이에 필터 모듈(90)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 모듈 삽입구(26h)가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는, 상기 우회 유로(Pa) 상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 1밸브(7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제 1입구(42)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우회 유로(Pa)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연다. 제 1밸브(70a)는 상기 필터링 유로(Pb, Pc)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닫는다. 제 1밸브(70a)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닫는다. 제 1밸브(70a)는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닫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는, 상기 필터링 유로(Pb, Pc) 상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 2밸브(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제 2입구(43)를 개폐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될 때 제 2입구(43)를 연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우회 유로(Pa)가 선택될 때 제 2입구(43)를 닫는다. 제 2밸브(70b)는,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제 2입구(43)를 닫는다.
제 1밸브(70a)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은 제 1입구(42)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회전축(Ob)은 제 2입구(43)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필터 모듈(9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제 1밸브(70a)의 제 2밸브(70b)를 바라보는 측 말단에 제 1회전축(Oa)이 배치되고, 제 2밸브(70b)의 제 1밸브(70a)를 바라보는 측 말단에 제 2회전축(Ob)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 사이에 필터 모듈(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제 1회전축(Oa)의 기능을 제공하는 축부(미도시) 및 회전하며 제 1입구(42)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상기 축부 및 사익 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제 2회전축(Ob)의 기능을 제공하는 축부(미도시) 및 회전하며 제 2입구(43)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상기 축부 및 사익 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바디(26)는 밸브(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축부의 양 말단에 배치된 밸브 지지부(26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축부의 양 말단에 배치된 밸브 지지부(2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바디(26)는, 밸브(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밸브 리미트(2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리미트(26c)는, 밸브(70)가 닫힌 상태의 위치를 설정해줄 수 있다. 제 1밸브 리미트(26c1)는, 제 1밸브(70a)가 닫힌 상태에서 제 1밸브(70a)가 접촉하게 구비된다. 제 2밸브 리미트(26c2)는,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제 2밸브(70b)가 접촉하게 구비된다. (도 6a, 도 6b 및 도 11 참고)
제 1밸브(70a)는 닫힌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릴 수 있다. 제 1밸브 리미트(26c1)는 공기 흐름 방향(Af)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밸브 리미트(26c1)는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닫힌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릴 수 있다. 제 2밸브 리미트(26c2)는 공기 흐름 방향(Af)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밸브 리미트(26c2)는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상기 축부의 일단은 후술할 제 1밸브 연결부(81)에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 홀더(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상기 축부의 일단은 후술할 제 2밸브 연결부(82)에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 홀더(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밸브 홀더(27)는 유로 바디(26)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홀더(27)는 유로 바디(26)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홀더(27)는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을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 및 밸브 홀더(27)의 사이에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배치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유로 바디(26)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유로 바디(26)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동시에 닫힘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 중 어느 하나는 열림 상태가 되고 다른 하나는 닫힘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개폐시킴으써, 후술할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는 열림되고 제 2밸브(70b)는 닫힘되는 제 1모드와, 제 1밸브(70a)는 닫힘되고 제 2밸브(70b)는 열림되는 제 2모드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힘되는 제 3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개폐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모터(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83)는 일측으로 돌출된 모터축(83a)을 포함한다. 모터(83)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해서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모터(83)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듈 케이싱(87)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은 유로 바디(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은 후술할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은 후술할 밸브 조절부(8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에 후술할 구속부(88)가 고정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회전시 제 1밸브(70a)가 같이 회전하도록 제 1밸브(70a)와 연결되는 제 1밸브 연결부(81)를 포함한다. 제 1밸브 연결부(81)는 소정의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밸브(70a)는 제 1밸브 연결부(81)에 고정되어 제 1밸브(70a) 및 제 1밸브 연결부(81)가 일체로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밸브 연결부(81)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1밸브(70a)는 제 1회전축(Oa)과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제 1밸브 연결부(81)가 회전하면 연결된 기어나 벨트 등에 의해 제 1밸브(70a)가 함께 회전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밸브 연결부(81)는 제 1밸브(70a)가 고정되는 제 1밸브 고정부(8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상기 축부의 일단이 제 1밸브 고정부(81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밸브 고정부(81a)는 제 1회전축(Oa)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 1밸브 고정부(81a)는 모듈 케이싱(8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밸브 고정부(81a)는 제 1밸브(70a)와의 상대적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스플라인축(spline shaft)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밸브 연결부(81)는 제 1기어부(8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는 밸브 조절부(8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1기어부(81b)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는 모듈 케이싱(8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와 제 1밸브 고정부(81a)는 일체로 회전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회전시 제 2밸브(70b)가 같이 회전하도록 제 2밸브(70b)와 연결되는 제 2밸브 연결부(82)를 포함한다. 제 2밸브 연결부(82)는 소정의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밸브(70b)는 제 2밸브 연결부(82)에 고정되어 제 2밸브(70b) 및 제 2밸브 연결부(82)가 일체로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 2밸브 연결부(82)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2밸브(70b)는 제 2회전축(Ob)과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제 2밸브 연결부(82)가 회전하면 연결된 기어나 벨트 등에 의해 제 2밸브(70b)가 함께 회전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밸브 연결부(82)는 제 2밸브(70b)가 고정되는 제 2밸브 고정부(8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상기 축부의 일단이 제 2밸브 고정부(82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밸브 고정부(82a)는 제 2회전축(Ob)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 2밸브 고정부(82a)는 모듈 케이싱(8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밸브 고정부(82a)는 제 2밸브(70b)와의 상대적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스플라인축(spline shaft)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밸브 연결부(82)는 제 2기어부(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기어부(82b)는 밸브 조절부(8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2기어부(82b)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기어부(82b)는 모듈 케이싱(8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기어부(82b)와 제 2밸브 고정부(82a)는 일체로 회전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밸브 조절부(84)를 포함한다. 밸브 조절부(84)는 모듈 케이싱(8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조절부(84)는 모듈 케이싱(87)에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조절부(84)는 모터(83)의 동력에 의해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회전시키는 것이 달라지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어느 하나에만 회전력을 전달하게 회전할 수 있다.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어느 것에도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게 회전할 수 있다.
중심축(Oc)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중심축(Oc)은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과 다른 회전축으로 기설정된다. 중심축(Oc)은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맞물리는 기어부가 달라지게 구비되는 주동 기어부(84a)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어느 하나만 맞물리게 구비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모두 맞물리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소정 각(Ag2) 범위에서 밸브 조절부(84)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소정 각(Ag2) 범위에서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한다. 상기 각(Ag)는 예각 범위의 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이 이루는 소정 각(Ag1)은, 상기 각(Ag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조절부(84)의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회전하는 것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Oc)과 제 1회전축(Oa)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에 주동 기어부(84a)가 위치할 때, 주동 기어부(84a)는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제 1기어부(81b)에만 접촉하게 된다. 도 8b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Oc)과 제 2회전축(Ob)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에 주동 기어부(84a)가 위치할 때, 주동 기어부(84a)는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제 2기어부(82b)에만 접촉하게 된다. 도 8c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Ag1)의 범위내에 주동 기어부(84a)가 위치할 때, 주동 기어부(84a)는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에 모두 접촉하지 않게된다.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는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기어부(81b) 중 중심축(Oc)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기어이 및 제 2기어부(82b) 중 중심축(Oc)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기어이는,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주동 기어부(84a)는 중심축(Oc)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기어이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동 기어부(84a)를 통해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동 기어부(84a)를 통해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조절부(84)는 모터(8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기어부(8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밸브 조절부(84)에 모터축(83a)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후술할 동력 전달부(85)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종동 기어부(84b)는 후술할 웜 기어(85)에 맞물릴 수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주동 기어부(84a)와 일체로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밸브 조절부(84)는 주동 기어부(84a) 및 종동 기어부(84b)가 배치되는 회전 바디부(84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부(84c)는 모듈 케이싱(87)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부(84c)는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고, 모듈 케이싱(87)에 회전 바디부(84c)의 상기 중심 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회전 바디부(84c)에서 중심축(Oc)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회전 바디부(84c)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모터(83)의 회전력을 밸브 조절부(84)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85)는 기어, 벨트 및/또는 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85)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부(85)가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부(85)는 상기 모터축(83a)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웜 기어(8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83a)은 가상의 전달축(O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웜 기어(85)는 전달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웜 기어(85)는 모터축(83a)과 일체로 회전한다. 웜 기어(85)는 종동 기어부(84b)에 맞물려 전달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밸브 조절부(84)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밸브 조절부(8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구속부(88)를 포함한다. 구속부(88)는 모듈 케이싱(87)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속부(88)의 위치는 고정되며, 밸브 조절부(84)의 후술할 제 1 및 2 걸림면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속부(88)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구속부(88)는 밸브 조절부(84)의 제 1방향 회전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제 1구속부(88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88)는 밸브 조절부(84)의 제 2방향 회전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제 2구속부(88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방향은 주동 기어부(84a)가 제 1 및 2 밸브 연결부(81, 82) 중 제 1밸브 연결부(81) 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 2방향은 주동 기어부(84a)가 제 1 및 2 밸브 연결부(81, 82) 중 제 2밸브 연결부(82) 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회전 바디부(84c)는 제 1구속부(88a)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1걸림 면(미도시)을 포함한다. 회전 바디부(84c)는 제 2구속부(88b)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2걸림 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걸림면 및 상기 제 2걸림면이 이루는 각은 상기 소정 각(Ag2)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걸림면 및 상기 제 2걸림면의 사이 각도 범위에 주동 기어부(84a)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할 때 제 1밸브(70a)가 열림된 상태가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 2밸브(70b)는 닫힘된 상태가 된다. 도 8a의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밸브 연결부(81)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1밸브(70a)는 제 1입구(42)를 닫아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c를 참고하여, 주동 기어부(84a)가 상기 소정 각(Ag1) 범위 내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며, 제 1밸브(70a)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8c의 밸브 조절부(84)의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밸브(70a)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되, 제 2밸브 연결부(82)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2밸브(70b)는 제 2입구(43)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b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가 된다.
도 8b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할 때 제 2밸브(70b)가 열림된 상태가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 1밸브(70a)는 닫힘된 상태가 된다. 도 8b의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밸브 연결부(82)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2밸브(70b)는 제 2입구(43)를 닫아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c를 참고하여, 주동 기어부(84a)가 상기 소정 각(Ag1) 범위 내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며, 제 2밸브(70b)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8c의 밸브 조절부(84)의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밸브(70b)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되, 제 1밸브 연결부(81)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1밸브(70a)는 제 1입구(42)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a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가 된다.
구속부(88)에 밸브 조절부(84)가 걸림된 상태에서, 모터축(83a)도 구속되어 회전을 정지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모터 회전의 구속과 스텝(step) 회전을 이용하여,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축(83a)의 정방향 회전은 밸브 조절부(84)를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을 의미하고, 모터축(83a)의 역방향 회전은 밸브 조절부(84)를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 중 어느 하나는 닫히고 다른 하나는 열린 상태(도 8a 및 도 8b 참고)로 제어하기 위하여, 모터축(83a)을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속부(88)에 의해 구속될 때까지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모터축(83a)을 정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제 1밸브(70a)는 열림 상태가 되고 제 2밸브(70b)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8b를 참고하여, 모터축(83a)을 역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제 2밸브(70b)는 열림 상태가 되고 제 1밸브(70a)는 닫힘 상태가 된다.
또한,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도 8c 참고)로 제어하기 위하여, 모터축(83a)을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속부(88)에 의해 구속될 때까지 충분히 회전시킨 다음, 반대 방향으로 일정 회전각만큼 회전(스텝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모터축(83a)을 정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도 8a)에서 제 1밸브(70a)는 열림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모터축(83a)을 소정 회전각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힘 상태(도 8c)가 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축(83a)을 역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도 8b)에서 제 2밸브(70b)는 열림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모터축(83a)을 소정 회전각만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힘 상태(도 8c)가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은 동력 전달부(85) 및 밸브 조절부(84)의 기어비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일정한 경우, 상기 회전각은 상기 모터의 기설정된 회전 시간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부(2)는,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하여, 의류 처리 장치(1)의 전원 입력 시 항상 밸브(70)의 위치를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도 8c 참고)로 초기화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필터 모듈(9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유로 바디(26)에 형성된 필터 모듈 삽입구(26h)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이 필터 모듈 삽입구(26h)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 유로(P) 상의 필터 통과 구간(P2)에 필터부(95)가 배치된다.
필터 모듈(90)은 소정의 착탈 모션 방향(M3)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은 필터링 유로(Pb, Pc)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90)은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은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은 통과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9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95)는, 후술할 보조 필터부(23b)와 기능이 다른다. 필터부(95)는, 보조 필터부(23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까지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5)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PA 필터는 소모성으로서 교체가 필요하다. 상기 HEPA 필터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미세 먼지,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걸러준다. 예를 들어, 상기 HEPA 필터는 0.3μ정도의 입자로 99.97% 이상의 여과율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HEPA 필터는, 유리섬유나 아스베스트 섬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HEPA 필터는, 물로 씻을 수 없고, 솔이나 브러쉬 등으로 털어서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HEPA에 소정치 이상의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필터링 유로(Pb, P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HEPA 필터의 고성능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우회 유로(P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팀 모듈(7)을 통해 처리 공간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HEPA에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필터부(95)를 지지하는 필터 바디부(91)를 포함한다. 필터 바디부(91)에 필터부(95)는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95)를 교체하기 위하여, 필터 바디부(91)를 유로 바디(26)로부터 인출한 뒤, 필터부(95)를 필터 바디부(91)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필터 바디부(91)가 유로 바디(26)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터 모듈(90)을 손으로 잡기위해 제공되는 핸들(93)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93)은 필터 바디부(91)에 고정된다. 핸들(93)은 필터 바디부(9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 및 보조 필터(23)를 탈거시키면, 핸들(93)이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필터 바디부(91)는 필터부(95)가 배치되는 필터 배치부(91a)를 포함한다. 필터 배치부(91a)는 필터부(95)의 위치를 안내해준다. 필터 배치부(91a)는 필터부(95)의 일측면에 접촉한다. 필터 배치부(91a)는 격자형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 배치부(91a)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배치부(91a1)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배치부(91a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필터 배치부(91a)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통과한다.
필터 바디부(91)는 핸들(93)과 필터부(95)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정해주는 프레임부(91b)를 포함한다. 프레임부(91b)는 필터부(95)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프레임부(91b)는 필터부(95)와 핸들(93) 사이에 소정 거리의 간격이 유지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커버(25)는 상기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하며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상기 우회 유로(Pa)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로 공기가 유입되는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는 커버(25)와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25)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보조 필터(23)의 탈거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케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내부 케비닛(10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 바디(26)는 커버(25)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26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는 공기 유로(P)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는 이너 유입 구간(P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는 내부에 공기 유로(P)를 형성하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의 상단부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에는 커버 서포터(25a2)가 올려지도록 단차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5)는 커버 지지부(26a)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바디(25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25a)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평면을 형성하는 커버부(25a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5a1)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이너 흡입구(41)를 가려준다. 커버 바디(25a)는 커버부(25a1)를 받쳐주는 커버 서포터(25a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서포터(25a2)의 상단은 커버부(25a1)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커버 지지부(26a)에 접촉될 수 있다. 커버 서포터(25a2)는 커버부(25a1)에서 하측으로 특정 지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 수평으로 꺾여 연장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커버 서포터(25a2)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서포터(25a2)와 커버부(25a1)의 사이에 틈이 이너 흡입구(4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25)는 향기 시트(25b)를 포함할 수 있다. 향기 시트(25b)는 인접한 공기에 사용자를 쾌적하게 하는 향을 첨가시킬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하는 커버(25)에 향기 시트(25b)를 구비시킴으로써, 우회 유로(Pa) 및 필터링 유로(Pb)를 통하는 공기에 효율적으로 향기를 첨가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조 필터(23)는 필터 모듈과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필터 모듈(9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커버(25)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유로 바디(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내부 케비닛(10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상기 우회 유로(Pa)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되 상기 필터부(95)와 기능이 다를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상기 HEPA 필터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 필터부(23b)는 메시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필터부(23b)는 상기 필터부(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만 걸러낼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증기가 통과해도 무방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보조 필터(23)로 우회 유로(Pa) 및 필터링 유로(Pb)에 모두 보조 필터링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보조 필터부(23b)를 지지하는 보조 바디부(23a)를 포함한다. 보조 바디부(23a)는 공기의 흐름 방향(Af)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바디부(23a)는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보조 필터부(23b)가 배치된다.
도 3 및 도 9를 참고하여, 사용자는 도어(15)를 열고, 커버(25)를 탈거한 뒤 필터 모듈(90)을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25)를 탈거한 뒤, 후술할 보조 필터(23)를 탈거한 뒤 필터 모듈(90)을 인출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여, 커버(25)를 케비닛(10)으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보조 필터(23)의 일측면이 노출된다. 도 9(b)를 참고하여, 보조 필터(23)를 케비닛(10)으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필터 모듈(90)의 핸들(93)이 노출된다. 보조 필터(23)가 탈거된 상태에서,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노출될 수 있다. 도 9(c)를 참고하여, 핸들(93)을 잡고 당김으로써, 필터 모듈(90)은 필터 모듈 삽입구(26h)로부터 인출된다.
이하, 도 5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복수의 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는, 기설정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2)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 내 각종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공기가 필터부(95)에 의해 필터링 되도록 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우회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회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스팀(steam)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우회 유로(Pa)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처리 공간(10s)에 공급되는 증기가 필터부(95)를 통과하지 않게 하면서도,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별도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모드(필터링 순환 모드,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스팀을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필터링 유로(Pb, Pc)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처리 공간(10s) 내 공기 순환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환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모드(우회 순환 모드,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순환 유로(Pa, Pb)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를 제어한다.
상기 순환 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 또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된다.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 또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될 때,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즉,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닫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닫는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를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된다.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열림되게 제어한다. 즉,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열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연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우회 순환 모드, 필터링 순환 모드 및 환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부(3)의 입력을 통해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하나의 의류 처리 과정에서 시간 구간별로 달리 선택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센싱부(4)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달리 선택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는 열리고 제 2밸브(70b)는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를 통해서, 스팀이 효율적으로 의류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는 닫히고 제 2밸브(70b)는 열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를 통해서, 의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 및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각각 행거 모듈(30)의 진동 패턴을 달리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2)는,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행거 모듈(30)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진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행거 모듈(30)이 상대적으로 빨리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가 닫히고 제 2밸브(70b)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열림되게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를 통해서, 의류에 함유된 습기나 냄새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 모드에서, 처리 공간(10s) 내의 먼지나 냄새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의류 처리 장치 2 : 제어부
7 : 스팀 모듈 10 : 케비닛
10s : 처리 공간 23 : 보조 필터
25 : 커버 26 : 유로 바디
30 : 행거 모듈 41 : 이너 흡입구
42 : 제 1입구 43 : 제 2입구
44 : 이너 토출구 45 : 외기 연결구
47 : 아우터 흡입부 48 : 아우터 토출부
50 : 팬 60 : 열교환 모듈
70 : 밸브 70a : 제 1밸브
70b : 제 2밸브 80 : 밸브 작동 모듈
81 : 제 1밸브 연결부 82 : 제 2밸브 연결부
83 : 모터 84 : 밸브 조절부
85 : 동력 전달부 87 : 모듈 케이싱
88 : 구속부 90 : 필터 모듈
95 : 필터부 Pa, Pb, Pc : 복수의 유로
P0 : 공유 구간 P1 : 이너 유입 구간
P2 : 필터 통과 구간 P4 : 외기 유입 구간
P5 : 배기 유출 구간 Oa : 제 1회전축
Ob : 제 2회전축 Oc : 중심축
Om : 전달축

Claims (15)

  1.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케비닛;
    상기 처리공간 또는 상기 케비닛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모듈이 배치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상기 처리공간 또는 상기 케비닛 외부에서 상기 기계실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모듈과 상기 팬이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처리공간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공유 구간;
    상기 처리공간에서 상기 기계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모듈을 우회하여 상기 공유 구간으로 안내하는 필터 우회 구간; 및
    상기 처리공간 또는 상기 케비닛 외부에서 상기 기계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공유 구간으로 안내하는 필터 통과 구간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우회 구간 및 상기 필터 통과 구간은 상기 공유 구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는 상기 처리공간과 상기 공유 구간을 연통하는 이너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상면에는 상기 처리공간과 상기 필터 우회 구간 또는 상기 필터 통과 구간을 연통하는 이너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흡입구는 상기 이너 토출구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 통과 구간과 상기 케비닛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외기 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비닛 외부 공간, 상기 외기 연결구 및 상기 필터 통과 구간 사이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개구된 면을 개폐하고, 상기 기계실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공유 구간을 통해 상기 처리공간으로 안내된 공기를 상기 케비닛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 유출 구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출 구간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 유출 구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과 상기 필터 통과 구간 또는 상기 필터 우회 구간을 서로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밸브 작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부에는 상기 처리공간과 상기 필터 우회 구간을 연결하는 제1입구 및 상기 처리공간과 상기 필터 통과 구간을 연결하는 제2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입구와 상기 제2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입구를 개폐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입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작동 모듈은 하나의 모터로 구비되며, 모터의 회전 각도에 의해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의 개폐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스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은 HEPA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12325A 2019-07-02 2022-09-05 의류 처리 장치 KR10254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325A KR102541188B1 (ko) 2019-07-02 2022-09-05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16A KR102294610B1 (ko) 2017-12-08 2019-07-02 의류 처리 장치
KR1020210110334A KR102443322B1 (ko) 2019-07-02 2021-08-20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12325A KR102541188B1 (ko) 2019-07-02 2022-09-05 의류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34A Division KR102443322B1 (ko) 2019-07-02 2021-08-20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505A KR20220129505A (ko) 2022-09-23
KR102541188B1 true KR102541188B1 (ko) 2023-06-13

Family

ID=7779721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34A KR102443322B1 (ko) 2019-07-02 2021-08-20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07809A KR102625459B1 (ko) 2019-07-02 2022-08-26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12324A KR102655485B1 (ko) 2019-07-02 2022-09-05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12325A KR102541188B1 (ko) 2019-07-02 2022-09-05 의류 처리 장치
KR1020240002947A KR20240010063A (ko) 2019-07-02 2024-01-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240002948A KR20240010064A (ko) 2019-07-02 2024-01-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240040325A KR20240045185A (ko) 2019-07-02 2024-03-25 의류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34A KR102443322B1 (ko) 2019-07-02 2021-08-20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07809A KR102625459B1 (ko) 2019-07-02 2022-08-26 의류 처리 장치
KR1020220112324A KR102655485B1 (ko) 2019-07-02 2022-09-05 의류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2947A KR20240010063A (ko) 2019-07-02 2024-01-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240002948A KR20240010064A (ko) 2019-07-02 2024-01-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240040325A KR20240045185A (ko) 2019-07-02 2024-03-25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4433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656A (ja) 2007-04-09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537B2 (ja) * 1991-04-26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リフレッシュ装置
JP3678101B2 (ja) * 2000-01-31 2005-08-03 株式会社ノーリツ 浴室暖房乾燥機
KR20030094988A (ko) * 2002-06-11 2003-12-18 신재영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
KR100599041B1 (ko) * 2004-12-27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893217B1 (ko) * 2007-05-31 2009-04-16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1414635B1 (ko) * 2008-03-26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210712B1 (ko) * 2010-01-11 2012-12-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건조기용 댐퍼유닛
KR102118045B1 (ko) * 2013-03-1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16165357A (ja) * 2015-03-09 2016-09-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20170128958A (ko) * 2016-05-16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656A (ja) 2007-04-09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459B1 (ko) 2024-01-16
KR20240010064A (ko) 2024-01-23
KR102655485B1 (ko) 2024-04-08
KR20240045185A (ko) 2024-04-05
KR20240010063A (ko) 2024-01-23
KR20220123362A (ko) 2022-09-06
KR20210110254A (ko) 2021-09-07
KR20220129504A (ko) 2022-09-23
KR20220129505A (ko) 2022-09-23
KR102443322B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123B1 (ko) 의류 처리 장치
AU2022209319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294610B1 (ko) 의류 처리 장치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99953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1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541188B1 (ko) 의류 처리 장치
US1213485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370122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82718A (ko) 의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