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145B1 -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145B1
KR102541145B1 KR1020210079508A KR20210079508A KR102541145B1 KR 102541145 B1 KR102541145 B1 KR 102541145B1 KR 1020210079508 A KR1020210079508 A KR 1020210079508A KR 20210079508 A KR20210079508 A KR 20210079508A KR 102541145 B1 KR102541145 B1 KR 10254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filter
food wast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358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ublication of KR2021015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3Electro-optical investigation of a plurality of particles, the analys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arrangement
    • G01N2015/035Electro-optical investigation of a plurality of particles, the analys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arrangement the optical arrangement forming an integrated apparatus with the sampl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동애등에를 통하여 냄새 없이 처리하면서 동애등에의 애벌레를 사육함과 동시에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이나 음식점과 같은 곳에서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형 외형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된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처리 용기와; 상기 하우징 내, 외부로 처리용기를 이송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이송 콘베어와; 상기 이송 콘베어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투입된 복수의 처리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 좌, 우 격자형으로 다수 구비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유충 수집통이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과; 상기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운행하며, 상기 처리용기를 각 수납부에서 보관하거나 수거하는 트랜스퍼 유닛과; 상기 하우징 일단에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FOOD WASTE PROCESSING UNIT FOR USE BLACK SOLDIER FLY}
본 발명은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동애등에를 통하여 냄새 없이 처리하면서 동애등에의 애벌레를 사육함과 동시에 아파트등의 공동주택이나 음식점과 같은 곳에서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 동애등에와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중에서, 동애등에는 지렁이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 속도(4~5 일)보다 동에등에 유충이 1~2 일 더 빠르며, 더우면 활동을 못하는 지렁이와는 달리 동애등에는 기온의 영향도 받지 않으며, 번식력이 왕성하여, 동애등에 암컷은 한 번에 평균 800~1000개의 알을 낳고 이중 90%이상이 부화한다.
나아가, 동애등에는 유충에서 성충이 되는데 까지 약 40일이 걸리며, 유충은 이 기간에 보통 하루 2~3g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함으로써, 성충이 되는 40일 동안 동애등에 1마리가 대략 음식물 쓰레기 1.8~2.7㎏을 분해하는 셈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1774호(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는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 본체와, 경사면을 통해 이동한 유충이 수집되도록 한 수집부 및 본체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용기 덮개를 포함하고, 이러한 용기 본체를 여러개 구비하고 각각의 수집부와 연결되는 수집통을 구비하여 대량으로 유충을 사육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처리장치는, 인력에 의존하여 상기 수집부에 음식물 쓰레기와 유충을 채워 넣고 보관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력에 의존하다 보니 하루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도 한정적이기 때문에 민원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용기 본체가 용기 덮개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유충을 사육하기 위한 최적의 생육 조건(공기의 순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유충을 채워 넣고, 각 보관장소에 보관하며, 유충에게 최적의 생육조건을 부여하는 일련의 작업들을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박스형 외형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된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처리 용기와; 상기 하우징 내, 외부로 처리용기를 이송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이송 콘베어와; 상기 이송 콘베어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투입된 복수의 처리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 좌, 우 격자형으로 다수 구비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유충 수집통이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과; 상기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운행하며, 상기 처리용기를 각 수납부에서 보관하거나 수거하는 트랜스퍼 유닛과; 상기 하우징 일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과; 상기 최종 출력라인(2800)에 설치되며, 오염인자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오리형 패널(2330)은, 에어가 입력되는 입구의 너비는 크게 형성하고, 에어가 출력되는 출구의 너비는 입구의 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상기 최종 출력라인의 일단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채크를 위해 광을 투사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광소자의 광을 수신받아 출력라인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3)와;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를 갖고 먼지의 유입을 검지하는 포토센서(5)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반전증폭시키는 인버터부(6)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수광소자의 콜렉터전압에 따라 발광소자의 광량을 조절할 수있도록 펄스듀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의 출력신호에 의해 포토센서(5)인 발광소자(2)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8a)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전을 출력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조절부(8a)는, 상기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제어부(8)의 출력 펄스를 평활시키는 평활회로(9),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원을 분압하는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이면 작업자에 경고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는, 일측이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양사이드면에 설치하되, 상하로 다수개 설치되는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의 회전축에 다수겹으로 감기는 지지용 밸트(3600)와; 상기 지지용 밸트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회전부가 삽입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의해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회전시켜 지지용 밸트를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출입시키는 회전모터(3400)와; 상기 회전모터에 승하강축이 삽입 설치되어 회전모터를 승하강시키면서 다수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여 필요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지지용 밸트를 인출되도록함으로서 측정에 필요한 오염공기 측정키트를 인출시키는 수직이송 실린더(3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오염공기 측정키트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3510)와;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3520)와; 상기 제 1 필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3530)와; 상기 제 2 필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필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반응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필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반응제(3560)가 충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처리용기에 유충을 채워 넣고, 격자 프레임의 각 수납부에 보관하며, 유충에게 최적의 생육조건을 부여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 "A"선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하우징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하우징 실시예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요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첫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두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세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공기오염 측정키트 상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 "A"선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하우징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하우징 실시예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요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첫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두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세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공기오염 측정키트 상세 구성도로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이하, “처리장치”라 칭한다)는 하우징(100)과 교반기(200)와 처리 용기(300)와 이송 콘베어(400)와 격자 프레임(500)과 트랜스퍼 유닛(600)과 컨트롤러(700)와 발열부(8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장방형 박스형 외형을 갖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101)이 구비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후술하는 트래스퍼 유닛(600)과 발열부(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700)가 구비된다.
하우징(100)의 중간부분에는 교반기(200)가 구비되는데, 이 교반기(200)의 호퍼(210)로 동애등에 유충이 처리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데, 이 음식물 쓰레기에 더해 수분조절제로서, 톱밥 또는 코코피트, 볏짚, 쌀겨중 어느 하나가 추가되어 교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용기(300)에 담겨져 이송 콘베어(400)를 통해, 상기한 하우징(100)의 내부로 투입된다.
처리용기(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반기(200)에서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구성이다.
도 2 일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하나 이상의 측면이 바닥(310) 수평면으로부터 15°이상 85°이하의 각도(A)로 경사부(330)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330)와 일체로 이탈방지부(350)가 형성되는데, 이 이탈 방지부(350)는 상기한 바닥(310) 수평면으로부터 90°°각도로 형성되어 동애등에 유충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처리용기(300)는 경질 우레탄 재질 또는 금속재 외표면에 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것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동애등에 유충이 열에 민감하므로, 보다 왕성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처리용기(300)는 이송 콘베어(400)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되는데, 이송 콘베어(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용기(300)를 하우징(100) 내로 투입이 용이하도록 직각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콘베어(400)는 다수 구비된 롤러(401) 외주에 벨트(403)가 감겨진 벨트 콘베어(Belt Conveyor)로서 평면상 대칭형으로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10)의 처리 기능상, 일측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분조절제와 교반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되며, 이에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가 동애등에 유충에 의해 처리가 완료된 처리용기가(300)가 배출되는 배출부이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처리용기(300)를 다시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이송 콘베어(300)는 벨트 콘베어(Belt Conveyor)를 적용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벨트 콘베어 이외에 롤러 콘베어(Roller Conveyor)나 슬래트 콘베어(Slat Conveyor)중 어느 하나를 적용해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송 콘베어(4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처리용기(300)는 하우징(100) 내부로 운반되고, 운반이 완료되면, 트랜스퍼 유닛(600)에 의해 격자 프레임(500)에 다수 구비된 수납부(510)중 정해진 위치에 수납된다.
격자 프레임(500)은, 상기한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 복수의 처리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 좌, 우 격자형으로 다수 수납부(510)가 다수 구비되는데, 이 수납부(5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 용기(300)의 양단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칭형으로 지지부재(511)가 구비된다.
이 지지부재(511)는 외부 표면에 고무재질의 방진부재(513)가 코팅되어 후술하는 발열부(800)의 에어 블로워(830)가 운전될 때, 진동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납부(510)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유충 수집통(53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유충 수집통(530)은 애벌레의 특성상 노숙 유충이 되면 번데기로 변하기 위하여 처리용기(300) 밖으로 탈출할 때, 이 노숙 유충들을 따로 모아서, 성충이 되는 우화기간 동안 보관장소로 활용하고, 성충이 되면 별도의 장소로 이동하여 교미를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500)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운행하며, 처리용기(300)를 각 수납부(510)에서 수납하거나 수거하는 트랜스퍼 유닛(600)은, 주행부(610)와 승강부(630)와 투입부(650)로 이루어진다.
주행부(610)는, 상술한 하우징(100) 내에 상, 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610a,610b)을 따라 전, 후 왕복할 수 있도록 구비된 메인프레임(601) 하부에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구성으로서, 일측의 구동롤러(611)에 구동모터(613)가 연결되어, 이 구동모터(613)의 구동력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610a)에는 가이드 롤러(615)가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유닛(600)이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하였다.
승강부(630)는, 승강모터(631)와 와이어 풀리(633)와 가이드 풀리(635)로 이루어진다.
승강모터(631)는 상기한 메인프레임(601)의 일측 중간 부분에 구비되며, 구동부 양측에 와이어풀리(633)가 대칭형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풀리(633) 각각에 권취된 와이어로프(634)는 양측에 각 2개씩 구비된 가이드 풀리(635)에 도르레식으로 감긴 양단이 투입부(650)에 결합되어 있다.
투입부(650)는 지지프레임(651)과 레일지지 프레임(653)과 제 1, 2슬라이더(655)(657)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651)은 상기한 승강부(630)의 와이어로프(634) 양단이 결합된 구성으로서, 투입부(650)의 상, 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100)의 일단에 오염저감장치(2000)를 더 부가 설치하는바, 본 발명의 오염저감장치는 에어가 모이면서 충돌하여 일정한 열을 발생시키도록하며, 상기와 같이 열이 발생하면서 오염 공기에 존재하는 오염요소가 일정부분 제거되도록 유도한다.
즉, 오염공기가 상호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되어 오염공기의 마찰에 의해서 일정부분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에어 입력관(2100)과,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에어 출력관(2500)과, 확산실(2600)과, 모터 입력라인(2700)과, 최종 출력라인(2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수직한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으로 에어가 통과되는 관이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통과시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로 에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켜 에어를 에어 입력관(2100)으로 펌핑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범위는 에어의 순환과 온도에 따라서 적절히 펌프의 회전 속도조절이 가능한데, 이는 빠른 속도로 펌프 장치를 회전시키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빨라져서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작동속도를 늦추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늦어지며 에어의 온도가 느리게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화된 속도로 에어의 온도를 조절시킬 목적으로 순환속도를 가변시켜 사용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 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삽입되며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2방향 이상의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회로리형 패널(2330)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에어 입력 공간(D)이 2개 이상 발생하도록 하고, 입력된 에어는 한 개의 에어 배출관(2500)으로 혼합되면서 흐르도록 유도하는바, 이는 2개 이상의 지점에서 흘러들어온 에어가 한곳으로 모이면서 에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는 이유는 에어가 섞이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과압이 발생하고, 상기 압력에 의해서 에어 출력관(2500)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충돌하여 상부로 끌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부로 끌어 올려진 공기가 에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에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에어의 회전에 따른 가중한 압력이 발생할 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머무를 곳이 없게 되고, 그렇게 되면 에어가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될 때 원할한 공간부를 확보하지 못해 꿀렁 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압력조절 캡(2311)은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 발생하는 과압에 따라 에어 출력관(2500)에 미리 존재하는 공기를 회전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되는 에어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아서 에어 출력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압력조절 캡(2311)에 의해서 에어가 배출되는 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에어가 원활히 배출되게 되며, 압력조절 캡(2311)이 없으면 에어 배출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꿀렁거림 현상이 나타나서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러면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력조절 캡(2311)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에어 배출관(2500)의 공기를 끌어올리면서 압력조절 캡(311)에 제 1 공간부(A)를 확보하게 되고, 동시에 회오리 에어 순환 장치와 에어 출력관 사이의 중심축에 제 2 공간부(B)를 확보하게 되어, 상기 제 1 공간부(A) 및 제 2 공간부(B)를 침범하지 않는 상태에서 에어가 회전되면서 배출되므로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는 이유는, 초기에 압력조절 캡의 내측 공간부에 에어가 채워진 상태인바, 이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 공간부(C)를 바깥쪽으로 밀어 에어를 외부로 밀치게 되고, 바깥쪽으로 밀려나온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압력조절 캡(2311)에 에어가 가득 채워지게 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원활한 에어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게 되면 에어의 회전과 압축에 따라 발생된 에어 배출관(2500)으로부터 공기가 끌어올려지고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서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압력조절 캡(2311) 바깥으로 일정 양만큼 밀어내게 되고,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배출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해 입력되어 에어 배출관(250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내부에 포함하여 외각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패널을 통해 에어 입력관(2100)이 연결되고, 하부 패널을 통해 에어 출력관(2500)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이송되고, 이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삽입되는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통과한 후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확산실(2600)은 에어 출력관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는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서, 에어 출력관의 끝부분이 확산실(2600)의 몸체 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확산실(2600)을 삽입시켜 구성하는 이유는,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하는 에어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확산실(2600)로 낙하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에어가 퍼지도록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 입력용 펌프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직하게 배치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에어가 수직 상승한다. 수직 상승된 에어는 에어 입력관(2100)의 내주 연을 따라서 에어가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상부로 이동된 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의 내측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흘러들어온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의 회로리형 패널(2330)로 삽입되는바, 상기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판(2310)과 하판(2320) 및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판(2310)과 하판(2320)에 의해 폐쇄되므로 에어는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 및 회전되면서 흐르게 되고 이후 압력조절 캡(2311) 및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흐르게 되며, 이때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회오리형 패널(2330)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가 압축 및 회전되면서 배출될 시에 서로 혼합되는 과정에서 열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에 형성된 압력조절 캡(2311)이 에어 흐름에 따른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바, 압축된 에어가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과시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 내부에 압력 변화가 일어나며 이때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저압이 형성되면서 에어 출력관의 공기를 빨아올려 적절히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 및 압축되어 출력되는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애오 순환용홀(23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저압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의 내부 공간부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때 에어가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따라 외부로 출력되고, 출력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20)로 입력되면서 연속적인 순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설치하되 다수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에어가 흐르면서 압축 회전되어지고, 압축 회전되어진 에어가 서로 합쳐지면서 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또한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 후 확산실(2600)에서 다시 한 번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효율성이 극대화된 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최종 출력라인에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부가설치하여, 최종 출력라인에 오염인자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오염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오염인자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갖는 포토센서를 갖는다. 상기 최종 출력라인을 오염공기가 통과하면 발광소자의 빛이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유입되는 오염공기의 양이 많을 경우 발광소자(2)의 빛이 수광소자(3)로 도달하는 양이 감소되며, 유입되는 오염인자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발광소자(2)의 빛이 수광소자(3)로 도달하는 양이 증가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9)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이용한 오염인자 검출장치는, 파이프(28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인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발광소자(2)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량 수광소자(3)로 공급됨에 따라 포토트랜지스터(PTR)를 턴온시켜 수광부(3)의 콜렉터 전압을 로우 레벨로 낮추게 되나, 파이프(2800)내부에 오염인자가 유입될 경우 오염인자 유입으로 인해 발광소자(2)의 빛이 일부 차단됨으로서 수광소자(3)의 포토트랜지스터(PTR)를 오프시키게 되어 콜렉터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포토센서(4)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1)에 의해 DC 성분을 제거한 후 인버터부(6)를 경유함에 따라 반전 및 증폭시키게 되며, 이의 인버터부(6) 출력신호는 신호보정부(7)를 거침으로서 구형파를 발생하여 제어부(8)로 전송함으로서 먼저 유입상태를 신호보정부(7)의 출력펄스 유무로 알 수 있으며, 단위시간 당 펄스가 많을수록 오염인자의 수가 많음을, 그리고 펄스폭의 길이가 길수록 오염인자의 크기가 크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량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2)의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3)로 이루어진 포토센서(4)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소자(3)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반전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출력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부정부(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토센서(5)인 수광소자(3)의 일측에는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이의 검출 결과에 따라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8) 및 발광소자(2)의 출력측에는 광량조절부(8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량조절부(8a)는,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평활회로(8b)와 5V의 전원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의 출력단에는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코로나 방전소자(9)는 전기적 방전에 의해서 오염공기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 일단에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를 부가 설치하여 공기의 오염상태를 실시간 체크 가능토록 하였으며, 공기의 오염상태를 외부에서 즉각 확인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부 공기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는 양사이드면에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구비하되 외부 케이스(3200)에 삽입된 상태이며, 아울러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수직이송 실린더(3300)로 회전모터(3400)를 승하강시키고 이어 회전모터(3400)를 자체 회전시켜 측정장치를 회전시키면서 오염공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다수개의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를 구비하되, 지지용 밸트(3600)에 탑재시키고,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가 탑재된 지지용 밸트(3600)를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권취시키며,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외부 케이스에 삽입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구비하고, 수직이송 실린더(3300)를 순차적으로 낮추면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하나씩 구동하여 지지용 밸트를 출력함으로서 3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모두 구동하여 오염 공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 및 3개 라인의 오염공기 측정 키트(3500)를 예시하고 있으나, 더 다양하게 검사용 키트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카메라(3700)로 오염공기 측정기트를 촬영하여 변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3800)의 디스플레이 패널(39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3510)와,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3520)와, 상기 제 1 필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3530)와, 상기 제 2 필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필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반응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필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반응제(35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부재(3510)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및 제 1, 2 차 반응제(3540, 3560)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부재(3510)는 투명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 2 반응제(3560)가 변색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3520, 3530, 3550)들은 통기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우레탄 폼, 불소수지, 테프론 수지,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필터, 실리콘 플러그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3520)는 상기 1 차 반응제(3540)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미세먼지, 간섭가스와 같은 불순물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필터(3530)는 상기 제 1 필터(3520)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반응제(354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 3 필터(3550)는 상기 제 2 필터(3530)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반응제(356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반응제는 수은, 염화수은, 황화수은, 수산화수은과 같은 수은 화합물 또는 황산구리, 초산납, 염화주석, 황화납, 아세트산납, 요오드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며,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게 될 경우 산 또는 염기성 기체를 생성하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산 또는 염기성 기체가 상기 제 2 반응제(3060)쪽으로 스며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반응제(3060)는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크레졸 퍼플, 메틸레드(Methyl Red),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메틸오렌지, 티몰 블루(Thymol Blue), 페놀 레드(Phenol Red), 콩고 레드(Congo Red) 등과 같은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1 차 반응제가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 생성된 산 또는 염기성 기체와 만날 경우 색깔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반응제(3060)는 글루코스, 실리카 겔, 실리카 샌드, 제올라이트, 규조토, 기능성 고분자 시브등으로 구성되는 다공성 지지체에 도포된 상태로 상기 제 2 필터(3030)와 제 3 필터(30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로서는 상기와 같은 물질 이외에도 산-염기 반응에 있어서 안정한 무기화합물이나 유기화합물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반응제가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 생성되는 산 또는 염기성 기체가 상기 제 2 반응제(3060)와 만나서 변색되는 범위(3062)를 확인함으로써, 악취 중에 포함된 메틸머캡탄 가스의 농도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색되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튜브부재(3010)의 외부에 기준선(미도시)을 표시하여 변색되는 범위가 상기 기준선을 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악취의 농도가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지를 간단히 알 수 있다.
10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0 : 하우징 200 : 교반기
300 : 처리 용기 310 : 바닥
330 : 경사부 350 : 이탈 방지부
400 : 이송 콘베어 500 : 격자 프레임
510 : 수납부 511 : 지지부재
513 : 방진부재 530 : 유충 수집통
600 : 트랜스퍼 유닛 610 : 주행부
630 : 승강부 650 : 투입부

Claims (7)

  1. 박스형 외형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된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복수의 처리 용기와;
    상기 하우징 내, 외부로 처리용기를 이송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이송 콘베어와;
    상기 이송 콘베어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투입된 복수의 처리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 좌, 우 격자형으로 다수 구비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유충 수집통이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과;
    상기 대칭형으로 구비된 격자 프레임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운행하며, 상기 처리용기를 각 수납부에서 보관하거나 수거하는 트랜스퍼 유닛과;
    상기 하우징 일단에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과;
    상기 최종 출력라인(2800)에 설치되며, 오염인자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이면 작업자에 경고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는,
    일측이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양사이드면에 설치하되, 상하로 다수개 설치되는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의 회전축에 다수겹으로 감기는 지지용 밸트(3600)와;
    상기 지지용 밸트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회전부가 삽입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의해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회전시켜 지지용 밸트를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출입시키는 회전모터(3400)와;
    상기 회전모터에 승하강축이 삽입 설치되어 회전모터를 승하강시키면서 다수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여 필요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지지용 밸트를 인출되도록함으로서 측정에 필요한 오염공기 측정키트를 인출시키는 수직이송 실린더(3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오염공기 측정키트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3510)와;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3520)와;
    상기 제 1 필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3530)와;
    상기 제 2 필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필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반응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필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반응제(35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10079508A 2020-06-19 2021-06-18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41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02 2020-06-19
KR20200074602 2020-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58A KR20210157358A (ko) 2021-12-28
KR102541145B1 true KR102541145B1 (ko) 2023-06-12

Family

ID=7917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08A KR102541145B1 (ko) 2020-06-19 2021-06-18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1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01B1 (ko) * 2009-12-29 2010-05-03 김재일 사이클론형 열발생 장치
KR101811839B1 (ko) * 2016-10-28 2018-01-2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320B2 (ja) * 1995-06-02 2000-05-08 マ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プロッ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01B1 (ko) * 2009-12-29 2010-05-03 김재일 사이클론형 열발생 장치
KR101811839B1 (ko) * 2016-10-28 2018-01-2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58A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1096A1 (en)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US7029577B2 (en) Aquaculture system
US20060191828A1 (en) Aquaculture system
CN105805847B (zh) 一种生态循环的空气净化装置
TW201931996A (zh) 排泄物收集裝置與應用其之智慧型排泄物收集系統
KR101811839B1 (ko)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2823227A (zh) 废物处理装置
KR102541145B1 (ko) 승하강 이동되면서 수납되는 적층형 처리용기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580285B (zh) 一种基于枯草芽孢杆菌的生物农药颗粒的取样检测装置
KR102601558B1 (ko)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CN206586197U (zh) 一种一拖二集装箱养殖系统
KR20210156940A (ko) 다단 순환식 타워형 동애등에 사육장치
KR20210011732A (ko) 함수 파쇄물 건조 장치
CN210298962U (zh) 动物饲养装置
KR102401737B1 (ko)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KR20170002828U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ZA200402676B (en) An aquaculture system.
CN214192793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20240048126A (ko) 음식폐기물 감량기에서 발생된 감량물을 곤충 사육에 이용하는 자원순환 시스템
KR102668111B1 (ko) 큐브형 자동 버섯 재배시스템
KR20210156938A (ko) 오염저감장치를 갖는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CN217446263U (zh) 一种漂浮封闭网箱式海上牧场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230149685A (ko) 자동화된 유충 사육장치 및 그 방법
CN220936297U (zh) 一种小龙虾投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