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558B1 -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558B1
KR102601558B1 KR1020210079531A KR20210079531A KR102601558B1 KR 102601558 B1 KR102601558 B1 KR 102601558B1 KR 1020210079531 A KR1020210079531 A KR 1020210079531A KR 20210079531 A KR20210079531 A KR 20210079531A KR 102601558 B1 KR102601558 B1 KR 10260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larvae
rear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359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ublication of KR2021015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9/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곤충 사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용곤충(유충) 대량 사육이 가능한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산란배지 및 산란장치를 포함하는 산란부(100)와; 상기 산란부(100)로부터 산란된 유충의 알을 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부화부(200)와; 상기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로 용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성충사육부(300)와; 상기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충사육부(400)와; 상기 유충사육부(400)를 거친 유충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유충선별부(500)와; 상기 유충 사육부 일단에 설치되며 유충 사육부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Breeding System for Insect Using Multi tray}
본 발명은 유용곤충 사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용곤충(유충) 대량 사육이 가능한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란 농, 축, 수산물 유통과정 중에서 버려지는 쓰레기, 가정, 음식점 등에서 조리과정 중 식품을 다듬고 버리는 식품쓰레기, 먹고 남긴 음식물 찌꺼기, 보관했다가 그냥 버려지는 식품폐기물 등을 말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2000년부터 연간 3%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처리 비용으로 한해 18조원의 비용을 쓰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우리나라가 배출하는 총량에 3%에 달하여, 음식물 폐기물 처리에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양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생활쓰레기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점유율과 발생량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전체 생활쓰레기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실정이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분뇨, 폐사 가축 등 유기성 폐기물은 일정한 처리 후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되거나, 매립지에 매립되거나, 해양에 투기되는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처리장치의 설치비용이나 유지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립, 투기 등의 경우에는 지하수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105호(이하 '문헌 1')의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친환경 처리의 자동화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펌프가 장착된 관절형 이송파이프를 이용하여 자동 컨베이어 위에 놓인 적재함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여 동애등에를 사육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전체의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투입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 공급부의 상단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여 다단으로 구성될 경우, 각 단에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고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705호(이하 '문헌 2')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에 의해 처리 용기가 이동되어 유기성 폐기물이 처리되는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처리 용기에 일정한 유기성 폐기물을 배급할 수 있고,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대량의 유기성 폐기물을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벨트 형식으로 형성되어 처리 용기로부터 이탈된 유충이 벨트에 의해 손상됨으로써 손실량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2560호(이하 '문헌 3')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유기성 폐기물과 수분조절제를 혼합하여 동애등에에게 공급함으로써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유기성 폐기물에 수분조절제를 혼합하여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분쇄장치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을 부수면서 섞음으로써 유기성폐기물과 수분조절제가 용이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6684호(이하 '문헌 4')의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동애등에 유충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처리용기, 처리 용기의 일면에 마련되며,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및 컨베이어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부의 구동 시 개방되고, 컨베이어부의 정지 시 차단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대량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대해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용기덮개에 의해 처리용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벨트 형식으로 형성되어 처리 용기로부터 이탈된 유충이 벨트에 의해 손상됨으로써 손실량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유럽 특허공보 제2144859호(이하 '문헌 5')의 "곤충의 유충을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의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5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체질공정(sieving station)의 하단부에 통기 팬을 형성하여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유충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벨트 형식으로 형성되어 처리 용기로부터 이탈된 유충이 벨트에 의해 손상됨으로써 손실량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 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1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7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25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6684호
유럽 특허공보 제2144859호
본 발명은 상기 현재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트레이를 다단으로 쌓음으로써, 유충의 대량생산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산란배지 및 산란장치를 포함하는 산란부(100)와; 상기 산란부(100)로부터 산란된 유충의 알을 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부화부(200)와; 상기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로 용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성충사육부(300)와; 상기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충사육부(400)와; 상기 유충사육부(400)를 거친 유충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유충선별부(500)와; 상기 유충 사육부 일단에 설치되며 유충 사육부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과; 상기 최종 출력라인(2800)에 설치되며, 오염인자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오리형 패널(2330)은, 에어가 입력되는 입구의 너비는 크게 형성하고, 에어가 출력되는 출구의 너비는 입구의 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상기 최종 출력라인의 일단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채크를 위해 광을 투사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광소자의 광을 수신받아 출력라인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3)와;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는, 발광소자(2)와 수광소자(3)를 갖고 먼지의 유입을 검지하는 포토센서(5)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반전증폭시키는 인버터부(6)와;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수광소자의 콜렉터전압에 따라 발광소자의 광량을 조절할 수있도록 펄스듀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의 출력신호에 의해 포토센서(5)인 발광소자(2)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8a)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전을 출력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조절부(8a)는, 상기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제어부(8)의 출력 펄스를 평활시키는 평활회로(9),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병렬 연결되어 전원을 분압하는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유충 사육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충 사육부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이면 작업자에 경고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는, 일측이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양사이드면에 설치하되, 상하로 다수개 설치되는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의 회전축에 다수겹으로 감기는 지지용 밸트(3600)와; 상기 지지용 밸트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회전부가 삽입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의해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회전시켜 지지용 밸트를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출입시키는 회전모터(3400)와; 상기 회전모터에 승하강축이 삽입 설치되어 회전모터를 승하강시키면서 다수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여 필요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지지용 밸트를 인출되도록함으로서 측정에 필요한 오염공기 측정키트를 인출시키는 수직이송 실린더(3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오염공기 측정키트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3510)와;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3520)와; 상기 제 1 필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3530)와; 상기 제 2 필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필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반응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필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반응제(3560)가 충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트레이를 다단으로 쌓음으로써, 유충의 대량생산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차부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벨트에 의한 유충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먹이 혼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유충사육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대차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트레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유충사육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유충 사육부 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의 유충 사육부 실시예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요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첫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두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세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공기오염 측정키트 상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먹이 혼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유충사육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대차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트레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장치에서 유충사육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오염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코로나 방전수단 설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유충 사육부 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의 유충 사육부 실시예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오염공기 측정장치 요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첫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두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수직이송 실린더 및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세번째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동작시키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공기오염 측정키트 상세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부(100), 부화부(200), 성충사육부(300), 유충사육부(400) 및 유충선별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충은 갈색거저리(밀웜,mealworm), 동애등에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사슴벌레 유충, 굼벵이, 누에번데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또는 귀뚜라미 유충 등 중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유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애등에 유충이 이용될 수 있다.
동애등에는 조단백질 및 조지방이 각각 45.36%, 32.36%를 함유하고 있고, 중쇄 지방산인 라우르산(Lauric acid)과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Oleic acid) 및 리놀산(Linoleic acid) 등 유용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란부(100)는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산란배지 및 산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란부(100)의 온도와 습도는 20~40℃, 40~80%의 상대습도를 유지함으로써 높은 산란율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35℃, 50~70%의 온도와 습도가 용이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32℃, 55~65%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정한 습도유지를 위해, 산란부(100) 바닥에 물을 뿌리고, 스프링클러와 같은 살수장치를 이용하여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온도는 커튼,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온도를 유지시키거나, 냉풍 또는 온풍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온도가 20℃ 이하로 유지된다면, 낮은 온도에 의해 성충의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40℃ 이상으로 유지되면, 고온에 의해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우화(羽化)되는 우화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가 40% 이하로 유지되면, 낮은 습도에 의해 성충의 교미가 활발하게 수행되지 못하여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80% 이상으로 유지되면,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장비의 유지 관리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산란부(100)는 성충의 외부 이탈을 예방할 수 있도록 높이는 1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m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산란은 주로 10~18시에 해가 떠있는 시간에 활발함에 따라 자연광이 내부로 충분히 들어올 수 있도록 생초 또는 망사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성충의 산란이 시간에 관계없이 활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산란부(100) 내부의 조도를 100~30,000럭스(lux)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유용곤충의 산란이 가장 활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20,000럭스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00lux 이하로 유지될 경우, 조도가 낮게 유지되어 산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30,000lux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높은 조도에 의해 성충이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때, 산란배지는 산란부(100) 내측에 형성되어 가축사료, 가축사료 불린 것, 음식물 쓰레기, 유기성 폐기물 또는 톱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발효기에 의해 발효된 가축사료, 성충 시체 및 분변을 각각 4: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축사료는 발효기에 의해 발효시킨 사료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35~45℃의 온도로 2~5일 동안 발효시킨 사료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2℃에서 3~4일 동안 발효시킨 것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성충의 시체의 경우, 성충을 35~45℃의 물에 넣어 5~10일 동안 발효시킨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2℃의 물에 넣어 7일 동안 발효시킨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상기한바와 같은 발효기에 의해 발효된 가축사료, 성충 시체 및 분변을 각각 4: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형성된 산란배지(141)에 3~5령의 유충을 넣고 2~4일 동안 25~35℃, 50~70%의 상대습도로 유지하여 유충의 섭식활동이 수행된 배지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30℃, 6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25℃ 이하로 유지될 경우, 유충의 섭식활동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35℃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고온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가 50% 이하로 유지될 경우, 유충의 섭식활동 및 성충의 산란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70%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축사료 불린 것 100중량부 대비 음식물 쓰레기 또는 유기성 폐기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90~110중량부, 톱밥이 3~7중량부로 섞은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 혼합물이 잠길 정도로 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산란배지 위에 톱밥을 혼합물에 포함된 톱밥을 더 깔아줄 수 있는데, 이때 산란배지의 습도가 30~70%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산란배지의 습도가 30% 미만일 경우, 산란배지의 습도에 의해 성충의 산란유도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70% 이상일 경우, 산란배지를 보관하기 위해 형성된 수용체가 습도에 의해 손상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산란장치는 수용체 내측에 인입되고, 산란배지 상측에 형성되며, 목재, 합성수지, 원예용 플라워폼, 스티로폼 또는 골판지(주름진 판지, corrugated pape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산란장치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각 2~65cm, 10~30c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로, 세로 각각 4~45cm, 15~25c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가로의 길이가 2cm 이하로 형성되면, 산란장치로부터 유충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65cm 이상으로 형성되면, 산란장치의 길이에 의해 성충의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로의 길이가 10cm 미만으로 형성되면, 산란장치로부터 유충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30cm 이상으로 형성되면, 산란장치의 길이에 의해 성충의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산란장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산란장치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산란장치홈은 직경 2~7mm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산란장치홈의 모양은 성충의 산란이 용이하도록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5mm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직경 2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산란장치홈의 직경에 의해 성충이 용이하게 산란이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7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산란장치홈이 크게 형성됨에 의해 하나의 산란장치에 산란되는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산란장치홈이 산란장치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경우, 깊이는 5~9mm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산란장치홈이 5mm 이하로 형성되면, 산란장치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9mm 이상으로 형성되면, 너무 깊게 형성되어 산란장치와 알을 분리하는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골판지로 형성되어 성충이 산란을 수행할 때 그늘이 형성됨에 따라 산란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부화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부(100)로부터 산란된 유충의 알(난괴)을 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산란부(100)로부터 형성된 산란배지 및 산란장치가 이동하여 온도 20~40℃ 및 습도 35~80%로 유지되는 부화부(200)에서 부화가 수행되는 것이다.
만약, 온도가 20℃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낮은 온도에 의해 알의 부화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40℃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고온에 의해 알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가 35%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부화부(200)의 내부 습도가 낮게 유지되어 부화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80%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높은 습도에 의해 산란배지부가 부패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산란배지의 온도는 20~45℃가 유지될 수 있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섭식활동 전 20~35℃, 섭식활동 시작과 동시에 25~45℃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섭식활동 전 275~29℃, 섭식활동 시작과 동시에 29~435℃로 분포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섭식활동 시작 후 35~42℃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20℃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낮은 온도에 의해 알의 부화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45℃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고온에 의해 알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화부(200)에 적용되는 산란배지는 가축사료, 가축사료 불린 것, 음식물 쓰레기, 유기성 폐기물 또는 톱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축사료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가축사료가 적용될 경우, 가축사료와 25~45℃의 온수를 5:5 또는 4:6의 비율로 섞은 후 20시간 이상 불린것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5~40℃의 온수가 적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7℃의 온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온도가 25℃ 이하의 온수가 적용되면, 가축사료가 충분히 불지 않아 유충의 섭식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45℃ 이상의 온수가 적용되면, 온수의 온도에 의해 알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축사료를 불리는 시간이 20 미만으로 수행되면, 산란배지부(141)가 건조하게 형성되어 유충의 섭식활동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산란배지의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왕겨 또는 톱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더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왕겨 또는 톱밥은 산란배지(141)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부화부(200)를 통해 부화된 유충이 후술될 성충사육부(300) 또는 유충사육부(400)로 이동되기 위해 산란부(100)로부터 형성된 산란장치(160)는 부화부(200)에서 3~10일 정도 머무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8일 정도 머무르게 하여 알이 충분히 부화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만약, 3일 이하로 머무르게 되면, 부화가 모두 수행되지 못하여 생산량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일 이상 머무르게 되면, 유충이 자라남에 따라 성충사육부(300) 또는 유충사육부(400)로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성충사육부(300)는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로 용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충은 부화부(200)로부터 성충사육부(300)로 이동되어 13일 이하로 성장되어 산란부(100)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13일 동안 성장시킬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는 13일 이상으로 성장할 경우, 번데기가 성충사육부(300)로부터 우화되어 산란부(100)에서 성충의 산란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부화부(200)로부터 형성된 산란배지에서 유충이 용이하게 용화될 수 있도록 톱밥 또는 화분용 영양토를 포함하는 저밀도기질 또는 종이, 신문지, 부직포 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란배지 상측에 가림부가 더 포함되어 산란배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림부는 종이, 신문지, 부직포 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되어 산란배지에 투하되는 빛을 가림으로써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문지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산란배지의 습도는 30~50%로 유지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40%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산란배지의 습도가 30% 이하로 유지될 경우, 내부가 건조하게 유지되어 용화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50%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높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이 더 추가되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유충사육부(4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먹이 혼합장치(410) 및 유충사육장치(4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충사육부(400)는 유충의 성장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온도 20~40℃ 및 습도 35~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습도는 바닥에 물을 직접 뿌리거나, 스프링클러와 같은 살수장치를 이용하여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온도는 커튼,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온도를 유지시키거나, 냉풍 또는 온풍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온도가 20℃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낮은 온도에 의해 유충의 성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40℃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고온에 의해 유충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가 35%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후술될 먹이의 습도가 저하되어 유충의 섭식활동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80%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높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및 관리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유충사육부(400)에 적용되는 유충의 먹이는 유기성 폐기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은 유기성 폐기물 탈수한 것 또는 유기성 폐기물을 세척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염분을 저하시키고 탈수한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건조하여 분말화 시킴으로써 유충의 섭식활동이 활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 혼합장치(410)의 혼합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데, 먹이 혼합장치(410)는 유충의 먹이를 혼합할 수 있도록 제1혼합장치(411) 및 제1저장부(41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혼합장치(411)는 유충에 공급되는 먹이를 혼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혼합장치(411)의 내측에 교반기가 형성되어 교반기에 의해 먹이를 혼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혼합장치(411)에 공급되는 먹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 물 및 수분유지제를 포함하여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물은 습한 곳을 좋아하는 유충의 습성을 고려하여 포함될 수 있다.
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먹이가 높은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유충의 섭식활동이 활발히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물은 살균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수분유지제는 톱밥, 코코피트, 볏짚, 쌀겨, 왕겨 또는 농임업 부산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왕겨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유기성 폐기물, 물 및 수분유지제는 전체 먹이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성 폐기물 20~50중량부, 물 50~80중량부 및 수분유지제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성 폐기물 30~40중량부, 물 60~70중량부 및 수분유지제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유기성 폐기물이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최종 제조되는 유충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유충이 섭식활동을 활발히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5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습도가 낮게 유지되어 유충의 섭식활동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이 5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최종 제조되는 먹이가 건조하게 형성되어 유충의 섭식활동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7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물의 양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의 양이 저하되어 유충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수분유지제가 5중량부 이상 포함되면, 수분유지제의 단가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먹이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1혼합장치(411)는 제1제어부(412), 제1배출구(413) 및 제1수용부(41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제어부(412)는 제1혼합장치(4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혼합장치(411), 후술될 제1연결부(415), 및 제1저장부(416)를 자동 또는 수동 중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혼합장치(411)는 제1제어부(412)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 물 및 수분유지제를 5~15rpm의 속도로 10~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혼합이 수행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0rpm에서 20분간 교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5rpm 이하로 교반을 수행할 경우, 교반 속도에 의해 최종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15rpm 이상으로 교반될 경우, 높은 교반속도에 의해 교반이 균일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10분 이하로 교반이 수행될 경우, 짧은 교반시간에 의해 교반이 균일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30분 이상 교반될 경우, 최종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제1혼합장치(411) 또는 제1저장부(416)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제1제어부(412)에 의해 15~4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25~30℃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온도가 15℃ 미만일 경우, 유기성폐기물, 물 또는 수분유지제 중 어느 하나가 낮은 온도에 의해 동결됨으로써 균일하게 교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40℃ 이상일 경우, 고온에 의해 유기성폐기물, 물 또는 수분유지제 중 어느 하나가 부패되어 곰팡이 등이 서식하게 됨으로써 유충의 먹이로서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제1배출구(413)는 제1혼합장치(411)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혼합장치(411)에 남아있는 먹이를 중력에 의해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배출구(413)로부터 배출되는 먹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제1배출구(413)와 하측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1수용부(4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412)로부터 제어되어 제1혼합장치(411)에 의해 혼합된 먹이는 후술될 제1연결부(415)에 의해 이동되고, 이동된 나머지 잔여물이 제1혼합장치(411) 하측에 형성되어 제1배출구(413)에 의해 제1수용부(414)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혼합장치(411)에는 잔여물이 남아있지 않게 형성됨으로써 제1혼합장치(411)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제1혼합장치(411)에 의해 혼합된 먹이를 제1저장부(416)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연결부(415)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1연결부(415)는 후술될 제1저장부(416) 및 제2저장부(421)와 연결되어 먹이를 저장하여 보관하거나 유충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저장부(416)는 제1혼합장치(411)로부터 형성된 먹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1연결부(415)에 의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혼합장치(411)부터 제2저장부(421)에 저장된 먹이를 제외한 먹이를 저장하여 보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415)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419)에 의해 제1혼합장치(411)와 제1저장부(416)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1저장부(416)는 제2배출구(417) 및 제2수용부(41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구(417)는 제1저장부(716)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저장부(416) 내측에 남아있는 먹이의 잔량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부(418)는 제2배출구(417)의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2배출구(417)로부터 배출되는 먹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구(417) 및 제2수용부(418)가 형성됨으로써 제1저장부(416) 내측에 남아있는 먹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제1저장부(416)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유충사육장치(420)는 먹이 혼합장치(410)로부터 형성된 먹이를 유충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2저장부(421), 제1공급부(430), 제1지지부(440), 대차부(450) 및 트레이(4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충사육장치(420)가 형성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된 대차부(450)에 먹이를 공급하여 유충의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저장부(421)는 먹이 혼합장치(410)로부터 공급된 먹이를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415)의 단부는 제2저장부(421)와 연결되어 제1혼합장치(411)에 의해 혼합된 먹이 또는 제1저장부(416)에 저장된 먹이가 제1연결부(415)에 의해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저장부(421)는 제2제어부(422), 제3배출구(423), 제3수용부(42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저장부(4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대차부(450) 및 트레이(46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2저장부(421)의 움직임에 의해 제1공급부(430) 또는 트레이(460)에 먹이를 공급함으로써 유충의 섭식활동이 활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제어부(422)는 제2저장부(421) 일측에 형성되어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제2저장부(421)의 이동 및 먹이의 배출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저장부(421)의 온도는 제2제어부(422)에 의해 15~40℃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25~30℃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제2저장부(421)의 온도가 15℃ 미만일 경우, 유기성폐기물, 물 또는 수분유지제 중 어느 하나가 낮은 온도에 의해 동결됨으로써 균일하게 교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40℃ 이상일 경우, 고온에 의해 유기성폐기물, 물 또는 수분유지제 중 어느 하나가 부패되어 곰팡이 등이 서식하게 됨으로써 유충의 먹이로서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제3배출구(423)는 제2저장부(421)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저장부(421) 하측에 남아있는 먹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배출구(423)에 의해 배출되는 먹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3배출구(423)와 이격되어 제3수용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수용부(424)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제3배출구(423)에 의해 배출되는 먹이를 수용함으로써 제2저장부(421)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공급부(430)는 제2저장부(421)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공급부(4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저장부(421)는 유충사육부(400) 일측에 고정 형성되거나, 제2저장부(421) 또는 제1공급부(430)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1지지부(44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2저장부(421) 및 제1공급부(430)가 제1지지부(440)에 의해 이동될 경우, 제1지지부(440)는 제2저장부(421) 및 제1공급부(4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급부(430)는 제2저장부(421)와 연동되도록 제2저장부(421)의 일측에 형성되거나 제2저장부(421)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저장부(421)와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 제3연결부(425)에 의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연결부(425)는 제2저장부(421)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제1공급부(4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연결부(425)는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제2저장부(4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공급부(430)가 이동할 경우, 제3연결부(425)가 신축되어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공급부(430)는 하나 이상의 제2공급부(431) 및 공급노즐(43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급부(431)는 대차부(450)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 제1공급부(430)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공급부(431)는 대차부(450)의 상측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각 대차부(450)에 먹이를 공급함으로써 대차부(450) 내측에 서식하는 유충의 섭식활동을 활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만약, 대차부(450)의 트레이(460)가 둘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될 경우, 제2공급부(431)는 트레이(460)의 각 단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대차부(450)에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공급부(431)의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공급노즐(43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공급노즐(432)이 더 포함됨으로써 대차부(450) 내측에 고르게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공급부(431)의 일측에는 공급노즐(432) 대신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여 중력에 의해 먹이가 통공을 관통함으로써 대차부(4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2저장부(421), 제1공급부(430) 또는 제1지지부(4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제1레일(4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차부(450)의 배열에 따라 제1레일(441)이 형성되어 제2저장부(421), 제1공급부(430) 또는 제1지지부(4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이동되며, 유충의 성장주기에 맞추어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저장부(421), 제1공급부(430) 또는 제1지지부(4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제1레일(4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측에 이동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레일(441)의 궤도는 제1공급부(430)가 트레이(460)에 먹이를 주는데 용이하도록 후술될 제2레일(455)과 동일한 귀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유충사육부(400)의 공간 넓이에 맞게 병렬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대차부(4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455) 상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레일(455)의 궤도를 따라 상측에 하나 이상의 트레이(460)가 다단으로 수용된 대차부(450)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유충의 연속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레일(455)은 대차부(450)가 제2레일(455)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이동되었을 때, 트레이(460) 내측에 포함된 유충은 번데기 전 상태의 유충으로 성장되어 후술될 유충선별부(500)에 용이하게 이동되어 연속적으로 번데기 전 상태의 유충이 생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유충의 대량생산이 용이하게 되어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2레일(455)는 제1레일(44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궤도는 제1레일(441)의 궤도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자형으로 유충사육부(400)의 공간 넓이에 맞게 병렬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450)는 제2레일(455) 상측에 형성되고, 트레이(460)의 고정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2지지부(451) 및 제1이동부재(454)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451)는 트레이(460)의 제1받침부(46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돌출부(452)와 제1돌출부통공(453)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부(463)는 제2지지부(451)의 상측 일측에 인입될 수 있지만, 설계의 편의성과 트레이(460)의 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2지지부(451) 상측 일측에 하나 이상의 제1돌출부(452)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452)는 제2지지부(451)와 트레이(460)의 고정이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2지지부(451)의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451)의 간격은 제1받침부(463)가 중력 또는 대차부(450)의 이동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제1받침부(463)의 일측이 제1돌출부(452)의 내측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돌출부(452)와 제1받침부(463)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해 제1돌출부(452) 일측에 제1돌출부통공(45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통공(453)과 후술될 제1받침부통공(464)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차부(450)와 트레이(46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제1돌출부통공(453)과 제1받침부통공(464)을 관통하는 결합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가 더 포함되어 대차부(450)와 트레이(46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대차부(450)의 이동에 의해 트레이(46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이동부재(454)는 제2지지부(451)와 연동되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하측이 제2레일(455)에 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454)에 의해 유충의 성장속도에 맞추어 대차부(450)가 이동됨으로써, 대차부(450)가 제2레일(455)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이동되었을 때 유충이 성장하여 트레이(460) 내에서 번데기 전 상태까지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1이동부재(454)에 의해 하나의 대차부(450) 상측에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된 트레이(460)를 수용하여 이동됨으로써 연속적인 유충의 대량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대차부(450)의 이동은 유충사육부(400), 유충사육장치(420) 또는 제2레일(455)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제어부(미도시)를 형성하여 트레이(460)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동부재(454)에 의해 하루에 대차부(450) 하나의 길이만큼 15~20일 동안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트레이(4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450) 상측에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레이(460)의 각각의 내측에 부화부(200)로부터 형성된 유충 및 산란배지를 트레이(460)에 붓고, 제1혼합장치(411)에 의해 형성된 먹이를 부어줌으로써 유충이 활발히 섭식활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트레이(460)는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대차부(450) 상측에 트레이(460)가 상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단을 형성하여 연동되고, 대차부(450)에 형성된 제1이동부재(454)에 의해 대차부(450) 및 트레이(460)가 제2레일(455)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이동됨으로써 트레이(460) 내측에 수용된 유충의 성장주기에 맞추어 번데기 전단계의 유충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충의 성장주기에 따른 연속사육이 수행됨으로써 유충의 대량생산 및 이에 따른 인건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460) 내측에 포함되는 유충은 부화부(200)에서 부화한 유충으로서, 성충사육부(300)로 이동된 유충을 제외한 나머지인 것을 말한다.
더욱이, 트레이(460)의 상측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트레이(460)는 트레이가이드(460-1), 제2돌출부(461), 제2돌출부통공(462), 제1받침부(463), 제1받침부통공(464) 및 칸막이부(46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트레이가이드(460-1)는 유충 및 먹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레이가이드(460-1)에 의해 트레이(460)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유충 및 유충의 먹이를 수용함으로써 유충의 섭식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트레이가이드(460-1)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트레이지지부(460-2)가 형성되어 트레이가이드(460-1)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461)는 트레이가이드(460-1)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제1받침부(463)가 대차부(450) 또는 트레이(46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트레이가이드(460-1)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돌출부(461)는 제1받침부(463)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감쌈으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트레이가이드(460-1)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레이가이드(460-1)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인 제2돌출부(461)에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통공(462)이 형성되어 제2돌출부(461) 및 제1받침부(463)의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받침부(463)는 제2돌출부(461)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부(463)의 일측이 제1돌출부(452) 또는 제2돌출부(461)의 내측에 인입되도록 고정됨으로써 트레이(460)를 지지하여 대차부(450)의 이동에 의해 흔들리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트레이(460)가 둘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될 경우, 제2돌출부(461)와 제1받침부(463)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하나 이상의 제2돌출부통공(462)과 제1받침부통공(464)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돌출부(461)와 제1받침부(463)의 결합에 의하여 제2돌출부통공(462)과 제1받침부통공(464)이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2돌출부통공(462) 및 제1받침부통공(46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가 더 포함되어 제2돌출부(461)와 제1받침부(463)의 결합이 견고해 짐으로써, 대차부(450)의 이동에 의해 트레이(460)가 무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트레이(460)를 다단으로 쌓아 올릴 경우, 집게 등이 포함된 이동부재에 의해 기계적으로 쌓아올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트레이(460) 내측에 칸막이부(465)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칸막이부(465)가 포함됨으로써 유충이 후술될 유충선별부(500)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유충선별부(500)는 유충사육부(400)를 거친 유충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컨베이어에 의해 선별이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적용되는 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or), 트롤리 컨베이어, 휠 컨베이어 등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시망으로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메시망이 적용될 경우, 2~500메시의 메시망을 이용하여 메시망을 흔듦으로써 유충을 제외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낙하함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10메시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메시망이 2메시보다 작게 형성되면, 유충이 이물질과 함께 이탈되어 유충의 수득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500메시 이상으로 형성되면, 큰 입자가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유충을 선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유충과 이물질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측 또는 일측에 팬을 포함한 블로워에 의해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메시망 사이에 머무르고 있는 이물질이 바람의 세기에 의해 제거할 뿐만 아니라, 유충과 이물질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은 유충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살균수 또는 정제수와 같은 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유충이 내측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세척기를 통과함으로써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세척기에 의해 세척이 수행됨으로써, 다량의 유충을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메시망으로 형성된 컨베이어의 상측 또는 측면에 물을 흘림으로써 물이 유충을 거쳐 메시망을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메시망 하측에는 물과 미세 이물질이 수거되도록 형성되어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수압에 의해 큰 입자의 이물질이 분쇄되어 메시망을 통과하고, 유충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메시망이 잠길 수 있는 정도로 채워진 물통에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을 포함하는 메시망을 넣고 흔듦으로써 유충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척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에 의한 세척이 수행된 후 블로워에 의한 건조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트레이(460)를 다단으로 쌓음으로써, 유충의 대량생산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차부(450)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벨트에 의한 유충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트레이(460)를 기계적으로 쌓음으로서 인력의 소모가 저하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각 설비를 자동화함으로써 각 설비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설비 공정의 규격화를 통하여 품질의 안정성 강화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원료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충 사육부 일단에 오염저감장치(2000)를 더 부가 설치하는바, 본 발명의 오염저감장치는 에어가 모이면서 충돌하여 일정한 열을 발생시키도록하며, 상기와 같이 열이 발생하면서 오염 공기에 존재하는 오염요소가 일정부분 제거되도록 유도한다.
즉, 오염공기가 상호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되어 오염공기의 마찰에 의해서 일정부분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에어 입력관(2100)과,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에어 출력관(2500)과, 확산실(2600)과, 모터 입력라인(2700)과, 최종 출력라인(2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수직한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으로 에어가 통과되는 관이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통과시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로 에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켜 에어를 에어 입력관(2100)으로 펌핑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범위는 에어의 순환과 온도에 따라서 적절히 펌프의 회전 속도조절이 가능한데, 이는 빠른 속도로 펌프 장치를 회전시키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빨라져서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작동속도를 늦추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늦어지며 에어의 온도가 느리게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화된 속도로 에어의 온도를 조절시킬 목적으로 순환속도를 가변시켜 사용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 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삽입되며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2방향 이상의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회로리형 패널(2330)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에어 입력 공간(D)이 2개 이상 발생하도록 하고, 입력된 에어는 한 개의 에어 배출관(2500)으로 혼합되면서 흐르도록 유도하는바, 이는 2개 이상의 지점에서 흘러들어온 에어가 한곳으로 모이면서 에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는 이유는 에어가 섞이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과압이 발생하고, 상기 압력에 의해서 에어 출력관(2500)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충돌하여 상부로 끌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부로 끌어 올려진 공기가 에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에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에어의 회전에 따른 가중한 압력이 발생할 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머무를 곳이 없게 되고, 그렇게 되면 에어가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될 때 원할한 공간부를 확보하지 못해 꿀렁 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압력조절 캡(2311)은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 발생하는 과압에 따라 에어 출력관(2500)에 미리 존재하는 공기를 회전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되는 에어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아서 에어 출력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압력조절 캡(2311)에 의해서 에어가 배출되는 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에어가 원활히 배출되게 되며, 압력조절 캡(2311)이 없으면 에어 배출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꿀렁거림 현상이 나타나서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러면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력조절 캡(2311)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에어 배출관(2500)의 공기를 끌어올리면서 압력조절 캡(311)에 제 1 공간부(A)를 확보하게 되고, 동시에 회오리 에어 순환 장치와 에어 출력관 사이의 중심축에 제 2 공간부(B)를 확보하게 되어, 상기 제 1 공간부(A) 및 제 2 공간부(B)를 침범하지 않는 상태에서 에어가 회전되면서 배출되므로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는 이유는, 초기에 압력조절 캡의 내측 공간부에 에어가 채워진 상태인바, 이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 공간부(C)를 바깥쪽으로 밀어 에어를 외부로 밀치게 되고, 바깥쪽으로 밀려나온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압력조절 캡(2311)에 에어가 가득 채워지게 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원활한 에어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게 되면 에어의 회전과 압축에 따라 발생된 에어 배출관(2500)으로부터 공기가 끌어올려지고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서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압력조절 캡(2311) 바깥으로 일정 양만큼 밀어내게 되고,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배출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해 입력되어 에어 배출관(250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내부에 포함하여 외각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패널을 통해 에어 입력관(2100)이 연결되고, 하부 패널을 통해 에어 출력관(2500)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이송되고, 이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삽입되는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통과한 후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확산실(2600)은 에어 출력관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는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서, 에어 출력관의 끝부분이 확산실(2600)의 몸체 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확산실(2600)을 삽입시켜 구성하는 이유는,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하는 에어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확산실(2600)로 낙하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에어가 퍼지도록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 입력용 펌프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직하게 배치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에어가 수직 상승한다. 수직 상승된 에어는 에어 입력관(2100)의 내주 연을 따라서 에어가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상부로 이동된 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의 내측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흘러들어온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의 회로리형 패널(2330)로 삽입되는바, 상기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판(2310)과 하판(2320) 및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판(2310)과 하판(2320)에 의해 폐쇄되므로 에어는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 및 회전되면서 흐르게 되고 이후 압력조절 캡(2311) 및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흐르게 되며, 이때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회오리형 패널(2330)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가 압축 및 회전되면서 배출될 시에 서로 혼합되는 과정에서 열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에 형성된 압력조절 캡(2311)이 에어 흐름에 따른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바, 압축된 에어가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과시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 내부에 압력 변화가 일어나며 이때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저압이 형성되면서 에어 출력관의 공기를 빨아올려 적절히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 및 압축되어 출력되는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애오 순환용홀(23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저압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의 내부 공간부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때 에어가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따라 외부로 출력되고, 출력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20)로 입력되면서 연속적인 순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설치하되 다수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에어가 흐르면서 압축 회전되어지고, 압축 회전되어진 에어가 서로 합쳐지면서 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또한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 후 확산실(2600)에서 다시 한 번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효율성이 극대화된 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최종 출력라인에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부가설치하여, 최종 출력라인에 오염인자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오염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오염인자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갖는 포토센서를 갖는다. 상기 최종 출력라인을 오염공기가 통과하면 발광소자의 빛이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유입되는 오염공기의 양이 많을 경우 발광소자(2)의 빛이 수광소자(3)로 도달하는 양이 감소되며, 유입되는 오염인자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발광소자(2)의 빛이 수광소자(3)로 도달하는 양이 증가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소자(3)의 발광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와, 상기 수광소자(3)의 일축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보정부(7)와,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소자(9)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이용한 오염인자 검출장치는, 파이프(28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인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발광소자(2)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량 수광소자(3)로 공급됨에 따라 포토트랜지스터(PTR)를 턴온시켜 수광부(3)의 콜렉터 전압을 로우 레벨로 낮추게 되나, 파이프(2800)내부에 오염인자가 유입될 경우 오염인자 유입으로 인해 발광소자(2)의 빛이 일부 차단됨으로서 수광소자(3)의 포토트랜지스터(PTR)를 오프시키게 되어 콜렉터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포토센서(4)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1)에 의해 DC 성분을 제거한 후 인버터부(6)를 경유함에 따라 반전 및 증폭시키게 되며, 이의 인버터부(6) 출력신호는 신호보정부(7)를 거침으로서 구형파를 발생하여 제어부(8)로 전송함으로서 먼저 유입상태를 신호보정부(7)의 출력펄스 유무로 알 수 있으며, 단위시간 당 펄스가 많을수록 오염인자의 수가 많음을, 그리고 펄스폭의 길이가 길수록 오염인자의 크기가 크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량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2)와, 상기 발광소자(2)의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3)로 이루어진 포토센서(4)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소자(3)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압신호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콘덴서(C1)의 미약한 AC출력 신호를 반전 증폭시키는 인버터부(5)와, 상기 인버터부(5)의 출력신호를 정형하는 신호부정부(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토센서(5)인 수광소자(3)의 일측에는 상기 포토센서(5)의 출력신호를 읽어들여 먼지의 유입량을 검출하고, 이의 검출 결과에 따라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8) 및 발광소자(2)의 출력측에는 광량조절부(8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량조절부(8a)는,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평활회로(8b)와 5V의 전원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이 병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의 출력단에는 상기 신호보정부의 신호를 받아서 오염공기의 상태에 따라서 방전을 제공하는 코로나 방전소자(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코로나 방전소자(9)는 전기적 방전에 의해서 오염공기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충사육부 일단에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를 부가 설치하여 공기의 오염상태를 실시간 체크 가능토록 하였으며, 공기의 오염상태를 외부에서 즉각 확인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부 공기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는 양사이드면에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구비하되 외부 케이스(3200)에 삽입된 상태이며, 아울러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수직이송 실린더(3300)로 회전모터(3400)를 승하강시키고 이어 회전모터(3400)를 자체 회전시켜 측정장치를 회전시키면서 오염공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다수개의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를 구비하되, 지지용 밸트(3600)에 탑재시키고,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가 탑재된 지지용 밸트(3600)를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권취시키며,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외부 케이스에 삽입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구비하고, 수직이송 실린더(3300)를 순차적으로 낮추면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하나씩 구동하여 지지용 밸트를 출력함으로서 3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를 모두 구동하여 오염 공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 및 3개 라인의 오염공기 측정 키트(3500)를 예시하고 있으나, 더 다양하게 검사용 키트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카메라(3700)로 오염공기 측정기트를 촬영하여 변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3800)의 디스플레이 패널(39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3510)와,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3520)와, 상기 제 1 필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3530)와, 상기 제 2 필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필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반응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필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반응제(35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부재(3510)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및 제 1, 2 차 반응제(3540, 3560)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부재(3510)는 투명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 2 반응제(3560)가 변색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3520, 3530, 3550)들은 통기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우레탄 폼, 불소수지, 테프론 수지,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필터, 실리콘 플러그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3520)는 상기 1 차 반응제(3540)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미세먼지, 간섭가스와 같은 불순물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필터(3530)는 상기 제 1 필터(3520)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반응제(354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 3 필터(3550)는 상기 제 2 필터(3530)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반응제(356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반응제는 수은, 염화수은, 황화수은, 수산화수은과 같은 수은 화합물 또는 황산구리, 초산납, 염화주석, 황화납, 아세트산납, 요오드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며,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게 될 경우 산 또는 염기성 기체를 생성하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산 또는 염기성 기체가 상기 제 2 반응제(3060)쪽으로 스며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반응제(3060)는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크레졸 퍼플, 메틸레드(Methyl Red),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메틸오렌지, 티몰 블루(Thymol Blue), 페놀 레드(Phenol Red), 콩고 레드(Congo Red) 등과 같은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1 차 반응제가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 생성된 산 또는 염기성 기체와 만날 경우 색깔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반응제(3060)는 글루코스, 실리카 겔, 실리카 샌드, 제올라이트, 규조토, 기능성 고분자 시브등으로 구성되는 다공성 지지체에 도포된 상태로 상기 제 2 필터(3030)와 제 3 필터(30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로서는 상기와 같은 물질 이외에도 산-염기 반응에 있어서 안정한 무기화합물이나 유기화합물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반응제가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 생성되는 산 또는 염기성 기체가 상기 제 2 반응제(3060)와 만나서 변색되는 범위(3062)를 확인함으로써, 악취 중에 포함된 메틸머캡탄 가스의 농도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색되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튜브부재(3010)의 외부에 기준선(미도시)을 표시하여 변색되는 범위가 상기 기준선을 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악취의 농도가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지를 간단히 알 수 있다.
100: 산란부
200: 부화부
300: 성충사육부
400: 유충사육부
500: 유충선별부

Claims (7)

  1.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산란배지 및 산란장치를 포함하는 산란부(100)와;
    상기 산란부(100)로부터 산란된 유충의 알을 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부화부(200)와;
    상기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로 용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성충사육부(300)와;
    상기 부화부(200)로부터 부화된 유충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충사육부(400)와;
    상기 유충사육부(400)를 거친 유충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유충선별부(500)와;
    상기 유충 사육부 일단에 설치되며 유충 사육부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인자를 처리하여 저감시키는 오염저감장치(200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과;
    상기 최종 출력라인(2800)에 설치되며, 오염인자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오염인자 검출 및 처리장치(10A)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충 사육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충 사육부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이면 작업자에 경고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공기 측정장치(3000)는,
    일측이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양사이드면에 설치하되, 상하로 다수개 설치되는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31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의 회전축에 다수겹으로 감기는 지지용 밸트(3600)와;
    상기 지지용 밸트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와;
    상기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회전부가 삽입 결합되어 모터 회전에 의해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를 회전시켜 지지용 밸트를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출입시키는 회전모터(3400)와;
    상기 회전모터에 승하강축이 삽입 설치되어 회전모터를 승하강시키면서 다수개의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유도하여 필요한 디스크형 되감기 부재로부터 지지용 밸트를 인출되도록함으로서 측정에 필요한 오염공기 측정키트를 인출시키는 수직이송 실린더(3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오염공기 측정키트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3510)와;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3520)와;
    상기 제 1 필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3530)와;
    상기 제 2 필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튜브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필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터(3520)와 제 2 필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반응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필터(3530)와 제 3 필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필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반응제(35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KR1020210079531A 2020-06-19 2021-06-18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KR102601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06 2020-06-19
KR20200074606 2020-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59A KR20210157359A (ko) 2021-12-28
KR102601558B1 true KR102601558B1 (ko) 2023-11-13

Family

ID=7917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31A KR102601558B1 (ko) 2020-06-19 2021-06-18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0323A (zh) * 2022-09-15 2022-12-23 中国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快速获得大量茶小绿叶蝉若虫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01B1 (ko) * 2009-12-29 2010-05-03 김재일 사이클론형 열발생 장치
KR102099630B1 (ko) * 2019-07-29 2020-04-10 신계주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320B2 (ja) * 1995-06-02 2000-05-08 マ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プロッ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01B1 (ko) * 2009-12-29 2010-05-03 김재일 사이클론형 열발생 장치
KR102099630B1 (ko) * 2019-07-29 2020-04-10 신계주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59A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201B1 (ko)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EP2846632B1 (en) Contained systems to provide reproductive habitat for hermetia illucens
KR101946828B1 (ko)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KR101946833B1 (ko)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US10939671B2 (en) Self-harvesting sustaining feed system for aquaponics
CN106106381B (zh) 一种黑水虻养殖、收集装置
WO2015164240A1 (en) Rotating feeder bin for growing, feeding and harvesting insect larvae
CA2919287A1 (e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CN109122582B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及其使用方法
KR20100000253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회전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102601558B1 (ko) 다단 트레이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곤충 사육장치
CN110612947A (zh) 一种蠋蝽养殖模拟人工气候室
CN109122584B (zh) 一种具有吸渣清扫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及其使用方法
CN206791431U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
CN115380875A (zh) 一种用于饲养及加工幼虫的自动化系统
KR101946839B1 (ko)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
CN110876360B (zh) 一种黏虫饲养装置及方法
CN111134053A (zh) 一种大刺鳅苗种的培育装置及大刺鳅苗种培育方法
CN1430885A (zh) 家蚕稚蚕的恒温恒湿饲育方法
CN213463520U (zh) 一种黄粉虫幼虫集中饲养装置
CN210538283U (zh) 一种黑水虻自动养殖装置
CN114698602A (zh) 一种利用大蜡螟饲养蜾蠃的方法
TWM624958U (zh) 塔形連續自動化生物飼養器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JP2020110751A (ja) おから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