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737B1 -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737B1
KR102401737B1 KR1020200074611A KR20200074611A KR102401737B1 KR 102401737 B1 KR102401737 B1 KR 102401737B1 KR 1020200074611 A KR1020200074611 A KR 1020200074611A KR 20200074611 A KR20200074611 A KR 20200074611A KR 102401737 B1 KR102401737 B1 KR 10240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ngae
feed
repulsion means
me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943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20007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동애등에를 건조 및 가공하여 정량 포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라인더에서 분쇄된 동애등에 사료가 투입되며, 상기 투입된 동애등에 사료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와; 상기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에서 배출된 동애등에 사료를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동애등에 사료를 설정된 무게에 해당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배출하도록 하단부측에 형성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에 부착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가 구비된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호퍼에서 공급된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상기 무게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무게가 상기 설정된 무게와 일치하면 상기 제1 도어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호퍼의 일단에 설치되며, 악취를 포집하여 연소시키는 악취 저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Feed manufacturing system using black soldier fly}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애등에를 건조 및 가공하여 정량 포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축산농가, 구내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 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특히,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은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인데,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약 3kg을 투입하면 1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들었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른 종자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이런 이유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기술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1774호는, 동애등에를 대량 사육하는 과정에서, 동애등에 유충을 성장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정도 및 그에 의해 발생 되는 악취 정도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해결책은 아직 개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동애등에를 이용한 사료에 있어서, 많은 량의 사료공급장치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애등에 사료의 보급이 원할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17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사료를 제작 포장하되, 무게측정센서가 구비되어 설정된 무게만큼 동애등에 사료를 포장하도록 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그라인더에서 분쇄된 동애등에 사료가 투입되며, 상기 투입된 동애등에 사료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와; 상기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에서 배출된 동애등에 사료를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동애등에 사료를 설정된 무게에 해당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배출하도록 하단부측에 형성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에 부착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가 구비된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호퍼에서 공급된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상기 무게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무게가 상기 설정된 무게와 일치하면 상기 제1 도어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호퍼의 일단에 설치되며, 악취를 포집하여 연소시키는 악취 저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 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하부에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0)가 설치되고,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합체용 돌기구(2180a)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 1 구조물(2100A); 상기 제 1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제 2 구조물(210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조물(2100B)은,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와; 상기 제 1 합체용 구조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간부로 합체용 돌기구가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합체용 홈을 형성하여 합체용 돌기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와; 상기 제 1 합체용 구조체와 제 2 합체용 구조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반발수단(2130)과; 상기 제 1 반발수단 전단에 설치되어 제 1 합체용 구조체의 합체용 돌기구가 진입하면 후퇴하여 제 1 반발수단을 압박하고 합체용 돌기구가 제 2 합체용 구조체의 합체용 홈에 삽입되면 제 1 반발수단의 반발에 의해 전진하여 합체용 돌기구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와; 상기 제 1 반발수단 유동부 후단에 설치되며 반발 기능을 갖는 제 2 반발수단(2140)과; 상기 제 2 반발수단의 외측에 설치되어 제 2 반발수단을 구동하는 원통형 형상의 구조체로서 뒤로 후퇴하면서 제 2 반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와; 상기 제 2 반발수단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 2 반발수단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반발수단 지지부(2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사료를 제작 포장하되, 무게측정센서가 구비되어 설정된 무게만큼 동애등에 사료를 포장하도록 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 호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름판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악취 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 합체구조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 합체의 제 1 동작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 합체의 제 2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 호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름판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악취 저감장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 동작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오리형 에어 순환장치의 동작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확산실의 동작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 합체구조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 합체의 제 1 동작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 합체의 제 2 동작도로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제조 시스템은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100), 제1 이송컨베이어(200), 제1 호퍼(300), 제2 호퍼(400), 제2 이송컨베이어(500), 포장부(600)및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100)는 동애등에 사료를 제1 이송컨베이어(200)에 공급한다.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100)는 투입된 동애등에 사료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제1 이송컨베이어(200)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이송스크류(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210)는 모터 등의 동력부에 연결된 회전축과 회전축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날이 구비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21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100) 내부로 공급된 동애등에 사료를 스크류날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1 이송컨베이어(200)로 배출한다.
제1 이송컨베이어(200)는 등속도로 이동하며, 이송스크류(210)에서 공급된 동애등에 사료를 제1 호퍼(300)에 제공한다.
제1 호퍼(300)는 제1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된 동애등에 사료를 설정된 무게에 해당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제1 호퍼(300)는 저울 등의 무게측정센서와 개폐식의 제1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호퍼(300)는 무게측정센서에서 설정된 무게의 동애등에 사료가 제1 도어에 쌓이면 자동으로 제1 도어를 개방하여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하강시킨다.
제1 호퍼(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 제1 거름판(320), 제2 거름판(330), 제1 구동수단(370), 제1 도어(340) 및 무게측정센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310)는 제1 이송컨베이어(200)에서 동애등에 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동애등에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마련된다. 투입부와 배출부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때, 몸체(310)는 투입된 동애등에 사료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역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310)의 하부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거름판(320, 330)이 원통형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거름판(320)은 원반형태로 형성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융기되도록 형성된다. 제1 거름판(320)은 몸체(3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거름판(320)은 동애등에 사료를 선택적으로 제1 도어(340)에 공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부(32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325)는 4개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개구부(325)는 제1 거름판(320)의 중앙에서 외부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거름판(320)이 원형이므로 중앙에서 외부로 부채꼴 형상일 경우 효과적으로 동애등에 사료가 제1 도어(34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도어(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름판(320)의 하부측 몸체(310) 끝단에 형성된다. 제1 도어(34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2개의 회전돌기 중 어느 하나는 몸체(310)를 관통하여 제1 구동수단(370)과 연결된다. 제1 도어(340)는 제1 구동수단(370)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에 쌓인 동애등에 사료를 제1 호퍼(3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340)에는 무게측정센서(350)가 결합되어 제1 도어(340)에 쌓인 동애등에 사료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380)는 제2 거름판(330)과 제1 도어(340)가 동작하도록 제1 및 제2 구동수단(370, 36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80)는 제1 호퍼(300)에 동애등에 사료가 투입되면, 제2 거름판(330)을 회전시켜 제1 개구부(325)와 제2 개구부(335)가 전부 또는 일부가 중첩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80)는 제1 도어(340)가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제1 개구부(325)와 제2 개구부(335)가 중첩되면 동애등에 사료가 제1 도어(340)에 쌓이기 시작하고, 제어부(380)는 무게측정센서(350)로부터 동애등에 사료의 무게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제어부(380)는 설정된 무게와 무게측정센서(350)로부터 수신된 동애등에 사료 무게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제2 거름판(330)을 회전시켜 제1 개구부(325)를 닫는다. 이와 동시에, 제1 도어(340)를 동작시켜 제1 호퍼(300)의 외부로 동애등에 사료를 배출시킨다.
제1 호퍼(300)에서 배출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는 제2 이송컨베이어(500)에 안착되어 포장부(6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호퍼(300)의 하부에 제2 호퍼(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호퍼(400)는 제1 호퍼(300)에서 공급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제2 이송컨베이어(5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호퍼(400)는 제1 호퍼(300)와 제2 이송컨베이어(500) 사이의 간격이 높을 경우 제1 호퍼(300)에서 하강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2 호퍼(400)는 제1 호퍼(300)와 마찬가지로 개폐식 도어인 제2 도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3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제2 도어를 개폐하는 제3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동수단은 제1 구동수단과 같은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제2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1 도어(340)가 개방되기 이전에 제2 도어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며, 제2 도어에 동애등에 사료가 쌓이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도어에도 도 2에 도시된 무게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도어에 설치된 무게측정센서는 정량을 위한 센서로 사용되기 보다는 제2 도어에 동애등에 사료의 유무를 검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이송컨베이어(500)는 포장부(600)에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포장부(600)에 공급한다.
포장부(600)는 제2 이송컨베이어(500)를 통해 공급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진공포장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제조 시스템은 동애드에 사료의 사료를 일정량 분리하여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고, 정밀한 무게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저감장치의 일실시예로서 크게 에어 입력관(2100)과,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에어 출력관(2500)과, 확산실(2600)과, 모터 입력라인(2700)과, 최종 출력라인(2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수직한 형태로 세워진 파이프로서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으로 에어가 통과되는 관이다.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통과시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로 에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켜 에어를 에어 입력관(2100)으로 펌핑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작동범위는 에어의 순환과 온도에 따라서 적절히 펌프의 회전 속도조절이 가능한데, 이는 빠른 속도로 펌프 장치를 회전시키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빨라져서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작동속도를 늦추면 에어의 순환 속도가 늦어지며 에어의 온도가 느리게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입력용 펌프장치(220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화된 속도로 에어의 온도를 조절시킬 목적으로 순환속도를 가변시켜 사용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 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삽입되며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2방향 이상의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회로리형 패널(2330)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에어 입력 공간(D)이 2개 이상 발생하도록 하고, 입력된 에어는 한 개의 에어 배출관(2500)으로 혼합되면서 흐르도록 유도하는바, 이는 2개 이상의 지점에서 흘러들어온 에어가 한곳으로 모이면서 에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는 이유는 에어가 섞이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과압이 발생하고, 상기 압력에 의해서 에어 출력관(2500)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충돌하여 상부로 끌어올리게 되고, 이때 상부로 끌어 올려진 공기가 에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에 압력조절 캡(2311)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에어의 회전에 따른 가중한 압력이 발생할 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머무를 곳이 없게 되고, 그렇게 되면 에어가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될 때 원할한 공간부를 확보하지 못해 꿀렁 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압력조절 캡(2311)은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 발생하는 과압에 따라 에어 출력관(2500)에 미리 존재하는 공기를 회전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에어 출력관(2500)을 따라 배출되는 에어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아서 에어 출력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압력조절 캡(2311)에 의해서 에어가 배출되는 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에어가 원활히 배출되게 되며, 압력조절 캡(2311)이 없으면 에어 배출지점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꿀렁거림 현상이 나타나서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러면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압력조절 캡(2311)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에어에 의해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에어 배출관(2500)의 공기를 끌어올리면서 압력조절 캡(311)에 제 1 공간부(A)를 확보하게 되고, 동시에 회오리 에어 순환 장치와 에어 출력관 사이의 중심축에 제 2 공간부(B)를 확보하게 되어, 상기 제 1 공간부(A) 및 제 2 공간부(B)를 침범하지 않는 상태에서 에어가 회전되면서 배출되므로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연속적인 열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는 이유는, 초기에 압력조절 캡의 내측 공간부에 에어가 채워진 상태인바, 이때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 공간부(C)를 바깥쪽으로 밀어 에어를 외부로 밀치게 되고, 바깥쪽으로 밀려나온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압력조절 캡(2311)에 에어가 가득 채워지게 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원활한 에어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형성하게 되면 에어의 회전과 압축에 따라 발생된 에어 배출관(2500)으로부터 공기가 끌어올려지고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서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압력조절 캡(2311) 바깥으로 일정 양만큼 밀어내게 되고, 에어 순환용 홀(2312)을 통해 배출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해 입력되어 에어 배출관(250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내부에 포함하여 외각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패널을 통해 에어 입력관(2100)이 연결되고, 하부 패널을 통해 에어 출력관(2500)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이송되고, 이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삽입되는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통과한 후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확산실(2600)은 에어 출력관의 하부 끝부분에 연결되는 원통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서, 에어 출력관의 끝부분이 확산실(2600)의 몸체 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확산실(2600)을 삽입시켜 구성하는 이유는,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하는 에어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확산실(2600)로 낙하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에어가 퍼지도록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 입력용 펌프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직하게 배치된 에어 입력관(2100)을 통해 에어가 수직 상승한다. 수직 상승된 에어는 에어 입력관(2100)의 내주 연을 따라서 에어가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상부로 이동된 후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의 내측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로 흘러들어온 에어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의 회로리형 패널(2330)로 삽입되는바, 상기 회로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판(2310)과 하판(2320) 및 회오리형 패널(233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판(2310)과 하판(2320)에 의해 폐쇄되므로 에어는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 및 회전되면서 흐르게 되고 이후 압력조절 캡(2311) 및 에어 출력관(2500)을 통해 흐르게 되며, 이때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회오리형 패널(2330)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가 압축 및 회전되면서 배출될 시에 서로 혼합되는 과정에서 열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에 형성된 압력조절 캡(2311)이 에어 흐름에 따른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바, 압축된 에어가 회오리형 패널(2330)을 통과시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 내부에 압력 변화가 일어나며 이때 상기 압력조절 캡(2311)에 저압이 형성되면서 에어 출력관의 공기를 빨아올려 적절히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회전 및 압축되어 출력되는 에어가 일정한 속도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 애오 순환용홀(23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저압에 의해서 끌어올려진 공기가 압력조절 캡(2311)의 내부 공간부에 존재하는 에어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때 에어가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따라 외부로 출력되고, 출력된 에어는 다시 회오리형 패널(2320)로 입력되면서 연속적인 순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 내부에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를 설치하되 다수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 사이를 에어가 흐르면서 압축 회전되어지고, 압축 회전되어진 에어가 서로 합쳐지면서 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또한 에어 출력관(2500)을 통과 후 확산실(2600)에서 다시 한 번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효율성이 극대화된 악취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입력관은 이중 분할하여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바,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을 포함하되, 제 1 구조물(2100A)은,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와, 합체용 돌기구(218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구조물(2100A)과 합체되는 제 2 구조물(2100B)은,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와,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와, 제 1 반발수단(2130)과, 제 2 반발수단(2140)과,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와,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와, 제 2 반발수단 지지부(21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에는 합체용 홈(2120a)을 포함하고,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는 제 2 반발수단 작동편(216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구조물(2100B)의 후단에는 제 2 반발수단 지지부(217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는 테두리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의 합체 실시예로서 원터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합체이 가능하고, 아울러 사용도중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하고, 필요에 따라 손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이 있어야만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합체구조에서는 원터치에 의해서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을 쉽게 합체할 수 있고, 일단 한번 합체되면 합체이 쉽게 풀리지 않아서 사용도중에 분리되는일이 없도록하며, 아울러 유지 보수를 위해서 분리시에는 요철면을 손으로 잡아당기면서 분리시키므로 보다 쉽게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의 분리동작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구조물(2100A)의 하우징은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2 구조물(2100B)와의 합체수단으로서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가 설치되고,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합체용 돌기구(2180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구조물(2100B)은 맨 외측에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가 설치되고, 그 아래엔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와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로 제 1 구조물(2100A)의 제 1 구조물 연결체(2110)가 삽입 합체된다.
아울러, 원터치 합체을 위해서 제 1 반발수단(2130)과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설치되는바,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는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의 내측에 설치하되 단턱(2110a)에 지지되고, 제 1 반발수단(2130)은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의 후단에 위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구조물(2100B)의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를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와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 사이로 진입시키면 제 1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합체용 핀에 접면되면서 뒤로 밀리고, 이어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제 1 반발수단(2130)을 압축하면서 후퇴한다.
이후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일정거리 후퇴되면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의 합체용 돌기구(2180a)가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의 합체용 홈(2120a)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의 압축이 해제되어 제 1 반발수단(2130)의 반발력에 의해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제 1 구조물(2100A)의 합체용 돌기구(2180a)를 압박하여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가 합체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 1 구조물(2100A)의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를 제 2 구조물(2100B)에 삽입시키면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와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의 틈새로 진입하면서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를 밀쳐서 후퇴시키고,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의 후퇴에 따라 제 1 반발수단(2130)이 압축되며, 이후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의 합체용 홈(2120a)에 합체용 돌기구(2180a)가 삽입되면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원위치되면서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가 합체용 돌기구(2180a)의 상부를 압박하여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이 강력하게 합체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터치에 의해서 제 1 구조물(2100A)와 제 2 구조물(2100B)의 합체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를 손으로 파지하여 후퇴시킨다. 이때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의 파지가 용이하다.
그러면, 제 2 반발수단 작동편(2160a)이 후퇴되면서 제 2 반발수단(2140)을 압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와 합체된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가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의 단턱(2110a)에 지지된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60)가 후퇴하여 제 1 구조물(2100A)의 합체용 돌기구(2180a)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면 제 1 구조물(2100A)의 합체용 돌기구(2180a)를 자연스럽게 제 2 구조물(2100B)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합체용 돌기구(2180a)가 경사면을 형성하고, 합체용 홈(2120a) 역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분리할 수 이다.
그리고,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을 분리한 다음에는 제 2 구조물(2100B)의 제 2 반발수단(2140)의 반발로 인하여 제 2 반발수단 작동편(2160a)과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가 원위치되어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을 원터치로 합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제 1 구조물(2100A)과 제 2 구조물(2100B)을 별도의 사전 동작없이 원터치로 합체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입체 구조물을 제작시에 매우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
200: 제1 이송컨베이어
210: 이송스크류
300: 제1 호퍼
310: 몸체
320: 제1 거름판
325: 제1 개구부
330: 제2 거름판
335: 제2 개구부
337: 치열
340: 제1 도어
350: 무게측정센서
360: 제2 구동수단
370: 제1 구동수단
380: 제어부
390: 회전롤러
400: 제2 호퍼
500: 제2 이송컨베이어
600: 포장부

Claims (4)

  1. 그라인더에서 분쇄된 동애등에 사료가 투입되며, 상기 투입된 동애등에 사료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와;
    상기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애등에 사료 공급부에서 배출된 동애등에 사료를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동애등에 사료를 설정된 무게에 해당되는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배출하도록 하단부측에 형성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에 부착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가 구비된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호퍼에서 공급된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정량의 동애등에 사료를 포장하는 포장부와;
    상기 무게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무게가 상기 설정된 무게와 일치하면 상기 제1 도어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호퍼의 일단에 설치되며, 악취를 포집하여 연소시키는 악취 저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악취 저감장치(2000)는,
    원통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통 파이프 형태로서 외부 동력에 의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 입력관(2100)과;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전기 동력에 의해서 에어를 이송시키는 펌프장치(2200)와;
    상기 에어 입력관이 상부로 연결되어 에어를 입력받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24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에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와;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용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출력시키는 에어 출력관(2500)과;
    상기 에어 출력관(25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에어 출력관을 통과한 에어가 내측 공간부에서 사방으로 튀면서 퍼지도록 하는 용기 형태의 확산실(2600)과;
    상기 에어 입력관에 연결되어 외부 오염공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모터 입력관(2700)과;
    상기 확산실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최종 출력라인(280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입력관(2100)은, 하부에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0)가 설치되고, 제 1 구조물 연결체(2180)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합체용 돌기구(2180a)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 1 구조물(2100A); 상기 제 1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제 2 구조물(210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구조물(2100B)은,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1 합체용 구조체(2110)와;
    상기 제 1 합체용 구조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간부로 합체용 돌기구가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합체용 홈을 형성하여 합체용 돌기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합체용 구조체(2120)와;
    상기 제 1 합체용 구조체와 제 2 합체용 구조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반발수단(2130)과;
    상기 제 1 반발수단 전단에 설치되어 제 1 합체용 구조체의 합체용 돌기구가 진입하면 후퇴하여 제 1 반발수단을 압박하고 합체용 돌기구가 제 2 합체용 구조체의 합체용 홈에 삽입되면 제 1 반발수단의 반발에 의해 전진하여 합체용 돌기구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반발수단 유동부(2150)와;
    상기 제 1 반발수단 유동부 후단에 설치되며 반발 기능을 갖는 제 2 반발수단(2140)과;
    상기 제 2 반발수단의 외측에 설치되어 제 2 반발수단을 구동하는 원통형 형상의 구조체로서 뒤로 후퇴하면서 제 2 반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반발수단 유동부(2160)와;
    상기 제 2 반발수단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 2 반발수단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반발수단 지지부(2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오리형 에어 순환 장치(2300)는,
    상부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의 압력조절캡(2311)을 상부에 설치한 다각형 패널 형상의 상판(2310)과, 다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에어 배출홀(2321)을 갖는 하판(2320)과, 상기 상판(2310)과 하판(2320) 사이에 설치하되 상판 및 하판 결합부의 모서리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삽입 결합되며 흐르는 에어를 회전 및 압축시켜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회오리형 패널(2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캡(23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에어 순환용 홀(2312)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KR1020200074611A 2020-06-19 2020-06-19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KR10240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11A KR102401737B1 (ko) 2020-06-19 2020-06-19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11A KR102401737B1 (ko) 2020-06-19 2020-06-19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943A KR20210156943A (ko) 2021-12-28
KR102401737B1 true KR102401737B1 (ko) 2022-05-24

Family

ID=7917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611A KR102401737B1 (ko) 2020-06-19 2020-06-19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174B1 (ko) * 2022-07-08 2023-07-26 농업회사법인 그린미소 주식회사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59B1 (ko) * 2015-10-23 2016-04-22 김영남 사료 제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960A (ko) * 1999-09-02 2001-04-06 황병범 유기성 쓰레기 퇴비화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076686B1 (ko) * 2009-04-09 2011-10-26 그린테코 주식회사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사료
KR101125782B1 (ko) * 2009-04-13 2012-03-23 주식회사 명진기공 비산형 사이클론 집진기
KR20130142825A (ko) * 2012-06-20 2013-12-30 (주)태산원바이오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애견사료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59B1 (ko) * 2015-10-23 2016-04-22 김영남 사료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943A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87366B2 (en) Improved organic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068633B1 (ko)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AU2001287366A1 (en) Improved organic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40006897A (ko) 퇴비화 기계장치
KR102401737B1 (ko) 동애등에를 적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CN100460364C (zh) 即时处理有机废物此后即时生成有机石灰肥料的专用车辆
JP2004322074A (ja) 脱水装置
CN107348542A (zh) 新型环保的饲料混合装置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JP2000176399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2401738B1 (ko) 동애등에를 이용한 애견사료 제조장치
KR100539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5647793A (zh) 一种干式厌氧发酵系统
KR10170599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3943458U (zh) 一种垃圾处理设备
CN209020466U (zh) 一种稻壳粉碎加工设备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CN217731676U (zh) 一种生物质发酵用上料装置
CN211739800U (zh) 有机肥的烘干装置
CN218262318U (zh) 基于微生物发酵的有机肥生产设备
CN208990942U (zh) 一种环保型农业废弃物处理装置
CN117299743B (zh) 一种园林垃圾降解系统
KR20200021661A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CN208554444U (zh) 一种有机废弃物粉碎混合机
CN220537766U (zh) 一种新型rdf耦合城市淤泥与煤矸石制备的工业燃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