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101B1 -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101B1
KR102541101B1 KR1020180066898A KR20180066898A KR102541101B1 KR 102541101 B1 KR102541101 B1 KR 102541101B1 KR 1020180066898 A KR1020180066898 A KR 1020180066898A KR 20180066898 A KR20180066898 A KR 20180066898A KR 102541101 B1 KR102541101 B1 KR 10254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s transistor
power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411A (ko
Inventor
후미야스 우츠노미야
다카쿠니 도우세키
아미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전원 장치는 축전 용량과, 전압 검출 회로와,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이 전원 장치는, 추가로, 축전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된 경우에, 입력 단자에 입력된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고, 승압 전력을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승압 회로와, 부하에 대한 승압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다. 승압 회로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MOS 트랜지스터가 온되고, 승압 회로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 경우에, MOS 트랜지스터가 오프된다.

Description

전원 장치{POWER SOURCE DEVICE}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6월 1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7-11894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전원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특허문헌 1 의 전원 제어 장치에서는, 축전 소자가, 전원에서 발생한 전력을 축전한다. DC-DC 변환기는, 입력측 급전선으로부터의 입력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출력측 급전선에 접속된 부하에 공급한다. DC-DC 변환기는, 입력측의 전압이 제 1 소정 전압을 초과했을 때에 기동하여 급전을 개시한다. 전원 제어부는, 출력측 급전선에 접속되며, 전력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전원 제어부는, 전원의 전원 에너지에 따라, 동작 모드를 바꾸면서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를 실시한다. 전원 제어부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전원 제어부는, DC-DC 변환기로부터의 급전 개시에 의해 기동되고, 검출된 전원 에너지의 감시만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저소비 전력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전원 제어부는, 전원 에너지를 감시하여, 입력측 급전선의 전압이 제 1 소정 전압보다 높은 제 2 소정 전압이 된 상태에 상당하는 레벨로 전원 에너지가 초과했을 때에,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개시하게 한다.
도 4 는, 종래의 전원 장치 (P1) 의 개략 회로도이다. 종래의 전원 장치 (P1) 는 축전 용량 (P101) 과, 전압 검출 회로 (P102) 와, 승압 회로 (P301) 와, 제어 회로 (P302) 와, 스위치 소자 (P303) 와, 입력 단자 (P131 과 P132) 와, 출력 단자 (P133 과 P134) 를 구비하고 있다.
발전 장치 (P100) 의 출력 단자 (P120) 는, 입력 단자 (P131) 를 경유하여 축전 용량 (P101)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발전 장치 (P100) 의 출력 단자 (P120-2) 는, 입력 단자 (P132) 를 경유하여 그라운드 단자 (P110) 에 접속되어 있다. 축전 용량 (P101) 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 (P110) 에 접속되어 있다. 축전 용량 (P101) 의 일단은, 전압 검출 회로 (P102) 의 입력 단자 (P121) 와, 승압 회로 (P301) 의 입력 단자 (P320) 와, 제어 회로 (P302) 의 입력 단자 (P323) 에 접속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 (P102) 의 출력 단자 (P122) 는, 승압 회로 (P301) 의 인에이블 단자 (P321) 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 회로 (P301) 의 출력 단자 (P322) 는, 스위치 소자 (P303) 의 일단과, 제어 회로 (P302) 의 전원 단자 (P324) 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 (P303) 의 타단은, 출력 단자 (P133) 를 경유하여 부하 (P105) 의 입력 단자 (P127)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P105) 의 입력 단자 (P127-2) 는, 출력 단자 (P134) 를 경유하여 그라운드 단자 (P110) 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 (P303) 는, 제어 회로 (P302) 의 출력 단자 (P325)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승압 회로 (P301) 의 입력 단자 (P320) 와 출력 단자 (P322) 는, 승압 회로 (P301) 의 내부에 있어서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소자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종래의 전원 장치 (P1) 는, 태양광이나 온도차나 진동 등으로 발전하는 발전 장치 (P100) 가 발생시킨 전력을 축전 용량 (P101) 에 축전한다. 축전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인 것을 전압 검출 회로 (P102) 가 검출하면, 승압 회로 (P301) 는,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한다.
스위치 소자 (P303) 는, 부하 (P105) 에 대한 승압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 (P302) 의 구동 전력은, 승압 회로 (P301) 의 출력 단자 (P322) 로부터 공급된다. 제어 회로 (P302) 는, 입력 단자 (P323) 로 모니터하는 축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이면, 스위치 소자 (P303) 를 온한다.
국제 공개 제2014/064762호
그런데, 도 4 에 나타내는 종래의 전원 장치 (P1) 에서는, 발전 장치 (P100) 로부터의 전력이 제어 회로 (P302) 에서 소비된다. 또한, 제어 회로 (P302) 의 전원 단자 (P324) 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제어 회로 (P302) 의 최저 동작 전압 미만인 경우, 제어 회로 (P302) 의 출력 단자 (P325) 로부터 스위치 소자 (P303) 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출력 전압) 이 일정해지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스위치 소자 (P303) 가 약한 온 상태가 되고, 부하 (P105) 에 있어서도 발전 장치 (P100) 로부터의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발전 장치 (P100) 가 발생시키는 전력이 매우 적은 경우, 축전 전압이 어느 정도 상승하면, 축전 전력은 제어 회로 (P302) 나 부하 (P105) 에서 소비되어 버린다. 그 결과, 축전 전압이 상승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전력을 소비하는 제어 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축전 전압이 낮은 경우에 부하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발전 장치로부터 전력의 입력을 받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로서, 발전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용량과, 축전 용량의 축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기동되고, 축전 용량의 축전 전력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 회로와, 승압 회로의 출력과 부하 사이에 접속되는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축전 용량의 일단은 발전 장치와 승압 회로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축전 용량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가 축전 용량의 일단에 접속되고,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승압 회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부하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전력을 소비하는 제어 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축전 전압이 낮은 경우에 부하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의 개략 회로도이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의 개략 회로도이다.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의 개략 회로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전원 장치의 개략 회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원 장치 (1) 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의 개략 회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원 장치 (1) 가 축전 용량 (101) 과, 전압 검출 회로 (102) 와, 승압 회로 (103) 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와, 입력 단자 (131, 132) 와, 출력 단자 (133, 134) 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입력 단자 (121) 와, 출력 단자 (122) 를 구비하고 있다. 승압 회로 (103) 는 입력 단자 (123) 와, 전원 단자 (124) 와, 출력 단자 (125) 와, 인에이블 단자 (126) 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단자 (131) 는 축전 용량 (101) 의 일단과, 전압 검출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21) 와, 승압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123) 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축전 용량 (101) 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 (132) 는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22) 는, 승압 회로 (103) 의 인에이블 단자 (126) 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123) 와 출력 단자 (125) 는, 승압 회로 (103) 의 내부에 있어서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소자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는,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소스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드레인 단자는, 출력 단자 (133) 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 (134) 는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회로 요소에는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있지만, 그라운드 단자 (110) 와의 접속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장치 (1) 의 외부에 발전 장치 (100) 와 부하 (105) 가 있다. 발전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120) 는, 입력 단자 (131) 에 접속되어 있다. 발전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120-2) 는, 입력 단자 (132)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105) 의 입력 단자 (127) 는, 출력 단자 (133)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105) 의 입력 단자 (127-2) 는, 출력 단자 (134) 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태양광이나 온도차나 진동 등의 에너지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킨다. 축전 용량 (101) 은, 발전 장치 (100) 가 발생시킨 전력을 축전 전력으로서 축전한다. 축전 용량 (101) 의 양 단자 사이의 축전 전압은, 축전되는 축전 전력의 증가에 따라 상승한다.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을 검출한다.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이상이 된 것을 전압 검출 회로 (102) 가 검출한 경우에, 전압 검출 회로 (102)에 의해 기동되고, 입력 단자 (123) 에 입력된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고, 승압 전력을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한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는,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 (105) 에 대한 승압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발전을 개시하면, 발전 장치 (100) 가 발전 전력을 출력하고,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상승한다.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123) 에 입력된다. 한편, 이 시점에서는,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미만이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다.
입력 단자 (123) 에 입력된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내의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수단 (도시 생략) 및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를 개재하여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다. 또, 축전 전압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승압 회로 (103) 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 경우,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소스 전압 (출력 단자 (125) 의 전압) 은, 승압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123) 와 출력 단자 (125) 의 사이에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수단이 있기 때문에,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게이트 전압 (입력 단자 (123) 의 전압) 이하가 된다. 그 때문에,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는 오프된다. 따라서, 축전 전력은, 부하 (105) 에 공급되지 않아, 부하 (105) 에서 소비되지 않는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계속해서, 축전 전압이 더욱 상승하고,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소정 전압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승압 회로 (103) 에 출력한다. 그 결과, 승압 회로 (103) 는 기동되어,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한다.
승압 전력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다. 또, 승압 전력으로 변환되지 않은 축전 전력에 의한 축전 전압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승압 전력의 전압은 축전 전력의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경우,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소스 전압 (출력 단자 (125) 의 전압) 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의 게이트 전압 (입력 단자 (123) 의 전압) 보다 높아진다. 그 결과,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가 온되어, 승압 전력이 부하 (105) 에 공급된다. 부하 (105) 는, 승압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또,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력의 일부는,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에 공급되고, 승압 회로 (103) 는, 자신이 승압하고 있는 승압 전력에 의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을 지속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승압 회로 (103) 가 기동되면, 승압 전력으로 변환되는 축전 전력이 점차 감소된다. 승압 회로 (103) 가 승압을 계속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은, 기동에 필요한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용량 (101) 에 축전된 축전 전력이 감소되고, 축전 전압이 저하되어도, 승압 전력을 계속해서 출력한다.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의 승압을 계속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보다 저하되어, 승압 회로 (103) 가 변환 동작을 지속할 수 없게 되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이 정지되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가 오프되고,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전원 장치 (1) 는 상기 서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제어 회로 (P302) 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제어 회로 (P302) 의 출력이 일정하지 않을 때에 스위치 소자 (P303) 가 약한 온 상태가 되어, 부하 (P105) 에 있어서 전력이 소비되어 버리는 사태를,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회피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발생시키는 전력이 매우 적은 경우에서도, 발전 전력이 부하 (105) 에 있어서 소비되는 경우가 없기 (발전 전력이 제어 회로에 있어서 소비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가 기동되기 전에 축전 전압의 상승이 도중에 멈춰 버리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발생시키는 전력이 매우 적은 경우라 하더라도, 부하 (105) 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는, 후술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의 개략 회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원 장치 (1) 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4) 대신에,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원 장치 (1) 가, 풀다운 수단으로서 풀다운 저항 (205) 과,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는,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와 출력 단자 (133) 에 접속되어 있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드레인 단자는,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단자와 풀다운 저항 (205) 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풀다운 저항 (205) 의 타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드레인 단자는, 출력 단자 (134) 에 접속되어 있다.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라운드 단자 (110) 와의 접속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장치 (1) 의 외부에 발전 장치 (100) 와 부하 (105) 가 있다. 발전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120) 는, 입력 단자 (131) 에 접속되어 있다. 발전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120-2) 는, 입력 단자 (132)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105) 의 입력 단자 (127) 는, 출력 단자 (133)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105) 의 입력 단자 (127-2) 는, 출력 단자 (134) 에 접속되어 있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및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는, 부하 (105) 에 대한 승압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발전을 개시하면, 발전 장치 (100) 가 발전 전력을 출력하고,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상승한다.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123) 에 입력된다. 한편, 이 시점에서는,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미만이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다.
입력 단자 (123) 에 입력된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내의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수단 (도시 생략) 및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를 개재하여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다. 또, 축전 전압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승압 회로 (103) 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 경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의 전압은, 입력 단자 (123) 의 전압 이하가 되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전압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전압 이하가 된다. 그 결과,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오프된다. 따라서,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전압이, 그라운드 단자 (110) 의 전압이 되어,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소스 전압과 동일해진다. 그 결과,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오프된다. 그 때문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및 부하 (105) 에 있어서 소비되지 않는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계속해서,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더욱 상승하고,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소정 전압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승압 회로 (103) 에 출력한다. 그 결과, 승압 회로 (103) 는 기동되어,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한다.
승압 전력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다. 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승압 전력의 전압은 축전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경우,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전압 (출력 단자 (125) 의 전압) 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전압 (입력 단자 (123) 의 전압) 보다 높아진다. 그 결과,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온된다. 따라서,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전압이,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소스 전압보다 높아진다. 그 때문에,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온된다. 그 결과,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이 부하 (105) 에 공급된다. 부하 (105) 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또,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력의 일부는,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에 공급되고, 승압 회로 (103) 는, 자신이 승압하고 있는 승압 전력에 의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을 지속한다.
또,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의 일부는,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되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계속해서 온된다. 그 때문에,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도 계속해서 온된다. 그 결과, 부하 (105) 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에 의해 계속해서 구동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승압 회로 (103) 가 기동되면, 승압 전력으로 변환되는 축전 전력이 점차 감소된다. 승압 회로 (103) 가 승압을 계속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은, 승압 회로 (103) 의 기동에 필요한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용량 (101) 에 축전된 축전 전력이 감소되고, 축전 전압이 저하되어도, 승압 전력을 계속해서 출력한다.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의 승압을 계속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보다 저하되어, 승압 회로 (103) 가 변환 동작을 지속할 수 없게 되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이 정지되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오프되고,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오프된다. 그 후,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전원 장치 (1) 는 상기 서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는, 후술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의 전원 장치 (1) 의 개략 회로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원 장치 (1) 가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와, 스위치 소자 (201) 와, 기동용 용량 (202) 과, 정류 수단으로서 쇼트키 다이오드 (203) 와, 풀다운 저항 (205) 과,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는 입력 단자 (220) 와, 제어 신호 출력 단자 (221) 와, 출력 단자 (22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압 검출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22) 가, 승압 회로 (103) 의 인에이블 단자 (126) 에 접속되어 있지만,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압 검출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22) 가,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입력 단자 (220) 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출력 단자 (222) 가, 기동용 용량 (202) 의 일단과 스위치 소자 (201)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동용 용량 (202) 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 (201) 의 타단은,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와, 쇼트키 다이오드 (203) 의 캐소드 단자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 (201) 는,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 (221)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와 전원 단자 (124) 가 직접 접속되어 있지만,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는, 쇼트키 다이오드 (203) 의 애노드 단자와 출력 단자 (133) 에 접속되어 있다. 쇼트키 다이오드 (203) 에 의해, 전류가 기동용 용량 (202) 으로부터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및 부하 (105) 가 접속되는 출력 단자 (133) 로 흘러 버리는 것이 저지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는, 쇼트키 다이오드 (203) 를 개재하여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는, 스위치 소자 (201) 를 개재하여 기동용 용량 (202)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단자는, 축전 용량 (101)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드레인 단자는,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단자는, 풀다운 저항 (205) 을 개재하여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드레인 단자는, 승압 전력으로 동작하는 부하 (105) 가 접속되는 출력 단자 (134) 와, 승압 회로 (103) 의 타방의 전원 단자 (124-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라운드 단자 (110) 와의 접속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장치 (1) 의 외부에 발전 장치 (100) 와 부하 (105) 가 있다. 발전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120) 는, 입력 단자 (131) 에 접속되어 있다. 발전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120-2) 는, 입력 단자 (132)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105) 의 입력 단자 (127) 는, 출력 단자 (133) 에 접속되어 있다. 부하 (105) 의 입력 단자 (127-2) 는, 출력 단자 (134) 에 접속되어 있다.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및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는, 부하 (105) 에 대한 승압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발전을 개시하면, 발전 장치 (100) 가 발전 전력을 출력하고,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상승한다.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123) 와 전압 검출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121) 에 입력된다. 이 시점에서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미만이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다. 또,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지 않는다.
입력 단자 (123) 에 입력된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내의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수단 (도시 생략) 및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를 개재하여 부하 (105) 의 단자 (127) 에 공급된다. 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내의 쇼트키 다이오드 등의 정류 수단,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및 쇼트키 다이오드 (203) 를 개재하여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다. 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승압 회로 (103) 가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지 않는 경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승압 회로 (103) 의 출력 단자 (125) 의 전압은, 입력 단자 (123) 의 전압 이하가 되고,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전압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전압 이하가 된다. 그 결과,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오프된다. 따라서,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전압이, 그라운드 단자 (110) 의 전압이 되어,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소스 전압과 동일해진다. 그 결과,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오프된다. 그 때문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은, 승압 회로 (103) 및 부하 (105) 에 있어서 소비되지 않는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계속해서,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상승하고,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여, 출력 단자 (122) 를 개재하여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을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입력 단자 (220) 에 공급한다.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을 제 2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 (222) 로부터 출력한다. 제 2 승압 전력은, 기동용 용량 (202) 에 축전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계속해서, 기동용 용량 (202) 의 축전 전압이 상승하여,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는, 기동용 용량 (202) 의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이상이 되면, 제어 신호 출력 단자 (221) 의 출력으로 스위치 소자 (201) 를 온한다. 그 때문에, 기동용 용량 (202) 의 축전 전력이, 스위치 소자 (201) 를 개재하여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에 공급된다.
또, 기동용 용량 (202) 의 축전 전력은, 스위치 소자 (201) 를 개재하여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다.
이 때,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전압은,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게이트 전압보다 높아진다. 그 결과,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온된다. 따라서,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전압이, 그라운드 단자 (110) 의 전압보다 높아지고,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소스 전압보다 높아진다. 그 때문에,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온된다. 그 결과, 승압 회로 (103) 는 기동되어,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을 승압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하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이 부하 (105) 에 공급된다. 부하 (105) 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또,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의 일부는, 쇼트키 다이오드 (203)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124) 에 공급되어, 승압 회로 (103) 는, 자신이 승압하고 있는 승압 전력에 의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을 지속한다.
또, 출력 단자 (125) 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의 일부는, 쇼트키 다이오드 (203) 를 개재하여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소스 단자에 공급되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계속해서 온된다. 그 때문에,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도 계속해서 온된다. 그 결과, 부하 (105) 는, 승압 회로 (103) 의 승압 전력에 의해 계속해서 구동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승압 회로 (103) 가 기동되면, 승압 전력으로 변환되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이 점차 감소된다. 승압 회로 (103) 가 승압을 계속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은, 기동에 필요한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승압 회로 (103) 는, 축전 용량 (101) 에 축전된 축전 전력이 감소되고, 축전 전압이 저하되어도, 승압 전력을 계속해서 출력한다.
축전 전압이 승압 회로 (103) 의 승압을 계속하는 데에 필요한 전압보다 저하되어, 승압 회로 (103) 가 변환 동작을 지속할 수 없게 되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이 정지되어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오프되고,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오프되고, 스위치 소자 (201) 가 오프된다. 그 후,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전원 장치 (1) 는 상기 서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전력 변환 능력은 승압 회로 (103) 의 전력 변환 능력보다 작고,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소비 전류도 승압 회로 (103) 의 소비 전류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는, 발전 장치 (100) 의 발전 전력이 작고,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이 작은 경우라 하더라도, 전압 검출 회로 (102) 의 출력 단자 (122) 로부터 출력되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의 출력 단자 (222) 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승압 전력에 의해서는, 승압 회로 (103) 를 직접 기동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제 2 승압 전력은, 일단, 기동용 용량 (202) 에 저장된다.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력이 기동용 용량 (202) 에 저장되면, 이 저장된 전력이, 스위치 소자 (201) 를 개재하여 승압 회로 (103) 의 전원 단자 (124) 에 공급된다. 승압 회로 (103) 가 기동되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을 개시하면, 승압 회로 (103) 는 자신이 승압하고 있는 승압 전력에 의해 변환 동작 (승압 동작) 을 지속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를 기동시킬 수 있는 전압 이상이 된 것을 전압 검출 회로 (102) 가 검출하여 저전압 승압 회로 (200) 가 기동되기 전에,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는, 축전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의 오프 리크에 의한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약한 온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의 게이트 단자가, 풀다운 저항 (205) 을 개재하여 그라운드 단자 (110) 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저전압 승압 회로 (200) 를 형성했기 때문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압이 도 1 에 나타내는 예보다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승압 회로 (103) 를 기동시킬 수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4) 가 오프되고,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206) 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 축전 용량 (101) 의 축전 전력은, 부하 (105) 에서 소비되지 않고, 승압 회로 (103) 나 저전압 승압 회로 (200) 에서도 소비되지 않는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전 장치 (100) 가 발생시키는 전력이 매우 적은 경우라 하더라도, 부하 (105) 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류 수단으로서 쇼트키 다이오드 (203) 의 예를 들었지만, 통상의 다이오드나 다이오드 접속한 트랜지스터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을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MOS 트랜지스터 등의 극성을 바꿈으로써, 역극성의 구성에 의한 실시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동시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서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을 소비하는 제어 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축전 전압이 낮은 경우에 부하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 전원 장치
100 : 발전 장치
101 : 축전 용량
102 : 전압 검출 회로
103 : 승압 회로
104, 204 :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105 : 부하
200 : 저전압 승압 회로
201 : 스위치 소자
202 : 기동용 용량
203 : 쇼트키 다이오드
205 : 풀다운 저항
206 : N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

Claims (4)

  1. 발전 장치로부터 전력의 입력을 받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로서,
    상기 발전 장치와 접속하는 입력 단자와,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용량과,
    상기 축전 용량의 축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기동되고, 상기 축전 용량의 축전 전력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회로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부하와 접속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축전 용량의 일단은, 상기 입력 단자의 일방의 단자와, 상기 승압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 용량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승압 회로의 인에이블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승압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출력 단자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 삭제
  3. 발전 장치로부터 전력의 입력을 받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로서,
    상기 발전 장치와 접속하는 입력 단자와,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용량과,
    상기 축전 용량의 축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기동되고, 상기 축전 용량의 축전 전력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회로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부하와 접속하는 출력 단자와,
    제 2 MOS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축전 용량의 일단은, 상기 입력 단자의 일방의 단자와, 상기 승압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 용량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승압 회로의 인에이블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승압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 단자의 타방의 단자는,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풀다운 수단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풀다운 수단의 타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4. 발전 장치로부터 전력의 입력을 받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로서,
    상기 발전 장치와 접속하는 입력 단자와,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 용량과,
    상기 축전 용량의 축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기동되고, 상기 축전 용량의 축전 전력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회로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부하와 접속하는 출력 단자와,
    제 2 MOS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수단과, 저전압 승압 회로와, 스위치 소자와, 기동용 용량과, 정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축전 용량의 일단은, 상기 입력 단자의 일방의 단자와, 상기 승압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입력 단자와,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축전 용량의 타단은,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승압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정류 수단의 일방의 단자와, 출력 단자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정류 수단의 타방의 단자는, 상기 승압 회로의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상기 스위치 소자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저전압 승압 회로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저전압 승압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기동용 용량의 일방의 단자와, 상기 스위치 소자의 타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기동용 용량의 타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저전압 승압 회로의 제어 신호 출력 단자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 단자의 타방의 단자는, 상기 승압 회로의 타단의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풀다운 수단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풀다운 수단의 타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KR1020180066898A 2017-06-16 2018-06-11 전원 장치 KR102541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8943 2017-06-16
JP2017118943A JP6904798B2 (ja) 2017-06-16 2017-06-16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411A KR20180137411A (ko) 2018-12-27
KR102541101B1 true KR102541101B1 (ko) 2023-06-09

Family

ID=6263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898A KR102541101B1 (ko) 2017-06-16 2018-06-11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5588B2 (ko)
EP (1) EP3416257A1 (ko)
JP (1) JP6904798B2 (ko)
KR (1) KR102541101B1 (ko)
CN (1) CN109149928A (ko)
TW (1) TWI773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328A (zh) * 2019-09-18 2019-12-03 三川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水流发电装置及智能水表
JP2022142013A (ja) * 2021-03-16 2022-09-30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昇圧回路を有する電子機器。
CN115603570A (zh) * 2021-06-28 2023-01-13 碇基半导体股份有限公司(Tw) 转换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7445B2 (ja) * 1998-01-28 2005-06-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5137071A (ja) 2003-10-29 2005-05-26 Hitachi Ltd 振動発電装置
JP4269959B2 (ja) * 2004-01-30 2009-05-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回路及びその電源供給制御方法
JP4785410B2 (ja) * 2004-06-01 2011-10-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昇圧回路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6042955A (ja) * 2004-08-02 2006-02-16 Hitachi Ltd 生体内物質光計測装置
JP4855743B2 (ja) 2004-09-30 2012-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30157A (ja) * 2005-02-21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JP2006286408A (ja) 2005-03-31 2006-10-19 Hitachi Ltd 燃料電池の最大電力点電圧特定方法および燃料電池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燃料電池制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電力制御装置
JP4628172B2 (ja) * 2005-04-28 2011-02-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昇圧型dc−dc、および、昇圧型dc−dc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4777737B2 (ja) * 2005-10-05 2011-09-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昇圧型dc−dcコンバータを有する電子機器
JP4978283B2 (ja) * 2007-04-10 2012-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モータ駆動制御回路、半導体装置、電子時計および発電装置付き電子時計
JP5228567B2 (ja) * 2008-03-26 2013-07-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昇圧型dc−dcコンバータ
KR100996813B1 (ko) * 2008-06-11 2010-11-2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방전회로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2013215034A (ja) * 2012-04-02 2013-10-17 Renesas Electronics Corp Dc−dcコンバータ
EP2913913B1 (en) * 2012-10-23 2022-07-0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mpany Limited Power sourc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control device
CN203225658U (zh) * 2013-03-28 2013-10-02 重庆徐港电子有限公司 自导通升压开关电源
CN103607009B (zh) * 2013-11-22 2016-03-30 钰泰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带自动保护功能的充放电电路
US9729061B2 (en) * 2015-07-08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Boost regulator having adaptive dead time
JP6770412B2 (ja) * 2016-11-25 2020-10-1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411A (ko) 2018-12-27
US10355588B2 (en) 2019-07-16
CN109149928A (zh) 2019-01-04
EP3416257A1 (en) 2018-12-19
JP6904798B2 (ja) 2021-07-21
JP2019004640A (ja) 2019-01-10
TWI773772B (zh) 2022-08-11
TW201906273A (zh) 2019-02-01
US20180367034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7275B2 (ja) 電源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EP1385074B1 (en) Power 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responding to variations in input and output voltages to output a stable voltage
JP4628172B2 (ja) 昇圧型dc−dc、および、昇圧型dc−dc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4785410B2 (ja) 昇圧回路を有する電子機器
KR102541101B1 (ko) 전원 장치
US7579817B2 (en) Constant-voltage circuit capable of reducing time required for starting,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constant-voltage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constant-voltage circuit
JP2011101452A (ja) Dc−dcコンバータ
JP2008079448A (ja) 昇圧電源装置
US20160065066A1 (en) Boost converter with circuit to control the body of the boost output rectification transistor and method
JP5157603B2 (ja) 昇圧型dc−dcコンバータおよび電源駆動用半導体集積回路
US9912235B2 (en) Boost converter
KR20170120045A (ko) 밴드 갭 레퍼런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한 dcdc 컨버터
JP4673350B2 (ja) 直流電源装置
US20110210710A1 (en) Step-up dc-dc converte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428267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0574273B (zh) 控制电路以及理想二极管电路
US10333400B2 (en) Boost DC-DC converter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KR101432139B1 (ko) 시스템 온 칩 구현이 가능하고 안전한 부트스트랩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칭 모드 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JP2009296713A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JP201114271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8055617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005210848A (ja) 直流電圧変換装置
JP2008187789A (ja) Dc/dcコンバータ
JP5407393B2 (ja) 電源装置
JP2007074769A (ja) 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