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80B1 -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 Google Patents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80B1
KR102540680B1 KR1020200151251A KR20200151251A KR102540680B1 KR 102540680 B1 KR102540680 B1 KR 102540680B1 KR 1020200151251 A KR1020200151251 A KR 1020200151251A KR 20200151251 A KR20200151251 A KR 20200151251A KR 102540680 B1 KR102540680 B1 KR 10254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agent
metal oxide
oxide powder
work fun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151A (ko
Inventor
임성택
김인선
염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리스
Priority to KR102020015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7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8Polysulf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에 자외선경화 방식의 단일 공정으로 코팅될 수 있고, 산화금속분말 등의 성분 함량을 변경하여 일함수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Coating Material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with Work Function Control Based on Metal Oxide}
본 발명은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에 자외선경화 방식의 단일 공정으로 코팅될 수 있고, 산화금속분말 등의 성분 함량을 변경하여 일함수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나 유기 태양 전지와 같은 유기 전자 소자, 그래핀 기반 전자 소자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자들이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전하 주입과 전하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전하 주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전극과 활성층 사이의 주입 에너지 장벽이며, 이는 전극의 일함수 혹은 활성층의 LUMO나 HOMO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 특정 물질을 전극 위에 추가하여 전극의 일함수를 변화시키거나, 반도체 물질에 도핑을 유도함으로써 에너지 장벽을 줄여 전하 주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는 전자 소자 개발에 있어 아직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중 전극의 일함수를 변화시키는 기술은 전극 위에 전자 터널링이 가능하도록 매우 얇은 절연 물질을 코팅하여 전극과 계면 쌍극자를 유도하고, 전자 에너지 포텐셜을 변화시켜 일함수를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일함수를 조절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한국공개특허 10-2012-0121065호(선행문헌 1)와 한국공개특허 10-2013-0006050호(선행문헌 2)에서 제시하는 스핀 코팅방법이나 한국등록특허 10-0945729호(선행문헌 3) 또는 10-0977152에서 제시하는 자가조립단일막(selfassembled monolayer) (선행문헌 4) 형성법이 있다. 하지만 스핀 코팅방법이나 자기조립단일막 형성법은 액상공정으로 용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함수 조절을 유도하려는 전극 표면의 표면 에너지에 큰 영향을 받으며 산소 플라즈마처리와 같은 별도의 표면 전처리가 필요하고, 자가조립단일막 형성법의 경우 특정한 화학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10-2015-0047840호 (선행문헌 5) 에서는 원자층 증착방법으로 투명전극의 표면에 일함수 조절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원자층 증착방법은 투명전극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10-1718879호(선행문헌 6)는 iCVD 공정 을 이용하여 전자주개 그룹을 포함하는 단량체 및/또는 전자받개 그룹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기능성 고분자 박막을 전극에 증착시키면 일함수가 조절된 전극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문헌 1 ~ 6은 스핀 코팅방법, 자기조립단일막 형성법, iCVD 등의 전처리 등의 복잡한 공정처리를 요구하고, 또한 세밀하게 다양한 범위에서 일함수를 제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10-2012-0121065호
(특허문헌 0002)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 10-2013-0006050호
(특허문헌 0003) 특허문헌3: 한국등록특허 10-0945729호
(특허문헌 0004) 특허문헌4: 한국등록특허 10-0977152호
(특허문헌 0005) 특허문헌5: 한국등록특허 10-0977152호
(특허문헌 0006) 특허문헌6: 한국등록특허 10-17188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에 자외선경화 방식의 단일 공정으로 코팅될 수 있고, 산화금속분말 등의 성분 함량을 변경하여 일함수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 위에 코팅되어, UV경화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로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제2분산보조제; 산화금속분말;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가 제어되고,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5 내지 4.8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ATO, MgO, Fe3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9 내지 5.2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5.3 내지 5.6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및 Ag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5.7 내지 5.9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및 Co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가 상기 전극층 위에서 경화되는 경우에, 상기 도전성 박막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상기 코팅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중량%을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는, 0.5 내지 5중량%의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85 내지 95중량%의 유기용매; 2 내지 6중량%의 제1분산보조제; 0.5 내지 1.5중량%의 제2분산보조제; 0.05 내지 2중량%의 산화금속분말; 및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제는,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 위에 코팅되어, UV경화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및 제2분산보조제를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액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합액에 산화금속분말을 혼합하여 제3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혼합액을 전단믹서로 분쇄하여 교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혼합액을 비드밀로 밀링하여 교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가 제어되고,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불투명전극 및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위에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는 UV경화 방식의 단일 공정으로 전극층 위에 도전성 박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는, 원하는 일함수를 갖는 도전성 박막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과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매트릭스 상에서 배치되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균질한 일함수를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제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박막의 입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박막이 형성된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박막이 형성된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 그래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전성 박막의 구조
본 발명의 도전성 박막은 태양전지소자,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에 해당하는 양극 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층은 Ag를 이용한 반사전극, Al을 이용한 반사전극, 및 ITO를 이용한 투명전극 중 1 이상에 해당하고, 이와 같은 반사전극 또는 투명전극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가 도포되고, 코팅제가 자외선경화됨에 따라 전극층 상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도전성 박막을 제조하는 코팅제에서의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도전성 박막을 제조하는 코팅제에서의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LED 발광소자의 경우 전하의 이동과 관련된 전기적 특성이 정공수송층, 발광층의 특성에 따라 결정이 되는데, 양극의 일함수를 제어한다면, 전기적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발광소자의 전하의 이동과 관련된 전기적 특성은 소자마다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최적화된 일함수의 값이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팅제의 성분을 간단히 조절함으로써 목표 일함수를 갖도록 제어하되, 간단히 코팅 후 UV경화라는 단일공정을 통하여,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박막을 제공한다.
코팅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팅제는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 위에 코팅되어, UV경화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로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제2분산보조제; 산화금속분말;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팅제에서는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코팅제가 UV경화되어 형성되는 상기 도전성 박막의 일함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제의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팅제는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 위에 코팅되어, UV경화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로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제2분산보조제; 및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는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광개시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총량의 1.5 내지 4.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제에 포함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물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바인더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과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위치할 수 있는 매트릭스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55 내지 6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34 내지 44중량%,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 0.5 내지 1.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상기와 같은 조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코팅제 전체 중량의 0.5 내지 5중량%의 양만큼 코팅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경화형 바인더가 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 및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는 바인더 매트릭스를 구현하기 어렵고, 5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높은 점도에 의하여 제조공정이 어려워지고, 금속분말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PEDOT:PSS는, 티오펜(thiophene)의 구조에 에틸렌디옥시(ethylenedioxy) 그룹을 고리의 형태로 갖고 있으며, 공기나 열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3, 4번 위치에 치환되어 있는 에틸렌디옥시기에 의한 전자공여 효과에 의하여 티오펜보다 낮은 optical 밴드 갭(760nm 내지 780nm 또는 1.6eV 내지 1.7eV)을 갖고 있고, 산화/환원의 전위차에 따라 변색이 가능하며 산화상태에서 흡수 밴드가 적외선 영역에 존재하여 투명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PEDOT:PSS는 고체분말 형태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벨기에의 AGFA사에서 제공하는 pallet(상품명 Orgacon Dry)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은 코팅제 전체 중량의 0.05 내지 2중량%의 양만큼 코팅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함량에서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이 코팅제에 포함된 산화금속분말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일함수를 균질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일함수제어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산화금속분말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혹은, Co, CuOFe2O3, MgOFe2O3, MnBi, Ni, MnSb, MnOFe2O3, Y3Fe5O12, CrO2, MnAs, Gd, Dy, 및 EuO 등의 나노파티클이 상기 산화금속분말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코팅제 전체 중량의 0.05 내지 2중량%의 양만큼 코팅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함량에서 아크릴바인더가 이루는 매트릭스 상에 산화금속분말의 나노파티클 입자들이 균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입자의 직경은 15 내지 65nm이다. 이와 같이 산화금속분말이 나노파티클 형태를 가짐으로써 산화금속분말 및 PEDOT:PSS 분말의 도전성 입자들이 연결됨으로써 균질하게 일함수가 제어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전성 박막은 태양전지소자,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에 해당하는 양극 위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코팅제는 간단히 코팅 후 UV경화라는 단일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전극층 위에 상기 도전성 박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제가 상기 전극층 위에서 경화되는 경우에, 상기 도전성 박막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팅제에 특수한 분산보조제를 기설정된 함량으로 첨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보조제는 상기 전극층 위에 상기 코팅제가 코팅되는 경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1분산보조제; 및 코팅제에 포함된 분말입자들의 분산을 보조하기 위한 제2분산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분산보조제는 코팅제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6중량%를 차지하고, 상기 제2분산보조제는 코팅제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산보조제는 카보네이트(carbonate),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테트라메틸렌글리콜(tetrameth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아세톤니트릴(acetonitrile),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글리세롤(glycerol), 에틸렌시안화물(ethylene cyanide), 포름산(formic acid),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2,6-디플루오르피리딘(2,6-difluoropyridine), 포름아미드(formamide), 및 N-메틸포름아미드(N-methylformamide)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보조제는 아민류(Amine류), 아크릴레이트류(Acrylate류), 및 폴리올류(polyol류)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산보조제는 카보네이트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보조제는 아민류를 포함한다. 혹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산보조제는 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보조제는 3차아민(tertiary amine)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분산보조제 및 상기 제2분산보조제가 위와 같은 범위로 상기 코팅제에 첨가됨으로써, 코팅제 내의 입자들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전도도가 우수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분산보조제 및 상기 제2분산보조제의 성분 조합에 의하여 전극층에서 발생될 수 있는 난반사현상을 해소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아마이드류 용매, 니트로메탄, 케톤류 용매, 알코올류 용매, 아세테이트류 용매, 방향족 용매, 글리콜에테르류 용매, 아크릴레이트 단분자류 용매, 아미드류 용매,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Acrylate oligomer), 우레탄아크릴레이트폴리머(Urethane acrylate polymer) 중 어느 하나 혹은 상기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니트로메탄(Nitromethane), 메틸에틸케톤 (MEK(Methyl ethyl ketone)),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 n-부틸 아세테이트(n-Butyl acetate), 톨루엔(Toluene), PGM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1-METHOXY-2-PROPANOL), PGME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HEMA(Hydroxyethyl methacrylate), HEA(Hydroxyethy acrylate),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 amide(DMF)) 중 하나 또는 상기 유기 용매의 혼합용매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및 PGM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를 포함할 수 있다. PGME의 경우, 보다 균질하게 산화금속분말과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매는 코팅제 전체 중량의 80 내지 98중량%의 양만큼 코팅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제가 위와 같은 범위의 상기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조된 코팅제가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안정적으로 분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만, 위와 같은 유기용매의 선택에 불구하고,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특성상, 완전하게 유기용매에 용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술하는 전단믹서와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교반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 1㎛이하의 두께로 UV경화 방식에 의하여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제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100에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및 제2분산보조제를 혼합한 제1혼합액이 제조된다. 상기 제1혼합액에는 광개시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제1혼합액은 일반적인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및 제2분산보조제를 3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제1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상기 제1혼합액에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혼합한 제2혼합액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제2혼합액은 일반적인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혼합액, 및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3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제2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팅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상기 제2혼합액에 산화금속분말을 혼합한 제3혼합액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제3혼합액은 일반적인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혼합액, 및 산화금속분말을 3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제3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단계 S200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300에서 상기 제1혼합액, 및 산화금속분말을 3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제3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상기 제3혼합액을 전술한 방식의 전단믹서로 분쇄하여 교반할 수 있다. 이 경우, 5 내지 12℃의 온도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믹서의 일예로서 높은 회전력 등을 이용하여 높은 전단력을 발생시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구성되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단믹서는 공동화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3혼합액을 보다 균질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액에 대하여 상기 전단믹서는 약 6,000rpm 이상의 회전속도로 1시간 이상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한다. 이때 혼합액의 온도가 상기 온도구간을 유지하도록 냉각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S500에서는 상기 제3혼합액을 전술한 방식의 비드밀로 밀링하여 교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은 유기용매에 용해가 되지 않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대부분은 수계 용액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은 전술한 전단믹서 및 비드밀의 추가적인 특수 교반에 의하여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밀은 나노 분산이 가능한 비드밀의 형태이다. 이와 같은 단계 S500에 의하여 상기 제3혼합액은 비드에 의하여 보다 균질해지고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비드밀의 일예로서 습식 분산 및 습식 분쇄에 있어서 효율적인 비드,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 함유 비드를 이용하여 대상분체에 대해 충격력을 가함으로써 분쇄 및 분산을 가하고, 따라서 이와 같은 단계 S500에 의하여 상기 제3혼합액은 비드에 의하여 보다 균질해지고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는 그 입경이 50 내지 200㎛임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범위의 입경을 가지는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밀의 회전체 회전 속도는 주파수 30 내지 60Hz정도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제는 10℃ 이하의 냉장 보관 장치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20℃ 이상의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 될 경우 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응집현상을 보여, 상기 코팅제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성 박막의 도전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부호 121로 표시한 부분은 유기용매, 첨가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를 포함하는 용매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2로 표시한 부분은 산화금속분말 입자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3으로 표시한 부분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입자에 해당한다.
도 2(A)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이 없이,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및 산화금속분말이 혼합된 형태에서 전단믹서 및 비드밀 등으로 교반된 상태에 해당한다. 산화금속분말은 서로 응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이 교반을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바닥에 침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코팅제는 UV경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산화금속분말 입자가 균질하게 분포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도전성 박막의 국부 영역에서 일함수가 변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도 2(B)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및 산화금속분말이 혼합된 형태에서 전단믹서 및 비드밀 등으로 교반된 상태에 해당한다. 산화금속분말은 서로 응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PEDOT:PSS의 고형분 분말 입자에 결합되어, 매트릭스에 균질하게 분포된다. 특히 PEDOT:PSS의 고형분 분말 입자는 낮은 비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용매에서 부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산화금속분말 입자가 응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팅제 상태에서 산화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 분말의 입자가 균질하게 분산되게 되고, 이는 보다 영역적으로 균질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제에 의하여 형성된 도전성 박막의 입자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부호 124로 표시한 부분은 자외선경화형 바인더에 의하여 형성되는 매트릭스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2로 표시한 부분은 산화금속분말 입자에 해당하고, 도면부호 123으로 표시한 부분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입자에 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박막은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물질의 매트릭스 상에서 산화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가 서로 비정형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는 산화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의 고형분 분말 입자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산화금속분말의 입자 및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들이 균질하게 분포하되,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산화금속 분말 및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일함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제 성분 조절에 의한 일함수 제어
본 발명의 도전성 박막은 코팅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Ag를 이용한 반사전극, Al을 이용한 반사전극, 및 ITO를 이용한 투명전극 중 1 이상에 해당하는 전극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전성 박막은 코팅제에서의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에 따라 상기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박막은 코팅제에서의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에 따라 상기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5 내지 4.8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ATO, MgO, Fe3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55 내지 6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34 내지 44중량%,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 0.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9 내지 5.2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55 내지 6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34 내지 44중량%,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 0.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la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5.3 내지 5.6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및 Ag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5.7 내지 5.9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및 Co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하거나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을 조절하여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극층 위에 상기 도전성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일함수를 갖도록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제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함수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팅제의 성분에 따른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 제어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실험 1: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조합에 따른 일함수 제어 효과
본 실험에서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의 성분에 있어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조합에 따른 일함수 제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 조합이 도전성 박막의 일함수 제어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다양한 성분 조합을 갖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각각 제조한 후에, 상기 코팅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자의 전극층 위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도전성 박막에 의한 상기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의 성분표이다.
제조예 조성
1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60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39중량%,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 1중량%
2 Melamine acrylate 50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24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24중량%, Trifunctional Acid Ester 2중량%
3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9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9중량%, Trifunctional Acid Ester 2중량%
본 실험에서는 위와 같은 성분의 자외선경화형 바인더를 일반적인 교반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하기 표 2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산화금속분말의 리스트이다.
산화금속분말 종류 평균입자크기 순도
TiO2 18nm 99.90%
WO3 60nm 99.90%
ATO 30nm 99.95%
CuO 40nm 99%
MgO 20nm 99%
본 실험에서는 표 1에 기재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표 2에 기재된 산화금속분말을 조합하여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은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다양한 조합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제의 성분이다.
제조예 바인더
제조예
PEDOT:PSS
고형분말 함량
제1
분산보조제
(carbonate)
함량
제2
분산보조제
(amine)
함량
산화금속분말 유기용매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 1 2% 1.00% 4.00% 1.00% TiO2 0.06% 91.94%
2 2 2% 1.00% 4.00% 1.00% TiO2 0.06% 91.94%
3 3 2% 1.00% 4.00% 1.00% TiO2 0.06% 91.94%
4 1 2% 1.00% 4.00% 1.00% WO3 0.06% 91.94%
5 2 2% 1.00% 4.00% 1.00% WO3 0.06% 91.94%
6 3 2% 1.00% 4.00% 1.00% WO3 0.06% 91.94%
7 1 2% 1.00% 4.00% 1.00% ATO 0.06% 91.94%
8 2 2% 1.00% 4.00% 1.00% ATO 0.06% 91.94%
9 3 2% 1.00% 4.00% 1.00% ATO 0.06% 91.94%
10 1 2% 1.00% 4.00% 1.00% CuO 0.06% 91.94%
11 2 2% 1.00% 4.00% 1.00% CuO 0.06% 91.94%
12 3 2% 1.00% 4.00% 1.00% CuO 0.06% 91.94%
13 1 2% 1.00% 4.00% 1.00% MgO 0.06% 91.94%
14 2 2% 1.00% 4.00% 1.00% MgO 0.06% 91.94%
15 3 2% 1.00% 4.00% 1.00% MgO 0.06% 91.94%
본 실험에서는 위와 같은 성분의 코팅제를 스핀코팅공정 및 자외선경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제조단계에 따라 상기 코팅제를 제조하였다.이 때, 자외선 경화 개시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총량의 3 중량%를 사용하였고, 유기용매는 에탄올 및 PGME를 50:50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상기 코팅제를 다양한 전극층의 표면에 스핀코팅공정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에 자외선경화 공정을 거쳐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팅제를 전극층 표면에 3000rpm으로 20초 간 스핀코팅하여 도포한 후에 90℃의 오븐에서 2분 간 건조하고, 이 후에 400mJ/cm2의 광량으로 자외선경화를 실시하여 상기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전극층은 4.87eV의 표면 일함수값을 갖는 Ag반사전극, 4.81eV의 표면 일함수값을 갖는 Al반사전극, 및 5.19eV의 표면 일함수값을 갖는 ITO투명전극 중 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표면 일함수값을 Riken 사의 Photoelectron spectrometer(모델명: AC-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본 실험에서는, 표 3에 기재된 제조예 1 내지 15를 통해 다양한 성분을 갖는 코팅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Ag반사전극, Al반사전극, 및 ITO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각각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하기 표 4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값이다.
실시예 코팅제 제조예 전극층 표면 일함수(eV)
1 1 Ag반사전극 5.15
2 2 Ag반사전극 5.11
3 3 Ag반사전극 5.17
4 1 Al반사전극 4.89
5 2 Al반사전극 4.93
6 3 Al반사전극 4.87
7 1 ITO투명전극 5.09
8 2 ITO투명전극 5.13
9 3 ITO투명전극 5.14
10 4 Ag반사전극 5.09
11 5 Ag반사전극 5.21
12 6 Ag반사전극 5.1
13 4 Al반사전극 5.01
14 5 Al반사전극 5.07
15 6 Al반사전극 5.00
16 4 ITO투명전극 5.12
17 5 ITO투명전극 5.09
18 6 ITO투명전극 5.06
19 7 Ag반사전극 5.04
20 8 Ag반사전극 5.17
21 9 Ag반사전극 5.22
22 7 Al반사전극 5.17
23 8 Al반사전극 5.15
24 9 Al반사전극 5.09
25 7 ITO투명전극 5.24
26 8 ITO투명전극 5.11
27 9 ITO투명전극 5.21
28 10 Ag반사전극 5.22
29 11 Ag반사전극 5.28
30 12 Ag반사전극 5.33
31 10 Al반사전극 5.24
32 11 Al반사전극 5.27
33 12 Al반사전극 5.16
34 10 ITO투명전극 5.12
35 11 ITO투명전극 5.15
36 12 ITO투명전극 5.12
37 13 Ag반사전극 4.85
38 14 Ag반사전극 5.23
39 15 Ag반사전극 5.26
40 13 Al반사전극 4.79
41 14 Al반사전극 5.03
42 15 Al반사전극 5.11
43 13 ITO투명전극 5.1
44 14 ITO투명전극 5.26
45 15 ITO투명전극 5.33
표 4와 같이,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 조합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코팅제 각각을 이용하여 Ag반사전극, Al반사전극, 및 ITO투명전극 각각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한 후에 표면 일함수값을 측정한 결과, 표면 일함수값은 4.79 내지 5.33eV의 범위로 제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박막이 형성된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5에 따른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값은 4.79 내지 5.33eV의 범위로 제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전성 박막에 의하여 제어된 일함수값의 범위가 비교적 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실험 1을 통해,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 조합에 따라 도전성 박막이 전극층의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 2: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포함여부에 따른 일함수 제어 효과
본 실험에서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의 성분에 있어서,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포함여부에 따른 일함수 제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이 도전성 박막의 일함수 제어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 및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지 않는 코팅제를 각각 제조한 후에, 상기 코팅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자의 전극층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다양한 성분 조합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전성 박막에 의한 상기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를 측정하였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표 1에 기재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하기 표 5에 기재된 산화금속분말을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산화금속분말 종류 평균입자크기 순도
ATO 30nm 99.95%
Fe3O4 20nm 99.50%
Fe2O3 20nm 99.50%
CoFe2O4 30nm 99.90%
NiFe2O4 30nm 98%
ZnFe2O4 30nm 98.50%
하기 표 6은 본 실험을 통해 제조된 코팅제의 성분이다.
제조예 바인더
제조예
PEDOT:PSS
고형분말 함량
제1
분산보조제
(carbonate)
함량
제2
분산보조제
(amine)
함량
산화금속분말 유기용매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16 2 2% 0% 4.00% 1.00% ATO 0.06% 92.94%
17 2 2% 0.06% 4.00% 1.00% ATO 0.06% 92.88%
18 3 2% 0% 4.00% 1.00% Fe3O4 0.06% 92.94%
19 3 2% 0.06% 4.00% 1.00% Fe3O4 0.06% 92.88%
20 3 2% 0% 4.00% 1.00% Fe2O3 0.06% 92.94%
21 3 2% 0.06% 4.00% 1.00% Fe2O3 0.06% 92.88%
22 3 2% 0% 4.00% 1.00% CoFe2O4 0.06% 92.94%
23 3 2% 0.06% 4.00% 1.00% CoFe2O4 0.06% 92.88%
24 3 2% 0% 4.00% 1.00% NiFe2O4 0.06% 92.94%
25 3 2% 0.06% 4.00% 1.00% NiFe2O4 0.06% 92.88%
26 3 2% 0% 4.00% 1.00% ZnFe2O4 0.06% 92.94%
27 3 2% 0.06% 4.00% 1.00% ZnFe2O4 0.06% 92.88%
즉, 본 실험에서의 코팅제는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위와 같은 성분의 코팅제를 스핀코팅공정 및 자외선경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제조단계에 따라 상기 코팅제를 제조하였고, 상기 코팅제가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제조단계 중에서 단계 S200을 생략하여 상기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자외선 경화 개시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총량의 3 중량%를 사용하였고, 유기용매는 에탄올 및 PGME를 50:50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상기 코팅제를 다양한 전극층의 표면에 스핀코팅공정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에 자외선경화 공정을 거쳐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팅제를 전극층 표면에 3000rpm으로 20초 간 스핀코팅하여 도포한 후에 90℃의 오븐에서 2분 간 건조하고, 이 후에 400mJ/cm2의 광량으로 자외선경화를 실시하여 상기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전극층은 4.87eV의 표면 일함수값을 갖는 Ag반사전극, 4.81eV의 표면 일함수값을 갖는 Al반사전극, 및 5.19eV의 표면 일함수값을 갖는 ITO투명전극 중 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표면 일함수값을 Riken 사의 Photoelectron spectrometer(모델명: AC-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본 실험에서는, 표 6에 기재된 제조예 16 내지 27을 통해 다양한 성분을 갖는 코팅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Ag반사전극, Al반사전극, 및 ITO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각각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였다. 하기 표 7은 실시예에 따른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값이다.
실시예 코팅제 제조예 전극층 표면 일함수(eV)
46 16 Ag반사전극 5.73
47 16 Al반사전극 4.59
48 16 ITO투명전극 N/A
49 17 Ag반사전극 5.61
50 17 Al반사전극 4.57
51 17 ITO투명전극 5.51
52 18 Ag반사전극 5.12
53 18 Al반사전극 4.62
54 18 ITO투명전극 5.52
55 19 Ag반사전극 5.16
56 19 Al반사전극 5.29
57 19 ITO투명전극 5.33
58 20 Ag반사전극 5.13
59 20 Al반사전극 5.07
60 20 ITO투명전극 N/A
61 21 Ag반사전극 5.25
62 21 Al반사전극 5.22
63 21 ITO투명전극 5.55
64 22 Ag반사전극 5.07
65 22 Al반사전극 4.93
66 22 ITO투명전극 N/A
67 23 Ag반사전극 4.94
68 23 Al반사전극 5.88
69 23 ITO투명전극 5.54
70 24 Ag반사전극 4.95
71 24 Al반사전극 4.96
72 24 ITO투명전극 N/A
73 25 Ag반사전극 4.97
74 25 Al반사전극 4.83
75 25 ITO투명전극 5.52
76 26 Ag반사전극 4.86
77 26 Al반사전극 4.92
78 26 ITO투명전극 N/A
79 27 Ag반사전극 4.85
80 27 Al반사전극 4.85
81 27 ITO투명전극 5.52
표 7과 같이,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포함유무를 다르게 하여 제조한 코팅제 각각을 이용하여 Ag반사전극, Al반사전극, 및 ITO투명전극 각각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한 후에 표면 일함수값을 측정한 결과, 표면 일함수값은 4.57 내지 5.88eV의 범위로 제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박막이 형성된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46 내지 81에 따른 전극층의 표면 일함수값은 4.57 내지 5.88eV의 범위로 제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전성 박막에 의하여 제어된 일함수값의 범위가 비교적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실험 2를 통해,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포함유무에 따라 도전성 박막이 전극층의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 1 및 2의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험 1 및 2의 실험결과를 통해,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불투명전극 및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위에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5 내지 4.8eV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ATO, MgO, Fe3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55 내지 6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34 내지 44중량%,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 0.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9 내지 5.2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55 내지 6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34 내지 44중량%,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 0.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5.3 내지 5.6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및 Ag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5.7 내지 5.9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및 Co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제는 Melamine acrylate 45 내지 55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19 내지 29중량%,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19 내지 29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45 내지 54중량%, 및 Trifunctional Acid Ester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는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 위에 코팅되어, UV경화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로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제2분산보조제;
    산화금속분말;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과,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가 제어되고,
    상기 코팅제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Melamine 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및 Trifunctional Acid Ester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및 Trifunctional Acid Ester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가 상기 전극층 위에서 경화되는 경우에, 상기 도전성 박막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코팅제는,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되, 코팅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5 내지 4.8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ATO, MgO, Fe3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4.9 내지 5.2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를 5.3 내지 5.6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ITO투명전극, 및 Ag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전극층 위에서 5.7 내지 5.9eV의 범위로 제어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전극층은 Ag반사전극, 및 Al반사전극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ATO, 및 Co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상기 코팅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중량%을 차지하는, 코팅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0.5 내지 5중량%의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80 내지 96중량%의 유기용매;
    2 내지 6중량%의 제1분산보조제;
    0.5 내지 1.5중량%의 제2분산보조제;
    0.05 내지 2중량%의 산화금속분말; 및
    0.05 내지 2 중량%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제.
  9. 삭제
  10. 태양전지 혹은 발광소자의 전극층 위에 코팅되어, UV경화에 의하여 전극층 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유기용매, 제1분산보조제, 및 제2분산보조제를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혼합액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을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합액에 산화금속분말을 혼합하여 제3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혼합액을 전단믹서로 분쇄하여 교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혼합액을 비드밀로 밀링하여 교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함량과,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일함수가 제어되고,
    상기 코팅제는,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및 adhesion promoting acrylate oligomer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Melamine 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및 Trifunctional Acid Ester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및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Non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및 Trifunctional Acid Ester를 포함하는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금속분말은 TiO2, WO3, ATO, CuO, MgO, Fe3O4, Fe2O3, CoFe2O4, NiFe2O4, 및 ZnFe2O4 중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가 상기 전극층 위에서 경화되는 경우에, 상기 도전성 박막은 상기 자외선경화형 바인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상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의 입자와 상기 산화금속분말의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분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코팅제는, 1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2 이상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는 전단믹서에 의한 전단력에 의한 분산 및 혼합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유기용매에 상기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의 고형분 분말 및 상기 산화금속분말이 포함된 상태에서 비드밀에 의한 추가적인 분산이 수행되는, 도전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151251A 2020-11-12 2020-11-12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KR10254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51A KR102540680B1 (ko) 2020-11-12 2020-11-12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51A KR102540680B1 (ko) 2020-11-12 2020-11-12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51A KR20220065151A (ko) 2022-05-20
KR102540680B1 true KR102540680B1 (ko) 2023-06-08

Family

ID=8180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251A KR102540680B1 (ko) 2020-11-12 2020-11-12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51B1 (ko) 2011-11-10 2013-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 나노선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막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14B1 (ko) * 2013-02-25 2014-10-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유기 태양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와 방법
KR101958203B1 (ko) * 2016-09-02 2019-03-14 주식회사 포리스 Pedot/pss 분산액, 상기 분산액으로 제조된 광경화형 대전 방지 코팅조성물, 및 상기 코팅조성물을 포함하는 집진통
KR102063665B1 (ko) * 2018-02-28 2020-01-08 주식회사 포리스 플렉서블 투명전도성 전극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51B1 (ko) 2011-11-10 2013-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 나노선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51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3832B (en) Conductive composition and conductive cross-linked product, capaci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ntistatic coating material, antistatic coating, antistatic film, optical filter, b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Su et al. Conjugated polymer/nanocrystal nanocomposites for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in photovoltaics and photocatalysis
CN105576139B (zh) 一种量子点电致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显示器
EP26608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bstrate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N106547040A (zh) 一种高强度光子晶体膜及其制备方法
CN104142527B (zh) 光取出组件及发光装置
TW201409334A (zh) 透明導電基板之製造方法、透明導電基板及靜電電容式觸控面板
CN103120018A (zh) 有机el器件
WO2010122913A1 (en) Fine particle dispersion for light extraction member, coating composition, light extraction member,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TW200827418A (en) Composition for form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display
Ong et al. A brief review of nanoparticles-doped PEDOT: PSS nanocomposite for OLED and OPV
US20220285042A1 (en) Method of preparing a photo-active material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102063665B1 (ko) 플렉서블 투명전도성 전극구조체
EP2687380A2 (en) Thermal transfer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540680B1 (ko) 함유금속선택에 기반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TWI519427B (zh) 熱轉印膜和使用該膜的oled顯示器的製造方法
KR102540679B1 (ko) 광범위에서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KR20200092109A (ko) 방열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열 시트
KR102322649B1 (ko)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KR20230077925A (ko) 전극층 반사율 향상 및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코팅제
KR101940707B1 (ko) Pedot/pss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대전방지성 점착필름
TWI542469B (zh) 雷射熱轉印製程用的施體薄膜
KR20230077927A (ko) 일함수 제어가 가능한 도전성 박막이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는 기판구조체
KR102334589B1 (ko) 플렉서블 emi 차폐필름
EP379640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