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7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70B1
KR102540670B1 KR1020180020302A KR20180020302A KR102540670B1 KR 102540670 B1 KR102540670 B1 KR 102540670B1 KR 1020180020302 A KR1020180020302 A KR 1020180020302A KR 20180020302 A KR20180020302 A KR 20180020302A KR 102540670 B1 KR102540670 B1 KR 10254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light emitting
long axi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486A (ko
Inventor
김은주
박재은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23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59977A1/ko
Priority to EP18760381.6A priority patent/EP3591722B1/en
Priority to EP24165218.9A priority patent/EP4365969A3/en
Publication of KR2018009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486A/ko
Priority to US16/504,338 priority patent/US11199307B2/en
Priority to US17/506,695 priority patent/US117258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70B1/ko
Priority to US18/339,782 priority patent/US2023033275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02B19/0066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in the form of an LED arr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8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 모듈 및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은,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을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배광 분포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인접한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배광 분포와의 조합에 의해 균일한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DISPLAY APPARATUS, BACKLIGHT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 모듈 및 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 분포를 특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통해 발생하는 광을 방출하는 무기 반도체 소자이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는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램프, 일반 조명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명이 기존 광원 대비 소비 전력이 낮으며,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기존 광원을 빠르게 대치해 가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나 일반 조명 등에 사용할 때,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할 때, 발광 다이오드들 간의 광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각 발광 다이오드들에서 방출된 광이 간섭되어, 음영이나 부분적인 핫스팟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때, 각 발광 다이오드들 간의 광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은,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을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돌출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돌출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내면은 상기 렌즈의 돌출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에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하면에 결합된 복수의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돌출면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는, 상기 출광부와 상기 렌즈의 하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입사면의 높이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에서의 두께가 상기 출광부의 단축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렌즈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져 상기 렌즈 출광부의 장축 방향 끝단에서 상기 장축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끝단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기 렌즈 출광부의 단축 방향 끝단에서 상기 단축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끝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하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 및 상기 입광부를 통해 입사된 광을 외부로 출광하는 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고,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입광부는,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면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돌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광부의 내면은 상기 돌출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에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에 결합된 복수의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돌출면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광부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입사면의 높이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에서의 두께가 상기 출광부의 단축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모듈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모듈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이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단축 방향 너비는, 상기 기판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의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되는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모듈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이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단축 방향 너비는, 상기 기판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의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배광 분포가 사각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인접한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배광 분포와의 조합에 의해 균일한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단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단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기판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이 설치된 32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이 설치된 55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장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장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단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단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출광부에 대해 장축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출광부에 대해 단축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장축 방향의 측면도를 통해 광이 출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단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은, 발광소자(110) 및 렌즈(120)를 포함한다.
발광소자(110)는 기판(200) 상에 배치된다. 이때, 기판(200)은 절연성을 가지며, 상부에 도전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200)은 발광소자(110) 및 렌즈(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발광소자(110)가 실장되는 실장 홈을 가질 수 있다.
발광소자(110)는 기판(200)에 실장되며, 기판(200)에 실장 홈이 형성된 경우 실장 홈 내에 실장될 수 있다. 발광소자(110)는 하우징 또는 서브 기판에 발광 다이오드 칩이 실장된 패키지의 형태를 가지거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기판(200)에 직접 실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발광소자(110)가 발광 다이오드 칩의 형태인 경우, 발광 다이오드 칩은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n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n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p형 전극이 일 방향에 배치되는 플립칩 타입일 수 있고, n형 전극과 p형 전극이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는 수직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은 각각 III-V족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일례로, (Al, Ga, In)N과 같은 질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n형 반도체층은 n형 불순물(예컨대, Si)을 포함하는 도전형 반도체층일 수 있고, p형 반도체층은 p형 불순물(예컨대, Mg)을 포함하는 도전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그리고 활성층은 n형 반도체층 및 p형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다중 양자우물 구조(MQW)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피크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게 조성비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 칩은 청색광 또는 자외선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조성비가 결정될 수 있다.
렌즈(120)는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하기 위해 구비되며, 발광소자(110)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렌즈(120)는,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121a)과 렌즈(120)에서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출광부(123)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는, 하부에 오목한 형상의 입광부(121)를 포함하며, 입광부(121)의 내면이 입사면(121a)일 수 있다.
입광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렌즈(1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입광부(121)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형상과 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입광부(121)의 단면은 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원 형상의 입광부(121) 단축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입광부(121) 장축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입광부(121)의 내측면인 입사면(121a)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입사면(121a)과 렌즈(120)의 하면(125)은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입사면(121a)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가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입사면(121a)의 최상부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의 하면(1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125)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우, 경사면은 입광부(121)에서 렌즈(120)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면일 수 있다.
출광부(123)는 렌즈(120)로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면으로 렌즈(12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출광부(123)의 단면은 x축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원 형상의 출광부(123) 단축 방향은 y축 방향이고, 출광부(123) 장축 방향은 x축 방향이다. 즉,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과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입광부(121)의 타원 형상은 출광부(123)의 타원 형상보다 장축과 단축의 비율 차이가 클 수 있다. 즉, 입광부(121)의 타원 형상보다 출광부(123)의 타원 형상이 보다 원 형상에 가까운 타원 형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이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많이 입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x축 방향에 따른 단면을 보면, 출광부(123)는 장축 방향, 입광부(121)는 단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y축 방향에 따른 단면을 보면, 출광부(123)는 단축 방향, 입광부(121)는 장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입광부(121)를 통해 렌즈(120)로 입사된 광은 렌즈(120)를 통해 입광부(121)의 단축 방향으로 입사된 광이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으로 입사된 광보다 상대적으로 렌즈(120)의 투과 거리가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는 출광부(123)와 렌즈(120)의 하면(125)을 연결하는 플랜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27)는 출광부(123)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플랜지(127)의 종단면은 렌즈(120)의 하면(125)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플랜지(127)의 두께는 출사면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에 위치한 플랜지(127)의 두께(t1)가 출광부(123)의 단축 방향에 위치한 플랜지(127)의 두께(t2)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27)의 두께는 출광부(123) 장축 방향에서 가장 두껍고, 출광부(123) 단축 방향에서 가장 얇을 수 있다. 이때, 플랜지(127)와 출광부(123)의 경계인 경계부(127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120)의 하면(125)에 복수의 다리부(129)가 배치될 수 있다. 다리부(129)는 입광부(12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기판(200)에 렌즈(120)를 결합시킬 때, 렌즈(120)가 바르게 장착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다리부(129)는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다리부(129)가 배치되며, 두 개의 다리부(129)는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 일 측에 제1 간격(W1)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두 개의 다리부(129)는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 일 측의 반대 측에 제2 간격(W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은 서로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입광부(121)의 일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부(129)와 타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부(129) 간격은 제1 및 제2 간격(W1, W2)보다 넓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의 발광소자(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입광부(121)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소자(110)는 플립칩 타입의 발광소자(110)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발광소자(110)는 발광소자(110)의 상부 및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소자(110)의 상부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렌즈(120)의 입광부(121)를 거쳐 출광부(12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110)의 측면 방향으로 방출된 광의 일부는 입광부(121)를 거쳐 출광부(12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입광부(121)에 입사된 광이 플랜지(127)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플랜지(127)를 통해 방출되는 광은 렌즈(120)에 의해 굴절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렌즈(120)의 측면으로 방출되는 광량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127)의 두께는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이 다른 것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렌즈(120)의 장축 방향의 두께가 단축 방향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렌즈(120)의 단축 방향보다 장축 방향으로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즉, 플랜지(127)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되어 플랜지(127)를 통해 방출되는 굴절되지 않은 광이 상대적으로 많이 방출되므로, 상대적으로 플랜지(127)의 두께가 두꺼운 렌즈(120)의 장축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량이 많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20)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으로 광을 보다 분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단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의 렌즈(120)는 사출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렌즈(120)의 플랜지(127)에 사출 금형을 위한 게이트(G)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127)의 단축 방향의 두께는 게이트(G)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게이트(G)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축 방향의 플랜지(127) 두께는 단축 방향의 플랜지(127) 두께보다는 두껍고, 4mm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단축 방향의 플랜지(127) 두께는 0.3mm 내지 1mm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기판(200)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00)에 복수의 발광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은 길이 방향을 갖는 바(b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면에 실장된 발광소자(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200)의 도전회로에 복수의 발광소자(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발광소자(110)를 덮도록 렌즈(120)가 배치됨에 따라 발광모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렌즈(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0) 상에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이 기판(20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렌즈(120)의 출광부(123) 장축이 기판(2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기판(200)의 외측으로 렌즈(120)가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120)의 입광부(121)의 단축 방향 너비는 기판(20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렌즈(120)의 다리부(129)들이 기판(200) 상에 결합되어 렌즈(120)가 기판(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이 설치된 32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이 설치된 55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2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300)은 백라이트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3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기판(20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32인치 백라이트 유닛(300)에 하나의 백라이트 모듈(3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 모듈(310)은 백라이트 유닛(300)의 중앙에 백라이트 유닛(3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발광모듈(100)에서 방출된 광은 기판(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출되어 백라이트 유닛(300) 전면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55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400)은 세 개의 백라이트 모듈(310)이 백라이트 유닛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의 길이를 갖는 기판(200)과 기판(2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모듈(1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모듈(310)은 기판(200)과 같이 일방향의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55인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400)에 배치되는 세 개의 백라이트 모듈(310)은 백라이트 모듈(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백라이트 모듈(310)은 하나의 기판(200) 상에 복수의 발광모듈(100)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발광모듈(100)에서 방출된 광이 기판(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갖는 배광 특성을 가지며 방출되어, 백라이트 유닛(400)의 전면에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배치되는 백라이트 모듈(310)의 개수와 기판(200) 상에 배치된 발광모듈(100)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은 발광소자(110) 및 렌즈(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소자(11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렌즈(120)의 구성도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는, 입광부(121), 출광부(123), 플랜지(127) 및 다리부(129)를 포함하며, 입광부(121), 출광부(123) 및 다리부(129)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127)는 출광부(123)에서 렌즈(1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플랜지(127)의 너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x축 방향)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7)의 평면 형상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렌즈(120)의 출광부(123)가 타원 형상인 것에 비해 플랜지(127)는 원 형상을 가짐에 따라 플랜지(127)의 외측 끝단에서 출광부(123)의 외측 끝단까지의 거리는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장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장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단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 출광부의 단축 방향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에 포함된 렌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에 포함된 렌즈에 비해 플랜지(127)의 크기와 형상이 다르다. 그에 따라 플랜지(127)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발광모듈(100)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플랜지(127)의 크기와 형상에 의해 발광모듈(100)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발광모듈(100)에서 방출된 광이 기판(200)이나 백라이트 유닛의 바닥에서 반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도 6과 같이, 렌즈(120)가 기판(200)의 너비보다 크기 때문에 렌즈(120)의 하면(125)을 통해 광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렌즈(120)의 플랜지(127)의 크기와 형상이 달라지면, 렌즈(120)의 하면(125)을 통해 방출되는 광량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랜지(127)의 크기를 제1 실시예에서보다 10% 크게 확장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출광부에 대해 장축 방향으로 방출되는 휘도는 중심에서 약 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발광모듈(100)의 렌즈(120) 하면(125)을 통해 방출되어 기판(200)에서 반사된 광량보다 기판(200)의 외부로 노출된 렌즈(120)의 하면(125)을 통해 렌즈(120)의 외부로 방출되는 광량이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출광부에 대해 단축 방향으로 방출되는 중심 휘도가 약 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출광부에 대해 장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출광부에 대해 단축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은, 발광소자 및 렌즈(120)를 포함한다.
발광소자(110)는 기판(200) 상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발광소자(11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렌즈(120)는,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하기 위해 구비되며, 발광소자(110)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렌즈(120)는,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121a)과 렌즈(120)에서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출광부(123)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는, 하부에 오목한 형상의 입광부(121)를 포함하고, 입광부(121)의 내면이 입사면(121a)일 수 있다.
이때, 입광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렌즈(1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입광부(121)의 형상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형상과 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광부(121)는 오목한 내측면이 입사면(121a)이며, 입사면(121a)은 수직 입사면(121aa) 및 경사 입사면(121ab)을 포함한다. 수직 입사면(121aa)은 입광부(121)의 입구에서 일정 높이까지 수평면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입사면(121aa)에서 연장되게 경사 입사면(121ab)이 형성된다.
경사 입사면(121ab)은 수직 입사면(121aa)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체적으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입사면(121aa)과 렌즈(120)의 돌출면(131)은 연장될 수 있다. 렌즈(120)의 돌출면(13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광부(121)의 입구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입광부(121)의 입구의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입광부(121)의 단축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의 하면(125)은 대체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렌즈(120)의 하면(125) 중 입광부(121)의 입구를 중심으로 돌출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일부가 렌즈(120)의 하면(125)에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면(131)은 구 형상에서 절단된 일부가 렌즈(120)의 하면(125)에 결합된 것이며, 그에 따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의 하면(125)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면(131)의 중심에 입광부(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광부(121)의 수직 입사면(121aa)은 돌출면(13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렌즈(120)의 평면도를 통해 보면, 돌출면(131)의 중심과 입광부(121)의 중심이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렌즈(120)의 하면(125)에 복수의 다리부(129)가 배치되는데, 이때, 복수의 다리부(129)는 돌출면(131)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면(131)이 렌즈(120)의 하면(125)에 형성될 때, 다리부(129)는 돌출면(131)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돌출면(131)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129)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다리부(129)가 배치되며, 두 개의 다리부(129)는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 일 측에 제1 간격(W1)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두 개의 다리부(129)는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 일 측의 반대 측에 제2 간격(W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은 서로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입광부(121)의 일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부(129)와 타 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부(129) 간격은 제1 및 제2 간격(W1, W2)보다 넓을 수 있다.
출광부(123)는 렌즈(120)로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면으로 렌즈(12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출광부(123)의 단면은 x축 방향으로 장축을 갖고, y축 방향으로 단축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과 입광부(121)의 장축 방향을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이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많이 입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렌즈(120)는 출광부(123)와 렌즈(120)의 하면(125)을 연결하는 플랜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27)는 출광부(123)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플랜지(127)의 종단면은 렌즈(120)의 하면(125)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27)의 두께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광부(123)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출광부(123)의 장축 방향에 위치한 플랜지(127)의 두께가 출광부(123)의 단축 방향에 위치한 플랜지(127)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랜지(127)와 출광부(123)의 경계인 경계부(127a)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입광부(121)의 수직 입사면(121aa)의 높이와 플랜지(127)의 두께를 비교하면, 입광부(121)의 수직 입사면(121aa)의 높이는 플랜지(127)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수직 입사면(121aa)의 높이는 플랜지(127)의 두께가 최소가 되는 부분인 출광부(123)의 단축 방향에서의 플랜지(127)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에 포함된 렌즈의 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00)에 포함된 렌즈(120)의 출광부(123)의 곡률을 설명할 수 있다. 렌즈(120)를 설계할 때, 표면에 좌우로 넓은 장면을 표준 크기의 영역으로 압축하거나 전환하는 광학 렌즈(120)인 에너모픽 렌즈(anamorphic lens)를 설계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x축과 y축으로 비구면 렌즈(aspherical lens)를 설계하기 위해 비대칭 상수(B, asymetric constant)가 추가되어 설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출광부(123)의 표면의 좌표 값은 x 및 y 값에 따라 수학식 1에 따라 z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18027685-pat00001
에너모픽 표면 형상은 Y-Z 평면 및 X-Z 평면에서 서로 다른 20차 비구면 형상을 갖는 표면을 허용하지만 각 평면에서 여전히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실제적인 비대칭 표면 형태는 아니다. 이때, 에너모픽 표면은 각 평면에 대한 곡률 및 원뿔 상수와 대칭 및 비대칭 계수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수 A는 Y-Z 평면에서의 비구면 형상에 대한 대칭계수이고, 상수 B는 비대칭 계로, Y-X 평면과 X-Z 평면 간의 비구면 계수의 차이이다. 곡률이 동일하고 원뿔 상수가 같으며, 상수 B가 모두 0((zero) 이면, 수학식 1은 표준 회전 대칭 다항식 비구면으로 감소할 수 있다.
에너모픽 비구면 표면 형상은 Y-Z 평면 및 X-Z 평면에서 20차 비구면 형상이 다른 표면을 허용하지만 각 평면에서 여전히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완전히 비대칭인 표면 형태의 경우엔 X-Y 다항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모픽 비구면 표면은 각 평면에 대한 곡륙 및 원뿔 상수와 대칭 및 비대칭 비구면 계수가 입력될 수 있다.
상수 k는 원뿔 상수이고, k=1(e2)이다. 이때, 상수 k 값은 공통 원뿔 모양과 하기와 같이 관련된다. k=0이면 구이고, -1<k<0이면 z축에 장축을 갖는 타원이며, k=-1이면 포물선이고, k<-1이면 쌍곡선이며, k>0이면 회전타원체(oblate sphere)이다.
이때, kx는 x축에서의 원뿔 상수이고, ky는 y축에서의 원뿔 상수이다. 그리고 cx는 x축에서의 곡률을 의미하고, cy는 y축에서의 곡률을 의미한다.
일례로, cx=cy이고, kx=ky이며, 모든 B가 0(zero)이면, 수학식 1은 표준 회전 대칭 다항식 비구면으로 감소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장축 방향의 측면도를 통해 광이 출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장축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소자(110)는 발광소자(110)의 상면 및 측면에서 모두 광이 방출된다. 그에 따라 발광소자(110)의 상면에서 방출된 광은 렌즈(120)의 입사면(121a) 상부로 렌즈(120)로 입사되어 출광부(123)를 통해 출사된다. 그리고 렌즈(120)의 경사 입사면(121ab)으로 입사된 광은 굴절되어 출광부(123)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0)의 측면으로 방출된 광은 수직 입사면(121aa)을 통해 렌즈(120)에 입사되며, 그대로 렌즈(120)의 플랜지(127)를 통해 측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110)의 측면으로 방출된 광 중 일부는 렌즈(120)의 하면(125)에 결합된 돌출면(131)에서 상부로 반사되어 렌즈(120)의 출광부(12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은 입사면(121a)을 통해 렌즈(120)로 입사되어 출광부(123)로 방출되지 못하고 반사될 수 있는데, 이때, 출광부(123)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는 돌출면(131)에서 재반사되어 다시 출광부(12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110)에서 방출된 광은 렌즈의 하면에 결합된 돌출면에서 반사 또는 재반사되어 렌즈의 출광부를 통해 방출될 수 있어 렌즈의 출광부를 통해 방출되는 광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0)의 측면으로 방출된 광 중 일부는 수직 입사면(121aa)을 통해 렌즈(120)로 입사되어 그대로 렌즈(120)의 플랜지(127)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렌즈(120)의 측면으로 출사되는 광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모듈
110: 발광소자
120: 렌즈 121: 입광부
121a: 입사면 121aa: 수직 입사면
121ab: 경사 입사면
123: 출광부 125: 하면
127: 플랜지 127a: 경계부
129: 다리부 131: 돌출면
200: 기판 300, 400: 백라이트 유닛
310: 백라이트 모듈

Claims (26)

  1.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을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입광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하면에 결합되며 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개의 다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일 측에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나머지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타 측에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다리부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웃하며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2간격 보다 넓은 간격으로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발광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돌출면을 갖는 발광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돌출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내면은 상기 렌즈의 돌출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에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는 발광모듈.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출광부와 상기 렌즈의 하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발광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입사면의 높이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 작은 발광모듈.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에서의 두께가 상기 출광부의 단축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운 발광모듈.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렌즈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져 상기 출광부의 장축 방향 끝단에서 상기 장축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끝단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기 출광부의 단축 방향 끝단에서 상기 단축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끝단까지의 최단 거리는 서로 다른 발광모듈.
  10. 하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 및
    상기 입광부를 통해 입사된 광을 외부로 출광하는 출광부를 포함하는 렌즈로서,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고,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입광부는,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하면에 결합되며 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개의 다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일 측에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나머지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타 측에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다리부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웃하며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2간격 보다 넓은 간격으로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렌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광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면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돌출면을 더 포함하는 렌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광부의 내면은 상기 돌출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에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출광부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입사면의 높이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 작은 렌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에서의 두께가 상기 출광부의 단축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운 렌즈.
  16.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된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입광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하면에 결합되며 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개의 다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일 측에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나머지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타 측에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다리부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웃하며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2간격 보다 넓은 간격으로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모듈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모듈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이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단축 방향 너비는, 상기 기판의 폭보다 작은 백라이트 유닛.
  21. 삭제
  22.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와 입사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광부와 출광부의 평면 형상은 각각 장축과 단축을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장축과 상기 출광부의 장축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광부는, 상기 렌즈의 하면에서 연장된 수직 입사면 및 상기 수직 입사면의 상부로 연장되는 경사 입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입광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의 하면에 결합되며 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개의 다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일 측에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나머지 두 개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 타 측에 제2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네 개의 다리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다리부는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웃하며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2간격 보다 넓은 간격으로 상기 입광부의 장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모듈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출광부의 장축이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입광부의 단축 방향 너비는, 상기 기판의 폭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26. 삭제
KR1020180020302A 2017-02-28 2018-02-21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KR10254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2377 WO2018159977A1 (ko) 2017-02-28 2018-02-27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EP18760381.6A EP3591722B1 (en) 2017-02-28 2018-02-27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light-emitting module and lens
EP24165218.9A EP4365969A3 (en) 2017-02-28 2018-02-27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light-emitting module and lens
US16/504,338 US11199307B2 (en) 2017-02-28 2019-07-08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US17/506,695 US11725800B2 (en) 2017-02-28 2021-10-21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US18/339,782 US20230332757A1 (en) 2017-02-28 2023-06-22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6197 2017-02-28
KR1020170026197 2017-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486A KR20180099486A (ko) 2018-09-05
KR102540670B1 true KR102540670B1 (ko) 2023-06-08

Family

ID=6017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302A KR102540670B1 (ko) 2017-02-28 2018-02-21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591722B1 (ko)
KR (1) KR102540670B1 (ko)
CN (3) CN1146956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5631A (zh) * 2017-02-28 2022-07-01 首尔半导体株式会社 发光模块和透镜
EP4015894A3 (en) * 2018-03-15 2022-09-14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KR102666833B1 (ko) 2018-03-15 2024-05-2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KR20200109804A (ko) * 2019-03-14 2020-09-2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비등방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US20240219770A1 (en) * 2022-02-08 2024-07-04 Hefei Raysees Ai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ii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58B1 (ko) * 2009-10-29 2012-05-21 폭스세미콘 인티그리티드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렌즈
JP2016127030A (ja) * 2015-01-08 2016-07-1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学レンズ、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ライトユニット
US20160356451A1 (en) 2015-06-03 2016-12-08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Lens f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690740B1 (ko) * 2016-01-05 2016-12-29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비대칭 확산 렌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2628A (zh) * 2009-10-29 2011-05-11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光学透镜
US8331037B2 (en) * 2010-08-30 2012-12-11 Edison Opto Corporation Optical lens
KR101756826B1 (ko) * 2010-09-06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한 광원 모듈과 가로등
KR101850981B1 (ko) * 2011-12-23 2018-04-2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모듈 및 렌즈
US10060579B2 (en) * 2011-12-02 2018-08-28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JP6238163B2 (ja) * 2013-11-05 2017-11-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EP3208533B1 (en) * 2016-02-16 2018-11-21 LG Innotek Co., Ltd. Optical lens and light emit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4695631A (zh) * 2017-02-28 2022-07-01 首尔半导体株式会社 发光模块和透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58B1 (ko) * 2009-10-29 2012-05-21 폭스세미콘 인티그리티드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렌즈
JP2016127030A (ja) * 2015-01-08 2016-07-1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学レンズ、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ライトユニット
US20160356451A1 (en) 2015-06-03 2016-12-08 Advanced Optoelectronic Technology, Inc. Lens f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690740B1 (ko) * 2016-01-05 2016-12-29 주식회사 에이치엘옵틱스 비대칭 확산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1722A1 (en) 2020-01-08
CN108511585B (zh) 2022-04-19
CN108511585A (zh) 2018-09-07
EP3591722B1 (en) 2024-04-03
EP3591722A4 (en) 2020-12-23
EP3591722C0 (en) 2024-04-03
CN114695631A (zh) 2022-07-01
CN206610827U (zh) 2017-11-03
KR20180099486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365969A2 (en)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light-emitting module and lens
KR1025406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US10139077B2 (en) Optical lens,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2666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US6972439B1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9627596B2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ing the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package
KR101054157B1 (ko) 광 지향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엘이디 패키지
US11569410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ing device
KR10208793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CN107750318B (zh) 发光单元和包括发光单元的光源单元
KR100947440B1 (ko) 지향각 변환 렌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용 발광장치
KR20160147576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752405B1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811005B1 (ko) 발광소자,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및 패키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2019501541A (ja) 半導体素子
KR202400774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발광모듈 및 렌즈
KR102194804B1 (ko) 발광 소자
KR20200109804A (ko) 비등방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KR20120013824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KR20130022644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119746B1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210038188A (ko) 렌즈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