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595B1 -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595B1
KR102540595B1 KR1020220125942A KR20220125942A KR102540595B1 KR 102540595 B1 KR102540595 B1 KR 102540595B1 KR 1020220125942 A KR1020220125942 A KR 1020220125942A KR 20220125942 A KR20220125942 A KR 20220125942A KR 102540595 B1 KR102540595 B1 KR 10254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fruit extract
grape fruit
fermented produc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숙
김가람
신상훈
김한균
Original Assignee
(주)진셀팜
(주)코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셀팜, (주)코스토리 filed Critical (주)진셀팜
Priority to KR102022012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595B1/ko
Priority to KR1020230052980A priority patent/KR2024004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부균에 의한 액상 발효를 통하여 얻어지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과 이를 고함량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내 타입 1 콜라겐 (Type I Collagen, COL1A1) 유전자 발현과 Elastin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어 피부 탄력은 물론 주름 저감 효과를 가지며, 다양한 안티-에이징 항목 (눈가주름, 안면 리프팅,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윤기(광채), 팔자주름 개선 등)이 높은 수준으로 향상되는 바, 보다 뛰어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져서 다양한 노화 방지 화장 제품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IQUID FERMENTED PRODUCT BY FERMENTING GRAPE FRUIT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귀부균에 의한 액상 발효를 통하여 얻어지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액상 발효물을 고함량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진피층은 섬유아 세포에 의해 콜라겐 (collagen), 엘라스틴 (elastin)과 같은 섬유상 단백질을 포함한 세포외 기질 성분이 생산되고, 세포외 기질을 통해 망상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층의 경우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저해로 인해 세포외 기질 부족현상이 발생하여 진피 망상층의 구조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구조 변형은 피부의 탄력 감소와 주름 생성을 초래하게 된다.
콜라겐은 신체 조직 곳곳에 존재하는 섬유상 단백질로서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에는 주로 타입 I 콜라겐 (type I collagen)이 존재한다. 진피섬유아세포의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프로콜라겐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서로 결합하여 타입 I 콜라겐을 형성한다. 프로콜라겐은 COL1A1 유전자에서 발현된 pro-alpha 1 사슬과 COL1A2 유전자에서 발현된 pro-alpha 2 사슬이 triple helix 구조를 이루면서 생성된다. 타입 I 콜라겐의 생성은 정상적인 피부조직 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어 피부 탄력이 조절되지만,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진피층 내 콜라겐의 양이 감소하면서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성되는 노화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엘라스틴 섬유 (탄력섬유)는 콜라겐 섬유와의 가교결합을 통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라스틴은 진피섬유아세포의 Elastin 유전자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엘라스틴 합성 저해현상으로 인해 피부 탄력이 저하될 수 있다. 엘라스틴의 생성은 정상적인 피부조직 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어 피부 탄력이 조절되지만,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진피층 내 엘라스틴의 양이 감소하면서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성되는 노화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피부노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부 진피층에 존재하는 진피섬유아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콜라겐과 엘라스틴 생산을 촉진시킴으로써 진피 망상층의 구조를 회복시킬 수 있는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피부에 유해한 화학 성분을 최대한 멀리하고 천연재료를 이용한 천연성분들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에 함유되는 천연 추출물들은 대부분 과일 또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며, 피부 보호, 진정, 미백, 보습 등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진 추출물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포도에서 추출되는 포도 추출물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저항력 향상 및 피부 진정에 효과가 있어 스킨 케어(skin care) 화장품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반적인 포도 추출물보다 더 향상된 스킨-케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포도 열매를 고체 배지 상에서 발효시킨 포도 열매의 고상 발효 추출물 (Solid-state fermented)을 제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51382) 하였다.
다만, 고상 발효물의 경우에는 화장품 원료화에 있어서, 즉 고상 발효물의 경우에는 발효 과정이나 에탄올 추출 과정 등으로 인하여 화장품으로 원료로서 적용하여 제형화함에 있어서 원료를 고함량으로 적용하기 힘든 문제와 피부 자극성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액상 발효물 개발을 추가로 진행하고, 액상 발효 후 첨가제 등을 추가하여 제조된 원료를 통하여 높은 함량으로 적용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포도 열매 고체 발효물과 대비하여 동등한 수준 이상의 향상된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면서, 화장품 제형에 고함량으로 적용이 가능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적 기재를 통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도 열매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체 배지에 액상으로 배양된 귀부균 배양액을 접종하여 액체 배지에 포함된 포도 열매 추출액을 액상으로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귀부균 (Botrytis sp.)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9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5.0 중량%이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고상 발효물의 경우 고함량으로 화장품 원료 제형이 어려우나,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발효물을 이용하여 이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에 사용되기 위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내의 타입 1 콜라겐 (Type I Collagen, COL1A1) 유전자 및 Elastin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 및 폴리올 (Polyol)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점증제 및 방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눈가주름, 안면 리프팅,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윤기(광채) 및 팔자주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개선하여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포도 열매 추출액을 액체 배지에 첨가하고,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은, 고체 배지 상에서 1차 배양하여 획득한 귀부균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을 다시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2차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도 열매 추출액이 첨가된 액체 배지 총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시키는 기간은 3일 내지 30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내 타입 1 콜라겐 (Type I Collagen, COL1A1) 유전자 발현과 Elastin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어 피부 탄력은 물론 주름 저감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안티-에이징 항목 (눈가주름, 안면 리프팅,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윤기(광채), 팔자주름 개선 등)이 향상되는 바, 보다 뛰어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져서 다양한 노화 방지 화장 제품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고상 발효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로 제형하는 경우에 고함량 적용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고함량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노화 방지 기능이 더욱 향상된 다양한 화장품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NHDFs)의 타입 1 콜라겐 (Type I Collagen, COL1A1)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P<0.05, 음성대조군 대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NHDFs)의 Elastin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P<0.05, 음성대조군 대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ANTERA 3D를 이용하여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눈가주름 개선을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ANTERA 3D를 이용하여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안면 리프팅 개선을 평가한 결과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Epsilon E100을 이용하여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피부 보습 개선을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Ballistometer를 이용하여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피부 탄력 개선을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광택계와 전안촬영시스템 DermaVision을 이용하여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윤기(광채) 개선을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ANTERA 3D를 이용하여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팔자주름 개선을 평가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은 제조방법 등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i) 먼저, 그 대상이 포도 (Vitis vinifera) 열매가 아닌, 포도 열매를 전처리 및 멸균하여 파쇄한 후에 정제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초음파 추출한 포도 추출액을 발효 대상 재료로 한다.
(ii) 다음으로 발효 대상인 포도 추출액을 고체 배지나 공기 중에 노출시킨 상태가 아닌 액체 배지에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액상 발효 (Liquid-state/Submerge-State ferment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효는, 발효 대상을 고체 배지에 놓거나 고체 배지 없이 공기에 노출시킨 후에 미생물 등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고상 발효(Solid-state fermentation)가 아닌 액체 배지 상에서 이루어지는 액상 발효이다.
(iii) 다음으로, 발효 대상인 포도 열매 추출액을 첨가한 액체 배지에 귀부균 배양액을 접종하여 귀부균에 의해 발효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v) 이때, 귀부균 배양액은 고체 배지 상에서 1차 배양하여 획득한 귀부균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을 다시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2차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귀부균은 보트리티스 속의 균, 바람직하게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일 수 있으며, 보트리티스(Botrytis) 속(genus) 균은 과실이나 야채의 귀부 (noble rot, Edelfaule)를 일으킬 수 있는 보트리스 속으로 분류되는 곰팡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의약품, 외용제 및 화장품 등과 같이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제품에 포함될 수 있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기초 화장품 (예를 들어, 스킨, 앰플, 에센스, 로션, 크림류 등) 및 클렌징 제품(예를 들어, 샴푸, 린스, 비누, 클랜징폼, 바디클랜져 등)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화 방지 내지 피부 개선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가,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광채 등과 같이 미용 내지 의료 목적으로 피부가 개선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노화는 연령 및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내인성 노화 (intrinsic ageing)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을 포함한 광(light), 바람 및 추위와 같은 외부 환경적인 요소로 인한 광 노화 (photo - ageing)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른 화장료 조성물 및 이하에 설명되는 배합 가능한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95.0 중량%의 양으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능,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 등에 문제가 있으며,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능의 증가 및 효율성 등이 미약하다.
특히, 종래 고상 발효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로 적용할 때에는 제형 안정화 등의 측면에서 원료를 고함량으로 적용함에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70.0 내지 95.0 중량%의 양으로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40% 이상 70% 이하의 폴리올(Polyol) 및 1% 이상 10% 이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Glycerin, 1,3-Butylene glycol, 1,3-Propanediol, Methylepropanediol, Propylene glycol, Dipropylee glycol, Phentylene glycol, 1,2-Hexanedi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안정성 및 품질 등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유탁화제, 비타민, 안료, 양료, 담체,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안정화제, 점증제, 방부제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Xanthan gum, Carrageenan powder, Carbomer, Sodium Carbomer 또는 Acrylate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점증제 성분들은 예시들일 뿐, 전술한 예시들로 인해 본 개시의 점증제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들이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방부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화학적 변화로 인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Ethylhexylglycerin 또는 Phenoxy Etha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방부제 성분들은 예시들일 뿐, 전술한 예시들로 인해 본 개시의 방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들이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화장품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사용되기 위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제형에 대한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샴푸,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유액,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다른 성분으로서 유지 성분, 에몰리언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 및 면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도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1 회 내지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하는 양 및 횟수는 개인의 피부 상태, 연령 등에 따라 필요에 의해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 중 주요 효과를 위해 필수 성분들을 2종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주요 효과는 피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나타나는 안티-에이징 효과로서, 눈가주름 개선, 안면 리프팅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탄력 개선, 윤기(광채) 및 팔자주름 개선 효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제조>
1. 포도 열매 추출액의 제조 단계
1-(1). 포도 열매 전처리 및 멸균
수확한 포도 열매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건조하여 보관하며, 오토클레이브로 121 ℃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한 후에 포도 열매를 파쇄하였다.
1-(2). 포도 열매 추출액의 획득
상기 1-(1) 단계를 거친 포도열매 파쇄물 양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첨가한 후, 즉 추출 용매 정제수를 1 : 10의 무게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에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60 ℃에서 90분간 추출한 후에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에 대해서 fiter paper를 이용해 여과하여 추출이 완료된 포도 열매를 제거하여 최종 포도 열매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2. 귀부균 (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 Botrytis cinerea )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의 제조 단계
2-(1). 귀부균 배양 (1차 배양)
PDA (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제조한 후에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를 접종하여 7일 내지 14일간 배양하였으며, 계대배양 (Subculture)을 위해 보트리티스 시네리아가 배양된 배지를 잘라 새로이 제조한 PDA 배지 중앙에 이식하였다.
2-(2). 귀부균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의 획득
보트리티스 시네리아가 배양된 PDA 배지에 0.02% glycerol(in DW) 용액을 10 mL 첨가하고 백금이를 사용하여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균사 및 포자를 획득하고,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은 약 0.5 cm 내지 1 cm 두께의 멸균된 탈지면을 끼워놓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에 사용된다.
3. 액체 배지에서의 전배양을 통한 귀부균 전배양액 (2차 배양) 수득 단계
귀분균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 전 단계로서, 귀부균의 전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를 제조한 후에, 상기 2-(2) 단계에서 획득한 귀부균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7일 내지 14일간 배양하여 전배양액을 수득하였다.
4. 귀부균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수득
4-(1).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
본 배양용 액체 배지를 제조하고, 이때 액체 배지의 정제수 대신에 상기 1-(2)에서 수득한 포도열매 추출액으로 대체한 후에, 상기 3.에서 획득한 귀부균 전배양액을 본배양 액체 배지에 접종 (1 ~ 5%)한 후에 7일 내지 14일간 배양하여 액상 발효 (Liquid-State, Submerged-State fermentation)시켰다.
4-(2).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수득
상기 본배양 종류 후에 오토클레이브에서 121 ℃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한 뒤, 원심분리 및 필터링을 수행하여 귀부균을 제거하고 최종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아래 성분을 전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된다.
-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82.41619%
- 정제수: 7.1995%
- 부틸렌글라이콜: 6%
- 글리세린: 2.84%
- 판테놀: 0.75%
- 1,2-헥산다이올: 0.44%
- 아이리쉬모스추출물: 0.12381%
-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0.06%
-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05%
- 아데노신: 0.04%
-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0.02%
-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 0.02%
- 판토락톤: 0.01%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
- 에틸헥실글리세린: 0.0005%
-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 실험예 1 : 인간진피섬유아세포 내 콜라겐 생성 증가에 대한 효력시험>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적용하여 콜라겐 생성에 대한 세포 효능을 평가하였다.
(1) 실험 방법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in vitro 콜라겐 생성 증가 시험을 위해,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인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HDFs)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물질인 화장료 조성물의 검액농도 설정을 위해,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농도 구간을 세포독성시험법 (Cytotoxicity assay)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정된 검액농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콜라겐 유전자인 COL1A1 mRNA 발현량을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법을 통해 비교 및 분석하였다.
(2) 실험 결과
시험물질인 화장료 조성물의 0.1% (w/v) 이하 농도에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후의 in vitro 콜라겐 생성 증가 시험에서는 0.1% (w/v) 농도대를 검액농도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검액농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COL1A1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 0.1% (w/v) 농도에서 COL1A1 mRNA 발현이 음성 대조군 (실험을 위하여 사용된 전처리 용매류를 음성대조군으로 함)과 비교하여 18.97 ± 0.97%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0.05).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Retinol (0.001%)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COL1A1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23.99±1.64%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0.0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0.1% (w/v) 농도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처리시, COL1A1 mRNA 발현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8.97±0.97%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내 COL1A1 mRNA 발현이 증가하게 나타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콜라겐 생성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 인간진피섬유아세포 내 엘라스틴 생성 증가에 대한 효력시험>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진피 섬유아 세포에 적용하여 엘라스틴 생성에 대한 세포 효능을 평가하였다.
(1) 실험 방법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in vitro 엘라스틴 생성 증가 시험을 위해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인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HDFs)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인 액상발효물의 검액농도 설정을 위해, 액상 발효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농도 구간을 세포독성시험법 (Cytotoxicity assay)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정된 검액농도의 액상 발효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엘라스틴 유전자인 Elastin mRNA 발현량을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법을 통해 비교 및 분석하였다.
(2) 실험 결과
시험물질인 화장료 조성물의 0.1% (w/v) 이하 농도에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후의 in vitro 엘라스틴 생성 증가 시험에서는 0.1% (w/v) 농도대를 검액농도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검액농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Elastin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 0.1% (w/v) 농도에서 Elastin mRNA 발현이 음성대조군 (실험을 위하여 사용된 전처리 용매류를 음성대조군으로 함)과 비교하여 40.98 ± 3.73%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0.05).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Retinol (0.001%)을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24시간 처리하여 Elastin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45.09 ± 2.13%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0.0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0.1% (w/v) 농도로 인간진피 섬유아세포에 처리시, Elastin mRNA 발현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40.98 ± 3.73%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내 Elastin mRNA 발현이 증가하게 나타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엘라스틴 생성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 피부 개선 효능에 대한 인체적용 시험 >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눈가주름, 안면 리프팅,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윤기(광채), 팔자주름 개선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하였다.
(1) 시험기간 / 시험 부위/ 피시험자 선정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안면 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4주의 기간 동안 1일 2회, 아침/저녁 세안 후에 동일한 양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시켰다.
피시험자의 경우 동의서를 작성하고 시험하였으며, 피부질환을 포함하는 급성,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 시험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또한,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피부질환 치료를 위하여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사람,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시험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시험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부위에 시술을 받은 사람,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 등은 제외하였다. 최종 이러한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40 ~ 57세의 성인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하였다.
(2) 시험 평가 방법
시험에 있어서 모든 시험 절차 및 확인 등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기기측정은 아래 사항과 같으며, 피부이상반응 평가를 추가 실시하였다.
- ANTERA 3D에 의한 눈가주름 개선 평가
- ANTERA 3D에 의한 안면 리프팅 개선 평가
- Epsilon E100에 의한 피부 보습 개선 평가
- Ballistometer에 의한 피부 탄력 개선 평가
- 광택계와 전안촬영시스템 DermaVision에 의한 윤기(광채) 개선 평가
- ANTERA 3D에 의한 팔자주름 개선 평가
(3) 시험 결과
(3)-1. ANTERA 3D를 이용한 눈가주름 평가 결과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 값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7.67%, 4주 사용 후 8.57% 감소되어 눈가주름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p<0.001).
<표 1 Wrinkles small 값 변화 (Indentation index)>
구분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9.84 9.08 8.99
표준 편차 1.18 1.13 1.06
<표 2 Wrinkles small 값 개선율(%)>
구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7.67 8.57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 | / 사용 전 측정값) × 100
3)-2. ANTERA 3D를 이용한 안면 리프팅 평가 결과
피부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medium 값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22.74%, 4주 사용 후 28.83% 감소되어 안면 리프팅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p<0.01).
< 표 3 Depressions medium (mm3) 값 변화>
구분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1.68 1.30 1.20
표준 편차 0.86 0.65 0.94
<표 4 Depressions medium 값 변화 개선율(%)>
구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22.74 28.83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 | / 사용 전 측정값) × 100
(3)-3. Epsilon E100을 이용한 피부 보습 평가 결과
피부 수분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122.29%, 2주 사용 후 52.01%, 4주 사용 후 73.47% 증가되어 피부 보습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p<0.001).
<표 5 피부 수분 변화 (ε=Epsilon)>
구분 사용 전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16.15 35.90 24.55 28.02
표준 편차 3.02 4.76 3.74 3.17
<표 6 피부 수분 개선율(%)>
구분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122.29 52.01 73.47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 | / 사용 전 측정값) × 100
(3)-4. Ballistometer를 이용한 피부 탄력 평가 결과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CoR 값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2.03%, 4주 사용 후 3.44% 증가되어 피부 탄력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p<0.001).
<표 7 CoR 값 변화>
구분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0.61 0.62 0.63
표준 편차 0.02 0.02 0.03
<표 8 CoR 값 개선율(%)>
구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2.03 3.44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 | / 사용 전 측정값) × 100
(3)-5. 광택계와 전안촬영시스템 DermaVision을 이용한 윤기(광채) 평가 결과
피부 윤기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18.32%, 2주 사용 후 9.03%, 4주 사용후 9.90% 증가되어 윤기(광채)가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p<0.05).
<표 9 피부 윤기 변화 (G.U=Gloss Unit)>
구분 사용 전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3.03 3.58 3.30 3.33
표준 편차 0.65 0.62 0.68 0.69
<표 10 피부 윤기 개선율(%)>
구분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18.32 9.03 9.90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 | / 사용 전 측정값) × 100
3-(6). ANTERA 3D를 이용한 팔자주름 평가 결과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large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15.08%, 4주 사용 후 26.44% 감소되어 팔자주름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p<0.001).
<표 11 Wrinkles small 값 변화 (Indentation index)>
구분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43.91 37.29 32.30
표준 편차 17.62 15.96 12.09
<표 12 Wrinkles small 값 개선율(%)>
구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15.08 26.44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 | / 사용 전 측정값) 100
3-(7). 인체 적용 이상반응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인체적용 시험기간 동안 피시험자로부터 피부 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눈가주름, 안면 리프팅,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윤기(광채), 팔자주름 개선 등 다양한 안티-에이징 노화 방지용 화장품으로서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포도 열매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체 배지에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을 접종하여 액상 발효시켜 수득되고,
    상기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은, 고체 배지 상에서 1차 배양하여 획득한 귀부균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을 액체 배지에 접종 후 2차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균 (Botrytis sp.)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3. 제1항에 따른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진피 섬유아세포 내의 타입 1 콜라겐 (Type I Collagen, COL1A1) 유전자 및 Elastin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9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5.0 내지 9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자의 피부에 사용되기 위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 및 폴리올 (Polyol)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점증제 및 방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눈가주름, 안면 리프팅,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윤기(광채) 및 팔자 주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개선하여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0.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포도 열매 추출액을 액체 배지에 첨가하고,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은, 고체 배지 상에서 1차 배양하여 획득한 귀부균 균사 및 포자 현탁액을 액체 배지에 접종 후 2차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균 (Botrytis sp.)은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기간은 3일 내지 3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 열매 추출액이 첨가된 액체 배지 총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귀부균 (Botrytis sp.) 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제조방법.
KR1020220125942A 2022-10-04 2022-10-04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42A KR102540595B1 (ko) 2022-10-04 2022-10-04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52980A KR20240047291A (ko) 2022-10-04 2023-04-21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942A KR102540595B1 (ko) 2022-10-04 2022-10-04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980A Division KR20240047291A (ko) 2022-10-04 2023-04-21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595B1 true KR102540595B1 (ko) 2023-06-08

Family

ID=867654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942A KR102540595B1 (ko) 2022-10-04 2022-10-04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52980A KR20240047291A (ko) 2022-10-04 2023-04-21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980A KR20240047291A (ko) 2022-10-04 2023-04-21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05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47A (ko) * 1992-08-12 1994-03-14 한동군 한국산 주목의 배양세포를 이용한 택솔의 생산방법
KR20120099165A (ko) * 2011-01-24 2012-09-07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51382B1 (ko) * 2020-12-23 2022-01-14 (주)진셀팜 포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47A (ko) * 1992-08-12 1994-03-14 한동군 한국산 주목의 배양세포를 이용한 택솔의 생산방법
KR20120099165A (ko) * 2011-01-24 2012-09-07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51382B1 (ko) * 2020-12-23 2022-01-14 (주)진셀팜 포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291A (ko)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0123B1 (en) Fibroblast proliferator
CN103610633B (zh) 含有人参果阿魏菇发酵液的化妆料组合物
KR101926263B1 (ko)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4825A (ko) 소리쟁이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004322B1 (ko) 자귀나무껍질, 숙근안개초, 시계꽃, 권백 및 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1B1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307969B1 (ko)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132B1 (ko) 실론시나몬나무껍질 및 구릿대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0595B1 (ko) 귀부균 발효에 의한 포도 열매 추출액의 액상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1382B1 (ko) 포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7267B1 (ko) 아스타잔틴 복합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5511A (ko) 감귤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