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25B1 -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 Google Patents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25B1
KR102540225B1 KR1020180102764A KR20180102764A KR102540225B1 KR 102540225 B1 KR102540225 B1 KR 102540225B1 KR 1020180102764 A KR1020180102764 A KR 1020180102764A KR 20180102764 A KR20180102764 A KR 20180102764A KR 102540225 B1 KR102540225 B1 KR 10254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tube
bag filter
heating system
dust collector
tub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424A (ko
Inventor
김형섭
오종원
박원찬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0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진 형태로 포집하여 제거하는 백필터 집진기에 있어서, 표면에 분진이 포집되는 복수의 백필터, 백필터 표면에 포집된 분진을 낙하시키기 위해 탈진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블로우 튜브, 그리고 블로우 튜브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로우 튜브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BAG FILTER TYPE DUST COLLECTOR WITH BLOW TUBE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백필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진 공기의 통과 및 분사가 이루어지는 블로우 튜브를 가열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에는 붕산을 포함하여,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플루오린화 수소, 염화 수소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들은 백필터 집진기 내에서 분진화 되어 걸러진다.
도 1은 종래 백필터 집진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폐가스는 백필터 집진기(1) 하측에 형성된 유입구(10)를 통해 백필터 집진기(1) 내부로 유입되고, 백필터(20)를 거치면서 폐가스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백필터 집진기(1) 상측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폐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은 백필터(20) 표면에 분진 형태로 포집되며, 포집된 분진은 백필터(20) 상부의 블로우 튜브(30)에 형성된 분사 노즐(31)로부터 분사되는 상온의 탈진 공기에 의해 백필터(20) 표면으로부터 탈리되어 백필터 집진기(1) 하부의 분진 수거조(40)에 수집된 후 제거된다.
유리 폐가스는 일반적으로 170℃ 내지 250℃의 고온으로, 이러한 고온의 폐가스가 그대로 백필터 집진기(1)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 백필터 집진기(1)를 구성하는 철제 구조물, 백필터(20) 등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폐가스는 백필터 전 공정으로 분당 3 내지 9 리터의 수분을 공급하는 스크러버 형태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85℃ 내지 150℃의 온도로 하향되어 백필터 집진기(1)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백필터 집진기(1) 내 블로우 튜브(30)의 분사 노즐(31)로부터 상온의 탈진 공기가 분사된다. 상온의 탈진 공기가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블로우 튜브(30) 및 분사 노즐(31)은 탈진 공기에 의해 상온 가까이 냉각되어 블로우 튜브(30) 주변에는 백필터 집진기(1) 내 공급된 수분의 결로가 발생한다.
또한, 유해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한 폐가스는 상온의 블로우 튜브(30) 주변을 통과하면서 폐가스 중의 붕산이 경화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 튜브(30) 및 분사 노즐(31) 부근에 적체되며, 분사 노즐(31)이 막힐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체 붕산이 적체되면 분사 노즐(31)로부터 적절한 압력의 탈진 공기가 분사되지 못하여 백필터(20) 표면에 포집된 분진을 탈리시키지 못하고, 백필터(20) 내 차압이 증가하여 정상적인 공정 운용이 어렵게 된다. 또한, 적체된 고체 붕산을 제거하기 위해 백필터(20) 및 블로우 튜브(30)의 잦은 클리닝 및 교체가 요구되어 공정 생산성이 저하된다.
종래에는 백필터 집진기(1) 내벽에 결로 방지를 위해 히터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블로우 튜브(30)를 직접적으로 가열시키는 것은 아니어서 블로우 튜브(30) 및 분사 노즐(31) 부근에 고체 붕산이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블로우 튜브를 가열시켜 블로우 튜브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는 폐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진 형태로 포집하여 제거하는 백필터 집진기에 있어서, 표면에 분진이 포집되는 복수의 백필터, 백필터 표면에 포집된 분진을 낙하시키기 위해 탈진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블로우 튜브, 그리고 블로우 튜브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로우 튜브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블로우 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블로우 튜브로 공급되는 탈진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배관을 포함하며, 스팀 배관의 적어도 일부는 블로우 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블로우 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폐가스를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백필터 표면에는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1
)가 도포되어 있고, 백필터 집진기 내로 유입되는 폐가스에 포함된 붕산은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2
)와 반응하여 백필터 표면에 칼슘보레이트(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3
) 형태로 포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백필터 표면에 칼슘보레이트(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4
) 형태로 포집되지 못한 폐가스 내 붕산에 의해 블로우 튜브 상에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로우 튜브가 적어도 80℃ 이상 150℃ 이하의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는 블로우 튜브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로우 튜브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종래 블로우 튜브 주변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형성됨에 따라 백필터 집진기 내로 공급된 수분의 결로 현상 및 폐가스 내 붕산에 의해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어 블로우 튜브 주변에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백필터 집진기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해지고 백필터 집진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을 활용하여 백필터 집진기 내부의 온도를 분진 포집에 최적화된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집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백필터 집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보릭 경화층이 형성된 블로우 튜브 및 분사 노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열선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히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스팀 배관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순환 배관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열선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히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스팀 배관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으로 순환 배관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100)는 유입된 폐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진 형태로 포집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표면에 분진이 포집되는 복수의 백필터(130), 백필터(130) 표면에 포집된 분진을 낙하시키기 위해 탈진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14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블로우 튜브(140), 그리고 블로우 튜브(140)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백필터 집진기(100) 하측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폐가스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백필터(130)를 통과하면서 폐가스 내 포함된 유해물질들이 백필터(130) 표면에 분진 형태로 걸러지게 되고, 분사 노즐(141)이 백필터(130)를 향하여 탈진 공기를 분사하면 백필터(130) 표면에 포집된 분진은 낙하하여 호퍼 형상의 케이스(120) 하부에 구비된 분진 수거조(150)에 수집되어 배출되며, 유해물질이 제거된 폐가스는 케이스(120) 상측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백필터 집진기(100) 하측에 형성된 유입구(110)로 폐가스가 유입되고,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폐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유입구(110) 및 배출구(미도시)는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필터(130)는 백필터(130)의 상부 개방부가 탈진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141)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백필터(130)는 분사 노즐(141) 하부에 분사 노즐(141)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백필터(130)는 블로우 튜브(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복수의 분사 노즐(141)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며, 블로우 튜브(140)의 하부에서 블로우 튜브(140)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 노즐(141)과 같이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백필터(130)를 이와 같이 배열시킴으로써 분사 노즐(141)로부터 분사되는 탈진 공기가 백필터(130)의 내부 및 외부에 적정한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백필터(130) 표면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다.
한편, 폐가스 중에는 미세 크기의 분진 또는 기체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중 미세 크기의 분진 형태의 유해물질은 백필터(130)를 통과하면서 그대로 백필터(130) 표면에 걸러지게 되고, 기체의 유해물질, 예를 들어, 이산화 황, 질소산화물, 붕산 등은 백필터(130)를 통과하면서 분진화 되어 백필터(130) 표면에 여과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백필터(130) 표면에는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5
)(131)가 도포되어 있고, 백필터 집진기(100) 내로 유입되는 폐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 중 붕산은 백필터(130) 표면에 도포된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6
)(131)와 반응하여 백필터(130) 표면에 칼슘보레이트(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7
) 형태로 포집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이산화황은 백필터(130) 표면에 도포된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8
) (131)와 반응하여 아황산칼슘(
Figure 112018086283088-pat00009
) 형태로, 질소산화물은 칼슘나이트레이트 (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0
) 형태로 백필터(130) 표면에 포집될 수 있다.
블로우 튜브(140)는 위와 같이 백필터(130) 표면으로 여과되어 포집된 분진을 털어내기 위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백필터(130)와 대응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분사 노즐(141)을 통해 탈진 공기를 분사한다.
일반적으로 상온의 외기가 탈진 공기로서 분사 노즐(141)을 통해 분사된다. 그러나 백필터 집진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폐가스는 85℃ 내지 150℃로서, 상온의 탈진 공기가 통과 및 분사되는 블로우 튜브(140) 주변은 백필터 집진기(100)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형성되며,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폐가스의 온도보다 낮은 블로우 튜브(140) 주변에는 냉각효과로 인해 기체 상의 붕산이 고체로 바뀌어 경화되는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며, 형성된 보릭 경화층은 블로우 튜브(140) 주변에 적체되어 탈진 공기가 적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 집진기(100)는 블로우 튜브(140)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으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210), 히터(220), 스팀 배관(230), 순환 배관(240)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열선(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선(210)은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감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홈을 따라 열선(210)을 배치할 수도 있다.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열선(210)은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전열선일 수 있으며, 배치되는 열선(210)의 직경은 블로우 튜브(140)의 직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블로우 튜브(140)를 충분히 가열시키기 위해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열선(210)을 동시에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의 열선(210)을 동시에 배치시키는 경우 일부는 주열선 다른 일부는 보조열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블로우 튜브(140)로 공급되는 탈진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22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우 튜브(140)는 상온의 외기가 압축 저장된 탈진 공기 공급부 (142)로부터 탈진 공기를 공급 받으며, 탈진 공기 공급부(142)는 케이스(120) 외측에 블로우 튜브(140) 일측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탈진 공기 공급부(142)에 저장된 탈진 공기는 전방에 설치된 히터(220)를 거쳐 가열된 상태로 블로우 튜브(140)로 공급될 수 있으며, 가열된 탈진 공기가 블로우 튜브(140) 및 분사 노즐(14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블로우 튜브(140)가 가열될 수 있다.
탈진 공기의 분사 압력 및 분사 간격 등은 밸브(v1, v2)를 통해 조절 가능하며, 히터(220)를 구비한 경우 블로우 튜브(140)로 공급되는 탈진 공기의 온도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히터(220) 전방에 배치된 밸브(v1)는 탈진 공기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블로우 튜브(140)에 열을 전달하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팀 배관(230)의 적어도 일부는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로우 튜브(140)는 스팀 배관(230)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스팀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것이므로, 스팀 배관(23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체(231)로 블로우 튜브(140) 및 스팀 배관(230)을 함께 패킹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의 제어부(미도시)와 별개로 스팀 배관(230)에는 스팀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는 스팀 배관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배관 밸브(미도시)는 블로우 튜브(140) 표면 및 주변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스팀 배관(230)으로의 스팀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폐가스를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가스는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백필터 집진기(1) 내로 도입되므로,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는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우 튜브(140) 가열에 사용되는 폐가스는 스크러버를 통과하지 않은 폐가스일 수 있으며, 블로우 튜브(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순환 배관(240)으로 도입되어 블로우 튜브(140)에 열을 전달한 후 우회하여 백필터 집진기(1)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폐가스는 순환 배관(240)으로 도입되는 방향에 따라 블로우 튜브(140) 내부를 통과하는 탈진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순환하거나 역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의 다양한 실시예 중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기 위해 탈진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히터(220)가 있으나, 열선(210), 스팀 배관(230), 순환 배관(240)의 경우에도 블로우 튜브 (14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열대류에 의해 탈진 공기가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탈진 공기는 적용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과 협력하여 블로우 튜브(140)를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블로우 튜브(14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 및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백필터(130) 표면에 칼슘보레이트(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1
) 형태로 포집되지 못한 폐가스 내 붕산에 의해 블로우 튜브(140) 상에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로우 튜브(140)가 적어도 80℃ 이상 150℃ 이하의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의 작동은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은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블로우 튜브(140)의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블로우 튜브(140)의 온도가 150℃를 초과하게 되면 그 작동이 정지되어 블로우 튜브(140)가 항상 설정 온도인 80℃ 이상 150℃ 이하의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의 작동 시작 온도 및 작동 정지 온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블로우 튜브(140)의 설정 온도는 폐가스 내 잔여 붕산에 의한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폐가스에 포함된 붕산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백필터(130) 표면에 도포된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2
)(131)와 반응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이다.
보릭 경화층은 80℃ 이하의 조건에서 붕산이 포함된 폐가스가 수분과 만날 경우 형성되며, 백필터(130) 표면에 도포된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3
)(131)와 붕산 사이의 반응(라임반응)은 150℃ 이하 또는 350℃ 이상에서만 진행 가능하므로, 블로우 튜브(140)의 설정 온도 범위의 하한 값은 80℃, 상한 값은 150℃로 설정하여, 백필터(130) 및 블로우 튜브(140) 주변의 온도를 라임반응 진행에 최적화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는 블로우 튜브(140)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로우 튜브(140)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시스템(200)을 포함함으로써, 종래 블로우 튜브(140) 주변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형성됨에 따라 백필터 집진기(100) 내로 공급된 수분의 결로 현상 및 폐가스 내 붕산에 의해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어 블로우 튜브(140) 주변에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백필터 집진기(100)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해지고 백필터 집진기(100)를 구성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200)을 활용하여 백필터 집진기(100) 내부의 온도를 분진 포집에 최적화된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집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백필터 집진기 110: 유입구
120: 케이스 130: 백필터
131: 소석회 140: 블로우 튜브
141: 분사 노즐 142: 탈진 공기 공급부
150: 분진 수거조
200: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 210: 열선
220: 히터 230: 스팀 배관
231: 절연체 240: 순환 배관

Claims (7)

  1. 폐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진 형태로 포집하여 제거하는 백필터 집진기에 있어서,
    표면에 분진이 포집되는 복수의 백필터;
    상기 백필터 표면에 포집된 분진을 낙하시키기 위해 탈진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블로우 튜브; 및
    상기 블로우 튜브가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로우 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폐가스를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으로 상기 블로우 튜브를 가열시키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상기 블로우 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열선을 포함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상기 블로우 튜브로 공급되는 상기 탈진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 배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블로우 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 표면에는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4
    )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백필터 집진기 내로 유입되는 폐가스에 포함된 붕산은 상기 소석회(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5
    )와 반응하여 상기 백필터 표면에 칼슘보레이트(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6
    ) 형태로 포집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은,
    상기 백필터 표면에 칼슘보레이트(
    Figure 112018086283088-pat00017
    ) 형태로 포집되지 못한 폐가스 내 붕산에 의해 상기 블로우 튜브 상에 보릭 경화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로우 튜브가 적어도 80℃ 이상 150℃ 이하의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KR1020180102764A 2018-08-30 2018-08-30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KR10254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64A KR102540225B1 (ko) 2018-08-30 2018-08-30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64A KR102540225B1 (ko) 2018-08-30 2018-08-30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24A KR20200025424A (ko) 2020-03-10
KR102540225B1 true KR102540225B1 (ko) 2023-06-08

Family

ID=6980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64A KR102540225B1 (ko) 2018-08-30 2018-08-30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4214A (zh) * 2020-09-02 2020-12-08 苏州守望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防爆除尘工艺
KR102326757B1 (ko) * 2021-05-28 2021-11-16 (주) 정도이앤티 수분제거 기능이 강화된 백필터 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471063B (zh) * 2022-03-24 2023-08-01 安徽顺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湿法降尘用多级烟尘过滤袋式除尘器及实施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621A (ja) 2001-06-29 2003-01-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グフィルタのダスト払い落とし装置
JP2004081958A (ja) * 2002-08-26 2004-03-18 Jfe Engineering Kk バグフィルタ装置の逆洗方法およびバグ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830U (ko) * 1997-05-08 1998-12-05 김종진 집진실의 수분제거장치
KR100975210B1 (ko) * 2003-08-05 2010-08-10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의 수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621A (ja) 2001-06-29 2003-01-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バグフィルタのダスト払い落とし装置
JP2004081958A (ja) * 2002-08-26 2004-03-18 Jfe Engineering Kk バグフィルタ装置の逆洗方法およびバグフィル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24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0225B1 (ko) 블로우 튜브 가열 시스템이 적용된 백필터 집진기
KR101411924B1 (ko) 고온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
KR101211375B1 (ko) 텐터기 배기가스 폐열회수 시스템
CN102564810B (zh) 一种脱硝烟气采样及预处理装置
CN111886468A (zh) 集尘系统及蓄热系统
KR100711940B1 (ko) 폐가스 정화처리장치용 습식유닛
CN103446848B (zh) 二氧化碳回收系统及其操作方法
CN205867863U (zh) 一种烟气净化处理装置
JP5326637B2 (ja) 転炉の換気集塵方法
KR101706112B1 (ko) 스크러버를 위한 반도체 공정 폐가스의 냉각제습 장치
KR101640976B1 (ko) 과불화물의 처리 장치, 과불화물의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4138475A (ja) 排ガスサンプリング装置
KR101745908B1 (ko) 스크러버
CN206730714U (zh) 一种抗露防腐高温除尘器
JP5440822B1 (ja) レキュペレータの運転方法及び排ガス処理設備の運転方法
CN208893934U (zh) 一种自动调节温度的脱硫塔
CN208764948U (zh) 一种危险废物焚烧节省用水的装置
CN202382991U (zh) 一种脱硝烟气采样及预处理装置
KR101792877B1 (ko)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스크러버용 반도체 공정 폐가스의 냉각제습 장치
JP6085203B2 (ja) 過弗化物の処理装置および過弗化物の処理方法
KR101353431B1 (ko) 가스 냉각 장치
JPH0494720A (ja) 脱硫剤供給配管加熱式排ガス処理装置
JP2018176132A (ja) バグフィルタ装置
JP7356810B2 (ja) 集塵システムおよび熱交換装置
JP2015020106A (ja) 排ガス処理設備及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