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12B1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12B1
KR102540212B1 KR1020160183844A KR20160183844A KR102540212B1 KR 102540212 B1 KR102540212 B1 KR 102540212B1 KR 1020160183844 A KR1020160183844 A KR 1020160183844A KR 20160183844 A KR20160183844 A KR 20160183844A KR 102540212 B1 KR102540212 B1 KR 10254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ight emitting
range
turned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756A (ko
Inventor
박정호
이여경
김화니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변속 시프터;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위치를 단계 별로 알려주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에서 인접한 다른 변속 단으로 회전 시, 상기 선택된 변속 단의 발광부는 단계적으로 소등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의 발광부는 단계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는, R단, D단, N단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 제3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에 따라 단계 별로 소등 또는 점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Automotiv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복수의 변속 단들 중, 특정 변속 단을 선택하고자 변속 시프터를 조작할 때, 변속 단 위치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여 마치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 장치(Transmission)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기어 비를 달리하도록 한 것으로서, 운전자는 변속 장치의 기어 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 장치에 있는 변속 시프터(Shift lever)를 조작하게 된다.
이 때, 운전자는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 단을 선택함으로써 기어 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변속 장치는 수동 변속 장치와 자동 변속 장치로 구분된다.
수동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추어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 단을 직접 선택하는 변속 장치이고, 자동 변속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부하, 스로틀 밸브의 개방량 등에 따라 차량의 ECU가 변속 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변속 장치이다.
자동 변속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정차 시에 사용되는 P단, 차량의 후진에 사용되는 R단, 엔진의 출력이 구동륜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N단 및 차량의 전진에 사용되는 D단을 포함하는 변속 단으로 구성된다.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각 변속 단을 선택할 수 있는데, 변속 레버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레버 타입과 다이얼 타입이 있다. 그 외에 각 변속 단이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차종도 있다.
일반적인 레버 타입은 P-R-N-D의 순서로 변속 단이 일렬 배치되고 레버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변속 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레버 타입으로서, P-R-N-D의 변속 단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레버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틸팅 후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레버의 틸팅 방향에 따라 P-R-N-D가 차례대로 변하는 방식으로 변속 단을 선택할 수 있는 변속 장치도 제공되고 있다.
한편, 다이얼 타입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다이얼의 주변으로 P-R-N-D의 변속 단이 위치하고 다이얼의 특정 포인트를 P-R-N-D의 각 변속 단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 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레버 타입과 다이얼 타입의 변속 시프터를 포함하는 종래의 차량용 변속 장치의 경우,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를 조작하여 복수의 변속 단 중, 특정 변속 단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 선택된 변속 단을 표시하기 위한 해당 표시부만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를 조작하여 복수의 변속 단 중, 특정 변속 단을 선택하게 될 때, 시각적으로 향상된 심미감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고, 운전자가 선택되는 변속 단을 시각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499223호 한국특허등록 제15270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복수의 변속 단들 중, 특정 변속 단을 선택하고자 변속 시프터를 조작할 때, 변속 단 위치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여 마치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향상된 심미감을 제공하여 차량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운전자가 선택되는 변속 단을 시각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회전 가능한 변속 시프터;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위치를 단계 별로 알려주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에서 인접한 다른 변속 단으로 회전 시, 상기 선택된 변속 단의 발광부는 단계적으로 소등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의 발광부는 단계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는, R단, D단, N단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 제3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에 따라 단계 별로 소등 또는 점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에서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으로 회전 완료 시,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의 발광부는 모두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 내지 상기 제3 발광부는, 각각 N개의 단계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 시프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홀 센서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범위에는, 각 변속 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변속 단 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변속 단 위치 사이에는, 상기 단계 표시부의 개수인 N 개보다 하나 적은 개수(N-1)개의 전환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에서 N 개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점등되고, 상기 변속 시프터가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서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N-1 개의 전환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N-1 개의 전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순차적으로 소등되고, 상기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상기 변속 시프터가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상기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P단을 표시하는 제4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발광부는, N개의 단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범위에는, 상기 P단에 해당하는 변속 단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개의 단계 표시부는, 각각의 단계 표시부에 해당하는 개수의 광원에 의해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복수의 변속 단들 중, 특정 변속 단을 선택하고자 변속 시프터를 조작할 때, 변속 단 위치에 따라 복수의 변속 단 발광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마치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하게 됨으로써, 시각적으로 향상된 심미감이 제공되어 차량의 감성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운전자가 선택되는 변속 단을 시각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변속 시프터가 P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변속 시프터가 P단에서 R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R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변속 시프터가 R단에서 N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N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변속 시프터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D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회전됨에 따라 P-R-N-D로 변속 단이 변경될 때, 발광부의 점등 표시 관계를 하나의 표로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변속 시프터가 D단에서 N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N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변속 시프터가 N단에서 R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R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변속 시프터가 R단에서 P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P 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 변속 시프터가 회전됨에 따라 D-N-R-P로 변속 단이 변경될 때, 발광부의 점등 표시 관계를 하나의 표로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4는 도 23에서 변속 시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표시부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는, 운전자가 한 손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원하는 변속 단을 선택할 수 있는 다이얼 타입(Dial type) 변속 시프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속 시프터(100)는 변속 하우징(12)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P단, R단, N단, D단으로의 변속 단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변속 시프터(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변속 하우징(12)의 일면에는 각각의 변속 단을 표시하는 P-R-N-D의 변속 단 위치(110,120,130,140)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P-R-N-D의 변속 단 위치(110,120,130,140)는 변속 시프터(100)의 조작으로 변속 단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변속 단에 해당하는 변속 단 위치(110,120,130,140)가 발광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조작하여 P단에 위치시키게 되는 경우, P단을 표시하는 P단 위치(110)가 점등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조작하여 R단, N단, D단에 각각 위치시키게 되는 경우에도, R단을 표시하는 R단 위치(120), N단을 표시하는 N단 위치(130), D단을 표시하는 D단 위치(140)가 각각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때, 운전자의 조작으로 변속 시프터(100)가 P단에 위치하게 될 때, P단을 표시하는 P단 위치(110)는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도록 붉은 계통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으로 변속 시프터(100)가 R단, N단, D단에 각각 위치하게 될 때, R단을 표시하는 R단 위치(120), N단을 표시하는 N단 위치(130), D단을 표시하는 D단 위치(140)는 푸른 계통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P단과 다른 변속 단인 R단, N단, D단은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시키도록 서로 다른 계통의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P-R-N-D의 변속 단 위치(110,120,130,140) 일측으로는 변속 시프터(100)의 조작 즉,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발광부(210,220,230,24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P단 위치(110)의 일측으로는 복수의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제4 발광부(210)가 배치되고, R단 위치(120)의 일측으로도 복수의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제1 발광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N단 위치(130)의 일측으로는 복수의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제2 발광부(230)가 배치되고, D단 위치(140)의 일측으로도 복수의 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제3 발광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서는, 회전이 가능한 변속 시프터(100)의 회전 범위에 각각 P단 위치(110), R단 위치(120), N단 위치(130) 및 D단 위치(140)에 각각 대응되는 제4 발광부(210), 제1 발광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3 발광부(240)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P단 위치는 별도의 버튼 등으로 구비됨에 따라 P단 위치 및 제4 발광부는 배제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는, 회전이 가능한 변속 시프터(100)의 회전 범위에 R단 위치(120), N단 위치(130) 및 D단 위치(140)와, 이들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발광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3 발광부(240)만 배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단 위치(110) 및 이에 대응되는 제4 발광부(210)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 발광부(210), 제1 발광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3 발광부(240)는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조작 즉, 회전시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변속 시프터(100)의 상면 둘레와 외측 둘레에는, 변속 시프터(100)가 P단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P단임을 인지시키기 위한 보조 발광부(102,104)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변속 시프터(100)가 P단에 위치하여 P단 위치(110)가 점등되는 경우, 보조 발광부(102,104)들에도 점등이 이루어지되, 이때 보조 발광부(102,104)가 조사하는 광 또한 붉은 계통의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변속 시프터가 P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조작하여 P단에 위치시키게 되는 경우, P단 위치(110)에 대응되는 광원이 점등되어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변속 시프터(100)의 상면 둘레 및 외측 둘레에 형성된 보조 발광부(102,104)들 또한 대응되는 광원이 점등되어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P단 위치(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4 발광부(210) 또한 해당 광원이 점등되어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P단 위치(110)와, 보조 발광부(102,104) 및 제4 발광부(210)는 동일 색상 즉, 붉은 계통의 색상이 발광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P단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보다 확실히 인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발광부(210)는 복수 단계에 걸쳐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에서는, 제4 발광부(210)와, 후에 상세히 설명될 제1 발광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3 발광부(240)가 모두 3단계의 단계 표시부에 걸쳐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2단 이상의 다 단계 즉, 자연수인 N개의 단계 표시부에 걸쳐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10,220,230,240)가 각각 3 단계의 단계 표시부에 걸쳐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접하는 발광부들 사이에는 2 단계의 전환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도 12 및 도 22 참조)
즉, 발광부(210,220,230,240)가 각각 자연 수인 N개의 단계 표시부를 갖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들 사이에는 N-1개의 전환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210,220,230,240)가 각각 5개의 단계 표시부를 갖는 경우에는,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들 사이에는 4개의 전환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발광부(210)가 복수 단계, 즉 3단계의 단계 표시부에 걸쳐 발광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P단에 위치하게 될 때, 제4 발광부(210)는 3단계의 단계 표시부가 모두 점등되어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일측 방향 바람직하게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변속 시프터(100)의 회전 각도 즉, 전환 위치에 따라 각 단의 발광부(210,220,230,240)들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면서 마치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변속 시프터가 P단에서 R단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시프터(100)가 P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R단으로 변속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P단 위치(110)에서 R단 위치(120)로 회전하는 전환 위치(a,b)에 따라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소등되고, 반대로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P단 위치(110)에서 R단 위치(120)로 1/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a)에 위치되는 경우,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은 소등되고, 1단 및 2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 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1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P단 위치(110)에서 R단 위치(120)로 2/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b)에 위치되는 경우,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 및 2단은 소등되고, 1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 및 2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단 위치(120)로 변속 단을 변경한 경우,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3단계가 모두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P단에서 R단으로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변속 시프터(100)의 보조 발광부(102,104)들 또한 소등이 이루어지고, P단 위치(110) 또한 소등됨과 아울러, R단 위치(120)가 점등되어 현재 변속 단이 R단 임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하여 P단에서 R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R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P단 위치(110)와 보조 발광부(102,104)가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이루고, R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P단 위치(110)와 보조 발광부(102,104)가 비로소 소등된 후, R단 위치(120)가 점등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발광부(220)와 R단 위치(120)를 비롯하여, 제2 발광부(230)와 N단 위치(130) 및 제3 발광부(240)와 D단 위치(140)는, 앞서 설명한 제4 발광부(210)와 P단 위치(110)와는 다른 계통의 색상 즉, 푸른 계통의 색상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P단과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은 변속 시프터가 R단에서 N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시프터(100)가 R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켜 N단으로 변속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R단 위치(120)에서 N단 위치(130)로 회전하는 전환 위치(c,d)에 따라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소등되고, 반대로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R단 위치(120)에서 N단 위치(130)로 1/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c)에 위치되는 경우,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은 소등되고, 1단 및 2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R단 위치(120)에서 N단 위치(130)로 2/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d)에 위치되는 경우,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 및 2단은 소등되고, 1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 및 2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단 위치로 변속 단을 변경한 경우,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3단계가 모두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R단에서 N단으로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R단 위치(120) 또한 소등됨과 아울러, N단 위치(130)가 점등되어 현재 변속 단이 N단 임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하여 R단에서 N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N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R단 위치(120)가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이루고, R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R단 위치(120)가 비로소 소등된 후, N단 위치(130)가 점등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변속 시프터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시프터(100)가 N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D단으로 변속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N단 위치(130)에서 D단 위치(140)로 회전하는 전환 위치(e,f)에 따라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소등되고, 반대로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N단 위치(130)에서 D단 위치(140)로 1/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e)에 위치되는 경우,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은 소등되고, 1단 및 2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N단 위치(130)에서 D단 위치(140)로 2/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f)에 위치되는 경우,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 및 2단은 소등되고, 1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 및 2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한 경우,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는 3단계가 모두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N단에서 D단으로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N단 위치(130)는 소등됨과 아울러, D단 위치(140)가 점등되어 현재 변속 단이 D단 임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N단 위치(130)에서 D단 위치(140)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D단 위치(140)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N단 위치(130)가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이루고, D단 위치(140)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N단 위치(130)가 비로소 소등된 후, D단 위치(140)가 점등되도록 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는 변속 시프터가 D단에서 N단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시프터(100)가 D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N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하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D단 위치(140)에서 N단 위치(130)로 회전하는 전환 위치(f,e)에 따라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소등되고, 반대로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14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D단 위치(140)에서 N단 위치(130)로 1/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f)에 위치되는 경우,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은 소등되고, 1단 및 2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D단 위치(140)에서 N단 위치(130)로 2/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e)에 위치되는 경우, 도 14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 및 2단은 소등되고, 1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 및 2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15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한 경우, 제3 발광부(240)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3단계가 모두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D단에서 N단으로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D단 위치(140)는 소등됨과 아울러, N단 위치(130)가 점등되어 현재 변속 단이 N단 임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D단에서 N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N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D단 위치(140)가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이루고, N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D단 위치(140)가 비로소 소등된 후, N단 위치(130)가 점등되도록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변속 시프터가 N단에서 R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시프터(100)가 N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R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하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N단 위치(130)에서 R단 위치(120)로 회전하는 전환 위치(d,c)에 따라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소등되고, 반대로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N단 위치(130)에서 R단 위치(120)으로 1/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d)에 위치되는 경우,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은 소등되고, 1단 및 2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N단 위치(130)에서 R단 위치(120)로 2/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c)에 위치되는 경우, 도 17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 및 2단은 소등되고, 1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 및 2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18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한 경우, 제2 발광부(230)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3단계가 모두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N단에서 R단으로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N단 위치(130)는 소등됨과 아울러, R단 위치(120)가 점등되어 현재 변속 단이 R단 임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N단에서 R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R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N단 위치(130)가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이루고, R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N단 위치(130)가 비로소 소등된 후, R단 위치(120)가 점등되도록 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변속 시프터가 R단에서 P단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시프터(100)가 R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P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하는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R단 위치(120)에서 P단 위치(110)로 회전하는 전환 위치(b,a)에 따라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단계적으로 소등되고, 반대로 제4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210)는 단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R단 위치(120)에서 P단 위치(110)로 1/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b)에 위치되는 경우,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은 소등되고, 1단 및 2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변속 시프터(100)가 R단 위치(120)에서 P단 위치(110)로 2/3 지점만큼인 전환 위치(a)에 위치되는 경우,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 중, 3단 및 2단은 소등되고, 1단만 점등된 상태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 중, 1단 및 2단이 점등되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한 경우, 제1 발광부(220)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4 발광부(210)의 단계 표시부는 3단계가 모두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R단에서 P단으로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변속 시프터(100)의 보조 발광부(102,104)은 동시에 점등이 이루어지고, P단 위치(110) 또한 점등됨과 아울러, R단 위치(120)가 소등되어 현재 변속 단이 P단 임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R단에서 P단으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P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R단 위치(120)가 계속해서 점등된 상태를 이루고, P단 위치(110)와 보조 발광부(102,104)가 계속해서 소등된 상태를 이루고, P단으로의 변속 단 변경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R단 위치(120)가 소등된 후, P단 위치(110)와 보조 발광부(102,104)가 비로소 점등되도록 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발광부(210)와 P단 위치(110)는, 제1 발광부(220)와 R단 위치(120)를 비롯하여, 제2 발광부(230)와 N단 위치(130) 및 제3 발광부(240)와 D단 위치(140)와는 다른 계통의 색상 즉, 붉은 계통의 색상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P단임을 보다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는, 변속 시프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각각 복수 단계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각 변속 단의 발광부(210,220,230,240)들 즉,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들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 마치 이퀄라이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심미성이 크게 향상되어 결국 차량의 감성 품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조작함에 따라 P-R-N-D 또는 D-N-R-P의 순서로 변속 단을 변경할 때, 변속 단의 변경 과정이 각각 복수 단계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각 변속 단의 발광부(210,220,230,240)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변화로 인해 심미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 단 변경 과정을 보다 확실히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의 경우, 각 변속 단 발광부(210,220,230,240)가 각각 3단계의 단계 표시부에 걸쳐 점등 또는 소등됨으로써, 각각의 변속 단 발광부(210,220,230,240)들은 모두 3개씩의 광원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모두 12개의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2개의 광원은 변속 시프터(100)의 회전에 따른 선택 값 즉, 전환 위치에 의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의 제어 구조를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4는 도 23에서 변속 시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는, 운전자가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변속 시프트와, 이 변속 시프터(100)의 회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20)와, 이 자성체(20)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자성체(2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 밀도 값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는 홀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 센서(30)의 입력 신호에 따라 모두 12개의 광원이 배치된 기판(4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된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기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3을 참조하면, 변속 시프터(100)는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축(11)(12)과, 회전축(11)(12)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1단 이상의 감속 기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시프터(100)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자성체(20) 또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회전되는 자성체(20)의 각도에 따라 자기 밀도 값이 변화하게 되며, 홀 센서(30)는 변화하는 자기 밀도 값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의해 기판(40)으로 제어 신호를 입력하게 됨으로써, 기판(40)에 배치되는 12개의 광원들 중, 선택된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변속 단을 표시하는 P단 위치(110) 내지 D단 위치(140) 또한 각각 해당 광원이 배치되고, 변속 시프터(100)에 형성되는 보조 발광부(102,104) 또한 해당 광원이 각각 배치되며, 이들 광원들 또한 기판(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 해당 변속 단에 맞는 광을 발광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의 경우, 변속 시프터(100)가 다이얼 타입인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 타입의 변속 시프터와, 틸팅 타입의 변속 시프터에도 각 변속 단에 복수 단계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발광부들을 형성하여 동일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에서는, 각 변속 단에 대응되는 발광부(210,220,230,240)들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단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것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발광부들은 크기가 다른 복수의 원형을 비롯한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큰 크기의 것이 작은 크기의 것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단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변속 장치 20 : 자성체
30 : 홀 센서 40 : 기판
100 : 변속 시프터 102,104 : 보조 발광부
110 : P단 위치 120 : R단 위치
130 : N단 위치 140 : D단 위치
210 : 제4 발광부 220 : 제1 발광부
230 : 제2 발광부 240 : 제3 발광부
a,b,c,d,e,f : 전환 위치

Claims (9)

  1. 회전 가능한 변속 시프터;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위치를 단계 별로 알려주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에서 인접한 다른 변속 단으로 회전 시,
    상기 선택된 변속 단의 발광부는 단계적으로 소등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의 발광부는 단계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는,
    R단, D단, N단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 제3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에 따라 단계 별로 소등 또는 점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에서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으로 회전 완료 시,
    상기 인접한 다른 변속 단의 발광부는 모두 점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 내지 상기 제3 발광부는,
    각각 N개의 단계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시프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홀 센서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범위에는, 각 변속 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변속 단 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변속 단 위치 사이에는, 상기 단계 표시부의 개수인 N 개보다 하나 적은 개수(N-1)개의 전환 위치가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시프터가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에서 N 개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점등되고,
    상기 변속 시프터가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서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N-1 개의 전환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N-1 개의 전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순차적으로 소등되고, 상기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상기 변속 시프터가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선택된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소등되고, 상기 인접하는 다른 변속 단 위치에 해당하는 발광부의 단계 표시부는 모두 점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P단을 표시하는 제4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발광부는,
    N개의 단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시프터의 회전 범위에는, 상기 P단에 해당하는 변속 단 위치가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단계 표시부는,
    각각의 단계 표시부에 해당하는 개수의 광원에 의해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0160183844A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54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44A KR10254021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44A KR10254021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56A KR20180078756A (ko) 2018-07-10
KR102540212B1 true KR102540212B1 (ko) 2023-06-07

Family

ID=6291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44A KR10254021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684B1 (ko) * 2019-04-22 2023-03-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731A (ja) 2006-08-28 2008-03-06 Mazda Motor Corp 計器装置
KR101223299B1 (ko) 2010-09-06 2013-01-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변속 레인지 쉬프팅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75676B1 (ko) 2013-12-27 2014-12-2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조절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0927B1 (fr) * 1996-07-10 1998-10-16 Peugeot Procede de regulation automatique de la climatisation d'une enceint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20050104923A (ko) * 2004-04-30 2005-11-0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템프 스위치 조립체
KR101499223B1 (ko) 2014-03-04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527059B1 (ko) 2014-06-23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바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731A (ja) 2006-08-28 2008-03-06 Mazda Motor Corp 計器装置
KR101223299B1 (ko) 2010-09-06 2013-01-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변속 레인지 쉬프팅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75676B1 (ko) 2013-12-27 2014-12-2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조절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56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6593B (zh) 换挡器组件
US6360624B1 (en) Motor vehicle having a selecting device
JP2006312443A (ja) セミ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または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ギヤシフト装置
JPH02133240A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表示装置
EP3303882B1 (en) A shifter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 vehicle by means of a shifter
CN101504073B (zh) 手动变速器选换挡机构
JP2006273114A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表示装置
JPH1067250A (ja) 車両の変速操作装置
US7469610B2 (en) Reverse and park inhibitor apparatus in a transmission control mechanism
KR10174059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20230349461A1 (en) Gearbox System With an Automated Manual Gearbox
US10443725B2 (en) Shift-by-wire module illumination strategy for vehicle
KR101499222B1 (ko)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54021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40067374A (ko)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KR10248524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40057056A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380293B2 (ja) 車両の表示装置
CN106812929A (zh) 一种用于变速器的选换挡机构
JP2006064097A (ja) 自動変速機の表示装置
KR10259772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693890B1 (ko) 차량의 amt 셀렉터 레버 작동구조
JP2007010119A (ja) シフトポジションセンサ
KR10223872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06273111A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